KR101836711B1 -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6711B1
KR101836711B1 KR1020160127654A KR20160127654A KR101836711B1 KR 101836711 B1 KR101836711 B1 KR 101836711B1 KR 1020160127654 A KR1020160127654 A KR 1020160127654A KR 20160127654 A KR20160127654 A KR 20160127654A KR 101836711 B1 KR101836711 B1 KR 101836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touch
closing
opening
switch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구본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7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60J1/12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 B60J1/16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 B60J1/17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adjustable slidable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controlled by automatically ac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7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30Electronic control of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wing movement
    • E05Y2400/445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도록 사기 윈도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스위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모듈은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의 터치패널(touch pad)로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POWER WINDOW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워윈도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윈도우의 개폐를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모듈에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위치모듈의 고급화 및 부피 축소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편리성, 안정성, 조작감 등을 향상시키는 파워윈도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나 트럭(Truck) 등의 자동차에는 운전자나 탑승자 등이 출입할 수 있도록 적어도 2개이상의 도어(Door)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의 상측에는 통상 글래스(Glass) 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Window)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와 같은 윈도우는 자동차의 도어를 열지 않고도 개폐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동차의 내부공기 환기나 외부사람과의 간단한 대화 등 다양한 목적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자동차의 윈도우는 그 개폐되는 방식에 따라 통상 세가지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첫째,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설치된 핸들(Handle)을 회전시켜 수동으로 윈도우를 개폐하는 방식인 매뉴얼(Manual) 방식이 있다.
둘째, 자동차 도어의 내측에 장착된 스위치모듈의 노브(knob)를 누르는 동안에만 모터(Motor)가 작동하여 모터가 작동한 만큼 윈도우가 일정거리 상승하거나 일정거리 하강하는 방식인 파워윈도우(Power window) 방식이 있다.
셋째, 스위치모듈의 노브(knob)를 원 터치(One touch)함에 따라 윈도우가 상부 끝단까지 자동 상승하거나 하부 끝단까지 자동 하강하는 방식인 오토(Auto) 파워윈도우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파워윈도우 방식과 오토 파워윈도우 방식을 하나의 스위치모듈에 의해 선택적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파워윈도우 스위치장치가 출시되고 있는 바, 이러한 파워윈도우 스위치장치를 이용하여 파워윈도우 방식과 오토 파워윈도우 방식이 하나로 병합된 방식이 자동차 윈도우 개폐방식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종래의 파워윈도우장치에 따르면, 스위치모듈이 복수의 노브(knob), 복수의 노브를 지지하는 지지구조물, 전기적 접점구조 등으로 이루어진 기구적 조작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에 각 부품의 제조편차 또는 차종에 따라 조작력이 상이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파워윈도우장치에 따르면, 스위치모듈을 도어 측에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조립불량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파워윈도우장치는 파워윈도우 모드 및 오토 파워윈도우 모드를 구분하는 구분감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된 것으로, 윈도우의 개폐를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모듈에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위치모듈의 고급화 및 부피 축소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편리성, 안정성, 조작감 등을 향상시키는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장치는,
도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도록 사기 윈도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된 스위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모듈은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의 터치패널(touch pad)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은,
스위치모듈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윈도우의 개방 내지 폐쇄를 위한 터치를 입력하는 터치입력단계;
상기 제어부는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에 따라 파워모드 및 오토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의 개폐를 위한 조작을 수행하는 스위치모듈에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스위치모듈의 고급화 및 부피 축소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뿐만 아니라 편리성, 안정성, 조작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스위치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스위치모듈에 터치가 입력될 때 터치의 압력에 대한 출력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파워모드에서 윈도우의 개방을 위한 터치가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파워모드에서 윈도우의 폐쇄를 위한 터치가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파워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오토모드에서 윈도우의 개방을 위한 터치가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오토모드에서 윈도우의 폐쇄를 위한 터치가 입력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오토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장치는 도어(5)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윈도우(10)와, 윈도우(10)를 개폐시키는 구동유닛(20)과, 구동유닛(20)을 제어하는 제어부(30)와, 제어부(30)에 접속된 스위치모듈(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유닛(20)은 윈도우(10)를 개방 내지 폐쇄시키도록 윈도우(10)를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구동유닛(20)은 윈도우(10)에 고정된 캐리어(21)와, 캐리어(2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22)와, 캐리어(21)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된 와이어(23)와, 와이어(23)를 견인하도록 회전하는 구동모터(25)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모터(25)는 그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속도가변제어모터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10)의 개방속도 및 폐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구동유닛(20)의 구동모터(25)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이에 윈도우(10)의 개방 내지 폐쇄, 윈도우(10)의 개방속도 내지 폐쇄속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0)는 구동모터(25)에 일체형으로 마련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5)에 입력되는 전압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모터(25)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10)의 개방속도 내지 폐쇄속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모듈(40)은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의 터치패널(touch pad)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스위치모듈(40)은 그 표면에 터치가 가해짐에 따라 터치의 위치, 터치의 압력(힘의 세기)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포스터치 방식의 터치패널은 capacitive glass panel을 이용하여 트랙패드의 특정 부분에 압력을 가하면 변화된 캐패시터를 전극센서가 인지하고, 이를 햅틱 엔진을 통해 사용자게 클릭감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위치모듈(40)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표면에 가해지는 터치의 압력(힘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의 압력에 비례하여 출력되는 전압이 제어부(30)로 전송되면, 제어부(30)는 PWM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5)로 입력되는 전압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모터(25)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10)의 개방속도 내지 폐쇄속도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모듈(40)의 표면에는 복수의 터치입력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터치입력부는 각 도어의 윈도우(10)를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 및 아웃사이드미러 등과 같은 차량용 미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미러조절용 터치입력부(45) 등으로 구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용차량인 경우 4개의 도어가 마련되고, 각 도어에는 윈도우가 개폐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는 4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에 따라 제어부(30)는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제어부(30)는 구동유닛(2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미러조절용 터치입력부(45)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에 따라 제어부(30)는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고, 이에 제어부(30)는 아웃사이드미러를 구동하는 아웃사이드미러를 구동하는 구동유닛을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모듈(40)은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 또는 미러조절용 터치입력부(45)에 터치가 입력될 때 터치시간, 터치의 이동거리, 터치의 압력 등을 감지하여 파워모드(power mode) 및 오토모드(auto mode)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신호를 제어부(30)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워모드는 스위치모듈(40)의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터치가 입력될 때 터치의 압력에 따라 윈도우(10)의 폐쇄속도 내지 개방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터치시간에 따라 윈도우(10)의 폐쇄정도 내지 개방정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 기능이다. 그리고, 오토모드는 스위치모듈(40)의 각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가 드래그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완전 폐쇄되거나 하부로 이동하여 완전 개방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기능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스위치모듈(40)의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대해 각 윈도우(10)의 개방 내지 폐쇄를 위한 터치를 입력한다(S1). 그리고, 제어부(30)는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에 따라 파워모드 및 오토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발생한다(S2).
그 이후에, 제어부(30)의 제어신호가 구동유닛(40)의 구동모터(25) 측으로 전송됨에 따라 구동유닛(40)의 구동모터(25)의 구동을 제어한다(S3). 이와 같이, 구동모터(25)의 구동이 제어됨에 따라, 각 윈도우(10)의 개방 내지 폐쇄, 개방속도 내지 폐쇄속도 등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파워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파워모드는 스위치모듈(40)의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터치가 가해질 때, 터치의 압력에 따라 윈도우(10)의 폐쇄속도 내지 개방속도가 조절될 수 있고, 터치의 시간에 따라 윈도우(10)의 폐쇄위치 내지 개방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파워모드에 따른 윈도우(1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위치모듈(40)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터치를 입력한다(S11).
입력된 터치시간이 설정시간(T)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2).
스위치모듈(40)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시간이 설정시간(T) 보다 크면 제어부(30)는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롱 프레스(long press) 형태의 터치(도 5의 T1 참조)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개방신호를 발생한다(S13).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개방신호를 구동모터(25)로 전송함으로써 터치시간 동안 구동모터(25)에 의해 윈도우(10)가 개방될 수 있다(S14).
한편, 스위치모듈(40)는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의 압력(힘의 세기)에 비례하는 출력전압(도 3 참조)을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이에 제어부(30)는 PWM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5)로 입력되는 전압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모터(25)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10)의 개방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모듈(40)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시간이 설정시간(T) 이하이면 제어부(30)는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탭(tap) 형태의 터치(도 6의 T1 참조)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 이후에, 스위치모듈(40)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2차 터치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5), 2차 터치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2차 터치시간이 설정시간(T)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16).
2차 터치시간이 설정시간(T) 보다 크면 제어부(30)는 도 6과 같이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롱 프레스(long press) 형태의 2차 터치(도 6의 T2 참조)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폐쇄신호를 발생하고(S17),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폐쇄신호를 구동모터(25)로 전송함으로써 2차 터치시간 동안 구동모터(25)에 의해 윈도우(10)가 폐쇄될 수 있다(S18).
한편, 스위치모듈(40)은 입력되는 터치의 압력(힘의 세기)에 비례하는 출력전압(도 2 참조)을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제어부(30)는 PWM제어에 의해 구동모터(25)로 입력되는 전압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구동모터(25)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윈도우(10)의 폐쇄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파워윈도우장치의 오토모드를 실행하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토모드는 스위치모듈(40)의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가 드래그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10)가 상부로 이동하여 완전 폐쇄되거나 하부로 이동하여 완전 개방되도록 조절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오토모드에 따른 윈도우(10)의 개폐를 수행하기 위하여 스위치모듈(40)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터치를 입력한다(S21).
도 8 및 도 9와 같이,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drag)인지를 판단한다(S22). 예컨대, 제어부(30)는 터치입력부(41, 42, 43, 44)에 입력되는 터치의 이동거리가 설정치 이상이면 드래그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로 판단되면, 드래그의 방향이 윈도우(10)의 개방방향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S23).
도 8과 같이, 제어부(30)가 드래그의 방향을 윈도우(10)의 개방방향(도 8의 D1방향 참조)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개방신호를 발생하고(S24),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개방신호를 구동모터(25)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5)에 의해 윈도우(10)가 완전 개방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윈도우(10)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S25). 이러한 윈도우(10)의 개방작동 시에, 윈도우(10)의 개방속도는 제어부(30)에 의해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S23단계에서 도 9와 같이, 제어부(30)가 드래그의 방향을 윈도우(10)의 폐쇄방향(도 9의 D2방향 참조)인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폐쇄신호를 발생하고(S26), 제어부(30)는 윈도우(10)의 폐쇄신호를 구동모터(25)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25)에 의해 윈도우(10)가 완전 폐쇄위치로 연속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윈도우(10)가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S27). 이때, 윈도우(10)의 폐쇄작동 시에, 윈도우(10)의 폐쇄속도는 제어부(30)에 의해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5: 도어 10: 윈도우
20: 구동유닛 25: 구동모터
30: 제어부 40: 스위치모듈

Claims (10)

  1. 도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윈도우;
    상기 윈도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고, 포스터치(force touch) 방식의 터치패널(touch pad)로 구성된 스위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모듈는 터치가 입력될 때 터치시간, 터치의 이동거리,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여 파워모드(power mode) 및 오토모드(auto mode)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부 측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모듈에 입력되는 터치의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파워모드는 터치의 압력에 따라 윈도우의 폐쇄속도 내지 개방속도가 조절되고 터치시간에 따라 윈도우의 폐쇄정도 내지 개방정도가 조절되는 모드이며,
    상기 스위치모듈에 입력되는 터치가 드래그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모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오토모드는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윈도우가 완전 개방되거나 완전 폐쇄되는 모드인 파워윈도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윈도우에 고정된 캐리어와, 상기 캐리어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와, 상기 캐리어의 상단 및 하단에 연결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견인하도록 회전하는 구동모터를 가지며,
    상기 구동모터는 그 회전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속도가변제어모터인 파워윈도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PWM(Pulse Width Modulation)제어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에 입력되는 전압의 듀티비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고, 이에 윈도우의 개방속도 내지 폐쇄속도가 조절되는 파워윈도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모듈은 그 표면에 가해지는 터치의 압력(힘의 세기)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위치모듈의 표면에는 각 도어의 윈도우를 개별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복수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가 구분되게 마련되는 파워윈도우장치.
  5. 삭제
  6. 도어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윈도우와, 상기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구동유닛과,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를 가진 스위치모듈을 가진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으로,
    스위치모듈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윈도우의 개방 내지 폐쇄를 위한 터치를 입력하는 터치입력단계;
    상기 제어부는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에 따라 파워모드 및 오토모드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신호 발생단계;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모터 측으로 전송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구동모터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스위치모듈에 입력되는 터치의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보다 클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모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파워모드에서는 터치의 압력에 따라 윈도우의 폐쇄속도 내지 개방속도가 조절되고 터치시간에 따라 윈도우의 폐쇄정도 내지 개방정도가 조절되며,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스위치모듈에 입력되는 터치가 드래그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토모드를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오토모드에서는 드래그의 방향에 따라 윈도우가 완전 개방되거나 완전 폐쇄되는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스위치모듈의 각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보다 크면 윈도우의 개방신호를 발생하는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스위치모듈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이하이면 스위치모듈의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2차 터치가 입력되는 판단하고,
    상기 2차 터치가 입력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2차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하며,
    2차 터치시간이 설정시간 보다 크면 윈도우의 폐쇄신호를 발생하는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스위치모듈이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drag)인지를 판단하고,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로 판단되면, 드래그의 방향이 윈도우의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윈도우의 개방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의 개방신호를 발생하는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단계는,
    상기 스위치모듈은 윈도우개폐용 터치입력부에 입력되는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drag)인지를 판단하고, 터치의 형태가 드래그로 판단되면, 드래그의 방향이 윈도우의 개방방향 또는 폐쇄방향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드래그의 방향이 윈도우의 폐쇄방향인 것으로 판단되면, 윈도우의 폐쇄신호를 발생하는 파워윈도우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127654A 2016-10-04 2016-10-04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36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54A KR101836711B1 (ko) 2016-10-04 2016-10-04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654A KR101836711B1 (ko) 2016-10-04 2016-10-04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711B1 true KR101836711B1 (ko) 2018-03-08

Family

ID=6172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654A KR101836711B1 (ko) 2016-10-04 2016-10-04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71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818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만도 조향 컬럼
KR102100983B1 (ko) * 2018-10-30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US10745042B2 (en) 2017-12-19 2020-08-18 Mando Corporatio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US10919558B2 (en) 2017-12-19 2021-02-16 Mando Corporatio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8974B2 (ja) * 2008-12-17 2014-10-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2015017360A (ja) * 2013-07-08 2015-01-2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ガラス操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8974B2 (ja) * 2008-12-17 2014-10-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2015017360A (ja) * 2013-07-08 2015-01-29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ガラス操作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5042B2 (en) 2017-12-19 2020-08-18 Mando Corporatio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US10919558B2 (en) 2017-12-19 2021-02-16 Mando Corporation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90109818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만도 조향 컬럼
KR102047254B1 (ko) * 2018-03-19 2019-12-02 주식회사 만도 조향 컬럼
KR102100983B1 (ko) * 2018-10-30 2020-04-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20210051914A (ko) * 2019-10-31 2021-05-10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KR102276019B1 (ko) 2019-10-31 2021-07-13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의 모핑 타입 파워 윈도우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711B1 (ko)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612629B1 (en) Control apparatus for opening/closing body in a vehicle
US10180024B2 (en) Control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bodies of vehicles
CN106476723B (zh) 直观的车辆控制
US10190356B2 (en) Pow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20050017667A1 (en) Closing member control system
GB2418741A (en) Control system for a sliding roof and powered windows of a vehicle
JP2007138500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10041286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movable closure member of a vehicle
JP2006118344A (ja) 車のリフトゲート制御システム
JP4537428B2 (ja) 開閉体制御装置
CN109763739A (zh) 控制车辆的开闭构件的控制设备
JP2005226444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4111078B2 (ja) 可動体制御装置
KR100500288B1 (ko)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 장치
JP5300228B2 (ja) 開閉体の挟み込み検出装置
JP2005146599A (ja) オートドアの開閉作動制御装置
KR20130105170A (ko) 차량 윈도우 제어장치
KR100527764B1 (ko) 자동차의 파워윈도우용 스위치조립체
JP2001010346A (ja) バックドア装置
JP2005313747A (ja) 車輌用窓装置
KR20170047596A (ko) 차량의 트렁크 턱 높이 조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5698B1 (ko) 차량의 선 루프
JP2021055489A (ja) 制御装置
CN114801671A (zh) 车辆用开闭体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