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254B1 - 조향 컬럼 - Google Patents

조향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254B1
KR102047254B1 KR1020180031345A KR20180031345A KR102047254B1 KR 102047254 B1 KR102047254 B1 KR 102047254B1 KR 1020180031345 A KR1020180031345 A KR 1020180031345A KR 20180031345 A KR20180031345 A KR 20180031345A KR 102047254 B1 KR102047254 B1 KR 102047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housing
operating
steering column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9818A (ko
Inventor
이석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80031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254B1/ko
Priority to DE102018221992.3A priority patent/DE102018221992A1/de
Priority to US16/223,101 priority patent/US10919558B2/en
Priority to US16/223,089 priority patent/US10745042B2/en
Priority to DE102018222215.0A priority patent/DE102018222215A1/de
Priority to CN201811555172.XA priority patent/CN110001753B/zh
Priority to CN201811557861.4A priority patent/CN110001754B/zh
Publication of KR2019010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04Steering gears mechanical of worm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수납형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자동차의 조향샤프트에 연결되며 양측에 각각 제1개구부와 제2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부, 하우징부의 내부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제1개구부를 통해 하우징부 내외로 입출되는 제1입출휠부, 하우징부의 내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되, 제2개구부를 통해 하우징부 내외로 입출되는 제2입출휠부, 하우징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제1입출휠부와 제2입출휠부에 회동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수납형 조향 컬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본 실시예들은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외부로 인출되면서 조향휠이 운전자에게 조향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거나,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내부로 인입되면서 조향휠이 대시보드에 근접된 위치로 이동되는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컬럼은 운전자의 조작이 입력되는 조향휠과, 조향휠과 연결된 조향축 등이 구비되어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것으로,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텔레스코프(Telescope) 장치 또는 틸트(Tilt) 장치 등이 추가된다.
여기서, 텔레스코프 장치는 조향 컬럼이 축 방향으로 신장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고, 틸트 장치는 조향 컬럼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향 컬럼은 단순히 운전자의 체형에 따라서 조향휠의 위치를 운전에 최적화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을 뿐이어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운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 운전석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기에는 큰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최근의 자율 주행 자동차의 연구 및 개발이 확산됨에 따라, 자율 주행 모드에서 운전석의 공간 확장을 위한 조향 컬럼의 인입 또는 인출 구조에 대한 요청이 대두되고 있고 이러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실시예들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외부로 인출되면서 조향휠이 운전자에게 조향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거나,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내부로 인입되면서 조향휠이 대시보드에 근접된 위치로 이동되어, 운전자가 운전석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는 조향 컬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들은, 일단부가 상부 조향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인너 커버샤프트, 인너 커버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인너 하우징,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하우징, 내주면에 컨트롤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는 조향 컬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외부로 인출되면서 조향휠이 운전자에게 조향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거나,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내부로 인입되면서 조향휠이 대시보드에 근접된 위치로 이동되어, 운전자가 운전석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이 인출과 인입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이 인출과 인입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따른 조향 컬럼(100)은, 일단부가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인너 커버샤프트(125),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는 인너 하우징(121), 가이드돌기(122)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가이드홀(128)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하우징(129), 내주면에 컨트롤하우징(129)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하우징(123)을 포함한다.
먼저 본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경우가 아닌한 조향 컬럼(100)에서의 방향 설명은 조향휠(110) 방향 즉, 조향 컬럼(100)이 인출되는 방향은 일단부쪽으로 설명하고 이와 반대 방향인 조향 컬럼(100)이 인입되는 방향은 타단부쪽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축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면서 축방향으로 수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자동차의 차체(미도시)에 고정되는 커버하우징(123)을 기준으로 조향휠(110)쪽에서 커버하우징(123)의 내부쪽으로 축방향으로 인입되어 자동차의 대시보드(Dashboard, 150)에 조향휠(110)이 근접되도록 하거나, 축방향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상부 조향샤프트(127)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하부 조향샤프트(131)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와 결합된 인너 커버하우징(123)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아우터 커버샤프트(115)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그리고, 인너 커버샤프트(125)와 결합된 인너 하우징(121)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컨트롤하우징(129)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인너 커버샤프트(125)는 일단부가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축방향의 인입 또는 인출시 상부 조향샤프트(127)를 하부 조향샤프트(131)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시킨다.
인너 하우징(121)은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돌기(122)가 형성되어 있고 컨트롤하우징(129)에는 인너 하우징(121)의 가이드돌기(122)가 삽입되는 나선형의 가이드홀(128)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컨트롤하우징(129)의 회전시 인너 하우징(121)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하우징(123)은 내주면에 컨트롤하우징(129)이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며 컨트롤하우징(129)의 회전을 지지하며, 커버하우징(123)의 타단부에는 컨트롤하우징(129)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컨트롤하우징(129)의 타단부에는 제1기어(130)가 형성되고 구동모터(140)의 축에는 컨트롤하우징(129)의 제1기어(130)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141)가 구비되어 있고, 구동모터(140)의 작동 방향에 따라서 컨트롤하우징(129)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인너 하우징(121)과 인너 커버샤프트(125), 상부 조향샤프트(127)도 인입 방향 또는 인출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일례로 컨트롤하우징(129)의 제1기어(130)는 웜휠이고 구동모터(140)의 제2기어(141)는 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에 추가적으로 컨트롤하우징(129)의 일단부에는 가이드홀(128)과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홀(126)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통홀(126)은 인너 하우징(121)과의 조립시 가이드돌기(122)를 가이드홀(128)에 결합시키기 용이하게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일단부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5b)가 형성되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일단부에는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고정돌기(125b)가 결합되는 고정홈(127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끝단부는 조향휠(110)의 결합부에 삽입 결합되어 있어서, 인너 커버샤프트(125)와 상부 조향샤프트(127), 조향휠(110)이 함께 축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인너 커버샤프트(125)에 고정돌기(125b)가 형성되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에 고정홈(127a)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상부 조향샤프트(127)에 고정돌기(125b)를 형성하고 인너 커버샤프트(125)에 고정홈(127a)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인너 하우징(121)의 일단부에는 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21a)가 형성되고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일단부에는 인너 하우징(121)의 걸림돌기(121a)가 결합되는 걸림홈(125a)이 형성되어 인너 하우징(121)과 인너 커버샤프트(125)가 함께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인너 커버샤프트(125)에 걸림홈(125a)이 형성되고 인너 하우징(121)에 걸림돌기(121a)가 형성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반대로 인너 커버샤프트(125)에 걸림돌기(121a)를 형성하고 인너 하우징(121)에 걸림홈(125a)을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인너 커버샤프트(125)와 인너 하우징(121)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단부의 내주면에 인너 커버샤프트(125)가 결합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 인너 하우징(121)이 결합되는 아우터 커버샤프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커버샤프트(115)는 일단부가 인너 커버샤프트(125)와 인너 하우징(121)에 지지되고 타단부가 하부 조향샤프트(131)에 지지되어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축방향 슬라이딩을 지지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아우터 커버샤프트(115)에 내장되며 상부 조향샤프트(127)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단부는 상부 조향샤프트(127)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아우터 커버샤프트(115)에 지지되는 하부 조향샤프트(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조향샤프트(131)의 일단부에는 어퍼스토퍼(131a)가 구비되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타단부에는 어퍼스토퍼(131a)가 지지되는 로워스토퍼(127b)가 구비되어, 상부 조향샤프트(127)의 슬라이딩시 이탈을 방지하면서 슬라이딩되는 거리를 제한 할 수 있다.
그리고,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커버패드(117)가 구비되고, 커버패드(117)와 인너 하우징(121)의 일단부는 탄성부재(155)로 연결되어 있으며, 인너 하우징(121)이 컨트롤하우징(129)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시, 커버패드(117)가 커버하우징(123)의 일단부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부 조향샤프트(127)와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인출시에는 로워스토퍼(127b)가 어퍼스토퍼(131a)에 지지되면서 인출이 완료되고, 상부 조향샤프트(127)와 인너 커버샤프트(125)의 인입시에는 커버패드(117)가 커버하우징(123)의 일단부에 지지되면서 인입이 완료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커버패드(117)는 조향 컬럼(100)의 인입되는 슬라이딩 거리를 제한함과 동시에 조향 컬럼(100)의 인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탄성부재(155)의 탄성력에 의해 인너 하우징(121)에 밀착됨으로써 커버하우징(123)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를 더 팜조하면,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상부 조향샤프트(127)와 결합되는 조향휠(110)에 구비되며, 누름과 당김 양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부(101), 작동스위치부(101)의 누름 방향 및 당김 방향과, 작동세기, 작동시간을 센싱하는 센서부(161), 센서부(161)로부터 입력되는 누름 방향과 당김 방향에 따라서 구동모터(140)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되, 센서부(161)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과 기설정된 작동값을 비교하여,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작동값보다 크면 센서부(161)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시간동안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1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스위치부(101)는 누름 방향과 당김 방향 양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으로, 일례로 누름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조향 컬럼(100)이 인입되고 당김 방향으로 작동시키면 조향 컬럼(100)이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3)에 기설정된 작동값은 운전자의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조향 컬럼(10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려는 의도없이 작동스위치부(101)가 눌리거나 당겨지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지 않게 된다.
즉, 운전자의 의도된 조작시 센싱되는 작동세기값보다 작은 세기로 작동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지 않아 조향 컬럼(100)의 인입과 인출 작동이 일어나지 않도록, 운전자의 의도된 조작시 센싱되는 작동세기값을 제어부(163)에 작동값으로 설정하고 이보다 작은 작동세기값이 입력되면 이는 오조작으로 판단하고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이러한 작동스위치부(101)는 운전자의 조작 편의를 위해 조향휠(110)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일례로 자동차의 도어 윈도우 작동스위치에도 적용되는 것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부(161)는 작동스위치부(101)의 누름 방향 및 당김 방향을 감지하여 제어부(163)로 송출하고, 제어부(163)는 입력되는 작동방향을 통해 조향 컬럼(100)을 인입시키거나 인출시키려는 운전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구동모터(140)의 회전 방향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센서부(161)는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부(101)를 누르거나 당기는 작동세기와 작동시간을 감지하여 제어부(163)로 송출하고, 제어부(163)는 입력되는 작동세기와 작동시간에 따라서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부(101)를 누르거나 당기는 작동시간에 따라서 구동모터(140)가 작동되고 조향 컬럼(100)의 인입 또는 인출 거리도 운전자의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늘어나게 된다.
제어부(163)는 센서부(161)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최대작동값과 같거나 크면 인너 하우징(121)의 가이드돌기(122)가 컨트롤하우징(129)의 가이드홀(128)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140)를 작동시켜 조향 컬럼(100)을 최대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도록 작동된다.
여기서, 제어부(163)에 기설정되는 최대작동값은, 운전자가 조향 컬럼(100)을 최대로 인출하거나 인입하기 위해 평상시보다 작동스위치부(101)를 세게 누르거나 당기는 운전자의 의도된 조작시 센싱되는 작동세기값을 말하며, 이를 최대작동값으로 설정하여 운전자의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최대작동값과 같거나 크면 조향 컬럼(100)을 최대로 인출하거나 인입하도록 구동모터(140)를 작동한다.
그리고, 제어부(163)는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최대작동값보다 작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부(101)를 누르거나 당기는 작동세기와 작동시간에 따라서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부(101)를 누르거나 당기는 작동시간에 따라서 구동모터(140)가 작동되고 조향 컬럼(100)의 인입 또는 인출 거리도 운전자의 작동시간에 비례하여 늘어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은, 엔진의 이그니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제어부(163)로 송부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3)는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바뀌거나,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바뀌면 가이드돌기(122)가 가이드홀(128)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구동모터(140)를 작동시켜 조향 컬럼(100)을 최대 인입 또는 인출시킨다.
즉,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바뀌거나,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바뀌는 경우는 각각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전을 멈추고 더 이상 주행할 의사가 없거나, 운전자가 자동차의 운전을 시작하고 주행을 하려는 의사에 해당되므로, 조향 컬럼(100)을 최대 인입 또는 인출시키도록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63)는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 상태를 유지하면, 센서부(161)로부터 누름 방향과 당김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구동모터(140)의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즉, 운전자가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를 온(On)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경우는 자동차가 주행중인 경우에 해당되므로 주행중에 조향 컬럼(100)을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운전자가 작동스위치부(101)를 작동하더라도 제어부(163)가 구동모터(140)를 작동시키지 않고 조향 컬럼(100)의 인입 또는 인출을 작동하지 않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한 조향 컬럼(100)의 작동은 자동차의 자율 주행시에는 별도의 조향 컬럼(100)의 작동 상태를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자율 주행시에는 별도의 자율 주행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여 이그니션 스위치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 상태인 경우에도 운전자가 자율 주행 모드 스위치를 켜면 조향 컬럼(100)이 대시보드(Dashboard) 내부로 인입되어서, 운전자가 운전석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이와 같은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서 조향 컬럼이 대시보드 외부로 인출되면서 조향휠이 운전자에게 조향 가능한 위치로 이동되거나, 조향 컬럼이 대시 보드 내부로 인입되면서 조향휠이 대시보드에 근접된 위치로 이동되어, 운전자가 운전석 공간을 더욱 넓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실시예들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실시예들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들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실시예들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들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들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들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들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조향 컬럼 101: 작동스위치부
115: 아우터 커버샤프트 117: 커버패드
121: 인너 하우징 123: 커버하우징
125: 인너 커버샤프트 127: 상부 조향샤프트
129: 컨트롤하우징 130: 제1기어
131: 하부 조향샤프트 140: 구동모터
141: 제2기어

Claims (16)

  1. 일단부가 상부 조향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인너 커버샤프트;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의 일단부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인너 하우징;
    상기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홀이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컨트롤하우징;
    내주면에 상기 컨트롤하우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며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되는 커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의 일단부에는 고정돌기와 고정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조향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고정돌기와 고정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하우징에는 상기 컨트롤하우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결합되며,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타단부에는 제1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는 상기 제1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기어가 구비되어 있는 조향 컬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는 웜휠이고 상기 제2기어는 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하우징의 일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홀과 축방향으로 연통되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의 일단부에는 걸림돌기와 걸림홈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걸림홈 중 다른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와 인너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가 결합되고 타단부의 외주면에 상기 인너 하우징이 결합되는 아우터 커버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조향 컬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커버샤프트에 내장되며 상기 상부 조향샤프트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일단부는 상기 상부 조향샤프트가 삽입되고 타단부는 상기 아우터 커버샤프트에 지지되는 하부 조향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조향 컬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조향샤프트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 조향샤프트의 슬라이딩시 이탈을 방지하는 어퍼스토퍼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조향샤프트의 타단부에는 상기 어퍼스토퍼가 지지되는 로워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커버샤프트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커버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패드와 상기 인너 하우징의 일단부는 탄성부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이 상기 컨트롤하우징으로 삽입되는 슬라이딩시, 상기 커버패드가 상기 커버하우징의 일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 조향샤프트와 결합되는 조향휠에 구비되며, 누름과 당김 양방향으로 작동되는 작동스위치부;
    상기 작동스위치부의 누름 방향 및 당김 방향과, 작동세기, 작동시간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누름 방향과 당김 방향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작동시키되,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과 기설정된 작동값을 비교하여, 상기 작동세기값이 상기 작동값보다 크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시간 동안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조향 컬럼.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최대작동값과 같거나 크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조향 컬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작동세기값이 기설정된 최대작동값보다 작으면 상기 작동시간 동안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조향 컬럼.
  15. 제 14 항에 있어서,
    엔진의 이그니션 온(On) 또는 오프(Off) 상태를 상기 제어부로 송부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에서 오프(Off)로 바뀌거나, 오프(Off)에서 온(On)으로 바뀌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홀의 일측 끝단 또는 타측 끝단까지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조향 컬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온(On)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센서부로부터 누름 방향과 당김 방향의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상기 구동모터의 정지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컬럼.
KR1020180031345A 2017-12-19 2018-03-19 조향 컬럼 KR102047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45A KR102047254B1 (ko) 2018-03-19 2018-03-19 조향 컬럼
DE102018221992.3A DE102018221992A1 (de) 2017-12-19 2018-12-17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US16/223,101 US10919558B2 (en) 2017-12-19 2018-12-17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US16/223,089 US10745042B2 (en) 2017-12-19 2018-12-17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DE102018222215.0A DE102018222215A1 (de) 2017-12-19 2018-12-18 Lenkvorrichtung für Fahrzeuge
CN201811555172.XA CN110001753B (zh) 2017-12-19 2018-12-19 车辆用转向设备
CN201811557861.4A CN110001754B (zh) 2017-12-19 2018-12-19 车辆用转向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45A KR102047254B1 (ko) 2018-03-19 2018-03-19 조향 컬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18A KR20190109818A (ko) 2019-09-27
KR102047254B1 true KR102047254B1 (ko) 2019-12-02

Family

ID=6809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45A KR102047254B1 (ko) 2017-12-19 2018-03-19 조향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2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487A (ja) * 2002-03-19 2003-09-2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101836711B1 (ko) * 2016-10-0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1566A (ja) * 1987-10-26 1989-04-28 Fuji Kiko Co Ltd 電動テレスコピック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121127A (ko) * 2006-06-21 2007-12-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해 저감을 위한 차량의 스티어링 휠 하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2487A (ja) * 2002-03-19 2003-09-26 Alps Electric Co Ltd 複合操作型電気部品
KR101836711B1 (ko) * 2016-10-04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파워윈도우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9818A (ko) 2019-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01753B (zh) 车辆用转向设备
EP2963314B1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US9316304B2 (e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JP5121000B2 (ja) プッシュリリース機能を有するステアリングコラムロック装置
JP4763573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20170145727A1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0962804B1 (ko) 전동파워스티어링 자동차의 스티어링컬럼 틸트 및텔레스코픽 장치
KR102190492B1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US20070006620A1 (en) Steering lock device
KR102611276B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20140138206A1 (en) Gear shift arrangement with parking block and method for its activation
CN110001754B (zh) 车辆用转向设备
EP3028899B1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CN107264408B (zh) 视觉辨认装置的视觉辨认角度调整机构
KR102047254B1 (ko) 조향 컬럼
JP4763578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12969626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的转向轴和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JP5222236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CN112706830B (zh) 离合机构、转向系统、转向系统的解耦控制方法和汽车
EP0499001B1 (en) Steering lock control device for a steering lock apparatus
CN112212004B (zh) 车辆驻车装置
US20200231201A1 (en) Steering Systems for a Vehicle
US20220355853A1 (en) Steer-by-wire steering apparatus
JP4870520B2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2006306141A (ja) 車両の操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