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86B1 -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86B1
KR101831786B1 KR1020100091962A KR20100091962A KR101831786B1 KR 101831786 B1 KR101831786 B1 KR 101831786B1 KR 1020100091962 A KR1020100091962 A KR 1020100091962A KR 20100091962 A KR20100091962 A KR 20100091962A KR 101831786 B1 KR101831786 B1 KR 101831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odor
duct
diluting
pap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9863A (ko
Inventor
정용균
박형섭
정택용
정창우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1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1786B1/ko
Priority to US13/064,458 priority patent/US8611779B2/en
Publication of KR20120029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9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20Humidity or temperature control also ozone evacuation; Internal apparatus environment control
    • G03G21/206Conducting air through the machine, e.g. for cooling, filtering, removing gases like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38Removing components of undefined structure
    • B01D53/44Organic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1/00Gas and liquid contact apparatus
    • Y10S261/17Odoriz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냄새희석유닛은 송풍팬,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덕트와,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냄새희석물질의 향을 흘려보내는 탈취부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냄새희석유닛은 덕트 내에 교환가능한 냄새희석물질이 함유된 탈취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쇄시 발생되는 매스꺼운 냄새를 희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Smell dilution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인쇄시 발생되는 냄새를 희석시키기 위한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한 화상형성장치는 디지털화상신호를 받아 레이저스캐닝유닛과 같은 노광유닛에 의하여 감광매체에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이 정전잠상을 현상제를 이용하여 현상하고, 현상된 화상을 기록매체에 전사시키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기록매체에 융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장치이다.
칼라화상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시안(Cyan),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및 블랙(Kara)의 색상의 토너를 각각 저장하고 있는 복수의 현상카트리지를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하여, 각 색상의 토너를 중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한다.
실내 공간에서 인쇄작업을 진행할 때, 발생되는 냄새에 의해 사용자가 두통과 메스꺼움을 느끼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냄새를 유해물질로 인식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 대부분은 냄새를 완전히 제거하기 보다는 냄새를 희석시켜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한 냄새를 뚜렷하게 인식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주를 이룬다.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가 토너에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를 혼합 및 첨가하여 인쇄 시 냄새희석물질에서 발생되는 향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일으키는 냄새가 희석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토너는 기록매체에 전사된 후 정착기를 통과하면서 고온의 열과 압력을 받아 기록매체에 융착되는 데, 이때 토너가 변성되면서 부산물로 인체에 유해한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즉, 인쇄시 발생되는 메스꺼운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토너에 첨가된 냄새희석물질이 고온 및 고압으로 인하여 부가적으로 유해한 냄새를 유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냄새희석물질의 향도 화상형성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인쇄 시 발생되는 메스꺼운 냄새를 희석시킬 수 있는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냄새희석유닛은
송풍팬,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덕트와,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을 함유하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냄새희석물질의 향을 흘려보내는 탈취부를 구비한다.
탈취부는 덕트의 일측에 부착되는 부직포.
송풍팬과 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냄새희석물질의 향은 화상형성장치의 용지배지부로 흘러간다.
냄새희석물질은 피톤치드, 시나몬, 민트, 벤조알데히드, 랙톤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 중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본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지부;와
용지배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인쇄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희석하는 것으로, 송풍팬,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덕트와,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을 함유하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냄새희석물질의 향을 흘려보내는 탈취부를 구비하는 냄새희석유닛;을 포함한다.
용지배지부의 일측의 본체에는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팬공간부와, 송풍팬공간부와 인접하여 덕트가 설치되는 덕트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송풍팬공간부와 덕트공간부의 사이, 송풍팬공간부의 외기가 유입되는 부분과, 덕트공간부의 용지배지부에 접한 부분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그릴구조로 이루어진다.
용지배지부에 용지가 배출되는 반대방향에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기팬을 더 구비한다.
배기팬은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탈취부를 더 구비한다.
본체 내에는 공기를 외부로 인도하는 메인덕트와, 메인덕트에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팬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메인덕트에는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탈취부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있다.
본체의 상측에는 힌지결합되어 용지배지부와 냄새희석유닛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인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는
첫째, 냄새희석물질이 토너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므로, 고온노출에 의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둘째, 덕트 내에 교환가능한 냄새희석물질이 함유된 탈취부를 설치함으로써 인쇄시 발생되는 매스꺼운 냄새를 희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희석유닛이 설치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냄새희석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냄새희석유닛이 설치되는 본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냄새희석유닛을 구성하는 덕트와 탈취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구성에 배기팬이 더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본체, 102---본체 상면
103---송풍팬공간부 104---덕트공간부
120---현상카트리지 130---노광유닛
140---전사롤러 151---반송벨트
160---정착유닛 170---배지부
181---용지배지부 182---커버
190---냄새희석유닛 191---송풍팬
192---덕트 193,194---고정부
195,230---탈취부 196---배기팬
210---메인팬 220---메인덕트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아래에 예시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을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전자사진 프로세스에 의하여 용지에 화상을 인쇄하는 것으로, 하측에 용지(P)를 적재하고 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카세트(110)를 구비한다.
카세트(110)는 스프링(112)에 의하여 상방으로 탄성바이어스 되어 있으며, 그 위에 용지(P)가 적재되는 용지지지대(111)를 구비한다. 카세트(110)의 상측에는 회전하면서 용지(P)를 낱장씩 픽업하는 픽업롤러(113)가 설치된다.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100)는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 복수의 노광유닛(130), 전사롤러(140), 반송벨트(151), 정착부(160)로 구성되는 인쇄부와, 화상이 형성된 용지를 배출하는 배지부(181) 구비한다.
현상카트리지(120)는 토너를 저장하고 인쇄디지털신호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정전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장치로, 옐로우(Yellow), 마젠타(Magenta), 시안(Cyan) 및 블랙(Kara)의 복수의 색을 나타내는 토너가 각각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C, 120M, 120Y, 120K)를 구비하고 있다.
현상카트리지(120)는 노광유닛(130)에 의하여 인쇄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되는 감광드럼(121), 감광드럼(121)과 소정간격이 이격되어 있으며, 감광드럼(121)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이들 사이의 전위차를 이용하여 토너를 이동시켜 부착시키는 현상롤러와 현상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감광드럼(121)의 주위에는 감광드럼(121)을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와 현상된 화상이 용지(P)로 전사된 후 감광드럼(121)의 표면에 잔류하는 폐토너를 제거하는 클리닝블레이드가 접촉되어 설치될 수 있다.
노광유닛(130)은 복수의 감광드럼(121C, 121M, 121Y, 121K)에 각각 광을 조사하여 디지털인쇄신호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하는 것으로,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C, 120M, 120Y, 120K)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노광유닛(130C, 130M, 130Y, 130K)을 구비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노광유닛을 이용하여 감광드럼(121C, 121M, 121Y, 121K) 각각에 광을 조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반송벨트(151)는 복수의 롤러(152, 153, 154, 155)에 지지되어 폐곡선형상으로 회전하면서 카세트(110)로부터 픽업되어 이송롤러(114)에 의하여 이송된 용지(P)를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C, 120M, 120Y, 120K)와 차례로 대면시키면서 이송시킨다. 이때, 반송벨트(151)는 복수의 감광드럼(121C, 121M, 121Y, 121K)과 연속적으로 접촉하면서 회전된다.
반송벨트(151)의 하측에는 반송벨트(151)와 접촉하면서 반송벨트(151)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키는 대전롤러(156)가 설치되어 있다. 대전롤러(156)는 용지(P)가 반송벨트(151)에 부착될 수 있도록 반송벨트(151)를 소정전위로 대전시킨다.
전사롤러(140)는 반송벨트(151)의 내측에 반송벨트(151)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C, 120M, 120Y, 120K)와 각각 대면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복수의 감광드럼(121C, 121M, 121Y, 121K)에 형성되는 현상된 화상을 반송벨트(151)에 의하여 이송되는 용지(P)에 전사시킨다.
정착부(160)는 현상된 화상을 용지(P)에 융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현상된 화상에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161)와, 히팅롤러(161)와 대면하면서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를 히팅롤러(161)쪽으로 가압하는 가압롤러(162)를 구비한다.
배지부(170)는 정착부(160)를 통과하면서 현상된 화상이 융착된 용지(P)를 외부로 배지시키는 것으로, 한 쌍의 배지롤러가 서로 대면하도록 설치되어 현상된 화상이 융착된 용지(P)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용지(P)는 배지부(170)에 의하여 배출되어 화상형성장치의 상측에 마련된 용지배지부(181)위에 적재된다.
본체(101)의 상측에는 커버(182)가 힌지결합되어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이면서용지배지부(181)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커버(182) 대신에 원고독취부가 힌지결합될 수 있으며,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용지배지부(181)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냄새희석유닛이 설치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냄새희석유닛이 본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냄새희석유닛이 설치되는 본체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5는 냄새희석유닛을 구성하는 덕트와 탈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182)를 제거하고, 용지배지부(181)가 노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용지배지부(181)을 둘러싸고 있는 일측에 마련된 본체(101)의 상면(102)에는 냄새희석유닛(190)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냄새희석유닛(190)은 외기를 유입시키는 송풍팬(191)과, 송풍팬(191)으로부터 유입된 외기를 용지배지부(181)쪽으로 안내하는 덕트(192)와, 덕트(192)의 일측에 마련되어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을 함유하고 있는 탈취부(195)를 구비한다.
탈취부(195)는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지며, 덕트(192)의 일측면을 구성하거나, 덕트(192)의 일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에는 덕트(192)의 일측면을 구성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냄새희석물질은 노송나무, 삼나무 등의 수목 또는 향초, 고추냉이, 박하 등의 뿌리줄기와 같은 식물 추출물 및, 피톤치드(Fitontsid), 시나몬(Cinnamon), 민트(mint), 벤조알데히드(benzo aldehyde), 랙톤(lactone)류, 케톤(Keton)류 및 에스테르(ester)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체(101)의 상면(102)에는 송풍팬(191)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송풍팬공간부(103)와, 송풍팬공간부(103)와 인접하여 덕트(192)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덕트공간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송풍팬공간부(103)와 덕트공간부(104)의 사이부분(106)와, 송풍팬공간부(105)가 외부에 접하는 부분(105) 및 덕트공간부(104)가 용지배지부(181)와 접하는 부분(107)에는 이들을 서로 이격시키면서도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다수의 틈이 형성되는 그릴(grill)구조(105', 106' 107')로 이루어져 있다. 송풍팬공간부(103)가 외부에 접하는 부분(105)의 그릴구조(105')는 송풍팬공간부(103)와 덕트공간부(103)의 사이부분(106)의 그릴구조(106') 및 덕트공간부(104)가 용지배지부(181)와 접하는 부분(107)의 그릴구조(107')가 서로 상이한데(즉, 틈이 상하로 형성되거나, 좌우로 형성되는 구성),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이 있는 구성이라면 서로 동일한 형상이거나, 서로 위치가 바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덕트(192)는 단차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아니며,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양측면이 서로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용례가 적용될 수 있다.
덕트(192)의 양측에는 고정부(193)(194)가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193)(194)는 나사(108')(109')와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덕트공간부(104)에 형성된 고정지지대(108)(109)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송풍팬(191)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덕트(192)를 지나게 되면서 탈취부(195)로부터 발산되는 냄새희석물질의 향이 공기에 더해진다. 냄새희석물질의 향이 더해진 외부공기는 덕트(192)를 거쳐 용지배지대(181)로 배출된다. 용지배지대(181)로 배출된 냄새희석물질의 향은 인쇄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와 섞이면서 불쾌한 냄새를 희석시키게 된다. 그러면, 희석된 불쾌한 냄새로 인하여 사용자는 불쾌한 냄새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2의 구성에 배기팬이 더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에 배기팬(196)이 더 구비되어 있다. 배기팬(196)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용지배지대(181)로 배출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본체(101) 내부의 공기를 외부(본체의 후방)로 배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배기팬(196)은 송풍팬(도2의 191)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탈취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탈취부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냄새희석유닛(190)에 의하여 용지배지부(181)로 냄새희석물질의 향이 가해지고, 배기팬(196)에 의하여 본체(101) 내부의 인쇄부로부터 유발되어 화상이 형성된 용지와 함께 용지배지부(181)쪽으로 올라오는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냄새희석물질도 함께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냄새희석유닛(190)에 의해 용지배지부(181)에 전달된 냄새희석물질의 향과, 배기팬(196)에 의하여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전달된 냄새희석물질의 향으로 인하여 사용자는 인쇄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아울러,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01)에는 메인팬(210)이 설치되어 있고, 본체(101)의 내측에는 메인팬(210)과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를 연결하는 메인덕트(230,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덕트(230)의 내측에는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이 함유된 탈취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팬(210)은 화상형성장치의 후방쪽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메인팬(210)은 본체(101) 내부의 공기를 메인덕트(230)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탈취부(230)로부터 발산되는 냄새희석물질의 향도 공기와 함께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01) 내부의 불쾌한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냄새희석물질의 향이 더해져 사용자는 인쇄 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느끼지 못하게 된다.
메인팬(210)은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 중 어느 하나를 교체하는 경우에 작동되면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인쇄 시에 복수의 현상카트리지(120Y, 120M, 120C, 120K)의 동작 중 불쾌한 냄새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인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지부;
    상기 용지배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인쇄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희석하는 것으로,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덕트와,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을 함유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냄새희석물질의 향을 흘려보내는 제1 탈취부를 구비하는 냄새희석유닛; 및
    용지가 상기 용지배지부에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본체의 내부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팬의 내측에는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제2 탈취부가 구비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탈취부는 상기 덕트의 일측에 부착될 수 있는 부직포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과 덕트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냄새희석물질의 향은 상기 용지배지부로 흘러가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희석물질은 피톤치드, 시나몬, 민트, 벤조알데히드, 랙톤류, 케톤류 및 에스테르류 중 어느 하나인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용지배지부의 일측의 본체에는 상기 송풍팬이 설치되는 송풍팬공간부와, 상기 송풍팬공간부와 인접하여 상기 덕트가 설치되는 덕트공간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팬공간부와 덕트공간부의 사이, 상기 송풍팬공간부의 외기가 유입되는 부분과, 상기 덕트공간부의 상기 용지배지부에 접한 부분에는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그릴구조로 이루어진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어 화상을 인쇄하는 인쇄부;
    화상이 형성된 용지가 배출되는 용지배지부; 와
    상기 용지배지부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인쇄시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를 희석하는 것으로, 송풍팬,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유도하는 덕트와, 냄새희석물질(masking agent)을 함유하며, 상기 송풍팬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공기에 냄새희석물질의 향을 흘려보내는 제1 탈취부를 구비하는 냄새희석유닛;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 내에는 공기를 외부로 인도하는 메인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에 연결되어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메인팬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덕트에는 냄새희석물질을 함유하는 제3 탈취부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덕트는 적어도 하나의 현상카트리지에 연결되어 있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14.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측에는 힌지결합되어 상기 용지배지부와 상기 냄새희석유닛을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20100091962A 2010-09-17 2010-09-17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1831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62A KR101831786B1 (ko) 2010-09-17 2010-09-17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US13/064,458 US8611779B2 (en) 2010-09-17 2011-03-25 Smell dilution unit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1962A KR101831786B1 (ko) 2010-09-17 2010-09-17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9863A KR20120029863A (ko) 2012-03-27
KR101831786B1 true KR101831786B1 (ko) 2018-02-23

Family

ID=4581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1962A KR101831786B1 (ko) 2010-09-17 2010-09-17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11779B2 (ko)
KR (1) KR101831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05851B2 (ja) * 2014-07-02 2018-04-04 シャープ株式会社 送風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455122B2 (ja) * 2014-12-15 2019-01-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排気浄化装置
JP6520330B2 (ja) * 2015-04-10 2019-05-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排気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575465B2 (ja) * 2016-08-30 2019-09-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000784B2 (ja) * 2017-10-02 2022-01-19 株式会社リコー 空気ろ過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71242B2 (ja) * 2018-08-09 2022-05-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N113101801A (zh) * 2021-03-03 2021-07-13 武汉理工大学 一种打印机有害物质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368A (ja) * 1999-02-26 2000-09-14 Zeon Kasei Co Ltd 電子写真装置用フィルタ装置
JP2007047496A (ja) * 2005-08-10 2007-02-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消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T940022I4 (en) * 1974-06-26 1975-11-04 Pressurized and filtered xerographic system
US4320873A (en) * 1979-05-21 1982-03-23 S. C. Johnson & Son, Inc. Controlled release air freshener using an absorbent generator
US5704832A (en) * 1996-03-14 1998-01-06 Borrell; Gustavo Air conditioner control assembly
US6094549A (en) * 1997-09-26 2000-07-25 Hitachi, Ltd. Electrograph apparatus enabling removal of offensive substances
ITMI20021155A1 (it) * 2002-05-28 2003-11-28 Atex S R L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un tessuto non tessuto in fibra sintetica con mezzi profumanti
JP2006030572A (ja) * 2004-07-15 2006-02-02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4760602B2 (ja) * 2005-11-11 2011-08-3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776410B1 (ko) * 2006-02-06 2007-1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각유닛 및 이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US8401458B2 (en) * 2009-01-12 2013-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reversing feeding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0368A (ja) * 1999-02-26 2000-09-14 Zeon Kasei Co Ltd 電子写真装置用フィルタ装置
JP2007047496A (ja) * 2005-08-10 2007-02-2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消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11779B2 (en) 2013-12-17
KR20120029863A (ko) 2012-03-27
US20120070182A1 (en)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786B1 (ko) 냄새희석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5585602B2 (ja) 画像形成装置
JP4760600B2 (ja) 画像形成装置
JP579006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64077A (ja) 画像形成装置
CN107407904A (zh) 盒、处理盒和成像装置
CN105573088A (zh) 图像形成装置及用于该图像形成装置的调色剂收集容器
JP2011095569A (ja) 画像形成装置
JP5648341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77414B2 (ja) 排気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015688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19469A (ja) 画像形成装置
US933573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rrangement for efficient discharge of generated water vapor
US924443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ensuring filtration of ozonated air
CN106200331A (zh) 图像形成装置
JPH02297572A (ja) 画像形成装置
JP6727915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9049669A (ja) 排気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861679B2 (ja)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33280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027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6216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78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0919884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240991A (ja) 芳香機能を有した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