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141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141B1
KR101830141B1 KR1020167025935A KR20167025935A KR101830141B1 KR 101830141 B1 KR101830141 B1 KR 101830141B1 KR 1020167025935 A KR1020167025935 A KR 1020167025935A KR 20167025935 A KR20167025935 A KR 20167025935A KR 101830141 B1 KR101830141 B1 KR 101830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grooves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847A (ko
Inventor
나오코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22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6Patterns comprising block rows or discontinuou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3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72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with particular inclination ang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0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 B60C2011/1209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shape of the sipe straight at the trea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웨트(wet) 성능을 유지하고,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공기입 타이어(10)는, 타이어 적도면(E)을 포함하는 제1 육부(陸部)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양측(兩側)의 위치에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主)홈(11)과, 제1 주홈(11)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12)과,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과의 사이의 제2 육부(22)에 형성되고,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 중 어느 일방(一方)에 개구(開口)하고, 제2 육부에서 종단(終端)하는 보조 홈(31)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보조 홈(31)은, 굴곡부에서 굴곡하고, 개구 부분부터 굴곡부까지의 제1 보조 홈(31A)과, 굴곡부로부터 종단까지의 제2 보조 홈(31B)을 포함하고,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와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를 0.3a<b<0.8a로 하고,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과의 굴곡부에서의 이루는 각도 θ를 0°<θ<90°로 하였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는, 정숙성의 향상, 즉 주행 시에 생기는 소음을 작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지만, 정숙성을 향상시키면 다른 성능이 저하하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의 구조나 표면의 트레드 패턴을 개량하고, 각종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여기에서, 올(all) 시즌(season)용(用)의 공기입 타이어는, 웨트(wet) 성능이나 스노우 성능을 중시한 경우, 웨트 성능이나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패턴에 의하여 정숙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공기입 타이어로서는, 트레드부의 육부(陸部)에 굴곡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러그 홈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이것들 러그 홈에 기초하여 주(主)홈에서 발생하는 기주(氣柱) 공명음(共鳴音)을 분산시켜 주행 시의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또한, 웨트 노면에서의 조종 안정성을 개선하면서, 스노우 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육부에서 종단(終端)하고 반대 방향으로 굴곡하는 서브 홈 형상을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2-171479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7-237816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47134호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3에 기재된 공기입 타이어는, 웨트 성능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정숙성을 향상시키는 경우에,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웨트 성능,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을 포함하는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양측(兩側)의 위치에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홈과, 상기 제1 주홈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과,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과의 사이의 제2 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 중 어느 일방(一方)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제2 육부에서 종단하는 보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홈은, 굴곡부에서 굴곡하는 형상이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굴곡부까지의 제1 보조 홈과, 상기 굴곡부로부터 종단하는 단부(端部)까지의 제2 보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의 길이 a와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 b가, 0.3a<b<0.8a이고,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보조 홈과의 상기 굴곡부에서의 이루는 각도 θ가, 0°<θ<90°이고, 상기 제1 육부에는 제1 세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세홈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육부내에서 종단하고, 상기 제2 육부에는 제2 세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30°~70°의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홈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중심선의 접선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 φ와, 상기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플러스 마이너스 역방향의 관계로 되어,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세홈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2 주홈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와, 상기 제3 육부에 형성되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보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조 홈은, 상기 제2 주홈 측의 단부가 상기 제3 육부에서 종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2 육부는,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개구 부분의 홈 폭에 대하여 상기 굴곡부의 홈 폭이 10% 내지 50% 가늘어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1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2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2 주홈에 개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3 육부에 형성되고, 숄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세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3 세홈은, 상기 제2 주홈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3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측벽의 타이어 폭 방향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지그재그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웨트 성능을 유지하고, 스노우 성능을 향상하고,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웨트 성능과 스노우 성능과 정숙성을 높은 성능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자오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의 제2 육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의 제2 육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이 실시 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구성 요소에는, 발명의 동일성을 유지하면서 치환 가능 또한 치환 자명한 것이 포함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기재된 복수의 변형예는, 당업자 자명의 범위 내에서 임의로 조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를 도시하는 자오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을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의 제2 육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의 제2 육부를 추출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타이어 경(徑)방향이란, 공기입 타이어(10)의 회전축(도시하지 않음)과 직교하는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경방향 내측(內側)이란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을 향하는 측, 타이어 경방향 외측과는 타이어 경방향에 있어서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을 중심축으로 하는 둘레 방향을 말한다. 또한, 타이어 폭 방향이란, 상기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을 말하고, 타이어 폭 방향 내측과는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E)을 향하는 측,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이란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E)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을 말한다. 타이어 적도면(E)이란, 공기입 타이어(10)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것과 함께, 공기입 타이어(10)의 타이어 폭의 중심을 지나는 평면이다. 타이어 폭은,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위치하는 부분끼리의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의 폭, 즉, 타이어 폭 방향에 있어서 타이어 적도면(E)으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 사이의 거리이다. 타이어 적도선이란, 타이어 적도면(E) 상에 있어 공기입 타이어(10)의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을 말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타이어 적도선에 타이어 적도면과 같은 부호 「E」를 붙인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10)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1)와, 당해 트레드부(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2, 2)와, 이것들 사이드 월부(2)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3, 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비드부(3, 3) 사이에는 카커스층(4)이 걸쳐 놓여져 있다. 이 카커스층(4)은, 타이어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각 비드부(3)에 배치된 비드 코어(5)의 둘레에 타이어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비드 코어(5)의 외주(外周) 상에는 단면(斷面) 삼각형상의 고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비드 필러(6)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트레드부(1)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에는 복수 층의 벨트층(7)이 매설되어 있다. 이것들 벨트층(7)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또한 층간에서 보강 코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벨트층(7)에 있어서, 보강 코드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10° ~ 4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벨트층(7)의 보강 코드로서는, 스틸 코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벨트층(7)의 외주 측에는, 고속 내구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보강 코드를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예를 들어 5° 이하의 각도로 배열하여 이루어지는 적어도 1층의 벨트 커버층(8)이 배치되어 있다. 벨트 커버층(8)의 보강 코드로서는, 나일론이나 아라미드 등의 유기 섬유 코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덧붙여, 상술한 타이어 내부 구조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의 대표적인 예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1)에는, 타이어 적도면(E)의 양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홈(11)과, 제1 주홈(11)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주홈(11), 제2 주홈(12)은, 예를 들어, 타이어 폭 방향으로 측정되는 홈 폭이 5.0[mm] 이상 15.0[mm] 이하이고, 홈 깊이가 5.0[mm] 이상 15.0[mm] 이하로 되는 홈이다. 덧붙여, 제1 주홈(11), 제2 주홈(12)의 홈 폭, 홈 깊이는, 상기 범위로 한정되지 않는다.
트레드부(1)는, 제1 주홈(11), 제2 주홈(12)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육부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는, 트레드부(1)는, 한 쌍의 제1 주홈(11)의 사이의 육부가 타이어 적도면(E)과 교차하고, 또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1 육부(21)가 된다. 트레드부(1)는,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과의 사이의 육부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제2 육부(22)가 된다. 나아가, 트레드부(1)는, 제2 주홈(12)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육부가 제3 육부(23)가 된다.
트레드부(1)는, 제1 육부(21)에, 복수의 제1 세홈(32)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복수 개의 제1 세홈(32)은,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제1 세홈(32)은, 양 단부가 제1 육부(21) 내에서 종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제1 세홈(32)은, 타이어 적도면(E)을 가로지르는 일 없이 당해 타이어 적도면(E)의 가장 앞쪽에서 종단하고, 또한, 제1 주홈(11)에 개구하지 않고 제1 육부(21) 내에서 종단하고 있다. 제1 세홈(32)은, 예를 들어 사이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다른 세홈에 관하여도 마찬가지이다. 덧붙여, 제1 세홈(32)의 폭은, 1.2[mm] 이하이다.
제2 육부(22)는, 타이어 적도면(E)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적도면(E)의 양측의 제2 육부(22)는, 서로 180° 회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육부(22)는,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육부(22)에는, 복수 개의 보조 홈(31)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보조 홈(31)은, 낚싯바늘상(狀)으로 꺽여진 굴곡 형상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보조 홈(31)은, 일방의 단부가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타방(他方)의 단부인 종단부(S3)가 제2 육부(22) 내에서 종단하고 있다. 각 보조 홈(31)은, 제2 주홈(12)으로의 개구부인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까지 연장하는 제1 보조 홈(31A)과, 굴곡점(S2)으로부터 종단부(S3)까지 연장하는 제2 보조 홈(3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개구단(S1)과, 굴곡점(S2)과, 종단부(S3)는,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의 각각의 폭 방향의 중앙을 잇는 중심선에 기초하여 위치가 결정된다. 즉, 굴곡점(S2)은, 제1 보조 홈(31A)의 중심선과 제2 보조 홈(31B)의 중심선과의 교점이 되는 점이다. 각 보조 홈(31)은, 제2 보조 홈(31B)을 굴곡점(S2)으로부터, 제2 주홈(12)으로의 개구단(S1) 측으로 굴곡시켜, 종단부(S3)를 제1 보조 홈(31A)에 가까이 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보조 홈(31A)은, 개구단(S1)을 제2 주홈(12) 측에 형성하였지만, 제1 주홈(11) 측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보조 홈(31)은, 개구단(S1)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도 넓어지고 있다. 보조 홈(31)은,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이 개구부인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부인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가늘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보조 홈(31A)은, 개구부의 홈 폭 H1에 대하여 굴곡부의 홈 폭 H2가 10% 내지 50% 가늘어지고 있다. 즉, 굴곡부의 홈 폭 H2는, 개구단(S1)의 홈 폭 H1의 50% 이상 90% 이하이다. 굴곡부의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은, 홈벽을 가상(假想)으로 연장시킨 제2 보조 홈(31B)의 홈 벽면에서의 홈의 폭이다. 이와 같이,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은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좁아지고 있고, 제2 보조 홈(31B)은 굴곡점(S2)으로부터 굴곡하여 종단부(S3)에서 종단하고 있다.
보조 홈(31)을 구성하는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와,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는, 0.3a<b<0.8a의 관계로 되어 있다. 즉,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는,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의 30%를 넘고 80% 미만이다. 여기에서,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홈(31A)의 폭 방향의 중심점을 잇고,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지나는 중심선(S4)의 길이이다.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는, 제2 보조 홈(31B)의 폭 방향의 중심점을 잇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단부(S3)로부터 굴곡점(S2)을 지나는 중심선(S5)의 길이이다. 덧붙여, 제1 보조 홈(31A)을 구성하는 벽면의 길이 a’와 제2 보조 홈(31B)을 구성하는 벽면이 길이 b’와의 관계도 마찬가지로, 0.3a’<b’<0.8a’의 관계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과의 이루는 각도 θ는, 0°<θ<90° 즉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보조 홈(31A)을 구성하는 벽면 또는 제2 보조 홈(31B)을 구성하는 벽면이 곡면인 경우는, 그 곡면의 평면으로부터 볼 때에 있어서의 곡선의 접선에 의한 각도 θ가 0°<θ<9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육부(2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하여 경사(傾斜)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41)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2 세홈(41)은,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하여 경사하여 있다. 제2 세홈(41)은 보조 홈(31)에 대하여 교차하고, 제2 육부(22)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는 30° 이상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입 타이어(10)는, 제1 보조 홈(31A)의 개구단(S1)에 있어서의 중심선(S4)의 접선(S6)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각도 φ와,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플러스 마이너스 역방향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 보조 홈(31A)과 제2 세홈(41)이 교차한다.
트레드부(1)의 숄더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육부(23)에는, 타이어 폭 방향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러그 홈인 제3 보조 홈(33)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3 보조 홈(33)은, 제2 주홈(12) 측의 단부가 제3 육부(23)에서 종단하고 있다.
또한, 제3 육부(23)에는, 제3 세홈(43)이 설치되어 있다. 제3 세홈(43)은 직선 혹은 곡선이 바람직하다. 제3 세홈(43)은 내부에서 꺽여져 있고, 이른바 3D 사이프로 불리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세홈(43)은 마모하여도 1개의 선으로서 보이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세홈(43)은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각 제3 육부(23)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둘레 방향 세홈(5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둘레 방향 세홈(53)의 홈 폭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1[mm] ~ 25[mm]의 범위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E)을 포함하는 제1 육부(21)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양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홈(11)과, 상기 제1 주홈(11)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12)과, 상기 제1 주홈(11)과 상기 제2 주홈(12)과의 사이의 제2 육부(22)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홈(11) 및 상기 제2 주홈(12) 중 어느 일방에 개구하고, 상기 제2 육부(22)에서 종단하는 보조 홈(31)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보조 홈(31)은, 굴곡부에서 굴곡하는 형상이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굴곡부까지의 제1 보조 홈(31A)과, 상기 굴곡부로부터 종단하는 단부까지의 제2 보조 홈(31B)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와 상기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가, 0.3a<b<0.8a로 되어 있고, 상기 제1 보조 홈(31A)과 상기 제2 보조 홈(31B)과의 상기 굴곡부에서의 이루는 각도 θ가 0°<θ<90°이다. 이 공기입 타이어에 의하면, 웨트 성능을 유지하고, 스노우 성능을 향상하고, 정숙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웨트 성능과 스노우 성능과 정숙성을 높은 성능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공기입 타이어는, 제2 주홈(12)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23)를 더 포함하고, 제3 육부(23)는,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러그 홈인 제3 보조 홈(33)을 가지고, 제3 보조 홈(33)은 제2 주홈(12) 측의 단부가 제3 육부(23)에서 종단하고 있다. 제2 주홈(12)에 개구하는 홈을 설치하지 않는 것으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홈(11)끼리의 사이에는, 타이어 적도면(E)과 교차하는 제1 육부(21)가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의 센터 부분인 제1 육부(21)에는 보조 홈을 설치하지 않고, 제1 세홈(32)이 설치되어 있다. 보조 홈이 아니라 세홈을 갖게 하는 것으로, 타이어의 센터 부분의 접지 면적을 확보하고, 주로 구동 시에 있어서의 트랙션을 벌 수 있다.
나아가, 제1 육부(21)에 있어서, 제1 세홈(32)은 제1 주홈(11)에 개구하지 않고, 제1 육부(21) 내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제1 주홈(11)에 개구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으로 제1 주홈(11)으로부터의 기주 공명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육부(22)는, 타이어 적도면(E)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타이어 적도면(E)의 양측의 제2 육부(22)는, 서로 180° 회전시킨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육부(22)는,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차폭(車幅) 방향 내측 및 차폭 방향 외측에 제2 육부(22)가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웨트 노면을 직진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배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례에서는, 보조 홈(31)의 개구단(S1)은, 제2 주홈(12) 측에 설치하여 있다. 보조 홈(31)은, 개구단(S1)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도 넓기 때문에, 개구단(S1)을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배치하는 것으로,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보조 홈(31A)은, 개구부의 홈 폭 H1에 대하여 굴곡부의 홈 폭 H2가 10% 내지 50% 가늘어지고 있다. 즉, 굴곡부의 홈 폭 H2는, 개구부의 홈 폭 H1의 50% 이상 90% 이하이다. 이 때문에, 홈 내부의 눈(雪) 빠짐이나 물의 흐름을 좋게 하고, 스노우 성능과 웨트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덧붙여, 보조 홈(31)에 관하여, 개구부로부터 종단부까지 홈의 깊이에 차이가 너무 있으면, 정숙성에도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 예를 들어 마모 등으로의 현념(懸念)이 생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그와 같은 현념은 없어진다.
트레드부(1)의 숄더 영역에 위치하는 제3 육부(23)에는, 타이어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러그 홈인 제3 세홈(43)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트레드부(1)의 숄더 영역에 제3 세홈(43)을 배치하는 것으로, 스노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세홈(43)은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주홈(12)에 개구하지 않는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주홈(12)에서 발생하는 기주 공명음에 기인하는 통과음을 억제하고, 정숙성을 한층 더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육부(22)에 굴곡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제2 보조 홈(31B)을 설치하고, 제2 육부(22)를 다수의 블록으로 세분화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패턴 노이즈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굴곡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보조 홈(31)은 제2 주홈(12)에 대하여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 보조 홈(31)에 의한 흡음 효과에 기초하여 제2 주홈(12)에서 발생한 기주 공명음을 감쇠시킬 수 있다.
또한, 보조 홈(31)은 제2 보조 홈(31B)을 굴곡점(S2)으로부터 제1 보조 홈(31A) 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 제1 보조 홈(31A) 및 제2 보조 홈(31B)의 에지(edge) 효과에 기초하여 웨트 성능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보조 홈(31)은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을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좁게 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보조 홈(31) 내에 눈이 쌓였을 때에 그 눈이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눈 쌓임에 의한 스노우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을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좁게 한 경우, 보조 홈(31) 내의 물의 흐름이 좋아지기 때문에, 웨트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는, 제1 주홈(11)을 타이어 적도면(E)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는 한편으로 제2 주홈(12)을 제1 주홈(11)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제1 보조 홈(31A)의 일방의 단부를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지만, 이와 같이 보조 홈(31)의 일방의 단부를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개구시키고 있기 때문에, 양호한 스노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타이어 적도면(E)의 위치에 제1 육부(21)를 배치하고, 복수 개의 보조 홈(31)을 구비하는 제2 육부(22)를 제1 육부(21)의 양측에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설상에서의 제동 성능을 높여 양호한 스노우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홈(31)의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과의 굴곡 각도 θ를 90° 미만으로 하는 것에 의하여, 보조 홈(31)의 에지 효과를 충분히 확보하고, 스노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제1 보조 홈(31A) 및 제2 보조 홈(31B)은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연장할 수 있고, 어느 경우도, 굴곡 각도 θ는 굴곡점(S2)에 있어서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이 이루는 각도이다. 덧붙여, 굴곡 각도 θ가 90° 이상이면, 보조 홈(31)의 배치 피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부터 에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육부(22)에는,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 개의 제2 세홈(41)이 타이어 둘레 방향(C)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를 30° ~ 70°의 범위로 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세홈(41)의 에지 효과에 기초하여 스노우 성능 및 웨트 성능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보조 홈(31A)의 개구단(S1)에 있어서의 중심선(S4)의 접선(S6)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각도 φ와,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플러스 마이너스 역방향의 관계로 되고, 제1 보조 홈(31A)과 제2 세홈(41)이 교차한다. 제2 세홈(41)을 제1 보조 홈(31A)에 대하여 교차시키는 것에 의하여, 제1 보조 홈(31A)에 기인하는 제2 육부(22)가 치우친 무너져 버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면 스노우 성능 및 웨트 성능의 개선 효과가 저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공기입 타이어의 트레드 패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전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트레드부(1a)에는, 타이어 적도면(E)의 양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홈(11a)(제1 주홈)과, 당해 주홈(11a)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주홈(12a)(제2 주홈)이 형성되어 있다. 주홈(11a) 및 주홈(12a)은, 모두 지그재그 형상이다. 주홈(11a) 및 주홈(12a)의 지그재그 형상은, 각(角)을 형성하면서 사행(蛇行)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혹은, 매끄럽게 만곡하면서 사행하여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지그재그 형상이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주홈(11a) 및 주홈(12a)의 측벽의 타이어 폭 방향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형상이다. 주홈(11a) 및 주홈(12a)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이 함께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다. 주홈(11a) 및 주홈(12a)은, 주행 시에 노면(路面)과 접촉하는 답면(踏面)의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이면 된다. 주홈(11a) 및 주홈(12a)은, 홈의 측벽이 답면으로부터 홈 바닥까지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고, 측벽의 답면 측이 모따기 가공되는 것에 의하여 지그재그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주홈(11a) 및 주홈(12a)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있어서, 동일 형상의 러그 홈과 러그 홈과의 사이에 지그재그 형상의 반복 패턴이 1개 이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그재그 형상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같은 요철의 패턴이 연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요철 형상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주홈(11a) 및 주홈(12a)의 치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타이어 폭 방향으로 측정되는 홈 폭이 5.0[mm] 이상 15.0[mm] 이하이고, 홈 깊이가 5.0[mm] 이상 15.0[mm] 이하로 되는 홈이다.
트레드부(1a)는, 주홈(11a) 및 주홈(12a)이 지그재그 형상이기 때문에, 주홈(11a) 및 주홈(12a)에 있어서 발생하는 기주 공명음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트레드부(1a)는, 주홈(11a) 및 주홈(12a)이 지그재그 형상이기 때문에, 지그재그 형상의 에지 부분의 에지 효과로 웨트 성능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나아가, 트레드부(1a)의 보조 홈(31)은, 제2 보조 홈(31B)을 굴곡점(S2)로부터 제1 보조 홈(31A) 측으로 굴곡시킨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것들 제1 보조 홈(31A) 및 제2 보조 홈(31B)의 에지 효과에 기초하여 웨트 성능 및 스노우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특히, 보조 홈(31)은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을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좁게 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보조 홈(31) 내에 눈이 쌓였을 때에 그 눈이 이탈하기 쉽기 때문에, 눈 쌓임에 의한 스노우 성능의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홈(31A)의 홈 폭을 개구단(S1)으로부터 굴곡점(S2)을 향하여 서서히 좁게 한 경우, 보조 홈(31) 내의 물의 흐름이 좋아지기 때문에, 웨트 성능을 개선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지그재그 형상의 주홈(11a) 및 주홈(12a)을 가지는 트레드부(1a)는, 굴곡 형상을 가지는 복수 개의 보조 홈(31)과의 상승 효과에 의하여, 정숙성, 스노우 성능 및 웨트 성능을 모두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1
표 1 내지 표 3은, 이 발명에 관련되는 공기입 타이어의 성능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이 성능 시험에서는, 서로 다른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웨트 성능,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에 관한 평가가 행하여졌다. 이러한 성능 시험에서는, 타이어 사이즈가 205/55R16 91V의 공기입 타이어가 림 사이즈 16×6.5JJ의 림에 조립되고, 이 공기입 타이어에 공기압 200[kPa]가 부여된다. 또한, 시험 차량으로서, 배기량 1.6[L]의 FF(Front engine Front drive) 차량인 승용차가 이용된다.
웨트 성능에 관한 성능 시험에서는, 시험 차량이 웨트 노면으로 이루어지는 테스트 코스에 있어서, 속도 100[km/h]에서의 주행 상태로부터 ABS(Anti-lock Braking System) 제동을 행하여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의 제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이 평가는, 측정값의 역수를 이용하고, 종래예의 타이어를 기준치(100)로 하는 지수값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값이 클수록 제동 거리가 짧고, 웨트 성능이 뛰어나 있어 바람직하다.
스노우 성능에 관한 성능 시험에서는, 시험 차량이 설상 압축로(壓縮路) 테스트 코스를 주행하고, 초속 40[km/h]의 ABS 제동을 행하여, 차량이 정지할 때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이 평가는, 종래예의 타이어를 기준치(100)로 한 지수값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정숙성에 관한 성능 시험에서는, 시험 차량이 드라이(dry)로(路)의 테스트 코스를 주행하고, 차속 100[km/h]로부터 20[km/h]까지 타성(惰性) 주행하였을 때의 차내 소음에 관하여, 테스트 드라이버가 필링(feeling)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평가는, 종래예의 타이어를 기준치(100)로 한 지수값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그 값이 클수록 바람직하다.
덧붙여, 이러한 성능 시험에서는, 평가의 값이 104 이상이면 우위성 있음으로 판단되고, 평가의 값이 100 ~ 103의 범위에서는 동등(同等)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1 ~ 30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적도면을 포함하는 제1 육부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양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홈과, 상기 제1 주홈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과,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과의 사이의 제2 육부 중 적어도 일방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 중 어느 일방에 개구하고, 상기 제2 육부에서 종단하는 보조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홈은, 굴곡부에서 굴곡하는 형상이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굴곡부까지의 제1 보조 홈과, 굴곡부로부터 종단하는 단부까지의 제2 보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보조 홈과의 상기 굴곡부에서의 이루는 각도 θ가, 0°<θ<90°(즉, 예각)이다.
실시예 1 ~ 30에서는, 표 1 내지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즉, 주홈의 개수가 2개의 것과 4개의 것, 낚싯바늘상으로 굴곡한 보조 홈(31)을 구성하는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와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와의 비가 0.2a=b(20%), 0.3a=b(30%), 0.5a=b(50%), 0.8a=b(80%), 0.9a=b(90%)인 것,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과의 굴곡점(S2)에서의 이루는 굴곡 각도 θ가 70°, 80°, 85°, 90°인 것,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제1 보조 홈(31A)의 경사 각도 φ가 20°, 30°, 70°, 80°인 것, 제3 육부(23)에 있어서 러그 홈인 제3 보조 홈(33)이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는 것과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3 육부(23)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1 육부(21)에 제1 세홈(32)이 없는 것과 있는 것, 제1 육부(21)의 제1 세홈(32)이 제1 주홈(11)에 개구하고 있는 것과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1 육부(21)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2 육부(22)의 형상이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의 것과 비대칭의 것, 제2 육부(22)의 제1 보조 홈(31A)의 개구부인 개구단(S1)의 홈 폭에 대하여 굴곡부인 굴곡점(S2)의 홈 폭이 같은 것, 홈 폭이 10% 가늘어지고 있는 것, 50% 가늘어지고 있는 것, 60% 가늘어지고 있는 것,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30°, 70°, 90°의 것, 제1 보조 홈(31A)이 타이어 폭 방향의 내측에 개구(제1 주홈(11)에 개구)하고 있는 것과 외측에 개구(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는 것, 제3 육부(23)에 제3 세홈(43)이 없는 것과 있는 것, 제3 육부(23)의 제3 세홈(43)이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는 것과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3 육부(23)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1 세홈(32), 제2 세홈(41) 및 제3 세홈(43)의 폭을 1.0[mm], 1.2[mm], 1.5[mm]로 한 것을 각각 준비하였다. 또한, 제2 육부(22)에 있어서, 제1 보조 홈(31A)은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제2 보조 홈(31B)은 제2 육부(22)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비교를 위하여, 보조 홈 형상을 스트레이트상(접힘 없음)으로 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내측 및 외측)에 개구하고, 또한,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한 종래예의 타이어를 준비하였다. 또한, 보조 홈 형상을 스트레이트상(접힘 없음)으로 하여 타이어 폭 방향의 양측(내측 및 외측)으로 개구하고, 또한,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비대칭으로 한 비교예 1의 타이어를 준비하였다.
이것들 시험 타이어에 관하여, 상기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웨트 성능,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 내지 표 3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표 1 내지 표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홈의 개수가 4개, 제1 보조 홈(31A)의 길이 a와 제2 보조 홈(31B)의 길이 b와의 비가 0.3a<b<0.8a인 것이, 종래예 및 비교예 1보다도 웨트 성능,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 함께 양호하였다.
또한, 제1 보조 홈(31A)과 제2 보조 홈(31B)과의 굴곡 각도 θ를 80°,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제1 보조 홈(31A)의 경사 각도 φ가 30° 이상 70° 이하의 것, 제2 육부(22)에 있어서 제1 보조 홈(31A)이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2 육부(22)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3 육부(23)에 러그 홈(제3 보조 홈(33))이 있는 것, 제1 육부(21)의 제1 세홈(32)이 제1 주홈(11)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1 육부(21)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2 육부(22)의 형상이 타이어 적도면(E)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의 것, 제2 육부(22)의 제1 보조 홈(31A)의 개구단(S1)의 홈 폭에 대하여 굴곡점(S2)의 홈 폭이 10% 내지 50% 가늘어지고 있는 것, 제2 세홈(41)의 타이어 둘레 방향(C)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30° 이상 70° 이하의 것, 제1 보조 홈(31A)이 타이어 폭 방향의 외측에 개구(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는 것, 제3 육부(23)에 제3 세홈(43)이 있는 것, 제3 육부(23)의 제3 세홈(43)이 제2 주홈(12)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제3 육부(23)에 있어서 종단하고 있다) 것, 제1 세홈(32), 제2 세홈(41) 및 제3 세홈(43)의 폭을 1.2[mm]로 한 것이, 웨트 성능, 스노우 성능 및 정숙성 함께 양호하였다.
Figure 112016091259399-pct00001
Figure 112016091259399-pct00002
Figure 112016091259399-pct00003
1, 1a 트레드부, 2 사이드 월부, 3 비드부, 4 카커스층, 5 비드 코어, 6 비드 필러, 7 벨트층, 8 벨트 커버층, 10 공기입 타이어, 11, 11a 제1 주홈, 12, 12a 제2 주홈, 21 제1 육부, 22 제2 육부, 23 제3 육부, 31 보조 홈, 31A 제1 보조 홈, 31B 제2 보조 홈, 32 제1 세홈, 33 제3 보조 홈, 41 제2 세홈, 43 제3 세홈, 53 둘레 방향 세홈, C 타이어 둘레 방향, E 타이어 적도면

Claims (16)

  1. 타이어 적도면을 포함하는 제1 육부(陸部)의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양측(兩側)의 위치에 형성되고,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주(主)홈과,
    상기 제1 주홈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의 위치에서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주홈과,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과의 사이의 제2 육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 중 어느 일방(一方)에 개구(開口)하고, 상기 제2 육부에서 종단(終端)하는 보조 홈
    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홈은, 굴곡부에서 굴곡하는 형상이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굴곡부까지의 제1 보조 홈과, 상기 굴곡부로부터 종단하는 단부(端部)까지의 제2 보조 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홈의 길이 a와 상기 제2 보조 홈의 길이 b가, 0.3a<b<0.8a이고,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보조 홈과의 상기 굴곡부에서의 이루는 각도 θ가, 0°<θ<90°이고,
    상기 제1 육부에는 제1 세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세홈의 양단부는 상기 제1 육부내에서 종단하고,
    상기 제2 육부에는 제2 세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30°~70°의 범위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보조 홈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중심선의 접선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 φ와, 상기 제2 세홈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 α가 플러스 마이너스 역방향의 관계로 되어, 상기 제1 보조 홈과 상기 제2 세홈이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홈보다도 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 설치된 제3 육부와,
    상기 제3 육부에 형성되고, 타이어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3 보조 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보조 홈은, 상기 제2 주홈 측의 단부가 상기 제3 육부에서 종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육부는, 상기 타이어 적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개구 부분의 홈 폭에 대하여 상기 굴곡부의 홈 폭이 10% 내지 50% 가늘어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가 30° 이상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홈은, 상기 제2 주홈에 개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육부에 형성되고, 숄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세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홈은, 상기 제2 주홈에 개구하고 있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세홈은, 폭이 1.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는 측벽의 타이어 폭 방향의 위치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지그재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167025935A 2014-08-12 2015-08-11 공기입 타이어 KR1018301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64489 2014-08-12
JP2014164489 2014-08-12
PCT/JP2015/072780 WO2016024593A1 (ja) 2014-08-12 2015-08-11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847A KR20160122847A (ko) 2016-10-24
KR101830141B1 true KR101830141B1 (ko) 2018-02-20

Family

ID=5530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5935A KR101830141B1 (ko) 2014-08-12 2015-08-11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203234B2 (ko)
JP (1) JP6682858B2 (ko)
KR (1) KR101830141B1 (ko)
CN (1) CN106573501B (ko)
DE (1) DE112015002715B4 (ko)
RU (1) RU2662876C1 (ko)
WO (1) WO20160245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01919B2 (ja) * 2016-04-26 2020-05-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880789B2 (ja) 2017-02-02 2021-06-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1183047B (zh) * 2017-08-07 2023-03-24 倍耐力轮胎股份公司 用于车辆车轮的轮胎
JP6962125B2 (ja) 2017-10-12 2021-11-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1315592B (zh) * 2017-11-20 2023-04-07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6969474B2 (ja) * 2018-03-26 2021-11-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003780B2 (ja) * 2018-03-26 2022-01-2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110858B2 (ja) * 2018-09-18 2022-08-02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211014B2 (ja) * 2018-11-01 2023-01-2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091232B2 (ja) * 2018-11-27 2022-06-27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US20220242170A1 (en) * 2019-07-01 2022-08-04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13099A (ja) * 2009-09-09 2010-0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0228546A (ja) * 2009-03-26 2010-10-1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1706A (ja) * 1987-05-21 1988-11-29 Toyo Tire & Rubber Co Ltd 偏摩耗を抑制した空気入りタイヤ
JPH08276708A (ja) * 1995-04-07 1996-10-22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
ES2213588T3 (es) * 1999-06-30 2004-09-01 Pirelli Pneumatici Societa' Per Azioni Neumatico de alto rendimiento para un vehiculo a motor.
JP3949939B2 (ja) * 2001-11-14 2007-07-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413590B2 (ja) 2003-12-01 2010-02-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2007237816A (ja) 2006-03-06 2007-09-20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CN101454168B (zh) * 2006-03-31 2011-03-02 株式会社普利司通 充气轮胎
JP4219379B2 (ja) * 2006-10-06 2009-02-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013597B2 (ja) * 2007-03-12 2012-08-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4813436B2 (ja) 2007-09-12 2011-11-0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US8351013B2 (en) 2008-03-03 2013-01-08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ombined serial/parallel light configuration and single layer PCB containing the same
JP4488083B2 (ja) * 2008-04-11 2010-06-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181927B2 (ja) 2008-08-22 2013-04-1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444257B1 (en) 2009-06-15 2017-01-04 Bridgestone Corporation Heavy duty tire
JP5404378B2 (ja) * 2009-12-28 2014-01-29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5356285B2 (ja) * 2010-03-09 2013-12-04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125142B2 (ja) 2011-02-21 2017-05-1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42257A1 (ja) 2011-09-22 2013-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842885B2 (ja) * 2013-09-04 2016-01-1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1535196S (ko) * 2015-04-15 2015-10-19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546A (ja) * 2009-03-26 2010-10-14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010013099A (ja) * 2009-09-09 2010-01-21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847A (ko) 2016-10-24
CN106573501B (zh) 2019-01-04
JPWO2016024593A1 (ja) 2017-06-01
JP6682858B2 (ja) 2020-04-15
DE112015002715B4 (de) 2023-06-22
WO2016024593A1 (ja) 2016-02-18
DE112015002715T5 (de) 2017-03-16
US11203234B2 (en) 2021-12-21
RU2662876C1 (ru) 2018-07-31
US20170190222A1 (en) 2017-07-06
CN106573501A (zh)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0141B1 (ko) 공기입 타이어
JP6436080B2 (ja) 空気入りタイヤ
AU2014388518B2 (en) Pneumatic tire
JP6657587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668774B2 (en) Pneumatic tire
JP2012228992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724550B2 (en) Pneumatic tire
JP2014080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181581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WO2019049765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000615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4108653A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6143477A1 (ja) 空気入りタイヤ
JP6848413B2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2399924B (zh) 充气轮胎
JP649260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946923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8117083A1 (ja) 空気入りタイヤ
RU2610736C1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JP7102893B2 (ja) タイヤ
US20220105756A1 (en) Pneumatic tire
JP701376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602280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7210169A (ja) 空気入りタイヤ
CN111065528A (zh) 充气轮胎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