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588B1 -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Google Patents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9588B1 KR101829588B1 KR1020170110213A KR20170110213A KR101829588B1 KR 101829588 B1 KR101829588 B1 KR 101829588B1 KR 1020170110213 A KR1020170110213 A KR 1020170110213A KR 20170110213 A KR20170110213 A KR 20170110213A KR 101829588 B1 KR101829588 B1 KR 1018295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process drum
- drum
- lifting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 B66F9/187—Drum lif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13—Details concerning the chass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또는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자체 동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공정드럼을 이송하기 위한 전동대차에 있어서, 일단에 공정드럼의 일단을 받침지지 하도록 제1포크(160)가 구성되고 하단에 이송이 용이하도록 전륜부(180)가 구성되며 일측에 동력원에 의해 자체 동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타단에서 공정드럼의 크기와 길이에 맞춰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포크(250)가 구성되는 연장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자체 동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공정드럼을 이송하기 위한 전동대차에 있어서, 일단에 공정드럼의 일단을 받침지지 하도록 제1포크(160)가 구성되고 하단에 이송이 용이하도록 전륜부(180)가 구성되며 일측에 동력원에 의해 자체 동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타단에서 공정드럼의 크기와 길이에 맞춰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포크(250)가 구성되는 연장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또는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플랜트에는 전력을 공급하거나 각종 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해 많은 케이블이 설치된다. 직경이 작은 저전압용 케이블에서부터 직경이 큰 고전압용 케이블까지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설치된다.
이러한, 케이블은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케이블을 드럼에 권취하여 제공하게 된다.
또한, 철판의 경우에도 제조공정에서 드럼에 권취한 상태로 제조공장 등에 납품하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또는 철판과 같은 대상물이 드럼에 권취된 '공정드럼'은 제조공정에서 공정드럼 형태로 하여 적재장 또는 하역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의 종류 또는 철판의 두께에 따라 30톤(t)이상의 고중량의 공정드럼은 전용 전동대차를 이용하여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전동대차는 운전석과, 공정드럼을 안착하기 위한 포크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상기 포크에 공정드럼이 안착된 후 상기 운전석에서 운전을 통해 일정거리를 이동한다. 상기 운전석은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 운전석 없이 전동대차의 크기 또는 방식에 따라 운전자가 외부에서 원격으로 조정하는 방식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전동대차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공장에서 드럼에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공장에 설치된 크레인을 통해 일정구간으로 이동시키면, 그곳에 대기하고 있던 전동대차의 포크에 안착시킨다.
이어서, 공정드럼이 안착된 전동대차는 적재장 또는 하역장으로 공정드럼을 이동한다.
예컨대, 전동대차를 통해 적재장으로 공정드럼이 이동되면, 크레인 또는 지제차 등과 같은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고정드럼을 적재한다.
또는, 전동대차를 통해 하역장으로 공정드럼이 이동되면, 크레인 또는 지게차 등과 같은 특수장비를 이용하여 트럭 등의 운송차량에 상차하게 된다.
즉, 현재까지 제공되는 30t 이상의 공정드럼을 이송하는 전동대차는 단순히 공정드럼의 위치이동에 대한 이송력을 제공하는 사용의 한계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전동대차를 통해 이송된 공정드럼을 적재장 또는 하역장으로 이송한 후 적재 또는 상차 등을 위해서는 별도의 특수장비를 동원하여야 하는 운송비의 추가가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30t 이상의 공정드럼을 이송하는 전동대차에 대한 사용의 한계성으로 제품경쟁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또는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자체 동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공정드럼을 이송하기 위한 전동대차에 있어서, 일단에 공정드럼의 일단을 받침지지 하도록 제1포크가 구성되고 하단에 이송이 용이하도록 전륜부가 구성되며 일측에 동력원에 의해 자체 동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타단에서 공정드럼의 크기와 길이에 맞춰 길이가 가변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안정적으로 안착 및 이송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포크가 구성되는 연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 및 연장수단 각각에는, 제1 및 제2포크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는,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2포크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승강바와; 상기 승강바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승강바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바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바는 바디프레임과;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단에 구성되어, 제1 및 제2포크의 일단이 받침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디프레임의 타단에 구성되어, 승강실린더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안착프레임; 및 상기 바디프레임의 일면에 구성되어, 롤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안착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는, 일측에 동력원 및 제어패널이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 사이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 및 보강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구성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제1승강부와; 공정드럼의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1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승강시켜 이송과 적재 및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포크와; 상기 본체와 연장수단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공정드럼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연장수단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와;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는 전륜부; 및 상기 전륜부에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방향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수단은,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길이 가변되도록 지지되는 제1연장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길이 가변되도록 지지되는 제2연장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연장프레임 사이의 일단에 구성되어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구성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제2승강부와; 공정드럼의 타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승강부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승강시켜 이송과 적재 및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포크; 및 상기 제1연장프레임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는 후륜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및 제2포크는, 양단 각각이 제1 및 제2승강부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드럼보강대; 및 상기 드럼보강대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받침되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별도의 권취기를 구성하지 않고도 권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받침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 및 연장수단 사이에는, 공정드럼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본체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포크가 위치되어 받침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또는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1b는 일반적인 전동대차의 사진.
도 2는 일반적인 공정드럼의 이송 및 적재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평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좌측 및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과 승강부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승강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승강바의 하방부분의 요부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측면도.
도 2는 일반적인 공정드럼의 이송 및 적재 시스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평면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좌측 및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과 승강부의 결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지프레임의 평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승강바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승강바의 하방부분의 요부확대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포크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전동대차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실시 예>
제1실시 예의 포크타입 전동대차(1)는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상기 포크타입 전동대차(1)는 도 3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의 길이에 따라 적재가 가능하도록 신축되는 연장수단(2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전동대차(1)의 기본틀을 형성하는 수단이다.
상기 본체(10)는 제1 및 제2프레임(110)(120)과, 제1지지프레임(130)과, 보강프레임(140)과, 제1승강부(150)와, 제1포크(160)와, 이송부(170)와, 전륜부(180), 및 방향전환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은 기본틀을 구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위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의 이격거리는 공정드럼을 상차 가능한 높이로 승강시킬 수 있도록 지지하는 거리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10)(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일단에 구성되는 연장수단(20)의 안정적인 신축작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함으로써,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연장수단(20)의 안정적인 신축작용을 지지하는 형상이면 어느 형상 또는 구조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 즉, 전동대차(1)의 전진방향의 일측에는 전동대차(1)에 구동력과 필요전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동력원(112)이 구성된다.
상기 동력원(112)은 유류(油類) 또는 전기충전식 등의 연료를 통해 자체 동력 또는 전력을 생산하는 엔진이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 타측에는 전동대차(1)의 운송과 작동관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패널(11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는 운전자가 탑승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하는 운전실을 구비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전동대차(1)의 크기 또는 용량 등에 따라 취사선택한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과 보강프레임(140)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의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에는 제1포크(160)를 승강시키도록 하는 승강력을 제공하는 제1승강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단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131)과, 상기 복수의 고정브라켓(131) 사이에 고정되는 수직바(132)와, 상기 수직바(132)의 일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가이드레일(134)과, 상기 수직바(132)에 상기 가이드레일(134)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136) 및 상기 하단의 고정브라켓(131)에 구성되는 실린더브라켓(13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31)은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에 고정되어 제1지지프레임(130)의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수직바(132)는 상기 복수의 고정브라켓(131)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의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34)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에 구성되는 제1승강부(150)의 안정적인 승강작용이 수행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34)은 평단면상으로 'ㄷ'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바(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36)은 상기 수직바(132)와 가이드레일(134)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바(132)에 가이드레일(134)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실린더브라켓(138)은 상기 복수의 고정브라켓(131) 중 어느 하나 예컨대, 하단의 고정브라켓(131)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부(150)에 구성되는 승강실린더의 일단을 지지함으로써, 승강력이 안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1승강부(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152) 및 승강실린더(154)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바(15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프레임(1522)과, 상기 바디프레임(1522)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받침프레임(1524) 및 상기 바디프레임(1522)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안착프레임(1526)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프레임(152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프레임(130)의 제1수직바(132) 사이에 위치되도록 일정간격 이격되고 동일형상이면서 복수의 판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프레임(1524)은 상기 바디프레임(1522)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상단에 제1포크(160)의 일단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받침프레임(1524)에는 제1포크(160)의 일단이 삽입되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일정깊이를 가지는 삽입홈(1525)을 포함한다.
상기 안착프레임(1526)은 상기 바디프레임(1522)의 타단에 구성되고, 승강실린더(154)의 일측이 안착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54)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됨에 따라 제1포크(160)가 승강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안착프레임(1526)은 승강실린더(154)의 일측에 구성되는 돌출핀이 삽입되고,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154)와 승강바(152)가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승강바(152)와 승강실린더(154) 사이의 안정적인 고정 및 지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결합관계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1522)의 외부면에는 상,하부에 일정길이 돌출되는 안착대(1528)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대(1528)는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승강하는 롤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제1승강부(150)에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의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작용이 수행되도록 상기 승강바(152)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롤(156)을 포함한다.
상기 롤(156)은 승강바(152)의 안착대(1528)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롤(156)은 중앙에 축이 구성된 베어링이고, 상기 축의 상,하단 각각에 고정대(159)가 위치되며, 상기 고정대(159)는 승강바(152)의 안착대(1528)에 체결수단으로 고정시켜 사용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승강바(152)가 승강실린더(154)의 승강작용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승강실린더(154)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유압력에 승강작용하면서 승강바(152)를 승강시키도록 하는 수단이다.
상기 승강실린더(154)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하우징(1542)과 피스톤(154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하우징(1542)의 일측에 돌출핀(1546)이 구성되어, 상기 돌출핀(1546)에 승강바(152)의 안착프레임(1522)에 안착시킨 후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피스톤(1544)의 일단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의 실린더브라켓(138)에 링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실린더(154)로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실린더하우징(1542)이 승강하고, 상기 실린더하우징(1542)의 일측에 구성된 돌출핀(1546)에 고정된 승강바(152)가 승강작용하게 된다.
상기 제1포크(160)는 공정드럼의 일단을 받침하여 제1승강부(15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하면서 공정드럼을 이송에 의해 적재 또는 하역공정을 수행함과 동시에 케이블 또는 철판이 드럼에 권취되도록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1포크(16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구성된 제1승강부(150) 사이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드럼보강대(162)와, 상기 드럼보강대(162)의 양단 각각에 형성되고 하방으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승강바(152)의 삽입홈(1525)에 삽입됨에 따라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삽입돌기(164) 및 상기 드럼보강대(162)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받침회전부재(166)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보강대(162)는 공정드럼에 안정적인 받침력 또는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형상 또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받침회전부재(166)는 상기 드럼보강대(162)의 하방 양측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의 하단 양측을 받침, 지지하면서, 상기 공정드럼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함에 따라,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을 드럼에 권취할 때 별도의 권취기를 구성하지 않고도 드럼을 받침회전부재(166)에 안착한 상태에서 권취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받침회전부재(166)는 롤하우징(1662)과, 상기 롤하우징(1662)의 일측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권취롤(1664), 및 상기 롤하우징(1662)을 드럼보강대(162)에 고정시키도록 지지하는 고정핀(166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드럼보강대(162)의 일측 또는 양측 각각에는 공정드럼의 일면을 지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롤(168)을 포함한다.
상기 보조롤(168)은 드럼보강대(162)에 구성되고 자유롭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70)는 본체(10)와 연장수단(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0)에서 연장수단(20)의 연장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공정드럼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자유로운 공정드럼의 안착이 가능하여 사용의 한계성을 극복한다.
상기 이송부(170)는 본체(10)의 일측에 실린더 하우징이 고정되고,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연장수단(20)의 일단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하우징에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왕복 슬라이딩작용함에 따라 연장수단(20)의 가변작용이 수행된다.
이 경우, 상기 실린더 하우징은 본체(10)의 제1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상기 전륜부(180)는 상기 본체(10)의 전면부 하방에 구성되어 전동대차(1)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전륜부(180)는 제1프레임(110)의 전방 하단에 구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바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퀴는 외주연에 일정두께의 우레탄 코팅된 것을 사용한다. 이는, 30t이상의 고중량의 공정드럼을 이동할 때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과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고중량의 공정드럼을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한 구조 또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방향전환부(190)는 상기 제1프레임(110)과 전륜부(18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전륜부(180)의 방향을 전환시켜 전동대차(1)의 진행방향에 대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향전환부(190)는 유압력을 제공받아 전륜부(180)의 일정각도 예컨대, 5°~ 30°로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유압실린더방식을 채택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류부(180)에 대한 방향전환을 원활히 수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 또는 방식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 연장수단(20)은 본체(10)의 일측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의 크기 또는 길이에 비례적으로 신축되어 공정드럼을 안정적으로 안착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연장수단(20)은 제1연장프레임(210)과, 제2연장프레임(220)과, 제2지지프레임(230)과, 제2승강부(240)와, 제2포크(250) 및 후륜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연장프레임(210)(220)은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의 일단에 일부가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에 지지되면서 이송부(170)의 유압력에 의해 일정길이 신축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230)은 상기 제1 및 제2연장프레임(210)(220)의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연장프레임(210)(220)의 이격거리를 지지하도록 고정되는 수단이다. 이는, 본체(10)의 제1지지프레임(130)과 동일한 구성관계 및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즉, 상기 제2지지프레임(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단 각각에 구성되는 복수의 고정브라켓(231)과, 상기 복수의 고정브라켓(231) 사이에 구성되는 수직바(232)와, 상기 수직바(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34)과, 상기 수직바(232)와 가이드레일(234)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34)을 고정시키는 가이드브라켓(236) 및 고정브라켓(231)의 일측에 구성되는 실린더브라켓(238)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2지지프레임(230)의 구성관계 및 기능은 제1지지프레임(130)과 동일 또는 유사함으로써,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승강부(2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바(242)와, 승강실린더(244), 및 롤(24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1승강부(15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관계 및 기능을 수행함으로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바(242)는 바디프레임(2422)과, 삽입홈(2425)을 포함하는 받침프레임(2424)과, 안착프레임(2426)과, 안착대(2428)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실린더(24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하우징(2442)과, 피스톤(2444) 및 돌출핀(244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롤(246)을 바디프레임(2422)의 안착대(2428)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한 복수의 고정대(24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지지프레임(230)과 제2승강부(240)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를 제1지지프레임(130)과 제1승강부(150)와 동일 또는 유사함으로써,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포크(2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크(160)와 동일한 구성과 결합 및 작동관계를 가짐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드럼보강대(252)와, 삽입돌기(254) 및 받침회전부재(256)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회전부재(256)는 롤하우징(2562)과, 권취롤(2564) 및 고정핀(256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포크(250)의 일측 또는 양측 각각에는 공정드럼의 일면을 지지하여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롤(258)을 포함한다.
상기 후륜부(260)는 상기 제1연장프레임(210)의 일측에 구성되어, 전동대차(1)의 이동력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이 경우, 상기 후륜부(260)는 전륜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및 기능으로 구성됨에 따라,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동대차(1)의 안정적인 이동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륜부(260)에는 방향전환부(190)를 구성하여, 전동대차(1)의 이동 중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지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권취와, 이동과 적재 및 상차 작업을 분리하여 살펴본다.
<권취작업>
권취작업은 제조공정에서 제조된 케이블(또는 철판)을 준비된 드럼에 권취하여 공정드럼을 형성한다.
상기 드럼은 제1 및 제2포크(160)(250) 각각에 구성된 받침회전부재(166)(256)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드럼의 길이에 맞춰 이송부(170)의 이송력을 통해 본체(10)에서 연장수단(2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결국, 상기 드럼의 양단 각각이 받침회전부재(166)(256)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드럼은 받침회전부재(166)(256)에 의해 원활한 회전을 이룰 수 있음으로써, 상기 드럼에 케이블(또는 철판)을 권취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별도의 권취기를 구비하지 않고도 드럼에 케이블(또는 철판)이 권취되는 공정드럼의 제조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이동작업>
이동작업은 제1 및 제2포크(160)(250)에 의해 공정드럼의 양단 각각이 받침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및 제2승강부(150)(240)의 승강력에 의해 지면에서 고정드럼이 일정높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제1프레임(110)의 일측에 구성된 동력원(112)에서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원하는 장소 또는 위치로 이동된다.
또한, 이동 중 방향전환을 할 경우에는, 본체(10)의 방향전환부(190)에서 제공되는 유압력에 의해 전륜부(180)가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결국, 전동대차(1)의 이동경로에 대한 방향전환이 이루어진다.
<적재작업>
적재작업은 상기 이동작업에서와 같이, 지면에서 일정높이 상승된 상태로 고정드럼을 이동시킨 후 적재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착하면, 제1 및 제2승강부(150)(240)에 제공되는 하강력에 의해 제1 및 제2포크(160)(250)가 하강된다.
이때, 공정드럼과 상기 고정드럼의 하단을 받침하는 상기 제1 및 제2포크(160)(250)에 구성된 권취롤(1664)(2564)이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공정드럼과 전동대차(1)가 분리됨으로써, 공정드럼에 대한 적재작업이 이루어진다.
<상차작업>
상차작업은 제조공정 또는 적재장에 위치한 공정드럼을 운송차량에 상차하고자 할 경우를 살펴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권취작업을 통해 직접 권취한 공정드럼을 상처하거나 또는 적재장에 적재된 공정드럼을 지게차로 제공받아 상차하게 된다.
물론, 상기 공정드럼의 크기와 길이에 맞춰 본체(10)와 연장수단(20)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져 제1 및 제2포크(160)(250) 상에 안정적인 안착이 유지되는 상태이다.
그리고, 제1 및 제2승강부(150)(240)에서 제공되는 상승력에 의해 제1 및 제2포크(160)(250)가 일정높이 상승되고, 이렇게 제1 및 제2포크(160)(250)가 상승되면, 하방에 운송차량의 적재부를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제1 및 제2포크(160)(250)의 하방에 운송차량의 적재부가 위치되면,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150)(240)에서 하강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상기 운송차량의 적재부에 공정드럼이 상차된다.
위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케이블 또는 철판이 권취된 공정드럼을 제조공장에서 하역장 또는 적재장으로 운송과 함께 상차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용의 한계성 극복과 다목적 사용으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제2실시 예>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 예의 전동대차(1)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단에 구성되고 공정드럼의 길이에 따라 맞춰지도록 가변적인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는 연장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와 연장수단(20) 사이에는 공정드럼의 크기 및 길이가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위치되는 크기 및 길이를 가질 때, 이를 보상시켜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과 권취와 적재 및 상차가 가능하도록 보조연결대(270)를 포함한다.
즉, 제1 실시 예의 공정드럼은 30t 이상을 가지는 대형 공정드럼에 적합하고, 제2실시 예의 공정드럼은 30t 미만의 중, 소형 고정드럼에 적합하다.
상기 보조연결대(270)는 본체(10)와 연장수단(20) 사이의 길이방향에 위치되고, 양단 각각이, 본체(10)의 승강바(152)에 구성된 삽입홈(1525) 및 연장수단(20)의 승강바(242)에 구성된 삽입홈(2425)에 삽입되는 제2삽입돌기(272)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연장수단(20)은 상기 본체(10)에 최대한 근접된 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대(270)의 상단 일측에는 제1포크(160)가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2삽입홈(274)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삽입홈(274)은 본체(10)의 승강바(152)에 구성된 삽입홈(1525)과 동일한 위치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대(270)의 상단 타측에는 제2포크(25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일정깊이를 가지는 제3삽입홈(276)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3삽입홈(276)은 중, 소형의 공정드럼의 종류와 크기 및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도록 상기 보조연결대(27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연결대(270)는 본체(10)와 연장수단(20)과 같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구조 또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대형뿐만 아니라, 중, 소형의 공정드럼의 종류와 크기 및 길이에 구애됨이 없이 가변적으로 적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한계성을 극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전동대차 10: 본체
110: 제1프레임 112: 동력원
114: 제어패널 120: 제2프레임
130: 제1지지프레임 131, 231: 고정브라켓
132, 232: 수직바 134, 234: 가이드레일
136, 236: 가이드브라켓 138, 238: 실린더브라켓
140: 보강프레임 150: 제1승강부
152, 242: 승강바 1522, 2422: 바디프레임
1524, 2424: 받침프레임 1525, 2425: 삽입홈
1526, 2426: 안착프레이 1528, 2428: 안착대
154, 244: 승강실린더 1542, 2442: 실린더하우징
1544, 2444: 피스톤 1546, 2446: 돌출핀
156, 246: 롤 159, 249: 고정대
160: 제1포크 162, 252: 드럼보강대
164, 254: 삽입돌기 166, 256: 받침회전부재
1662, 2562: 롤하우징 1664, 2564: 권취롤
1666, 2566: 고정핀 168, 258: 보조롤
170: 이송부 180: 전륜부
190: 방향전환부 20: 연장수단
210: 제1연장프레임 220: 제2연장프레임
230: 제2지지프레임 240: 제2승강부
250: 제2포크 260: 후륜부
270: 보조연결대
110: 제1프레임 112: 동력원
114: 제어패널 120: 제2프레임
130: 제1지지프레임 131, 231: 고정브라켓
132, 232: 수직바 134, 234: 가이드레일
136, 236: 가이드브라켓 138, 238: 실린더브라켓
140: 보강프레임 150: 제1승강부
152, 242: 승강바 1522, 2422: 바디프레임
1524, 2424: 받침프레임 1525, 2425: 삽입홈
1526, 2426: 안착프레이 1528, 2428: 안착대
154, 244: 승강실린더 1542, 2442: 실린더하우징
1544, 2444: 피스톤 1546, 2446: 돌출핀
156, 246: 롤 159, 249: 고정대
160: 제1포크 162, 252: 드럼보강대
164, 254: 삽입돌기 166, 256: 받침회전부재
1662, 2562: 롤하우징 1664, 2564: 권취롤
1666, 2566: 고정핀 168, 258: 보조롤
170: 이송부 180: 전륜부
190: 방향전환부 20: 연장수단
210: 제1연장프레임 220: 제2연장프레임
230: 제2지지프레임 240: 제2승강부
250: 제2포크 260: 후륜부
270: 보조연결대
Claims (5)
- 일단에 자체 동력에 의해 이송하면서 공정드럼을 이송하기 위한 전동대차에 있어서,
일단에 공정드럼의 일단을 받침지지 하도록 제1포크(160)가 구성되고 하단에 이송이 용이하도록 전륜부(180)가 구성되며 일측에 동력원에 의해 자체 동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타단에서 공정드럼의 크기와 길이에 따라 가변되는 제2포크(250)가 구성되는 연장수단(20)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10) 및 연장수단(20) 각각에는, 제1 및 제2포크(160)(250)에 승강력을 제공하도록 지지하는 제1 및 제2승강부(150)(2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승강부(150)(240)는, 일단에 상기 제1 및 제2포크(160)(250)의 일단이 안착되도록 지지하는 승강바(152)(242)와;
상기 승강바(152)(242)에 승강력을 제공하는 승강실린더(154)(244); 및
상기 승강바(152)(242)의 일측에 구성되어 상기 승강바(152)(242)의 승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롤(156)(246)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바(152)(242)는 바디프레임(1522)(2422)과;
상기 바디프레임(1522)(2422)의 일단에 구성되어, 제1 및 제2포크(160)(250)의 일단이 받침되는 받침프레임(1524)(2424)과;
상기 바디프레임(1522)(2422)의 타단에 구성되어, 승강실린더(154)(244)의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승강실린더(154)(244)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도록 하는 안착프레임(1526)(2426); 및
상기 바디프레임(1522)(2422)의 일면에 구성되어, 롤(156)(246)이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안착대(1528)(242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일측에 동력원(112) 및 제어패널(114)이 구성되는 제1프레임(110)과;
상기 제1프레임(110)의 상방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는 제2프레임(120)과;
상기 제1 및 제2프레임(110)(120) 사이의 양단 각각에 구성되어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130) 및 보강프레임(14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30)에 구성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제1승강부(150)와;
공정드럼의 일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1승강부(15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승강시켜 이송과 적재 및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1포크(160)와;
상기 본체(10)와 연장수단(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공정드럼의 길이에 따라 상기 연장수단(20)의 길이가 가변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이송부(170)와;
상기 제1프레임(110)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는 전륜부(180); 및
상기 전륜부(180)에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이송력을 제공하는 방향전환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수단(20)은, 상기 제1프레임(110)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길이 가변되도록 지지되는 제1연장프레임(210)과;
상기 제2프레임(120)의 일단에 일부가 삽입되어 일정길이 가변되도록 지지되는 제2연장프레임(220)과;
상기 제1 및 제2연장프레임(210)(220) 사이의 일단에 구성되어 이격거리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23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230)에 구성되어 승강력을 제공하는 제2승강부(240)와;
공정드럼의 타단이 안착되고, 상기 제2승강부(240)에서 제공되는 승강력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공정드럼을 승강시켜 이송과 적재 및 상,하차가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포크(250); 및
상기 제1연장프레임(210)의 하단 일측에 구성되는 후륜부(26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포크(160)(250)는,
양단 각각이 제1 및 제2승강부(150)(240)에 지지되어 승강되는 드럼보강대(162)(252); 및
상기 드럼보강대(162)(252)의 하단부에 구성되어 공정드럼의 일단이 안정적으로 받침되면서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여, 별도의 권취기를 구성하지 않고도 권취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받침회전부재(166)(25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및 연장수단(20) 사이에는,
공정드럼의 크기 또는 길이에 따라 본체(10)의 내측에 상기 제1 및 제2포크(160)(250)가 위치되어 받침 및 지지할 수 있도록 보조기능을 수행하는 보조연결대(2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213A KR101829588B1 (ko) | 2017-08-30 | 2017-08-30 |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0213A KR101829588B1 (ko) | 2017-08-30 | 2017-08-30 |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29588B1 true KR101829588B1 (ko) | 2018-02-14 |
Family
ID=61229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0213A KR101829588B1 (ko) | 2017-08-30 | 2017-08-30 |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2958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1077A (zh) * | 2018-09-19 | 2019-01-18 | 苏州博众机器人有限公司 | 一种搬运机器人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3591A (ja) * | 2000-02-03 | 2001-08-07 | Toshiba Corp | 機器等の搬送,据付用台車 |
JP2002053298A (ja) * | 2000-08-04 | 2002-02-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搬送台車 |
JP2006175961A (ja) | 2004-12-21 | 2006-07-06 | Denso Facilities Corp |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
JP2008143241A (ja) | 2006-12-06 | 2008-06-2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ケーブルドラム運搬装置 |
JP2011189849A (ja) | 2010-03-15 | 2011-09-29 | Toshiba Corp | 運搬装置 |
-
2017
- 2017-08-30 KR KR1020170110213A patent/KR1018295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3591A (ja) * | 2000-02-03 | 2001-08-07 | Toshiba Corp | 機器等の搬送,据付用台車 |
JP2002053298A (ja) * | 2000-08-04 | 2002-02-19 | Mitsubishi Heavy Ind Ltd | 搬送台車 |
JP2006175961A (ja) | 2004-12-21 | 2006-07-06 | Denso Facilities Corp | 円筒状重量物支持装置 |
JP2008143241A (ja) | 2006-12-06 | 2008-06-26 |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 ケーブルドラム運搬装置 |
JP2011189849A (ja) | 2010-03-15 | 2011-09-29 | Toshiba Corp | 運搬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31077A (zh) * | 2018-09-19 | 2019-01-18 | 苏州博众机器人有限公司 | 一种搬运机器人 |
CN109231077B (zh) * | 2018-09-19 | 2024-01-23 | 苏州博众智能机器人有限公司 | 一种搬运机器人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1799C (zh) | 集装箱装卸装置或吊架 | |
EP2823995B1 (en) | Transportation device and transportation system using same | |
JP2007169062A (ja) | 改良されたストラドルキャリヤー | |
CN102275811A (zh) | 一种吊具及工程机械 | |
ITTO20091054A1 (it) | "installazione per l'assemblaggio di parti meccaniche su scocche di autoveicoli" | |
CN109230599B (zh) | 一种重载提升、移载和翻转设备 | |
KR20120003917U (ko) | 케이블 드럼 이송 장치 | |
KR101829588B1 (ko) | 공정드럼에 대한 이동에서부터 적재 또는 상차가 가능한 포크타입 전동대차 | |
DE102013018268A1 (de) | Transportsystem | |
TWI761531B (zh) | 升降機 | |
KR200402250Y1 (ko) |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 |
DE202021102343U1 (de) | Autonomer mobiler Roboter zur Aufnahme, zum Transport und zum Absetzen von Ladungsträgern | |
JP5843593B2 (ja) | 遠隔操作可能な圧延ロール組替装置 | |
JP4508073B2 (ja) |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 |
CN102745118A (zh) | 自装卸运输车 | |
CN214494979U (zh) | 裸包玻璃装卸货柜液压传动装置 | |
US20150003946A1 (en) | Platform for order picker | |
JP2683925B2 (ja) | 四方操縦システムを有する運搬車両 | |
US11873175B2 (en) | Hauling beam, hauling transporter and method for loading | |
CN210619563U (zh) | 一种多层码垛机构 | |
FI127072B (fi) | Haalauspalkki, sen nostojärjestely ja kuljetin | |
KR100782730B1 (ko) | 후크 위치 가변형 선재코일 이송장치 | |
DE102020004656A1 (de) | Autonomer mobiler Roboter zur Aufnahme, zum Transport und zum Absetzen von Ladungsträgern | |
CN111732032A (zh) | 一种上下料装置 | |
CN104555722A (zh) | 一种膜卷移载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