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9025B1 -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 Google Patents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9025B1
KR101829025B1 KR1020160153084A KR20160153084A KR101829025B1 KR 101829025 B1 KR101829025 B1 KR 101829025B1 KR 1020160153084 A KR1020160153084 A KR 1020160153084A KR 20160153084 A KR20160153084 A KR 20160153084A KR 101829025 B1 KR101829025 B1 KR 10182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eccentricity
holder
outer diameter
guide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국현
Original Assignee
아이오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오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아이오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6015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9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5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D11/0098Inspect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932Combined cutting and grinding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3Alignment of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01N2021/1725Modulation of properties by light, e.g. photoreflec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 Constituent Portions Of Griding Lathes, Driving, Sensing An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의 자동 정렬 후 외경 가공과 동시에 가공되는 렌즈의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편심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의 상하면을 진공흡착하여 렌즈의 편심측정 및 가공함으로써 척킹으로 인한 렌즈의 손상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회전하는 렌즈에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여 편심제거율이 높은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Lens processing machine capable of eccentricity monitoring}
본 발명은 편심 현미경이 구비되어 렌즈의 자동 정렬 후 외경 가공과 동시에 가공되는 렌즈의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편심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렌즈의 상하면을 진공흡착하여 렌즈의 편심측정 및 가공함으로써 척킹으로 인한 렌즈의 손상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회전하는 렌즈에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여 편심제거율이 높은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학용 렌즈는 유리 소재의 성형을 통해 제조되며, 사용 용도에 맞게 크기 및 형태가 가공되는데 주로 구면의 형태로 제작이 된다.
이때, 구면의 형태로 가공된 렌즈가 갖는 곡률에 따라 광축(光軸)을 가지며 이를 기준으로 외경 가공을 실시하게 된다.
외경가공은 렌즈가 장착되는 각종 화상기록분야의 정밀한 광학장치에 요구되는 형상에 맞춰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는 것으로, 렌즈를 홀더에 로딩 및 홀딩한 후 연삭휠을 회전시켜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고, 가공된 렌즈를 배출시키는 공정으로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였다.
그러나 외경가공시 렌즈의 광축을 중심에 맞추는 센터링 작업이 앞서 수행되지 않은 상태로 외경가공될 경우 렌즈에 편심이 발생될 수 있다.
편심(偏心)이란 렌즈의 구절구면의 중심이 광축 위에 있지 않은 것으로, 렌즈에 편심이 발생될 경우 프리즘 작용에 의해 상의 위치가 상면 내에서 옆으로 미끄러지고, 수차에 편심 특유의 수차가 가해져 렌즈를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외경가공을 수행하더라도 렌즈에 편심이 발생되면 불량 렌즈로 판단되어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렌즈를 가공할 때에는 센터링 작업을 통해 편심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524호에서는 링렌즈의 무편심 가공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렌즈를 링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링렌즈를 척킹시 뒤집어 척킹하는 공정없이 외측 3개면을 절삭함으로써, 링렌즈의 중심축과 렌즈의 광축을 일치시켜 편심을 없애도록 하는 링렌즈의 무편심 가공방법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도 7을 살펴보면 알 수 있듯이, 렌즈의 가공면을 좌측 및 우측 척(420,430)에 의해 척킹(chucking)한 다음, 렌즈의 편심을 측정 및 가공을 수행하기 때문에 연삭휠에 의해 렌즈가 가공되는 동안 연삭휠의 회전력이 렌즈로 전달되어 좌측 척(420) 및 우측 척(430)과 마찰이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 척킹된 렌즈면이 회전력 및 마찰력에 의해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센터링 작업을 마친 뒤 렌즈를 가공하게 되는 선행기술의 경우 렌즈 가공시에는 편심 발생 측정이 불가능하여, 가공하는 동안 관리자가 렌즈의 편심 발생을 모니터링 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는 렌즈 가공시 연삭휠의 높은 회전력에 의해 렌즈가 가공위치를 벗어나 편심이 발생하더라도 가공 작업이 계속해서 수행되기 때문에 제조비용 등에서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렌즈의 외경가공시 척킹 등으로 인하여 렌즈의 외면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가공과 편심측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가공방법이 필요하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3524호 (2011.05.24.)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의 자동 정렬 후 외경 가공과 동시에 가공되는 렌즈의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편심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렌즈의 상하면을 진공흡착하여 렌즈의 편심측정 및 가공함으로써 척킹으로 인한 렌즈의 손상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회전하는 렌즈에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여 편심제거율이 높은 렌즈 가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는, 렌즈의 상면을 홀딩하는 상부 홀더와 상기 렌즈의 하면을 홀딩하는 하부 홀더를 포함하는 홀더부 및 상기 상부 홀더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의 편심을 측정하는 편심현미경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홀더부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의 일측면에서 상기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는 연삭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의 상측 타측면에는 상하운동을 수행하는 구동실린더와 연결된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홀더가 상하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상부 홀더의 상부는 상기 렌즈의 두께를 감지하고 상기 연삭휠과 연동되어 구동을 제어하는 두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심현미경은 상기 홀더부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에 가이드빔을 투사하는 광원 발생 모듈, 상기 렌즈에서 반사되는 상기 가이드빔을 수광하는 CCD, 상기 CCD에 수광되는 가이드빔을 통해 상기 렌즈의 편심 발생을 판단하는 편심 발생 판단 모듈, 상기 렌즈의 중심축과 상기 수광된 가이드빔을 시각화하여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편심 발생 판단 모듈에서 편심 발생 판단시 이를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편심 발생 알림 모듈 및 상기 편심현미경의 구동을 제어하는 편심 현미경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부 및 편심현미경은 동시에 구동되어 편심측정 및 상기 렌즈의 외경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홀더 및 하부 홀더는 상기 렌즈를 진공흡착하며, 상기 연삭휠의 구동시 진공흡착압이 상기 연삭휠이 구동되지 않을 시의 진공흡착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는, 렌즈의 자동 정렬 후 외경 가공과 동시에, 가공되는 렌즈의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편심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렌즈의 상하면을 진공흡착하여 렌즈를 편심측정 및 가공함으로써 척킹으로 인한 렌즈의 손상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회전하는 렌즈에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여 편심제거율을 높일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가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외경가공기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의 편심 측정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를 이용하여 렌즈 외경을 가공하는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무편심 렌즈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기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편심현미경이 장착되어 렌즈의 자동 정렬 후 외경 가공과 동시에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편심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렌즈 외경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편심현미경이 장착되며, 렌즈의 상하면을 진공흡착하여 렌즈를 편심측정 및 가공함으로써 척킹으로 인한 렌즈의 손상발생을 현저히 줄이고, 회전하는 렌즈에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여 편심제거율이 높은 렌즈 외경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구성 및 효과 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의 사용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 가공기는 구동실린더(10), 브라켓(20), 두께 감지 센서(30), 연삭휠(40), 홀더부(100) 및 편심현미경(2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동실린더(10)는 하부에 연결된 브라켓(20)을 통해 상부 홀더(110) 및 편심현미경(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기존의 렌즈용 센터링 또는 외경 가공 장치의 경우 구동실린더와 상부 홀더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구동실린더에 따라 상부 홀더가 상하운동하여 렌즈의 상면을 홀딩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서는 브라켓(20)을 통해 구동실린더(10)를 상부 홀더(110)의 측면에 위치하도록 하여 상부 홀더(110)의 상하 운동을 제어함으로써 편심현미경(200)이 상부 홀더(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도 3 및 도 4를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브라켓(20)을 통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상부 홀더(110)의 측면에는 두께 감지 센서(3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두께 감지 센서(30)는 후술될 홀더부(100)에 홀딩되는 가공용 렌즈의 두께를 측정하여 렌즈가 홀딩될 때 상부 홀더(110)가 렌즈 상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공되는 렌즈의 두께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렌즈의 두께만큼 가공될 경우 연삭휠(40)을 정지시켜 일정한 두께의 렌즈를 가공할 수 있도록 한다.
연삭휠(40)은 홀더부(100)의 측면에 위치하여,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는 것으로, 다이아몬드 휠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연삭휠(40)은 휠 조절모듈(41)과 결합되어 휠 조절 모듈(41)에 의해 회전 및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두께 감지 센서(30)에 의해 기설정된 렌즈 두께로 외경가공이 완료되면 두께 감지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연삭휠(40)의 구동을 온오프(on/off) 할 수 있다.
홀더부(100)는 상부 홀더(110)와 하부 홀더(120)로 나뉘어 지는데 각각 렌즈의 상면 및 하면을 홀딩한다.
하부 홀더(120)는 지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부 홀더(110)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연결된 브라켓(20)을 통해 구동실린더(10)의 구동에 따라 상하운동을 통해 렌즈의 상면을 홀딩할 수 있다.
이때, 홀더부(100)는 렌즈의 상, 하면을 진공 흡착하여 홀딩하는 방법이 가장 바람직하며, 렌즈 가공 단계에 따라 진공의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즉,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의 센터링 작업을 진행할 때는 낮은 압력으로 흡착하여 렌즈의 중심축이 상부 및 하부 홀더(110,120)의 흡착면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낮은 압력으로 흡착되는 렌즈는 고속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렌즈의 중심축이 상부 및 하부 홀더(110,120)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렌즈 외경 가공시에는 연삭휠(40)에 의해 홀딩된 렌즈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압으로 흡착될 수 있도록 한다. 고압으로 흡착된 렌즈는 저속으로 회전하며 외경이 가공되는 동안 연삭휠(40)의 회전력에 의해 가공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편심현미경(200)은 상부 홀더(110)의 상측에 위치하며,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의 편심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편심현미경(200)에 대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는 도 2와 같이 자동화된 렌즈 외경 가공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팔레트(1)에 구비된 가공용 렌즈는 이송로봇(2)에 의해 이송되는데, 홀더부(100)로 바로 이동이 가능하나 홀더부(100)로 가공용 렌즈를 이송하기 전에 자동 센터링 장치(3)에서 먼저 센터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 센터링 장치(3)는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이송로봇(2)이 이송한 가공용 렌즈를 기계적으로 센터링한다. 이는 홀더부(100)에서 센터링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구면의 곡률을 따라 중심을 찾아서 센터링 작업을 수행한다.
자동 센터링 장치(3)에서 1차 센터링 작업이 수행된 가공용 렌즈는 렌즈이송로봇(도면에 미도시)에 의해 홀더부(100)로 이송되고, 렌즈의 상면 및 하면을 상부 홀더(110) 및 하부 홀더(120)가 진공흡착하게 된다.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의 외면을 연삭휠(40)로 가공하여 렌즈의 외면이 가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편심 측정과 외경가공이 각각 이루어지는 렌즈 외경 가공기에 비해, 렌즈 외경가공과 동시에 편심 측정이 가능하여 렌즈의 외경이 가공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편심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이는 기존의 상부 홀더 상측에 구동실린더가 구비되는 외경가공기에 비해 본 발명은 상부 홀더(110)의 상측에 편심현미경(200)이 구비되어 상부 홀더(110)를 통해 편심측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편심현미경(200)의 구성에 대해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의 편심 측정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편심현미경(200)은 광원 발생 모듈(210), CCD(220), 편심 발생 판단 모듈(230), 디스플레이 모듈(240), 편심 발생 알림 모듈(250) 및 편심 현미경 제어 모듈(260)을 포함하고 있다.
광원 발생 모듈(210)은 렌즈의 광축과 홀더의 중심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렌즈의 수직방향으로 가이드빔을 방출한다.
광원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되는 가이드빔은 상부 홀더(110)의 내측을 거쳐 렌즈의 상면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렌즈 상면은 가이드빔을 반사하는데, 반사된 가이드빔의 방향에 따라 편심 발생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반사된 가이드빔을 수광하여 반사된 가이드빔의 방향을 확인할 수 있는 CCD(220)가 구비된다.
CCD(220)는 아날로그 신호를 전기 신호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전송하는 전하 결합 소자로, 카메라의 아날로그 신호인 화상(畵像)을 전기 신호로 순차적으로 변환하여 저장 및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광원 발생 모듈(210)에서 발생된 가이드빔이 렌즈의 상면에서 반사되고, 반사된 가이드빔은 상부 홀더(110)를 거쳐 CCD(220)로 수광된다.
따라서, 도 3에서 보는 것과 같이, 광원 발생 모듈(210)은 가이드빔을 발광하는 부분이 렌즈 및 상부 홀더(110)의 중심을 향하도록 구비되며, CCD(220)는 광원 발생 모듈(210)과 수직방향으로 대응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한다.
편심 발생 판단 모듈(230)은 CCD(220)에 수광된 가이드빔을 통해 중심축과 광축이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중심축과 반사된 가이드빔이 수광되는 지점이 일치할 경우 중심축과 광축이 일치하여 편심이 발생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며,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반사된 빔의 위치가 원형 궤적을 그리게 되되므로 편심이 발생되었거나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가 뒤틀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심 발생 판단 모듈(230)에서 렌즈의 편심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편심 발생시 편심 발생 알림 모듈(250)을 통해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40)은 렌즈의 중심축과 수광된 가이드빔의 위치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가공용 렌즈에서 편심의 발생여부를 알 수 있게 되는데, 도 5의 (a)와 같이, 렌즈의 중심으로 발산되는 가이드빔이 반사되어 수광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40)에 궤적 중심으로 반사된 가이드빔이 중심으로 수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공용 렌즈에서 편심의 발생 여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반면, 도 5의 (b) 및 (c)와 같이, 중심축으로 발산된 가이드빔이 수직으로 수광되지 않는 경우 CCD(220)에 수광되고, 이를 디스플레이 모듈(240)로 수광된 가이드빔이 표시된다. 이때, 반사된 빔의 위치가 원형궤적을 그리게 되므로 이를 통해 관리자는 렌즈의 편심이 발생되거나 렌즈가 뒤틀린 상태로 홀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편심 현미경 제어 모듈(260)은 편심현미경(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편심현미경이 장착된 렌즈 외경가공기를 이용하여 렌즈 외경을 가공하는 실시예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가공될 렌즈는 센터링 단계(S10)를 수행하는데, 자동 센터링 장치(3)를 통해 렌즈의 중심축을 찾는 센터링 단계(S10)를 수행한다.
센터링 단계(S10)를 수행하면, 렌즈를 홀더부(100)에 홀딩하는 렌즈 로딩 단계(S20)를 수행한다.
렌즈 로딩 단계(S20)를 통해 홀더부(100)에 로딩 및 홀딩된 렌즈는 편심현미경(200)을 통해 렌즈의 편심을 측정하는 편심 측정 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렌즈의 편심을 측정할 경우 상술한 편심 발생 알림 모듈(250)에서 관리자에게 편심 발생 알림을 출력하고, 홀더부(100)에 홀딩된 렌즈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정 및 알림 단계(S40)를 수행한다.
한편, 편심 측정 단계(S30)에서 렌즈의 편심을 감지하지 않은 경우 연삭휠(40)을 통해 렌즈 외경을 가공하는 렌즈 가공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렌즈 가공 단계(S50)를 수행함과 동시에 편심현미경(200)을 통한 편심 측정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렌즈 외경가공 중 발생할 수 있는 편심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된 두께 감지 센서(30)에 의해 원하는 두께의 렌즈 외경이 가공 완료가 되면 연삭휠(40)의 구동을 멈추고 렌즈 외경 가공을 마치도록 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팔레트 2: 이송로봇
3: 자동 센터링 장치
10: 구동실린더 20: 브라켓
30: 두께 감지 센서 40: 연삭휠
41: 휠 조절 모듈 100: 홀더부
110: 상부 홀더 120: 하부 홀더
200: 편심현미경 210: 광원 발생 모듈
220: CCD 230: 편심 발생 판단 모듈
240: 디스플레이 모듈 250: 편심 발생 알림 모듈
260: 편심 현미경 제어 모듈

Claims (5)

  1. 렌즈의 상면을 홀딩하는 상부 홀더(110)와 상기 렌즈의 하면을 홀딩하는 하부 홀더(120)를 포함하는 홀더부(100); 및
    상기 상부 홀더(1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홀더부(100)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의 편심을 측정하는 편심현미경(200);
    을 포함하여 형성되되,
    상기 홀더부(100)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의 일측면에서 상기 렌즈의 외경을 가공하는 연삭휠(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홀더(110)의 상측 타측면에는
    상하운동을 수행하는 구동실린더(10)와 연결된 브라켓(20)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 홀더(110)가 상하운동을 수행하며,
    상기 상부 홀더(110)의 상부는
    상기 렌즈의 두께를 감지하고 상기 연삭휠(40)과 연동되어 구동을 제어하는 두께감지센서(3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편심현미경(200)은
    상기 홀더부(100)에 홀딩되는 상기 렌즈에 가이드빔을 투사하는 광원 발생 모듈(210), 상기 렌즈에서 반사되는 상기 가이드빔을 수광하는 CCD(220), 상기 CCD(220)에 수광되는 가이드빔을 통해 상기 렌즈의 편심 발생을 판단하는 편심 발생 판단 모듈(230), 상기 렌즈의 중심축과 상기 수광된 가이드빔을 시각화하여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40), 상기 편심 발생 판단 모듈(230)에서 편심 발생 판단시 이를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편심 발생 알림 모듈(250) 및 상기 편심현미경(200)의 구동을 제어하는 편심 현미경 제어 모듈(2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부(100) 및 편심현미경(200)은 동시에 구동되어 편심측정 및 상기 렌즈의 외경가공이 동시에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홀더(110) 및 하부 홀더(120)는 상기 렌즈를 진공흡착하며,
    상기 연삭휠(40)의 구동시 진공흡착압이 상기 연삭휠(40)이 구동되지 않을 시의 진공흡착압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53084A 2016-11-17 2016-11-17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KR10182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84A KR101829025B1 (ko) 2016-11-17 2016-11-17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3084A KR101829025B1 (ko) 2016-11-17 2016-11-17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9025B1 true KR101829025B1 (ko) 2018-02-13

Family

ID=6123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3084A KR101829025B1 (ko) 2016-11-17 2016-11-17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90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578A (zh) * 2019-01-24 2019-04-26 宁波舜宇仪器有限公司 镜片定心装置及自动定心设备
KR102588804B1 (ko) 2023-03-07 2023-10-16 주식회사 에스피오엠 렌즈 하우징 가공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105A (ja) * 2000-09-22 2002-04-0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枠の加工装置
JP2014176948A (ja) * 2013-03-15 2014-09-25 Olympus Corp 心取り装置及び心取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3105A (ja) * 2000-09-22 2002-04-09 Olympus Optical Co Ltd レンズ枠の加工装置
JP2014176948A (ja) * 2013-03-15 2014-09-25 Olympus Corp 心取り装置及び心取り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82578A (zh) * 2019-01-24 2019-04-26 宁波舜宇仪器有限公司 镜片定心装置及自动定心设备
KR102588804B1 (ko) 2023-03-07 2023-10-16 주식회사 에스피오엠 렌즈 하우징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13565A1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激光加工系统及方法
US20180102268A1 (en) Processing apparatus
JP2015131357A (ja) 工作機械の工具折損検知装置
KR100976604B1 (ko) 웨이퍼 에지영역 검사장치, 이를 이용하는 웨이퍼 에지영역검사방법 및 웨이퍼 정렬방법
CN103515264A (zh) 晶圆位置检测装置和检测方法
JP6120710B2 (ja) 切削装置
KR101829025B1 (ko) 편심 모니터링이 가능한 렌즈 가공기
KR101948939B1 (ko) 렌즈 심취기의 심출 방법 및 장치
JP2015023239A (ja) 加工装置
JP2009141081A (ja) 半導体ウェーハ表面検査装置
JP2016169971A (ja) 保護膜検出方法
KR101402123B1 (ko) 웨이퍼 정렬장치
KR101467121B1 (ko) 웨이퍼 표면 검사 장치
TWI633967B (zh) Cutting device
JP5936923B2 (ja) 切削ブレードの刃先位置検出方法
JP2008119795A (ja) 加工装置
KR20140118911A (ko) 렌즈 가공장치
CN110893574B (zh) 边缘修剪装置
JPWO2018179365A1 (ja) 部品実装機
JP6057853B2 (ja) 切削装置
CN110871298A (zh) 加工装置的维护方法和加工装置
JP5860682B2 (ja) レンズ芯取機の芯出し方法及び装置
JP2014075439A (ja) 加工装置
JP2009130029A (ja) 切削装置
KR102461790B1 (ko) 웨이퍼 가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