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905B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905B1
KR101828905B1 KR1020160092153A KR20160092153A KR101828905B1 KR 101828905 B1 KR101828905 B1 KR 101828905B1 KR 1020160092153 A KR1020160092153 A KR 1020160092153A KR 20160092153 A KR20160092153 A KR 20160092153A KR 101828905 B1 KR101828905 B1 KR 101828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fan motor
air
discharg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2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055A (ko
Inventor
구명진
박희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2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905B1/ko
Priority to EP17831356.5A priority patent/EP3460250B1/en
Priority to US16/317,871 priority patent/US11187240B2/en
Priority to CN201780042194.3A priority patent/CN109477490B/zh
Priority to PCT/KR2017/007799 priority patent/WO2018016883A1/ko
Publication of KR2018001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04D17/162Double sucti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the unit having provisions for automatically changing direction of outpu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04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by varying driving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D27/02Surg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30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04D29/424Double entry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 흡입부 및 하부 흡입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하는 제1 기류를 생성하는 상부팬; 상기 상부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하는 제2 기류를 생성하는 하부팬; 및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류 및 상기 제2 기류가 합쳐진 제3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란,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장치로 이해된다. 이러한 송풍기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여름과 같이 더운날씨에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식히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의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지지대와 송풍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송풍기에 관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10-2008-0087365호 (공개일자 : 2008년 10월 01일, 발명의 명칭 : 선풍기)
개시된 선행문헌에 제시된 종래의 송풍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송풍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가 결합된 본체의 전방에는 제1 안전커버 및 제2 안전커버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날개부가 배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안전커버 및 상기 제2 안전커버는 사용자가 회전하는 상기 날개부에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풍기는 상기 본체 내부의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날개부가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송풍기에 대한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종래의 송풍기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날개부로부터 송풍되는 바람의 방향 중 상하방향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본체의 위치를 변경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상하방향 조절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둘째,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하방향을 조절하더라도, 한쪽으로만 바람이 송풍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송풍기는 좌우방향으로는 자동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으나,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 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셋째, 일반적으로 날개부가 배치된 제1 안전커버 및 제2 안전커버는 그릴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됨에 따라, 외부의 공기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날개부에 쌓이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송풍기를 사용하는 경우, 먼지로 인해 불편을 겪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해 본체를 수동으로 조절할 필요 없이, 제어부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제3 기류의 상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하 방향으로 공기가 왕복하여 토출되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내부의 공기를 유동시키는 팬이 외부에 노출되는 면적을 최소화함에 따라, 팬에 먼지가 쌓이지 않고 미관상 깔끔한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상부 흡입부 및 하부 흡입부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 및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하는 제1 기류를 생성하는 상부팬; 상기 상부팬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어 토출하는 제2 기류를 생성하는 하부팬; 및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류 및 상기 제2 기류가 합쳐진 제3 기류를 생성하는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을 자동적으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기류의 상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를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보다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상부팬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기류를 상기 기류변화장치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된 제1 토출부; 및 상기 하부팬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류를 상기 기류변화장치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제2 토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는 원주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기류는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장치는 상기 상부팬에 연결된 상부 팬모터; 및 상기 하부팬에 연결된 하부 팬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상부 팬모터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 기류의 상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팬모터의 회전수를 상기 하부팬모터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이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하부팬모터의 회전수를 상기 상부팬모터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이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1 설정범위 내에서 일정속도로 증감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2 설정범위 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증감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 기류의 상하측 토출각도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설정범위 및 상기 제2 설정범위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와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서로 반비례하게 증감시켜,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하측으로 왕복하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출되는 상기 제3 기류의 세기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의 합은 일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키는 제1 왕복운전을 통해,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증가시키는 제2 왕복운전을 통해,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왕복운전과 상기 제2 왕복운전은 교대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3 기류가 상하측으로 왕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 또는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가 커질수록 상기 상부팬 또는 하부팬의 회전속도가 증가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상부 또는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사용자는 송풍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왕복하여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송풍기가 설치된 내부 공간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환기 또는 송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송풍기 내부의 팬에 먼지가 쌓이지 않을 뿐 아니라, 송풍기의 미관이 깔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흡입부 및 제1 케이스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동발생장치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에서 제1 케이스 및 상부 흡입부를 제거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제1 피니언기어와 제1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제1 피니언기어와 제1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에서 제2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흡입부 및 제2 케이스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동발생장치의 분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토출가이드장치와 제2 기류변화장치의 분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제2 피니언기어와 제2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제2 피니언기어와 제2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어부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에 발생되는 기류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상방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송풍기의 하방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왕복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1 왕복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2 왕복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는 형태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는 상단 및/또는 하단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측방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0)는 제1 기류(2)를 발생시키는 제1 송풍장치(100), 제2 기류(3)를 발생시키는 제2 송풍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2)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단에서 유입되어 하단에서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고, 상기 제2 기류(3)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하단에서 유입되어 상단에서 측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류(2)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중앙부로 토출되는 유동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기류(3)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중앙부로 토출되는 유동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일정한 축 방향을 가르킬 뿐, 어떠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외관과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외관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하방향으로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하단에서 제1 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제1 기류(2)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단에서 제2 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제2 기류(3)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2)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류(2)의 토출방향이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방인 경우,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 역시 전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류(2)의 토출방향과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은 서로 다른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기류(2)의 토출방향이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방일 경우,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은 후방일 수 있다.
다만, 후술할 상방운전, 하방운전 및 왕복운전은,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인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이는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가 동일한 방향으로 토출되어 형성된 제3 기류(4)의 상하방향이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세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지지장치(30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0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310)와,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지지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 지지장치(320)를 연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Y자 형태의 파이프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Y자 형태 파이프의 상부는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연결되고, Y자 형태 파이프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내부에 다 수의 배선이 수용되는 배선수용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내부에 배선수용공간(311)이 형성된 파이프일 수 있고,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배선이 상기 제1 지지장치(310)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지지장치(3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배선은 상기 본체(10)와 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수평하게 안치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지면에 수평한 베이스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내부에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배선은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상기 배선수용공간(311)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장치(320)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지지장치(32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상기 제어부 및 배선을 상기 지지장치(300)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본체(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 흡입부 및 제1 케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유동발생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에서 제1 케이스 및 상부 흡입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송풍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하단 제1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측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상부 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1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개구(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흡입부(110)는 끝부분이 잘린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외주면의 높이는 내주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은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된 공기는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라운드진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흡입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내주면측에는 필터(111)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필터장착부(112)는 대량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필터(111)장착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111)장착개구의 크기는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상기 제1 흡입개구(110a)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필터(111)는 외주면이 상기 필터(111)장착개구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111)장착개구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상기 제1 흡입개구(110a)에는 상기 필터(111)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111)에 의해 여과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걸러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필터(111)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필터장착부(112)의 외면에는 필터장착부(112)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는 상기 필터장착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리브(112a)는 상기 필터장착부(112)가 후술할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 형성된 제1 절곡리브(113b)에 결합될 수 있는 수단으로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하부와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11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부 직경은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하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113)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에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폭이 형성됨에 따라 상면(113a) 및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하면이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 흡입부(110)와 상기 제1 케이스(113)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시 일체화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는 연장선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는 상기 필터장착부(112)에 형성된 상기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가 결합할 수 있는 다 수의 제1 절곡리브(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절곡리브(113b)는 ㄱ 자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장착부(112)를 상기 제1 케이스(113)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필터장착부(112)를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에 배치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돌출리브(112a)를 상기 제1 절곡리브(113b)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는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결합할 수 있는 다 수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상기 다 수의 제1 결합홈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과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하면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3)의 내주면측에는, 제1 유동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상부 흡입부(11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동과, 후술할 제1 토출가이드장치로 공기가 토출되는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유동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는 입구측이 상부 흡입부(110)에 배치되어 회전하는 상부팬(120), 상기 상부팬(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부 팬모터(130) 및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 팬모터(130)가 수용되는 상부팬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팬모터(130)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팬(1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 팬모터(130)는 회전축이 상기 상부팬(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팬(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 팬모터(130)는 일반적으로 팬에 결합되는 모터라면 그 구성의 제한은 없다.
상기 상부팬(120)은 상기 상부 팬모터(130)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기류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일 예로, 상기 상부팬(1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팬(120)은,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축(131)과 결합하는 허브(121), 상기 허브(12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쉬라우드(122) 및 상기 허브(121)와 상기 쉬라우드(122) 사이에 배치되는 다 수의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121)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21)는 상기 회전축(131)이 결합할 수 있는 축결합부(124)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21) 하측 내부공간에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축(131)이 상기 허브(121)의 회전축결합부(1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22)는, 상기 상부 흡입부(11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통해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3)의 일면은 상기 허브의 제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22)의 제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 수의 블레이드(123)는 상기 허브(12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3)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리딩 에지 및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흡입부(11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필터(111)를 통과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상부팬(12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리딩에지로 유입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거쳐 상기 트레일링 에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레일링 에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링 에지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외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은,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 팬모터(130)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결합팬하우징(142) 및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측부팬하우징(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과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에 의해 내부에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 팬모터(1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4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은 상부에 배치된 링 형상의 제1 상면부(141a), 하부에 배치된 링 형상의 제1 하면부(141b)와, 상기 제1 상면부(141a)와 상기 제1 하면부(141b)를 연장하기 위한 다 수의 제1 연장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링 형상으로 지면에 수직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제2 절곡리브(14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리브(141d)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외부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뒤 상방으로 절곡된 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리브(141d)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가이드지지부(150)가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다 수의 제2 절곡리브(141d)와 상기 가이드지지부(15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연장부(141c)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하단 및 상기 제1 하면부(141b)의 외주면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141c)는 지면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 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면부(141b)는, 링 형상으로 지면에 수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하면부(141b) 본체 및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14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함몰부(141e)는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은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은 제1 측면부(142b), 제2 하면부(142a) 및 상부 팬모터결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42b)는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상기 제1 하면부(141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측면부(142b)는 지면에 수직한 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 상기 제1 하면부(141b)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142b) 본체 및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상하로 배치되어 연통함에 따라 함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가 형성한 연통공간을 통해 후술할 제1 피니언기어(143)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는, 상기 제2 함몰부(142c)의 하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제1 피니언기어(143)가 결합할 수 있는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은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와 평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에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가 결합되면,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가 상하로 연통되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의 일부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후술할 제1 토출부(170)의 제1 렉기어(173)와 맞물리는 기어로써,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 형태로 3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 역시 3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정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면부(142a)는 상기 제1 측면부(142b)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팬모터결합부(144)는 제2 하면부(142a)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 팬모터(130)가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 하면부(142a)에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모터(1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와 상기 제1 케이스(1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유동, 즉 상기 제1 기류를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회전운동 가능한 제1 토출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가 회전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60),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 토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단의 직경은 하단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는 상기 상부팬(12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제1 토출부(170)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로가 제공되는 제1 기류가이드부 (161) 및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로부터 경사진 하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여 공기가 상기 제1 토출부(170)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제2 기류가이드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는 링 형상의 일부가 절개된 C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에는 외관을 이루는 측면(161b)과, 측면(161b)의 상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절곡된 상면(16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측면(161b)과 상면(161a)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측단면은 ㄱ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는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절개된 부분을 연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는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경사진 제1 경사면(162a)과,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경사면(162a)의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제1 가이드연결부(162b)와, 상기 제1 경사면(162a)의 타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 가이드연결부(16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연결부(162b), 상기 제1 경사면(162a) 및 상기 제2 가이드연결부(162c)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공간을 통해 공기가 상기 토출부 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연결부(162b), 상기 제1 경사면(162a) 및 상기 제2 가이드연결부(162c)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를 통해 유동하던 공기가 상기 제1 토출부(170)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상면에는 제3 절곡리브(16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리브(161c)에는 후술할 가이드지지부(150)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세히,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ㄱ 자 형태로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의 측면 하단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리브(16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상기 제3 토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상기 제3 유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부(170)는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로가이드부로부터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 토출부(170)는, 링 형상의 제1 토출본체 및 상기 제1 토출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렉기어(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토출본체(171)는 링 형상일 수 있고, 원주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개구된 제1 토출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토출구(172)의 설정길이는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의 연장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를 통해 가이드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구(172)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상면에는 제4 절곡리브(17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절곡리브(171a)는 ㄱ 자 형태로 절곡되고, 다 수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부(160)를 상기 제1 토출본체(171)에 안착시킨 뒤 회전하면,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 하면의 상기 제3 돌출리브(161d)가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상기 제4 절곡리브(171a)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가이드부(160)를 상기 제1 토출부(17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와 상기 제1 토출구(172)는 상하로 정렬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제1 토출구(172)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를 통해 가이드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구(17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링 형상의 본체 내주면에 다 수의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상기 제1 렉기어(173)로 정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렉기어(173)은 상기 제1 토출본체(17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 가이드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지지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지지부(150)는 대략 링 형상으로, 상기 제1 가이드부(160) 및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160)가 하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제1 가이드부(1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지지부(1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부(160)에 안착되는 안착부(151)와, 상기 안착부(1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는 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51)는 링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5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 수의 제2 결합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3 절곡리브(161c)가 상기 제2 결합홈(153)에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151)를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면에 안착시킨 뒤, 상기 가이드지지부(1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부(151)의 일부가 상기 제3 절곡리브(161c)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지지부(150)가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2)는, 링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151)의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52)의 일단은 후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2)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형성된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지지부(150)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2)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의 연장방향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바, 후에 상기 제1 가이드부(16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152)는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의 연장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경우,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가 하방으로 탈거되거나 위치가 어긋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지지부(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를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가 하방으로 탈거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측방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 기류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제1 기류변화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하방으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은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의 경사면에 의해 측방으로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회전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제1 피니언기어와 제1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제1 피니언기어와 제1 렉기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된 다 수의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상기 제1 함몰부(141e) 및 상기 제2 함몰부(142c)에 의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구성 중 상기 제1 토출부(170)의 상기 제1 렉기어(173)가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와 기어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다 수의 제1 피니언기어(14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상기 제1 기어모터(145)가 구동하여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가 회전하면, 상기 제1 렉기어(173)가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렉기어(17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토출부(170)가 회전하고, 상기 제1 토출부(170)에 결합된 상기 제1 가이드부(16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부(160) 및 상기 제1 토출부(170)는 원주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1 가이드부(160) 및 상기 제1 토출부(170)의 회전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하를 거꾸로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이라면,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태일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에서 제2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 흡입부 및 제2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유동발생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토출가이드장치와 제2 기류변화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하부 흡입부(210), 제2 유동발생장치, 제2 가이드부(260) 및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단 제2 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하부 흡입부(210)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측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흡입부(2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하부는 상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외주면의 높이는 내주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면(210a)은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연장면(210a) 측에는 히터(2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연장면(210a)에는 상기 히터(201)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장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히터장착부(212)는 상기 연장면(21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히터(201)의 양 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장착부(212)는 각각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히터(201)의 일단 및 타단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의 일 예일 뿐, 상기 히터(201)를 상기 히터장착부(212)에 결합할 수 있다면, 그 결합방법에 대한 제한은 없다.
상기 히터(201)는 막대형상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히터장착부(212)의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201)는 상기 하부 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상기 제2 흡입개구에는 그릴(2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211)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다 수의 제1 그릴(211a) 및 상기 제1 그릴(211a)에 서로 연결된 원형태의 다 수의 제2 그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2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201)가 가열되는 경우, 함께 가열되어 상기 하부 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 흡입부(210)에 상기 히터(201) 및 상기 그릴(211)이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여름철과 같이 더운날씨에는 상기 히터(201)를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시원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겨울철과 같이 추운날씨에는 상기 히터(201)를 구동시킴으로써, 따뜻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3)는,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케이스(21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213)의 하부 직경은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상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 케이스(213)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케이스(213)는 상기 제1 케이스(113)를 상하로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는 연장선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3)의 내주면측에는, 제2 유동발생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하부 흡입부(21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동과, 후술할 제2 토출가이드장치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는, 상기 제1 유동발생장치가 반대로 뒤집힌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는 회전하는 하부팬(220), 상기 하부팬(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부 팬모터(230) 및 상기 하부팬(220)과 상기 하부 팬모터(230)가 수용되는 하부팬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팬모터(230)는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팬(2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팬모터(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하 방향만 뒤집힌 구조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하부 팬모터(230)에 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제2 기류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일 예로, 상기 하부팬(2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측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하부유입부(210)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세히,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축과 결합하는 허브, 상기 허브(22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쉬라우드(222) 및 상기 허브(221)와 상기 쉬라우드(222) 사이에 배치되는 다 수의 블레이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상부팬(1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하 방향만 뒤집힌 구조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 흡입부(210)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상기 히터(201)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하부팬(22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블레이드(223)를 거쳐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은, 상기 하부팬(220)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결합팬하우징(242) 및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측부팬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이 상하로 뒤집힌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고,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이 상하로 뒤집힌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과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에 의해 내부에 상기 하부팬(220)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은 제2 상면부(242a), 제2 측면부 및 하부 팬모터결합부(244)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의 상기 제2 하면부(142a), 상기 제2 측면부(142b) 및 상기 상부 팬모터결합부 (144)가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은 제3 상면부(241b), 제3 하면부(241a) 및 제2 연장부(241c)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상기 제1 하면부(141b), 상기 제1 상면부(141a) 및 제1 연장부(141c)가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가 배치된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팬하우징(240)의 위치에는 제2 피니언기어(243)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려둔다. 또한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에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가 구동되기 위한 제2 기어모터(2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와 상기 제2 케이스(2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유동을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회전운동 가능한 제2 토출가이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2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260), 상기 제2 가이드부(260)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 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가이드부(260) 및 상기 제2 토출부(270)는 전술한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상기 제1 가이드부(160) 및 상기 제1 토출부(170)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가이드부(260)는 제3 기류가이드부(261) 및 제4 기류가이드부(26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3 기류가이드부(261) 및 상기 제4 기류가이드부(262)의 각 구성은 상기 제1 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기류가이드부(161) 및 상기 제2 기류가이드부(162)의 구성을 상하로 뒤집은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고, 그 효과 역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토출부(270)는 제2 토출구(272)가 형성된 제2 토출본체(271) 및 제2 렉기어(27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토출부(170)의 제1 토출구(172)가 형성된 상기 제1 토출부본체(172) 및 상기 제1 렉기어(173)의 구성이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하고, 그 효과 역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제2 토출구(272)는 상기 제4 기류가이드부(262)의 연장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상기 제2 토출본체(271)에 개구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의 구성 중 상기 가이드지지부(150)의 구성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전체외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인 것과 반대로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전체외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의 제2 가이드부(260)가 하방으로 탈거될 염려가 없어, 상기 제2 가이드부(260)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측방으로 변환하는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상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경사면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의 하면과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상면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의 상면과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하면은 리브와 홈 간의 끼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 송풍장치(10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200)가 하나의 장치인 본체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통칭하여 기류변화장치로 정의한다.
또한,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에 의해 상기 제1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제1 기류 및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제2 기류가 합쳐진 제3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토출구(172) 및 상기 제2 토출구(272)가 상하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토출구(172)로부터 토출되는 제1 기류와 상기 제2 토출구(272)로부터 토출되는 제2 기류는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에 의해 토출방향이 동일한 방향이 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의 회전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제2 피니언기어와 제2 렉기어(27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제2 피니언기어와 제2 렉기어(273)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에 결합된 다 수의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는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가 배치되면, 상기 제2 토출가이드장치의 구성 중 상기 제2 토출부(270)의 상기 제2 렉기어(273)가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와 기어결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다 수의 제2 피니언기어(243)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된 제1 기어모터(145)가 구동하여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가 회전하면, 상기 제2 렉기어(273)가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렉기어(27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토출부(270)가 회전하고, 상기 제2 토출부(270)에 결합된 상기 제2 가이드부(260) 역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가이드부(260) 및 상기 제2 토출부(270)는 원주방향으로 360도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 가이드부(260) 및 상기 제2 토출부(270)의 회전방향을 따라 측방으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을 제어하는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어부의 연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지지장치에 수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120)과 상기 하부팬(220)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120)과 연결된 상기 상부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팬(220)과 연결된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RPM : Revolution per Minute)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3 기류(4)의 상하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에 발생되는 기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본체(10)에서는 제1 기류(2), 제2 기류(3) 및 제3 기류(4)가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2)는 상기 본체의 상측에 배치된 공기가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 배치된 상기 상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제1 토출부(170)를 통해 토출되는 기류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기류(2)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에 의해 상기 상부팬(120)이 회전하면, 상기 상부 흡입부(110)의 상단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팬(120)에 의해 외측 하방으로 유동한 뒤 상기 제1 유로가이드부(160) 및 상기 제1 토출부(170)를 통해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하단으로 토출되는 기류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류(3)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된 공기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하부 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기류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기류(3)는 상기 하부팬모터(230)에 의해 상기 하부팬(220)이 회전하면, 상기 하부 흡입부(210)의 하단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팬(220)에 의해 외측 상방으로 유동한 뒤 상기 제2 유로가이드부(260) 및 상기 제2 토출부(270)를 통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상단으로 토출되는 기류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2)의 방향과 상기 제2 기류(3)의 방향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 즉 상기 본체(100)의 중심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가 상기 본체의 외측, 즉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외측으로 토출되는 경우,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는 합쳐져서 토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토출구(172) 및 상기 제2 토출구(272)가 상하로 정렬되도록 배치된 경우,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하단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1 기류(2)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상단으로 토출되는 상기 제2 기류(3)는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에 의해 유동이 변화하면서 합쳐져,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가 합쳐진 기류를 제3 기류(4)로 정의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 차이에 따라 외측으로 토출되는 제3 기류(4)의 상하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상하방향 제어 동작은 상기 제1 송풍장치로 유입되어 토출되는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송풍장치로 유입되어 토출되는 상기 제2 기류(3)의 토출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인 경우에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상기 제1 토출부(170)의 상기 제1 토출구(172) 및 상기 제2 토출부(270)의 상기 제2 토출구(272)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토출부(170)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제1 기류(2)와 상기 제2 토출부(270)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제2 기류(3)가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에 의해 통합되어 외측으로 토출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3 기류가 상방으로 토출되는 상방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상방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상방운전에서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하부팬(220)의 회전속도를 상기 상부팬(120)의 회전속도보다 더 크게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팬(120)에 의해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기류(2)의 세기보다 상기 하부팬(220)에 의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가 크기 때문에,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제2 기류(3)가 상기 제1 기류(2)를 상방으로 밀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의 제3 기류(4)는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와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 비를 1:2로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4)를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 토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를 1000rpm,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를 500rpm로 조절하여 상기 본체(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와 회전수 비율은 하나의 예 일 뿐, 사용되는 모터의 종류나 팬의 규격 등에 따라 회전수 및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3 기류(4)가 하방으로 토출되는 하방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송풍기의 하방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하방운전 상태에서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120)의 회전속도를 상기 하부팬(220)의 회전속도보다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상부팬(120)에 의해 상기 제1 송풍장치(100)에서 생성된 상기 제1 기류(2)의 세기가 상기 하부팬(220)에 의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서 생성된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기류변화장치(180,280)를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제1 기류(2)가 상기 제2 기류(3)를 하방으로 누르면서 토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기류(2) 및 상기 제2 기류(3)의 제3 기류(4)는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와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 비를 2:1로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4)를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를 500rpm,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를 1000rpm로 조절하여 상기 본체(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부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와 회전수 비율은 하나의 예 일 뿐, 사용되는 모터의 종류나 팬의 규격 등에 따라 회전수 및 비율은 달라질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왕복운전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왕복운전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가변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제3 기류(4)의 상하방향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기설정된 제1 설정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기설정된 제2 설정범위 내에서 가변시킬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키거나,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의 증가와 감소를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왕복운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수와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서로 반비례하게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왕복운전을 통해 상기 본체에서 토출되는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하측 방향으로 왕복하면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왕복운전 상태에서,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제3 기류(4)는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 및 하측을 왕복하면서 토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송풍기가 설치된 공간의 공조효과가 높아짐과 더불어 다 수의 사용자가 제3 기류(4)에 의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왕복운전은 제1 왕복운전 및 제2 왕복운전이 교대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1 왕복운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제2 왕복운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풍기를 제1 왕복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왕복운전 상태에서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일정한 속도로 변화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설정범위가 500 내지 1000rpm이고, 상기 제2 설정범위가 500 내지 1000rpm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25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 (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소값인 500rpm으로,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대값인 1000rpm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가 상기 제1 기류(2)의 세기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대값인 1000rpm까지 일정한 속도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소값인 500rpm까지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풍기를 상기 제1 왕복운전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히, 도 25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상기 본체(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750rpm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750rpm으로 감소시켜 상기 제1 기류(2)와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가 동일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외측 수평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5의 (b)상태에서 (c) 상태로 상기 본체(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1000rpm으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500rpm으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기류(2)의 세기가 상기 제2 기류(3)의 세기보다 커지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도 25의 (a), (b) 및 (c) 순서로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이 상기 본체(10)의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하게 변화하도록 상기 상부 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230)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가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대값에 도달하고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가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소값에 도달하면,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대값으로부터 최소값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까지 점진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송풍기를 제2 왕복운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왕복운전 상태에서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일정한 속도로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 (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대값인 1000rpm으로,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소값인 500rpm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일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상기 제1 설정범위의 최소값인 500rpm까지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상기 제2 설정범위의 최대값인 1000rpm까지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송풍기를 상기 제2 왕복운전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세히, 도 26의 (a) 상태에서 (b) 상태로 상기 본체(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750rpm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750rpm으로 증가시켜,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변화하여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6의 (b) 상태에서 (c) 상태로 상기 본체(10)가 동작하도록,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를 500rpm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1000rpm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제3 기류(4)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외측 수평방향에서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도 26의 (a), (b) 및 (c) 순서로 상기 제3 기류(4)의 방향이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일정하게 변화하도록 상기 상부 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230)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왕복운전과 상기 제2 왕복운전이 교대로 수행됨에 따라, 상기 제3 기류(4)는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왕복하여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제1 설정범위 및 상기 제2 설정범위는 동일한 범위일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 기류(4)의 상방 경사각도 및 하방 경사각도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변화 속도와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 변화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3 기류(4)의 상방 및 하방의 왕복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 합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상부 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본체(10)로부터 토출되는 제3 기류(4)의 세기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또는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가 커질수록 상기 제3 기류(4)의 토출세기가 증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가 커지면,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하부팬(220)의 회전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효과이다. 반대로,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또는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가 작아질수록 상기 제3 기류(4)의 토출세기는 감소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의 합이 1500rpm인 경우에 비해,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의 합이 3000rpm인 경우, 상기 제3 기류(4)의 세기가 2배정도 증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상부 팬모터(130)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230)의 회전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3 기류(4)의 토출세기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상부 흡입부 및 하부 흡입부를 가지는 본체; 및
    상기 본체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방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상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제 1 기류를 생성하기 위해 상부팬 및 상부 팬모터가 구비되는 제 1 유동발생장치;
    상기 하부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제 2 기류를 생성하기 위해 하부팬 및 하부 팬모터가 구비되는 제 2 유동발생장치;
    상기 제 1 기류 및 상기 제 2 기류를 각각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유동발생장치 및 상기 제 2 유동발생장치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토출가이드장치 ; 및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 1 기류 및 제 2 기류를 각각 경사면을 따라 외측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팬 및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제 1 기류 및 상기 제 2 기류가 합쳐진 제 3 기류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 1 기류를 외부로 토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유동발생장치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토출가이드장치; 및
    상기 제 2 기류를 외부로 토출시기기 위해 상기 제 2 유동발생장치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토출가이드장치를 포함하는 송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변화장치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1 기류를 외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장치의 상방에 위치하며,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제 2 기류를 외측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 2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하는 송풍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 기류를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경우에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를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보다 크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3 기류를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경우에 상기 상부팬의 회전속도를 상기 하부팬의 회전속도보다 크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제 1 유동발생장치 또는 제 2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의해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유동발생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기류가이드부; 및
    상기 제 1 기류가이드부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 2 기류가이드부가 포함되며,
    상기 제 2 기류가이드부는,
    상기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공기가 상기 토출부로 유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상부팬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기류를 상기 제 1 기류변화장치로 토출하는 제1 토출구가 형성된 제1 토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가이드장치는,
    상기 하부팬의 출구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류를 상기 기류변화장치로 토출하는 제2 토출구가 형성된 제2 토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류는, 상기 제1 토출구 및 상기 제2 토출구가 상하 방향으로 정렬될 때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팬에 연결된 상부 팬모터; 및
    상기 하부팬에 연결된 하부 팬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상하 토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팬모터의 회전수를 상기 하부팬모터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이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하부팬모터의 회전수를 상기 상부팬모터의 회전수보다 크게 제어하여, 상기 제3 기류의 토출방향이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으로 향하도록 하는 송풍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1 설정범위 내에서 일정속도로 증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제2 설정범위 내에서 일정한 속도로 증감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정범위 및 상기 제2 설정범위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와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서로 반비례하게 증감시켜,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하측으로 왕복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 및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의 합은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증가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키는 제1 왕복운전을 통해,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한 속도로 증가시키는 제2 왕복운전을 통해, 상기 제3 기류가 상기 기류변화장치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토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왕복운전과 상기 제2 왕복운전은 교대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팬모터의 회전수 또는 상기 하부 팬모터의 회전수가 커질수록 상기 제3 기류의 토출세기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방으로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더 포함하는 송풍기.
KR1020160092153A 2016-07-20 2016-07-20 송풍기 KR10182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53A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6-07-20 송풍기
EP17831356.5A EP3460250B1 (en) 2016-07-20 2017-07-19 Blower
US16/317,871 US11187240B2 (en) 2016-07-20 2017-07-19 Blower
CN201780042194.3A CN109477490B (zh) 2016-07-20 2017-07-19 送风机
PCT/KR2017/007799 WO2018016883A1 (ko) 2016-07-20 2017-07-19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2153A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6-07-20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055A KR20180010055A (ko) 2018-01-30
KR101828905B1 true KR101828905B1 (ko) 2018-03-29

Family

ID=6099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153A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6-07-20 송풍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7240B2 (ko)
EP (1) EP3460250B1 (ko)
KR (1) KR101828905B1 (ko)
CN (1) CN109477490B (ko)
WO (1) WO20180168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885B1 (ko) * 2016-03-02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장치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102281749B1 (ko) * 2017-09-01 202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KR101946789B1 (ko) 2018-01-26 2019-02-12 (주)휴온스 이황화결합 이성질화효소 신호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 및 이의 용도
EP3879118B1 (en) * 2020-03-11 2022-10-12 LG Electronics Inc. Blower
KR20220007362A (ko) * 2020-07-10 2022-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40009740A (ko) 2022-07-14 202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240050582A (ko) * 2022-10-12 2024-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355B1 (ko) * 1999-08-09 2002-02-19 황용근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200278255Y1 (ko) * 2002-03-29 2002-06-20 (주)씨티타워 선풍기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0587A (de) 1966-01-06 1969-03-31 Baumann Ludwig Raumventilator mit gleichzeitiger Förderung von Aussenluft in den Innenraum und von Innenraumluft nach aussen, insbesondere mit Zwischenverschluss
US4738188A (en) * 1984-02-25 1988-04-19 Nishida Tekko Corporation Room air circulating apparatus
DE4115485A1 (de) 1991-05-11 1992-11-12 Mulfingen Elektrobau Ebm Antriebseinheit fuer doppelluefter
JP3913334B2 (ja) * 1996-11-20 2007-05-09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送風装置および換気送風システム
IT232119Y1 (it) * 1996-12-06 1999-09-10 Bacchiocchi Alberto Gruppo di aspirazione per cappe, forni e simili, avvalentesi di una carcassa formata da due coclee affiancate e distanziate tra loro
KR20000055145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79992B1 (ko) 1999-10-05 2003-04-14 도철진 자연풍 선풍기
KR20020017126A (ko) * 2000-08-29 2002-03-07 이기환 송풍기능을 갖춘 냉난방기
US20030026600A1 (en) * 2001-06-06 2003-02-06 Giuseppe Delonghi Portable oscillating space heater
US6739846B2 (en) 2002-07-24 2004-05-25 Maxxan Systems, Inc. Stacked redundant blowers
US7137775B2 (en) * 2003-03-20 2006-11-21 Huntair Inc. Fan array fan section in air-handling systems
KR100893404B1 (ko) 2007-03-26 2009-04-17 이병철 선풍기
KR100919317B1 (ko) 2009-03-20 2009-10-01 김민지 중심회전날개부가 구성된 상하 대향의 팬을 구비하는 사방향 선풍기 및 사방향 선풍기의 풍량측면 유도 방법
AU2010267210B2 (en) 2009-06-28 2015-11-05 Balmuda Inc. Axial fan
KR101749658B1 (ko) 2010-09-01 2017-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JP5747632B2 (ja) 2011-04-26 2015-07-15 日本電産株式会社 遠心ファン
KR20130068917A (ko) 2011-12-16 2013-06-26 이종영 가정용 에어 블로우
JP2014066199A (ja) * 2012-09-26 2014-04-17 Minebea Co Ltd 二重反転式軸流送風機
KR20150133408A (ko) 2014-05-20 2015-11-30 아정테크(주) 양흡입 송풍팬의 구동모터 설치구조
KR20160034058A (ko) 2014-09-19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707617B1 (ko) 2015-09-30 2017-02-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8905B1 (ko) 2016-07-20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102281749B1 (ko) 2017-09-01 2021-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동 발생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3355B1 (ko) * 1999-08-09 2002-02-19 황용근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200278255Y1 (ko) * 2002-03-29 2002-06-20 (주)씨티타워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0250B1 (en) 2021-02-17
US11187240B2 (en) 2021-11-30
WO2018016883A1 (ko) 2018-01-25
CN109477490A (zh) 2019-03-15
EP3460250A4 (en) 2020-01-22
US20210293250A1 (en) 2021-09-23
CN109477490B (zh) 2020-09-18
EP3460250A1 (en) 2019-03-27
KR20180010055A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905B1 (ko) 송풍기
KR101828897B1 (ko) 송풍기
CN107642494B (zh) 吹风机
JP5442166B2 (ja) 細隙ノズル組立体により空気を吹き込むための装置
CN1477937A (zh) 具有气流出口的截面变化装置的吹风机
KR20220044265A (ko) 기류 장치
KR101828885B1 (ko) 송풍장치
CN107461792A (zh) 一种带有双出风口结构的浴霸
KR101852105B1 (ko) 송풍기
CN211924537U (zh) 流动发生装置
CN208901539U (zh) 一种空调扇风道转动结构及其空调扇
RU229419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анитарной ванны для создания состоящего из воздуха и воды массажного потока
KR101828883B1 (ko) 송풍장치
KR101828915B1 (ko) 송풍기
CN114877511A (zh) 送风装置、空调
JP2019007674A (ja) 空気清浄機
CN209944536U (zh) 旋风装置和具有其的空调器
US11156225B2 (en) Flow generating device
KR2019007804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CN217565183U (zh) 吹风机及吹风机的机头
CN117028320A (zh) 导风结构及出风装置
JPS60247094A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