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105B1 - 송풍기 - Google Patents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105B1
KR101852105B1 KR1020160109135A KR20160109135A KR101852105B1 KR 101852105 B1 KR101852105 B1 KR 101852105B1 KR 1020160109135 A KR1020160109135 A KR 1020160109135A KR 20160109135 A KR20160109135 A KR 20160109135A KR 101852105 B1 KR101852105 B1 KR 101852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ging device
airflow
air
fa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3576A (ko
Inventor
박희철
최규환
구명진
김종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9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105B1/ko
Priority to PCT/KR2017/007850 priority patent/WO2018016900A1/ko
Publication of KR20180023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41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bstract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 상하로 배치되고, 내부에 각각 팬이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기{BLOWER}
본 발명은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란, 공기를 흡입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송풍하는 장치로 이해된다. 이러한 송풍기는 주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에 배치되어, 여름과 같이 더운날씨에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하도록 작동함으로써, 사용자의 식히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종래의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지지대와 송풍장치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송풍기에 관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공개특허공보 10-2008-0087365호 (공개일자 : 2008년 10월 01일, 발명의 명칭 : 선풍기)
개시된 선행문헌에 제시된 종래의 송풍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송풍기는 모터가 내장된 본체, 상기 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의 작동에 따라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날개부, 상기 본체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모터가 결합된 본체의 전방에는 제1 안전커버 및 제2 안전커버가 결합되어 내부에 상기 날개부가 배치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안전커버 및 상기 제2 안전커버는 사용자가 회전하는 상기 날개부에 직접 접촉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송풍기는 상기 본체 내부의 모터가 구동하면, 상기 날개부가 회전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바람을 송풍할 수 있다.
이러한 송풍기는 일반적으로 널리 쓰이는 송풍기에 대한 구성과 동일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런데, 종래의 송풍기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하나의 팬만을 이용하여 바람을 토출시킴에 따라, 토출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토출되는 바람의 집중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복 수의 팬, 예를 들어 두 개의 팬을 사용하는 경우, 팬 간의 결합이나 지지가 약하여, 송풍기의 구조가 불안한 문제가 있다.
셋째, 토출되는 바람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 팬이 바람을 형성하는 방향으로만 바람이 토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두 개의 팬을 사용하여 종래에 비해 강력한 바람을 형성할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두 개의 팬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서로 견고히 지지됨에 따라 동작중에도 안정적인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팬으로부터 발생한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함에 따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가이드함으로써, 바람의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송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상하로 배치되고, 내부에 각각 팬이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부를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이 형성된 제1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는,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안착면의 테두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면이 형성된 제2 기류변화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는,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는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은 상기 제2 안착면의 테두리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하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 및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상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가 제3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발생된 공기유동을 일측으로 토출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발생된 공기유동을 일측으로 토출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함으로써, 팬에 의해 발생한 공기유동을 일측으로 몰아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흡입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하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하부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두 개의 팬을 사용하여 종래의 송풍기에 비해 강력한 바람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두 개의 팬이 상하로 배치되면서, 서로 견고히 지지됨에 따라 송풍동작 중에도 안정적인 구조를 가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팬으로부터 각각 발생한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기류변화장치를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를 일 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흡입부 및 제1 케이스의 분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에서 제1 케이스 및 상부흡입부를 제거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분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에서 제2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흡입부 및 제2 케이스의 분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의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부와 제2 기류변화장치의 분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 및 제2 송풍장치가 결합된 구성의 측단면도.
도 17은 제3 고정부의 분해를 통한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제2 기류변화장치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제1 기류(A)를 발생시키는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기류(B)를 발생시키는 제2 송풍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하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A)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중앙부 외측으로 토출되는 기류일 수 있고, 상기 제2 기류(B)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 즉 상기 제2 송풍장치(100)의 하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가 흡입되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중앙부 외측으로 토출되는 기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동일한 중심축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하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송풍장치(10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은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중심을 잇는 가상의 선으로, 방향을 위해 설정한 가상의 선일 뿐, 실제로 형태를 갖는 구성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외관과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외관은 동일한 형상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하단에서 제1 토출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제1 기류(A)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단에서 제2 토출방향으로 토출함으로써 제2 기류(B)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기류(A)의 상기 제1 토출방향과 상기 제2 기류(B)의 상기 제2 토출방향은 서로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토출방향이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방인 경우, 상기 제2 토출방향 역시 전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방향과 상기 제2 토출방향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토출방향이 본체(10)를 기준으로 전방일 경우, 상기 제2 토출방향은 후방일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방향 및 상기 제2 토출방향은, 후술할 제어부가 상기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송풍장치(200)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1 송풍장치(100)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제1 기류(A)와 상기 제2 송풍장치(200)로부터 토출되는 제2 기류(B)의 방향을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A)의 상기 제1 토출방향과 상기 제2 기류(B)의 상기 제2 토출방향이 동일한 방향인 경우의 유동제어를 ‘집중기류제어’로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1 토출방향과 상기 제2 토출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인 경우의 유동제어를 ‘분산기류제어’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중기류제어와 상기 분산기류제어 상태에서, 사용자는 회전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지지장치(30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지지장치(300)는 상기 본체(10)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장치(310)와,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하단에 연결되고, 지면에 수평하게 배치된 플레이트 형태의 제2 지지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제2 지지장치(320)를 연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Y자 형태의 파이프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Y자 형태 파이프의 상부는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연결되고, Y자 형태 파이프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내부에 다 수의 배선이 수용되는 배선수용공간(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지지장치(310)는 내부에 배선수용공간(311)이 형성된 파이프일 수 있고,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배선이 상기 제1 지지장치(310) 내부공간을 통해 상기 제2 지지장치(320)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배선은 상기 본체(10)와 후술할 제어부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하단에 연결되어, 지면에 수평하게 안치됨으로써, 상기 본체(10)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다. 즉,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지면에 수평한 베이스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장치(320)는 내부에 상기 본체(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배선은 일단이 상기 본체(1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 지지장치(310)의 상기 배선수용공간(311)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지지장치(320)로 유입되어 상기 제2 지지장치(32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본체(10)와 상기 제어부(400)를 연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상기 제어부(400) 및 배선을 상기 지지장치(300)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0)의 크기를 컴팩트하게 유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지지장치(320) 내부에 배치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 및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회전제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의 본체(1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 본체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흡입부 및 제1 케이스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고정부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의 분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에서 제1 케이스 및 상부흡입부를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송풍장치(100) 및 제2 송풍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하단의 제1 토출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부에 배치되어 상측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상부흡입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흡입부(1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제1 흡입개구(110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흡입부(110)는 끝부분이 잘린 원추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외주면의 높이는 내주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연장선은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된 공기는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라운드진 경사면을 따라 유동하여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흡입력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내주면측에는 필터(111)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필터장착부(112)는 대량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에 필터장착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장착개구의 크기는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상기 제1 흡입개구(110a)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필터(111)는 외주면이 상기 필터장착개구의 지름에 대응되는 크기의 지름을 가진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필터장착개구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상기 제1 흡입개구(110a)에는 상기 필터(111)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필터(111)에 의해 여과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걸러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필터(111)의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필터장착부(112)의 외면에는 필터장착부(112)의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는 상기 필터장착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리브(112a)는 상기 필터장착부(112)가 후술할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 형성된 제1 절곡리브(113b)에 결합될 수 있는 수단으로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하부와 결합하여, 외관을 형성하는 제1 케이스(1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케이스(11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부 직경은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하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케이스(113)의 하부는 상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에는 외주면과 내주면 사이에 일정한 폭이 형성됨에 따라 상면(113a) 및 하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하면이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흡입부(110)와 상기 제1 케이스(113)가 외부에서 육안으로 볼 시 일체화된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는 연장선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는 상기 필터장착부(112)에 형성된 상기 다 수의 제1 돌출리브(112a)가 결합할 수 있는 다 수의 제1 절곡리브(1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절곡리브(113b)는 ㄱ 자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장착부(112)를 상기 제1 케이스(113)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필터장착부(112)를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에 배치하여 회전시켜 상기 제1 돌출리브(112a)를 상기 제1 절곡리브(113b)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113a)에는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결합할 수 있는 다 수의 제1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2 돌출리브(113c)가 상기 다 수의 제1 결합홈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케이스(113)의 상면과 상기 상부흡입부(110)의 하면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케이스(113)의 내주면측에는, 제1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상부흡입부(11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동과, 후술할 제1 회전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유동을 발생시키는 수단이다. 이러한 유동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고정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고정부는 회전하는 상부팬(120), 상기 상부팬(1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상부팬모터(130), 및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팬모터(130)가 수용되는 상부팬하우징(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팬모터(130)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팬(1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팬모터(130)는 회전축이 상기 상부팬(120)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상부팬(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상부팬모터(130)는 일반적으로 팬에 결합되는 모터라면 그 구성의 제한은 없다.
상기 상부팬(120)은 상기 상부팬모터(13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일 예로, 상기 상부팬(1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부팬(120)은,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축(131)과 결합하는 허브(121), 상기 허브(12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쉬라우드(122) 및 상기 허브(121)와 상기 쉬라우드(122) 사이에 배치되는 다 수의 블레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허브(121)는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21)는 상기 회전축(131)이 결합할 수 있는 축결합부(124)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121) 하측 내부공간에는 상기 상부팬모터(130)가 배치되어, 상기 상부팬모터(130)의 회전축(131)이 상기 허브(121)의 회전축결합부(124)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쉬라우드(122)는, 상기 상부흡입부(110)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상단부 및 상기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통해 연장되는 제2 블레이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3)의 일면은 상기 허브의 제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22)의 제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 수의 블레이드(123)는 상기 허브(121)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23)는, 공기가 유입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리딩 에지 및 공기가 유출되는 측단부를 형성하는 트레일링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흡입부(110)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필터(111)를 통과한 공기는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상부팬(12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리딩에지로 유입되고, 상기 블레이드를 거쳐 상기 트레일링 에지로 유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트레일링 에지를 통하여 유출되는 공기가 반경방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트레일링 에지는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대응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외측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은,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팬모터(130)가 수용되기 위한 제1 결합팬하우징(142) 및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의 상부에 배치된 제1 측부팬하우징(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과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에 의해 내부에 상기 상부팬(120) 및 상기 상부팬모터(1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40a)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은 상부에 배치된 링 형상의 제1 상면부(141a), 하부에 배치된 링 형상의 제1 하면부(141b)와, 상기 제1 상면부(141a)와 상기 제1 하면부(141b)를 연장하기 위한 다 수의 제1 연장부(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링 형상으로 지면에 수직한 면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상단 및 하단이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상면부(141a)는 외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 제2 절곡리브(141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절곡리브(141d)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외부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뒤 상방으로 절곡된 ㄴ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절곡리브(141d)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원주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할 가이드지지장치(150)가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다 수의 제2 절곡리브(141d)와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연장부(141c)는 상기 제1 상면부(141a)의 하단 및 상기 제1 하면부(141b)의 외주면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141c)는 지면에 수직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원주방향으로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 수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면부(141b)는, 링 형상으로 지면에 수평한 면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하면부(141b) 본체 및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의 내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함몰된 제1 함몰부(141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함몰부(141e)는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은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하부에 연결되고, 상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은 제1 측면부(142b), 제2 하면부(142a) 및 상부팬모터결합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면부(142b)는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상기 제1 하면부(141b)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측면부(142b)는 지면에 수직한 면을 가진 링 형상으로 상기 제1 하면부(141b)의 내주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142b) 본체 및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상단에서 하방으로 함몰된 제2 함몰부(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다 수개 형성되어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상하로 배치되어 연통함에 따라 함몰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가 형성한 연통공간을 통해 후술할 제1 피니언기어(143)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외측으로 일부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는, 상기 제2 함몰부(142c)의 하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후술할 제1 피니언기어(143)가 결합할 수 있는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은 상기 제1 하면부(141b) 본체와 평행한 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에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가 결합되면,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가 상하로 연통되어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의 일부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측면부(142b) 본체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 결합면(142d)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후술할 제1 토출부(170)의 제1 렉기어(173)와 맞물리는 기어로써,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일 예로, 상기 제1 함몰부(141e)와 상기 제2 함몰부(142c)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형 형태로 3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 역시 3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3개의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단면인 원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지고, 상단면인 원의 원주면에 꼭지점을 가지는 정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면부(142a)는 상기 제1 측면부(142b)의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팬모터결합부(144)는 제2 하면부(142a)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팬모터(130)가 결합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2 하면부(142a)에는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1 기어모터(14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제1 케이스(1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발생하는 제1 기류(A)를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회전운동 가능한 제1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 유동가이드부(160),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하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1 토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회전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가 회전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단의 직경은 하단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는 상기 상부팬(120)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부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부(161) 및 상기 제1 유로부(161)로부터 경사진 하방으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유로(1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부(161)는 링 형상의 일부가 절개된 C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로부(161)에는 외관을 이루는 측면(161b)과, 측면(161b)의 상단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절곡된 상면(16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측면(161b)과 상면(161a) 사이의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는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절개된 부분을 연장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는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경사진 제1 경사면(162a)과,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 경사면(162a)의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제1 가이드연결부(162b)와, 상기 제1 경사면(162a)의 타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제2 가이드연결부(16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연결부(162b), 상기 제1 경사면(162a) 및 상기 제2 가이드연결부(162c)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공간을 통해 공기가 가이드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이드연결부(162b), 상기 제1 경사면(162a) 및 상기 제2 가이드연결부(162c)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상기 제1 유로부(161)를 통해 유동하던 공기가 상기 제1 토출부(170)로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상면에는 제3 절곡리브(16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절곡리브(161c)에는 후술할 가이드지지장치(150)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세히,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ㄱ 자 형태로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절곡리브(161c)는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유로부(161)의 측면 하단에는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제3 돌출리브(161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상기 제3 토출부가 결합될 수 있는 부분으로, 그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3 돌출리브(161d)는 상기 제3 유로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토출부(170)는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로부터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1 토출부(170)는, 링 형상의 제1 토출본체 및 상기 제1 토출본체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제1 렉기어(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토출본체(171)는 링 형상일 수 있고, 원주방향으로 설정길이만큼 개구된 제1 토출구(17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토출구(172)의 설정길이는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를 통해 가이드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구(172)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상면에는 제4 절곡리브(17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4 절곡리브(171a)는 ㄱ 자 형태로 절곡되고, 다 수개 형성된 경우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를 상기 제1 토출본체(171)에 안착시킨 뒤 회전하면, 상기 제1 유로부(161) 하면의 상기 제3 돌출리브(161d)가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상기 제4 절곡리브(171a)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를 상기 제1 토출부(170)에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와 상기 제1 토출구(172)는 상하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에 형성된 유로와 상기 제1 토출구(172)가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를 통해 가이드된 공기는 상기 제1 토출구(172)를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렉기어(173)는 상기 제1 토출본체(17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렉기어(173)의 내주면에 다 수의 톱니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를 지지하는 가이드지지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는 대략 링 형상으로,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 및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가 하방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에 안착되는 안착부(151)와, 상기 안착부(151)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부분이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되는 결합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51)는 링 형상으로, 하면이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5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다 수의 제2 결합홈(153)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유로부(161) 상면에 형성된 상기 제3 절곡리브(161c)가 상기 제2 결합홈(153)에 삽입되도록 상기 안착부(151)를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면에 안착시킨 뒤,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를 회전시키면 상기 안착부(151)의 일부가 상기 제3 절곡리브(161c)에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가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2)는, 링 형상으로, 상기 안착부(151)의 내주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52)의 일단은 후크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합부(152)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형성된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52)의 연장방향과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의 연장방향은 원주방향으로 동일한 바, 후에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결합부(152)는 상기 제2 절곡리브(141d)의 연장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경우,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 회전부가 하방으로 탈거되거나 위치가 어긋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회전부를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 회전부가 하방으로 탈거되거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제1 송풍장치(100)는 상기 제1 회전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부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측방으로 변환하는 제1 기류변화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회전부로부터 하방으로 토출된 공기의 유동은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의 경사면에 의해 측방으로 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상하를 거꾸로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즉, 상기 제1 송풍장치(10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이라면,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태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에서 제2 케이스를 제거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흡입부 및 제2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의 분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부와 제2 기류변화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하부흡입부(210), 제2 고정부, 제2 유동가이드부(260) 및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본체(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단 제2 토출방향으로 토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하부흡입부(210)는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측의 실내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흡입부(210)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제2 흡입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하부는 상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외주면의 높이는 내주면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외주면으로부터 내주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면(210a)은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연장면(210a) 측에는 히터(201)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연장면(210a)에는 상기 히터(201)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장착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히터장착부(212)는 상기 연장면(210a)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히터(201)의 양 단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히터장착부(212)는 각각 일측에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히터(201)의 일단 및 타단이 끼움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결합의 일 예일 뿐, 상기 히터(201)를 상기 히터장착부(212)에 결합할 수 있다면, 그 결합방법에 대한 제한은 없다.
상기 히터(201)는 막대형상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기 히터장착부(212)의 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히터(201)는 상기 하부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 이해될 수 있고, 그 종류에 대한 제한은 없다.
또한,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상기 제2 흡입개구에는 그릴(21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릴(211)은 중심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일단이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하면에 결합되는 다 수의 제1 그릴(211a) 및 상기 제1 그릴(211a)에 서로 연결된 원형태의 다 수의 제2 그릴(2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211)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히터(201)가 가열되는 경우, 함께 가열되어 상기 하부흡입부(2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가열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흡입부(210)에 상기 히터(201) 및 상기 그릴(211)이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여름철과 같이 더운날씨에는 상기 히터(201)를 구동시키지 않음으로써 시원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고, 겨울철과 같이 추운날씨에는 상기 히터(201)를 구동시킴으로써, 따뜻한 바람이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3)는,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케이스(213)는 대략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케이스(213)의 하부 직경은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상부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제2 케이스(213)의 상부는 하부에 비해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케이스(213)는 상기 제1 케이스(113)를 상하로 뒤집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케이스(213)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가는 연장선은 소정의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케이스(213)의 내주면측에는, 제2 고정부가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하부흡입부(210) 측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유동과, 후술할 제2 회전부로 공기가 토출되는 제2 기류를 발생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하부흡입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가 반대로 뒤집힌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고정부는 회전하는 하부팬(220), 상기 하부팬(22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하부팬모터(230) 및 상기 하부팬(220)과 상기 하부팬모터(230)가 수용되는 하부팬하우징(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모터(230)는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에 회전축이 결합되어, 상기 하부팬(2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팬모터(13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하 방향만 뒤집힌 구조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하부팬모터(230)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는 수단이다. 일 예로, 상기 하부팬(22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상측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하부팬모터(230)의 회전축과 결합하는 허브, 상기 허브(221)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쉬라우드(222) 및 상기 허브(221)와 상기 쉬라우드(222) 사이에 배치되는 다 수의 블레이드(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220)은 상기 상부팬(12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상하 방향만 뒤집힌 구조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하부흡입부(210)를 통해 하측으로부터 상기 히터(201)를 통과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하면서 상기 하부팬(220)의 축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블레이드(223)를 거쳐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은, 상기 하부팬(220)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가 수용되기 위한 제2 결합팬하우징(242) 및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측부팬하우징(2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이 상하로 뒤집힌 구조와 동일한 구조이고,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은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이 상하로 뒤집힌 구조 및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과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에 의해 내부에 상기 하부팬(220) 및 상기 하부팬모터(2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결합팬하우징(242)은 제2 상면부(242a), 제2 측면부 및 하부팬모터결합부(244)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결합팬하우징(142)의 상기 제2 하면부(142a), 상기 제2 측면부(142b) 및 상기 상부팬모터결합부 (144)가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측부팬하우징(241)은 제3 상면부(241b), 제3 하면부(241a) 및 제2 연장부(241c)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측부팬하우징(141)의 상기 제1 하면부(141b), 상기 제1 상면부(141a) 및 제1 연장부(141c)가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한 바,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피니언기어(143)가 배치된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위치에 해당하는 하부팬하우징(240)의 위치에는 제2 피니언기어(243)가 배치되어 있음을 알려둔다. 또한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에는 상기 제2 피니언기어(243)가 구동되기 위한 제2 기어모터(245)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제2 케이스(213)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발생하는 제2 기류(B)를 가이드하여 외부로 토출하기 위해 회전운동 가능한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가이드하는 제2 유동가이드부(260), 상기 제2 유동가이드부(260)의 상측에 배치되어 가이드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2 토출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회전부는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2 유동가이드부(260) 및 상기 제2 토출부(270)는 전술한 상기 제1 회전부의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 및 상기 제1 토출부(170)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유동가이드부(260)는 제2 유로부(261) 및 제2 가이드유로(26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유로부(261) 및 상기 제2 가이드유로(262)의 각 구성은 상기 제1 유동가이드부(160)의 상기 제1 유로부(161) 및 상기 제1 가이드유로(162)의 구성을 상하로 뒤집은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고, 그 효과 역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2 토출부(270)는 제2 토출구(272)가 형성된 제2 토출본체(271) 및 제2 렉기어(273)를 포함할 수 있고, 각 구성은 상기 제1 토출부(170)의 제1 토출구(172)가 형성된 상기 제1 토출본체(172) 및 상기 제1 렉기어(173)의 구성이 상하로 뒤집힌 구성과 동일하고, 그 효과 역시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중복설명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제2 토출본체
또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의 구성 중 상기 가이드지지장치(150)의 구성은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송풍장치(100)의 전체외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형상인 것과 반대로 상기 제2 송풍장치(200)의 전체외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의 제2 유동가이드부(260)가 하방으로 탈거될 염려가 없어, 상기 제2 유동가이드부(260)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2 회전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토출된 공기의 유동을 측방으로 변환하는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이 외측으로 갈수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회전부로부터 상방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경사면에 의해 측방으로 유동방향이 변환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를 통합하여 제3 고정부로 정의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장치 및 제2 송풍장치가 결합된 구성의 측단면도이고, 도 17은 제3 고정부의 분해를 통한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제2 기류변화장치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
도 16 및 17을 참조하면,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고정부 및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면, 상세히,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상면이 상기 제3 고정부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3 고정부의 상면이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면, 즉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부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가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가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는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면(180a)과, 상기 제1 안착면(180a)의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일정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곡면부(180b)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1 곡면부(180b)는 상기 제1 안착면(180a)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곡면부(180b)는 하방으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상측의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생성된 공기가 상기 제1 토출가이드부를 통해 하방으로 토출되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1 곡면부(180b)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면(180a)의 상면, 즉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하면이 안착되는 부분에는 다 수의 연통돌기(184)가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다 수의 연통홈(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연통돌기(184)는 상기 상부팬하우징(140)의 하면에 형성된 다 수의 연통돌기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면(180a)에 배치된 상기 다 수의 연통홈(181)은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후술할 제2 안착면(280a)에 배치된 다 수의 연통홈(281)과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면(180a)에는 다 수의 제1 결합홈(18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안착면(180a)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1 결합돌기(1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면(180a)에 형성된 다 수의 제1 결합돌기(183)는 후술할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의 상기 제2 안착면(280a)의 상면에 형성된 다 수의 제2 결합돌기(283)과 그 형상이 동일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를 상하방향으로 뒤집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는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면이 안착되는 제2 안착면(280a)과, 상기 제2 안착면(280a)의 테두리부에서 상방으로 일정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곡면부(280b)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제2 곡면부(280b)는 상기 제1 안착면(280a)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곡면부(280b)는 상방으로 곡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하측의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생성된 공기가 상기 제2 토출가이드부를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면,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곡면부(280b)의 연장방향을 따라 가이드됨으로써 반경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면(280a)의 하면, 즉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에는 다 수의 연통돌기(미도시)가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다 수의 연통홈(2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연통돌기(미도시)는 상기 제1 안착면
(180a)의 상면에 형성된 다 수의 연통돌기(184)와 그 형상은 동일하고 돌출방향만 반대방향일 수 있다. 상기 다 수의 연통골기(미도시)가 상기 하부팬하우징(240)의 상면에 형성된 다 수의 연통돌기끼움홈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면(280a)에 배치된 상기 다 수의 연통홈(281)은 상기 제1 안착면(180a)에 배치된 다 수의 연통홈(181)과 연통될 수 있음은 이미 상술하였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면(280a)에는 다 수의 제2 결합홈(28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안착면(180a)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2 결합돌기(28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2 결합돌기(283)는 상방으로 돌출되고 ㄱ자로 꺽인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면(180a)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1 결합돌기(미도시)는 상기 제2 안착면(280a)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다 수의 제2 결합돌기와 그 돌출방향 및 배치위치만 상이할 뿐, 형상은 동일할 수 있음은 전술하였다.
상기 다 수의 제1 결합홈(182), 다 수의 제1 결합돌기(미도시), 다 수의 제2 결합홈(282) 및 다 수의 제2 결합돌기(283)를 통합하여 결합부로 통칭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 수의 제1 결합홈(182)에 상기 다 수의 제2 결합돌기(283)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다 수의 제2 결합홈(282)에 상기 다 수의 제1 결합돌기(미도시)가 끼움결합 됨으로써,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180)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280)가 상기 제3 고정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내부에 각각 상부팬 및 하부팬이 각각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고, 그 사이에 제3 고정부가 배치되어 공기가 반경방향으로 효과적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송풍기는 상기 제2 고정부가 상기 제3 고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3 고정부가 상기 제1 고정부를 지지함으로써, 서로 간에 지지관계가 견고하게 됨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상하로 배치되고, 내부에 각각 팬이 배치되어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및
    상기 제1 고정부 및 제2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고,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3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부는 상기 제3 고정부를 지지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면이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이 형성된 제1 기류변화장치;
    상기 제2 고정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2 안착면이 형성된 제2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 및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를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는,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1 곡면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은 상기 제1 안착면의 테두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는,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반경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 곡면부를 포함하는 송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부는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외주면은 상기 제2 안착면의 테두리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류변화장치의 하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 및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류변화장치의 상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 및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을 포함하는 송풍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돌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홈에 결합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결합돌기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발생된 공기유동을 일측으로 토출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2 고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 발생된 공기유동을 일측으로 토출하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송풍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 상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상부흡입부; 및
    상기 제2 고정부 하측에 배치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하부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송풍기.

KR1020160109135A 2016-07-20 2016-08-26 송풍기 KR101852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135A KR101852105B1 (ko) 2016-08-26 2016-08-26 송풍기
PCT/KR2017/007850 WO2018016900A1 (ko) 2016-07-20 2017-07-20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135A KR101852105B1 (ko) 2016-08-26 2016-08-26 송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576A KR20180023576A (ko) 2018-03-07
KR101852105B1 true KR101852105B1 (ko) 2018-04-25

Family

ID=6168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135A KR101852105B1 (ko) 2016-07-20 2016-08-26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1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787B1 (ko) * 1996-11-20 2000-11-01 다니구찌 이찌로오 환기송풍장치및환기송풍시스템
KR101416303B1 (ko) 2013-04-04 2014-07-09 주식회사 네프론 직립형 유동 발생기
KR101623692B1 (ko)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0787B1 (ko) * 1996-11-20 2000-11-01 다니구찌 이찌로오 환기송풍장치및환기송풍시스템
KR101416303B1 (ko) 2013-04-04 2014-07-09 주식회사 네프론 직립형 유동 발생기
KR101623692B1 (ko) 2015-12-29 2016-05-23 황용학 천장형 공기 조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576A (ko) 2018-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905B1 (ko) 송풍기
KR101828897B1 (ko) 송풍기
US20200078719A1 (en) Air cleaner
US11525589B2 (en) Air cleaner
EP3012547B1 (en) Air purifier
CN107642494B (zh) 吹风机
JP5964885B2 (ja) ファンレス扇風機
KR101828885B1 (ko) 송풍장치
KR101852105B1 (ko) 송풍기
KR101828883B1 (ko) 송풍장치
KR101828915B1 (ko) 송풍기
US20200355191A1 (en) Flow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