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355B1 -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355B1
KR100323355B1 KR1019990032611A KR19990032611A KR100323355B1 KR 100323355 B1 KR100323355 B1 KR 100323355B1 KR 1019990032611 A KR1019990032611 A KR 1019990032611A KR 19990032611 A KR19990032611 A KR 19990032611A KR 100323355 B1 KR100323355 B1 KR 100323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drive gear
diameter portion
front grill
w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117A (ko
Inventor
황용근
Original Assignee
황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용근 filed Critical 황용근
Priority to KR1019990032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335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2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3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풍기의 날개전면에 부착되는 전면그릴망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선풍기의 팬작동부를 회전되게 하지 않고서도 팬작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풍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선풍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측의 구동축(11)에는 팬(2)이 설치되는 통상의 구동모터(1)의 타측에는 연결축(12)을 동축으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축(12)에는 제1 구동기어(3)의 대경부(31)가 접촉되게 하고, 상기 제1 구동기어(3)의 소경부(32)에는 제2 구동기어(4)의 대경부(41)가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구동기어(4)의 소경부(42)에는 받침대(7)에 피봇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덮여지도록 다수의 경사그릴(51)을 갖는 전면그릴망(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2)가 치합되어 이루어진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제1 구동기어(3)에 대한 구동력전달을 끊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면그릴망(5)에 대한 회전여부를 선택 결정할수 있도록 하는 조작구(8)가 설치된 것으로, 바람이 발생되는 팬작동부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발생된 바람이 보다 넓은 범위에 미치도록 함으로써 장소가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도 바람의 발산방향을 달리해가며 선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전면그릴망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어 원하는 일정각도로 풍향을 고정시킬 수 있고, 팬작동부가 기대상에서 회전되어야 하는데 따른 작동소음 및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선풍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rotary fan have a rotatable grille}
본 발명은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풍기의 날개전면에 부착되는 전면그릴망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선풍기의 팬작동부를 회전되게 하지 않고서도 팬작동부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풍향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좁은 설치공간에서도 선풍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절기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선풍기들의 경우, 그 대부분이 필요에 따라 선풍기 작동중 발생되는 바람의 풍향을 주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선풍기의 팬작동부가 본체의 기대상에 설치된 상태로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반복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의 넓은 부분에 까지 선풍기바람이 골고루 미치도록 하여 선풍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같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작동부가 선풍기 본체의 기대선단에 피봇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선풍기 작동시 필요에 따라 작동부를 회전시켜 바람을 실내의 넓은 범위로 골고루 공급되게 하는 종래의 선풍기는 일정크기의 직경을 갖는 팬작동부가 회전되게 됨에 따른 회전반경을 보장하는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본체의 기대에 대해 팬작동부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작동소음을 발생시키게 됨과 동시에 작동부와 기대 연결부위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어 선풍기에 대한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바람을 발생시키는 팬작동부가 기대선단에서 좌우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전 작동되도록 하여 발생되는 바람을 넓은 범위에 걸쳐 보낼 수 있도록 한 종래의 선풍기가 지닌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을 발생시키는 작동부 전면에 설치되는 전면 그릴망의 그릴을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한 상태 전면그릴망으로 하여금 팬을 구동시키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면그릴망을 고정시킬 수 있어 풍향을 일정방향으로 향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구동부의 일부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구동부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요부인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선풍기의 전면그릴망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풍기의 전면그릴망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구동모터 2: 팬 3: 제1 구동기어
4: 제2 구동기어 5: 전면그릴망 8: 조작구
9: 인장스프링 10: 작동편 11; 구동축
12: 연결축 31,41: 대경부 32,42: 소경부
51: 경사그릴 52: 기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A)는, 일측의 구동축(11)에 팬(2)이 설치되는 통상의 구동모터(1)의 타측에는 연결축(12)을 동축으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축(12)에는 제1 구동기어(3)의 대경부(31)가 접촉되게 하고, 상기 제1 구동기어(3)의 소경부(32)에는 제2 구동기어(4)의 대경부(41)가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구동기어(4)의 소경부(42)에는 받침대(7)에 피봇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덮여지도록 다수의 경사그릴(51)을 갖는 전면그릴망(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2)가 치합되어 이루어진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에 있어서,전면에 돌기(82)가 형성되고 후면 상부에 돌출부(81)가 형성되고 하부에 작동부(83)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그릴망(5)의 중앙개구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덮개(62)의 가이드홈(62a)내에서 이동되는 돌기(82)에 의해 조작구(8) 상면의 돌출부(81)가 본체(6)중앙에 설치되는 스토퍼(61)와 접촉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 구동기어(3)에 대한 구동력전달을 끊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면그릴망(5)에 대한 회전여부를 선택 결정할수 있도록 하는 조작구(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의 구성요부인 구동부의 일부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선풍기의 구성요부인 구동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선풍기의 구성요부인 전면그릴망의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구동모터(1)와 제1 및 제2 구동기어(3)(4)와 전면그릴망(5)과 조작구(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동모터(1)는 그 양측으로 구동축(11)과 연결축(12)을 동축으로 설치하여, 일측의 구동축(11)에는 공지의 팬(2)을 설치하고 타측의 연결축(12)에는 제1 구동기어(3)를 설치하여 구동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제1 구동기어(3)는 상기 연결축(12)외면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 대략 고무재로 되는 원판형의 대경부(31)와, 이 대경부(31)를 통해 전달받은 구동모터(1)의 구동력을 제2 구동기어(4)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형상의 소경부(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구동기어(4)는 상기 제1 구동기어(3)의 소경부(32)에 치합되는 대경부(41)와, 이 대경부(41)를 통해 전달받은 제1 구동기어(3)의 구동력을 전면그릴망(5)에 전달하기 위한 소경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그릴망(5)은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서로 평행한 상태로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다수의 경사그릴(51)을 설치하되, 그 중앙의 개방부 내측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구동기어(4)의 소경부(42)와 치합되는 기어부(52)를 형성함으로써 구동모터(1)의 회전력이 제1 기어(3) 및 제2 기어(4)를거쳐 전면그릴망(5)에 전달되게 하여 이 전면그릴망(5)으로 하여금 필요에 따라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그 경사그릴(51)의 위치를 연속적으로 바꿔가며 회전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조작구(8)는, 지지축(10a)에 상기 제1 기어(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작동편(10)이 인장스프링(9)의 인장력에 의해 제1기어(3)가 항상 구동모터(1)의 연결축(11)외면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필요에 따라 제1 구동기어(3)를 인장스프링(9)의 인장력에 대항하여 밀어냄으로써 구동모터(1)의 구동력이 순간적으로 제1구동기어(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그릴망(5)의 중앙개구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덮개(62)의 가이드홈(62a)내에서 이동되는 돌기(82)에 의해 조작구(8)상면의 돌출부(81)가 본체(6)중앙에 설치되는 스토퍼(61)와 접촉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 구동기어(3)에 대한 구동력전달을 끊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면그릴망(5)에 대한 회전여부를 선택 결정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선풍기를 이루는 전면그릴망의 회전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본 발명의 선풍기(A)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그릴망(5)의 중앙 개방부상에 위치되는 조작구(8)를 도4a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면그릴망(5)의 회전위치로 둔 상태에서 받침대(7)전면의 스위치부(71)를 조작하여 본 발명의 선풍기(A)를 작동시키게 되면 구동모터(1)가 작동되면서 팬(2)이 구동되어 바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팬(2)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의 타측에는 상기 팬(2)이 끼워진 구동축(11)과 동축으로 연결축(12)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인해 이 연결축(12)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면그릴망(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인바, 연결축(12)의 회전력은 이 연결축(12) 외면에 밀접되도록 접촉되는 제1 구동기어(3)의 대경부(31)에 전달되어 이 제1 구동기어(3)의 소경부(32)에 치합된 제2 구동기어(4)의 대경부(41)에 전달되어 제2 구동기어(4)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2 구동기어(4)의 구동력은 다시 소경부(42)에 의해 전면그릴망(5)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2)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므로 전면그릴망(5)은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속도로 회전되게 된다.
이렇게 구동모터(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전면그릴망(5)에는 다수의 경사그릴(51)이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다수의 경사그릴(51)을 통해 선풍기(A)외부로 발산되는 바람은 회전되는 전면그릴망(5)의 경사그릴(51)을 통과하는 순간 정면을 똑바로 향하는 것이 아닌 선풍기(A)를 정면에서 보아 그 중심에 대해 방사상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바람을 내보낼 수 있게 되므로 선풍기(A)의 본체(6)가 회전하지 않고서도 팬(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실내 구석구석까지 폭넓게 미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회전되면서 팬(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다양한 각도로 분산시키는 전면그릴망(5)의 회전을 정지시켜 바람을 한 방향으로만 보내도록 할때에는, 전면그릴망(5)의 중앙개구부상에 위치되는 조작구(8)를 그 전면부의 돌기(82)를 잡고서 도4b에 도시한 바와같이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조작구(8)상면의 돌출부(81)가 이동되어 본체중앙의 스토퍼(61)와 접촉되어 걸리면서 이 조작구(8)일측의 작동부(83)가, 제1구동기어(3)가 회전가능하게 끼워 설치된 작동편(10)의 지지축(10a)을 일측으로 밀게 되면서 구동모터(1)의 연결축(12)외면에 접촉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던 제1구동기어(3)의 대경부(31)로 하여금 연결축(12)외면으로 부터 분리되게 함으로써 더 이상 구동모터(1)의 회전력이 제1 구동기어(3)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전면그릴망(5)에 대한 회전작동을 중지시켜 팬(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한방향으로만 보낼 수 있게 된다.
이후 다시 팬(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의 발산방향을 다시 여러방향으로 넓은 범위에 걸쳐 보내기 위해서는 다시 조작구(8)의 돌기(82)를 잡고서 반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제1 구동기어(3)는 작동편(10)상단에 연결된 인장스프링(9)의 인장력에 의해 구동모터(1)의 연결축(12)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 구동기어(3)의 대경부(31)로 하여금 연결축(12)외면에 자연스럽게 접촉상태로 유지되게 하여 구동모터(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전면그릴망(5)을 다시 회전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팬(2)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을 선풍기(A)의 전면 여러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보낼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선풍기(A)전면에 설치되는 전면그릴망(5)에 다수 형성되는 경사그릴(51)의 경사각도나 그 설치개수를 제한하지는 않는 것이며, 그 설치사용에 있어서도 받침대(7)에 의해 선풍기(A)를 세워서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 상기 받침대(7)의 바닥에 못구멍(도시생략)을 형성하여 이 못구멍을 이용하여 벽에 걸어서 사용할수도 있는등 그 설치사용방법 역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에 의하면 바람을 발생시키기 위해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의 타측에 동축으로 연결축을 설치하여, 이 연결축의 회전력이 제1 구동기어 및 제2 구동기어를 거쳐 전면그릴망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에 그대로 전달되게 하는 것에 의해 전면그릴망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팬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으로 하여금 회전상태의 전면그릴망에 형성된 다수의 경사그릴을 통과되게 하여 바람의 발산방향을 폭넓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람이 발생되는 팬작동부를 회전시키지 않고서도 발생된 바람이 보다 넓은 범위에 미치도록 함으로써 장소가 협소한 좁은 공간에서도 바람의 발산방향을 달리해가며 선풍기를 사용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조작구의 조작에 의해 전면그릴망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어 원하는 일정각도로 풍향을 고정시킬 수 있고, 팬작동부가 기대상에서 회전되어야 하는데 따른 작동소음 및 고장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선풍기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일측의 구동축(11)에 팬(2)이 설치되는 통상의 구동모터(1)의 타측에는 연결축(12)을 동축으로 설치하되, 상기 연결축(12)에는 제1 구동기어(3)의 대경부(31)가 접촉되게 하고, 상기 제1 구동기어(3)의 소경부(32)에는 제2 구동기어(4)의 대경부(41)가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구동기어(4)의 소경부(42)에는 받침대(7)에 피봇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선풍기본체(6)의 전면에 덮여지도록 다수의 경사그릴(51)을 갖는 전면그릴망(5)의 내주면에 형성된 기어부(52)가 치합되어 이루어지는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A)를 구성함에 있어서,
    전면에 돌기(82)가 형성되고 후면 상부에 돌출부(81)가 형성되고 하부에 작동부(83)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그릴망(5)의 중앙개구부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덮개(62)의 가이드홈(62a)내에서 이동되는 돌기(82)에 의해 조작구(8) 상면의 돌출부(81)가 본체(6)중앙에 설치되는 스토퍼(61)와 접촉되어 걸리도록 함으로써, 제1 구동기어(3)에 대한 구동력전달을 끊거나 다시 연결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전면그릴망(5)에 대한 회전여부를 선택 결정할수 있도록 하는 조작구(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1019990032611A 1999-08-09 1999-08-09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100323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11A KR100323355B1 (ko) 1999-08-09 1999-08-09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2611A KR100323355B1 (ko) 1999-08-09 1999-08-09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210 Division 1999-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117A KR20000062117A (ko) 2000-10-25
KR100323355B1 true KR100323355B1 (ko) 2002-02-19

Family

ID=19606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2611A KR100323355B1 (ko) 1999-08-09 1999-08-09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3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21B1 (ko) 2007-12-20 2009-09-08 최도순 성에 및 김서림 제거장치
WO2018016883A1 (ko) * 2016-07-20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9245B (zh) * 2017-07-31 2019-08-23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风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521B1 (ko) 2007-12-20 2009-09-08 최도순 성에 및 김서림 제거장치
WO2018016883A1 (ko) * 2016-07-20 2018-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KR101828905B1 (ko) * 2016-07-20 2018-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송풍기
CN109477490A (zh) * 2016-07-20 2019-03-15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CN109477490B (zh) * 2016-07-20 2020-09-18 Lg电子株式会社 送风机
US11187240B2 (en) 2016-07-20 2021-11-30 Lg Electronics Inc. Bl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117A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60344C (en) Pivotable heater
US20050238478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US4959645A (en) Remotely activated television swivel base
KR100383888B1 (ko)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도 조절 장치
KR100323355B1 (ko)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200173232Y1 (ko) 전면 그릴망 회전식 선풍기
KR100815484B1 (ko) 풍향 및 풍량 조절 라인 디퓨져
CN105444260A (zh) 一种壁挂式空调室内机及壁挂式空调器
KR20020019746A (ko) 회전식 선풍장치
KR100734745B1 (ko) 전방향 및 단방향으로 풍향의 전환 사용이 가능한 선풍기
KR100576107B1 (ko) 선풍기의 그릴 회전 장치
KR200493697Y1 (ko) 공기 순환 선풍기 구조
CN214742265U (zh) 便携风扇装置
JPH1114134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US4365542A (en) Electric fan
KR200224683Y1 (ko) 탁상용 회전식 선풍장치
KR200229990Y1 (ko) 선풍기
JP2002213163A (ja) ブラインドの回転機構
KR200216280Y1 (ko) 회전식 선풍기의 전원인가장치
KR200435602Y1 (ko) 난방용 회전 히터
KR980009953A (ko) 선풍기의 팬구동방법과 선풍장치
KR200201424Y1 (ko) 선풍기
KR100364902B1 (ko) 공기조화기의 공기토출구 개폐용 셔터구동장치
KR200203020Y1 (ko) 선풍기
JP2023181040A (ja) 扇風機台座及び扇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522

Effective date: 2007112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2X2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080404

Effective date: 2008122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