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877B1 -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 Google Patents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3877B1
KR101733877B1 KR1020150122986A KR20150122986A KR101733877B1 KR 101733877 B1 KR101733877 B1 KR 101733877B1 KR 1020150122986 A KR1020150122986 A KR 1020150122986A KR 20150122986 A KR20150122986 A KR 20150122986A KR 101733877 B1 KR101733877 B1 KR 10173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housing
main body
engag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2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5891A (ko
Inventor
김진현
곽민수
신재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22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387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0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은, 회전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는 상기 구동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DRIVING UNIT AND ELECTRIC FA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 전원 단자를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여 테이블로 겸용 가능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선풍기는 실내 등에서 전동기의 축에 장치한 날개가 회전하면서 바람을 일으켜 서늘한 느낌을 주는 기계이다.
선풍기는 모양과 용도에 따라서 탁상선풍기, 스탠드선풍기, 환기선풍기, 천장선풍기, 탁하선풍기 등이 있으며, 최신식 선풍기에는 속도조절과 회전조절이 먼 거리에서도 가능한 리모컨식과 마이크로컴퓨터를 내장하여 자동적으로 바람의 속도를 조절하여 쾌적하게 잠이 들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갖추어진 것도 있다.
또한, 선풍기는 더운 여름에 선선한 바람을 일으키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공기가 탁한 지하실 같은 곳에서 환기용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또 색다른 사용법으로는 세탁물을 건조시킬 때, 더운 음식을 식힐 때, 목욕 후의 머리를 말릴 때 등에도 사용된다.
한편, 여름철 선풍기 사용기간은 6월 내지 9월(약 80 내지 100일) 정도이며, 그 이후의 기간(260 내지 280일) 동안은 창고나 기타 보관 장소에 장기간 보관을 하게 된다.
최근 핵가족 시대가 도래되어 1인 가구가 늘어나 10평 미만의 원룸 수요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선풍기는 온실가스로 인한 연 평균 기온의 상승과 여름철 전력수급의 불안정으로 인해 보급률이 매우 높지만, 보관 시 미관상 좋지 않은 점과 공간을 차지하는 단점이 있고 무엇보다 사용기간에 비해 보관기간이 매우 길다. 뿐만 아니라 보관 시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오염관리도 신경을 써야 하며 무엇보다 선풍기 목 부분이 구조적으로 취약하여 자주 부러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선풍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2011년 8월 19일에 출원된 선행문헌 제2011-0082799에는 날개 없는 선풍기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장착되고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장착되지 않는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본체 및 구동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구동부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어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경우 선풍기로 활용되고 상기 구동부가 비작동되는 경우 테이블로 활용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테이블로 활용 시 받게 되는 하중에 견디기 충분하게 하우징의 단면계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어, 선풍기 목(neck) 부분의 취약함을 개선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구동부가 송풍 구동 부재 및 선회 구동 부재를 포함하여 송풍 날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헤드를 선회 운동시킬 수 있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동 부재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결합 부재 및 수용 요소의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본체 및 구동부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고, 구동부 또는 헤드의 구동에 의한 본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선풍기 및 테이블을 겸용으로 하여 연중 사용이 가능하여 비활용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관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며, 테이블의 별도 구매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일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하단 또는 헤드에 덮개를 장착함으로써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헤드 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결합 부재 및 수용 요소에 각각 장착된 단자 접촉에 의해 구동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에 전원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유닛은, 회전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는 상기 구동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연결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결된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는, 전원이 공급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부; 및 배면 중앙이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 날개가 구비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송풍 날개에 장착된 회전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 구동 부재; 상기 송풍 구동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게 연결되는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는 복수 개로 마련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는, 상기 헤드의 정면이 전방을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헤드의 정면이 상부를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헤드와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제1 결합 부재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가 장착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본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작동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본체 상단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 부재가 결합 가능한 수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 부재에는 상기 구동부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홈 및 돌기가 번갈아 형성되어,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가 스플라인(spline) 결합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송풍 구동 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헤드를 선회 운동시키는 선회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회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반대되게 상기 모터로부터 이격 배치된 선회 구동축; 회전 중심이 상기 선회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단에 편심되게 연결된 편심 돌기; 일단에 상기 편심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선회 운동하는 가이드 바; 및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바의 타단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의하면,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하단 또는 상기 헤드의 정면에 장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장착되고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다른 하나에는 전원 단자가 장착되지 않는 구동 유닛을 이용하여, 본체 및 구동부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구동부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어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경우 선풍기로 활용되고 상기 구동부가 비작동되는 경우 테이블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테이블로 활용 시 받게 되는 하중에 견디기 충분하게 하우징의 단면계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어, 선풍기 목(neck) 부분의 취약함을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구동부가 송풍 구동 부재 및 선회 구동 부재를 포함하여 송풍 날개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헤드를 선회 운동시킬 수 있고,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구동 부재가 안정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결합 부재 및 수용 요소의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본체 및 구동부의 결합이 견고해질 수 있고, 구동부 또는 헤드의 구동에 의한 본체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선풍기 및 테이블을 겸용으로 하여 연중 사용이 가능하여 비활용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관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며, 테이블의 별도 구매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본체의 하단 또는 헤드에 덮개를 장착함으로써 본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헤드 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 의하면, 결합 부재 및 수용 요소에 각각 장착된 단자 접촉에 의해 구동부에 전원이 공급되어, 구동부를 작동시키기 위해 외부에 전원선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가 테이블로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서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한다.
도 6은 본체 및 구동부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가 테이블로 변형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에서 구동부를 상세히 도시하고, 도 6은 본체 및 구동부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다.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는 본체(100), 구동부(200), 헤드(300) 및 덮개(400)를 포함하여, 선풍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는 도 1 및 2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테이블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풍기 및 테이블을 겸용으로 하여 연중 사용이 가능하여 비활용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보관 공간의 활용이 용이하며, 테이블의 별도 구매가 필요 없으므로 경제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선풍기가 테이블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의 구조에 기인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00)는 구동부(200) 및 헤드(300)를 지지하기에 바람직한 크기 및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헤드(3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구비하는 원판형으로 마련된 제1 부분(102) 및 상기 제1 부분(102)의 중앙으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부분(10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분(102)은 지면 상에 또는 선풍기(10)가 배치될 필요가 있는 곳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상단,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부분(104)의 상단 내측에는 구동부(200)와 결합 가능하도록 수용 부재(110)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200) 및 수용 부재(110)는 스플라인(spline) 결합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부재(110)에는 홈(112) 및 돌기(114)가 번갈아 형성될 수 있으며, 구동부(200)에는 상기 홈(112) 및 돌기(114)에 대응되도록 홈(2422, 2442) 및 돌기(2424, 2444)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 부재(110)의 홈(112)에는 구동부(200)의 돌기(2424, 2444)가 결합되고 수용 부재(110)의 돌기(114)에는 구동부(200)의 홈(2422, 2442)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6을 참조하여, 수용 부재(110)의 홈(112) 또는 돌기(114)에는 단자(116), 구체적으로 전원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단자(116)는 본체(100)에 공급된 전원을 구동부(2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동부(200)에는 수용 부재(100)에 장착된 단자(116)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 부재(110)의 홈(112)에 단자(116)가 장착된 경우, 구동부(200)의 돌기(2424, 2444)에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으며, 수용 부재(110)의 돌기(114)에 단자(116)가 장착된 경우, 구동부(200)의 홈(2422, 2442)에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수용 부재(110)의 홈(112) 및 돌기(114) 모두에 단자(116)에 장착된 경우, 구동부(200)의 홈(2422, 2442) 및 돌기(2424, 2444) 모두에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100)는 상기 구동부(2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0)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선에 의해 유선으로 전원이 공급되거나 무선으로 공급될 수 있고, 그 공급된 전원이 구동부(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200)에 전원 공급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본체(100)로부터 구동부(200)에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선이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없고, 선풍기(10) 근처 공간 활용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전술된 본체(100)의 상단에는 구동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에서 상기 구동부(200)는 선풍기(10)의 헤드(300)를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활용되나, 별도의 구동 유닛으로 구성되어 선풍기(10) 이외의 다른 장치에 결합되어 활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특히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구동부(200)는, 송풍 구동 부재(210), 선회 구동 부재(220), 하우징(230) 및 결합 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 구동 부재(210)는 헤드(300)에 구비된 송풍 날개(미도시)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송풍 날개에 장착된 회전축(212) 및 모터(21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00)로부터 전달된 전원이 상기 모터(214)에 공급됨으로써 송풍 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선회 구동 부재(220)는 헤드(300)를 본체(100)에 대하여 선회 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연장체(221), 선회 구동축(222), 회전 플레이트(223), 편심 돌기(224), 가이드 바(225), 제2 연장체(226) 및 고정체(22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장체(221)는 회전축(212)에 반대되게 모터(214)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장체(221)는 회전축(212)과 동일 축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모터(214)로부터 멀리 위치된 제1 연장체(221)의 단부 하단에는 선회 구동축(222)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회 구동축(222)은 구동부(200) 상에 구비된 누름 버튼(A)과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선회 구동축(222)은 회전 플레이트(223)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22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 플레이트(223)의 회전 중심에는 관통 홀(22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홀(2232)에 선회 구동축(22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돌기(224)는 회전 플레이트(223)의 하단에 회전 중심에 대하여 편심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편심 돌기(224)는 가이드 바(225)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225)의 일단에는 편심 돌기(224)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 홀(2252)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바(225)의 타단에는 제2 연장체(226) 상의 돌기(2262)를 결합하기 위한 관통 홀(2254)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이드 바(225)는 회전 플레이트(223)의 회전에 따라 선회 운동할 수 있고, 이는 헤드(300)의 선회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송풍 구동 부재(210) 또한 구동 가능하므로, 구동부(200)는 헤드(300)의 송풍 날개를 회전시켜 송풍을 함과 동시에 헤드(300)를 좌우 방향으로 선회 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체(226)는 모터(214)에서 제1 연장체(221)보다 방사상 방향으로 외측에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연장체(226)는 제1 연장체(221)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연장체(221)보다 짧은 길이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연장체(226)의 하단에는 고정체(227)의 상단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체(227) 및 제2 연장체(226) 상에 형성된 돌기(2262)는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227)의 하단은 제1 결합 부재(24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242) 또한, 고정체(227) 및 제2 연장체(226) 상에 형성된 돌기(2262)와 동축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부재(242)는 본체(100)로부터 구동부(200)에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제2 연장체(226) 및 고정체(227)를 별개의 구성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제2 연장체(226) 및 고정체(227)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말해서, 고정체(227)의 상단에 가이드 바(225)가 결합되고 고정체(227)의 하단에 제1 결합 부재(242)와 결합되며, 고정체(227)의 측면은 모터(214)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정체(227)가 제1 결합 부재(242)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을 모터(214)에 전달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전술된 송풍 구동 부재(210) 및 선회 구동 부재(220)는 하우징(230)에 수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230)에는 송풍 구동 부재(210) 및 선회 구동 부재(220)가 수용되기에 충분한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0)은 송풍 구동 부재(210)의 회전축(212) 및 모터(214)의 연결 부재가 수용되고, 일 측을 향해 회전축(212)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1 구획(232) 및 송풍 구동 부재(210)의 모터(214) 및 선회 구동 부재(220)가 수용되는 제2 구획(2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212)이 헤드(300) 내에 구비된 송풍 날개에 결합되므로, 제1 구획(232)은 헤드(300)의 배면 중앙에 접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2 구획(234)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부분(2342)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분(2342)은 헤드(300)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 부분(2342)에는 제1 결합 부재(242)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 부분(2342)의 하단에는 홈이 형성되고, 제1 결합 부재(242)의 상단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돌출 부분(2342)과 제1 결합 부재(242)가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우징(230), 특히 돌출 부분(2342)에 제1 결합 부재(242)가 분리된 모습으로 도시되었으나, 하우징(230), 특히 돌출 부분(2342) 및 제1 결합 부재(242)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하우징(230)은 송풍 구동 부재(210) 및 선회 구동 부재(220)를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하우징(230) 내에서 송풍 구동 부재(210) 및 선회 구동 부재(22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가 테이블로 활용되는 경우, 헤드(300)에서 받게 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하우징(230)의 단면계수를 용이하게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선풍기(10)의 목(neck) 부분이 갖는 취약함을 개선할 수 있다.
전술된 하우징(230)의 일 측에는 결합 부재(24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0)는 본체(100)에 구동부(200)를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결합 부재(240)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242) 및 제2 결합 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부재(242)는 헤드(300)의 정면이 전방을 향하게 하도록 하우징(230)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결합 부재(244)는 헤드(300)가 상부를 향하게 하도록 헤드(300)와 반대되는 하우징(23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부재(242)는 제2 구획(234)의 측면에 형성된 돌출 부분(234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재(244)는 하우징(230)의 제2 구획(234)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 부재(242) 및 제2 결합 부재(244)는 서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242)는 제2 결합 부재(244)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242) 및 제2 결합 부재(244)에는 수용 부재(110)의 홈(112) 및 돌기(114)에 대응되게 마련된 홈(2422, 2442) 및 돌기(2424, 2444)가 형성되어, 수용 부재(110)와 스플라인(spline)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체(100) 및 구동부(200)의 결합이 보다 견고해질 수 있으며, 구동부(200) 또는 헤드(300)의 구동에 의한 본체(100)의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242) 및 제2 결합 부재(244) 중 하나에는 구동부(200), 예를 들어 송풍 구동 부재(210) 또는 선회 구동 부재(2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 또는 전원 단자가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여, 제1 결합 부재(242)에는 본체(10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수용 부재(110)에서 돌기(114)에 단자(116)가 장착된 경우, 제1 결합 부재(242)에는 상기 돌기(114)에 대응되는 홈(2422)에 단자(246)가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결합 부재(242)가 수용 부재(110)에 결합되는 경우, 수용 부재(110)에 장착된 단자(116)와 제1 결합 부재(242)에 장착된 단자(246)가 접촉하게 되고, 본체(100)로부터 구동부(200)에 전원이 전달되어 구동부(200)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결국 선풍기(1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2 결합 부재(244)에는 본체(10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가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 부재(244)가 수용 부재(110)에 결합된 경우, 수용 부재(110)의 돌기(114)에는 단자(116)가 장착되어 있으나, 제2 결합 부재(244)에는 단자가 장착되어 있지 않아, 본체(100)로부터의 전원이 구동부(200)에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의해 구동부(200)를 작동시킬 수 없으며, 선풍기(10) 또한 작동시킬 수 없다.
이와 같이 본체(100) 및 구동부(200), 특히 결합 부재(240)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구동부(200)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242)를 수용 부재(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를 선풍기로서 활용할 수 있고, 제2 결합 부재(244)를 수용 부재(110)에 결합시킴으로써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를 테이블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전술된 구동부(200)에는 헤드(3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헤드(300)의 배면 중앙에 구동부(20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헤드(300)에는 송풍 날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송풍 날개에 구동부(200)의 회전축(210)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헤드(300)의 정면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가 선풍기로서 활용되는 경우 전방을 향하게 되고, 테이블로서 활용되는 경우 상부를 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300)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특히 본체(100)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240)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하단 또는 헤드(300)의 정면에는 덮개(4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하단 및 헤드(300)의 정면에서 덮개(400)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본체(100)의 하단 및 헤드(300)의 정면은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가 선풍기로서 활용되는 경우 덮개(400)는 본체(100)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으며, 본체(100)와 지면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체(100) 또는 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풍기(10)가 테이블로서 활용되는 경우 덮개(400)는 헤드(300)의 정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헤드(300) 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송풍 날개의 먼지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선풍기
100: 본체
102: 제1 부분
104: 제2 부분
110: 수용 부재
112: 홈
114: 돌기
116: 단자
200: 구동부
210: 송풍 구동 부재
212: 회전축
214: 모터
220: 선회 구동 부재
221: 제1 연장체
222: 선회 구동축
223: 회전 플레이트
2232: 관통 홀
224: 편심 돌기
225: 가이드 바
2252, 2254: 관통 홀
226: 제2 연장체
2262: 돌기
227: 고정체
230: 하우징
232: 제1 구획
234: 제2 구획
2342: 돌출 부분
240: 결합 부재
242: 제1 결합 부재
244: 제2 결합 부재
2422, 2442: 홈
2424, 2444: 돌기
246: 단자
300: 헤드
400: 덮개

Claims (12)

  1. 회전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 부재;
    상기 구동 부재의 일부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일 측에 연결된 복수 개의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에는 상기 구동 부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단자가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은,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이 외부에 노출되는 제1 구획;
    상기 제1 구획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제2 구획; 및
    상기 제2 구획의 측면으로부터 수직 상방 또는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 부분;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하나는 상기 돌출 부분에서 상기 돌출 부분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2 구획의 단부에서 상기 제2 구획의 중심축과 동축 상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구획 및 상기 돌출 부분은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는 서로 동일한 직경 및 돌출 길이를 구비하는 구동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연결된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돌출되게 연결된 제2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단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에 장착되는 구동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는 상기 제2 결합 부재에 대하여 상방 또는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구동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은 상기 제2 결합 부재와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로부터 외부에 노출되는 구동 유닛.
  5. 전원이 공급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동부; 및
    배면 중앙이 상기 구동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부에 의해 구동되는 송풍 날개가 구비되는 헤드;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의 작동 여부가 결정되며,
    상기 구동부는,
    하우징;
    상기 헤드의 정면이 전방을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연결되는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헤드의 정면이 상부를 향하게 하기 위해 상기 헤드와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상단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 또는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삽입되어 결합 가능한 수용 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본체 상단은 서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는 서로 동일한 직경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부 및 상기 본체의 결합 시 단면계수가 증가되고 상기 헤드 상에 인가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선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송풍 날개에 장착된 회전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송풍 구동 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송풍 구동 부재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되는 선풍기.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에는 상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전달받기 위한 단자가 장착되어,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본체의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가 작동되는 선풍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부재에는 상기 구동부에 상기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단자가 장착되는 선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홈 및 돌기가 번갈아 형성되어,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수용 부재가 스플라인(spline) 결합되는 선풍기.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송풍 구동 부재와 연동되어 상기 헤드를 선회 운동시키는 선회 구동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회 구동 부재는,
    상기 회전축과 반대되게 상기 모터로부터 이격 배치된 선회 구동축;
    회전 중심이 상기 선회 구동축에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하단에 편심되게 연결된 편심 돌기;
    일단에 상기 편심 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따라 선회 운동하는 가이드 바; 및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 바의 타단이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결합되는 고정체;
    를 포함하는 선풍기.
  12. 제5항에 있어서,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하단 또는 상기 헤드의 정면에 장착 가능한 선풍기.
KR1020150122986A 2015-08-31 2015-08-31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KR10173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6A KR101733877B1 (ko) 2015-08-31 2015-08-31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2986A KR101733877B1 (ko) 2015-08-31 2015-08-31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91A KR20170025891A (ko) 2017-03-08
KR101733877B1 true KR101733877B1 (ko) 2017-05-08

Family

ID=5840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2986A KR101733877B1 (ko) 2015-08-31 2015-08-31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38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82Y1 (ko) * 2001-05-03 2001-10-12 배노윤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39352Y1 (ko) * 2003-11-07 2004-01-24 전명환 착탈형 냉난방기
JP2015143514A (ja) * 2013-11-11 2015-08-0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扇風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0682Y1 (ko) * 2001-05-03 2001-10-12 배노윤 선풍기의 회전각도 조절장치
KR200339352Y1 (ko) * 2003-11-07 2004-01-24 전명환 착탈형 냉난방기
JP2015143514A (ja) * 2013-11-11 2015-08-06 アイリスオーヤマ株式会社 扇風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5891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6206B2 (en) Wearable desk fan having a base to facilitate selective positioning of a fan housing to provide varied air flow paths
CN105650015B (zh) 风扇头部和家用电器
US7778624B2 (en) Outdoor umbrella with audio system
JP3220298U (ja) 手持ち及び据置き両用扇風機
US20050123392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US20130315727A1 (en) Stackable fan
US20200011338A1 (en) Omnidirectional oscillating fan with clamp
GB2486892A (en) Fan nozzle
CN107478047B (zh) 一种吹地机
CN203518160U (zh) 挡板摆动型双出风口空气调节装置
JP6948142B2 (ja) 送風装置
US20080053496A1 (en) Outdoor umbrella with built-in electro control panel
CN210531205U (zh) 一种颈部穿戴式风扇
KR101733877B1 (ko) 구동 유닛 및 이를 이용하는 선풍기
KR102223291B1 (ko) 다방향 송풍이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
JP2019007674A (ja) 空気清浄機
JP5773229B1 (ja) 扇風機
KR100824087B1 (ko) 다기능 냉온풍기
KR20100009912U (ko) 선풍기
CN214742265U (zh) 便携风扇装置
US6171057B1 (en) Table electric fan
JP6774538B2 (ja) クランプ付きの全方位首ふり扇風機
CN208330794U (zh) 一种便携式风扇
KR200485674Y1 (ko) 선풍기
JP2001165088A (ja) 扇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