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7599B1 -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7599B1
KR101827599B1 KR1020150077836A KR20150077836A KR101827599B1 KR 101827599 B1 KR101827599 B1 KR 101827599B1 KR 1020150077836 A KR1020150077836 A KR 1020150077836A KR 20150077836 A KR20150077836 A KR 20150077836A KR 101827599 B1 KR101827599 B1 KR 101827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eet
pickup roller
motor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9457A (ko
Inventor
쇼이치 젠사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39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7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7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69Driv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26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auxiliary supports to facilitate introduction or renewal of the pile
    • B65H1/266Support fully or partia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84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on moving support, e.g. pivoting, for bringing the roller or like rotary separator into contact with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00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 B65H7/02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 B65H7/04Controlling article feeding, separating, pile-advancing, or associated apparatus, to take account of incorrect feeding, absence of articles, or presence of faulty articles by feelers or detectors responsive to absence of articles, e.g. exhaustion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4Springs, e.g. helical or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2Spur gearing
    • B65H2403/421Spur gearing involving at least a gear with toothless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1Cam mechanisms
    • B65H2403/512Cam mechanisms involving radial plate c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4Driving mechanisms other
    • B65H2403/541Trigge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2Clutches, brakes, e.g. one-way clutch +F204
    • B65H2403/721Positive-contact clutches, jaw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70Clutches; Couplings
    • B65H2403/73Couplings
    • B65H2403/732Torque limi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5Ab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40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4Removability or inter-changeability of machine parts, e.g. for 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급송 모터를 제1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킴으로써 픽업 롤러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고, 급송 모터를 제2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정회전시킴으로써 픽업 롤러가 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Description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부에 시트를 공급하는 시트 급송 장치를 포함하는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가 있었다. 시트 급송 장치는 급송될 시트를 수납하는 시트 수납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시트 수납 유닛의 일례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급송 카세트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0611호 공보에 개시되고 있는 급송 카세트를 도 19에 나타낸다. 급송 카세트(900)에서, 중간판(901)은 회동 축(903a)을 중심으로 케이싱(903)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리프트 판(902)은 중간판(901)의 시트 급송 방향의 하류 측을 밀어 올린다. 이에 의해, 중간판(901) 상의 시트는 픽업 롤러(급송 롤러)(904)에 미리 정해진 가압력으로 접촉된다. 중간판(901)에 의해 밀어 올려진 시트 S는 픽업 롤러(904) 및 그 하류의 반송 롤러(905)에 의해 안정된 상태로 송출된다. 그리고, 급송 카세트(900)로부터 반송된 시트 S에 화상이 형성된다.
최근, 시장의 요구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퍼스트 프린트 아웃풋 타임(FPOT(first print output time))의 단축이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또한, 유용성의 관점에서도, 화상 형성 장치의 FPOT를 단축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이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FPOT를 단축하기 위해서, 퍼스널 컴퓨터 등으로부터의 프린트 지시를 받은 후에, 화상 형성부에 시트를 반송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어떻게 단축할 것인지가 하나의 과제가 되고 있다. 그로 인해,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트 지시를 받은 시점에서, 픽업 롤러와 시트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시장에서는, 평량 50g/m2 정도의 얇은 용지 및 고화질의 프린트를 얻기 위한 광택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시트 중에는, 픽업 롤러와 시트가 접촉된 대기 상태가 장시간(예를 들어, 1일 이상) 계속되면, 시트와 픽업 롤러가 접촉된 부분에서, 국소적으로 변형되는 시트나, 표면성이 변화하는 시트가 있다. 그 결과로서, 이들이 화상 결함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0611호 공보
본 발명은 FPOT를 짧게 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고, 양호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급송 장치는, 시트를 급송하고,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정회전의 구동력 및 역회전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과,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정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설치되도록 구성되는 급송 부재와,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역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급송 부재를, 상기 접촉 위치부터 상방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정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급송 부재를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역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급송 부재를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2a 및 2b는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장치의 단면도.
도 3a 및 3b는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카세트의 사시도.
도 4a 및 4b는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프레임 유닛의 사시도.
도 5a 및 5b는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프레임 유닛과 급송 카세트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6b는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모터로부터의 구동 전달 경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 형태의 시트의 지면의 위치를 검지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a 및 9b는 제1 실시 형태의 이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a 및 10b는 제1 실시 형태의 이동 유닛의 사시도.
도 11a 및 11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픽업 롤러의 접촉 및 이격 동작에 관한 흐름도와 타이밍차트.
도 12a 및 12b는 제1 실시 형태의 픽업 롤러의 접촉 및 이격 동작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a 및 13b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재판 위에 시트가 없는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a 및 14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서 적재판 위에 시트가 없는 상태에서의 픽업 롤러의 접촉 및 이격 동작에 관한 흐름도와 타이밍차트.
도 15a 및 15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에서 전원 스위치에 기초하는 픽업 롤러의 접촉 및 이격 동작에 관한 흐름도와 타이밍차트.
도 16a 내지 16c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a 내지 17c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a 내지 18c는 제2 실시 형태의 이동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종래 기술의 급송 카세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채용되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상대 배치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및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내지 15a 및 15b를 참조하여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먼저 도 1을 참조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계속해서, 도 2a 및 2b 내지 도 13a 및 13b를 참조하여 시트 급송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A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병설된 4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7)(7a 내지 7d)를 포함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7)(7a 내지 7d)는 각각 1개의 상 담지체로서 기능하는 그들 각각의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1)(1a 내지 1d)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사진 감광체 드럼(이하, "감광체 드럼"이라고 한다)(1)은 구동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1의 시계 방향(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감광체 드럼(1)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1)에 작용하는 이하의 프로세스 유닛(2, 3, 4, 5, 6)이 배치된다. 대전 롤러(2)(2a 내지 2d)는 각 감광체 드럼(1)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현상 유닛(4)(4a 내지 4d)은 정전 잠상을 현상제로 기능하는 토너를 사용해서 현상한다. 클리닝 부재(6)(6a 내지 6d)는 전사 후의 감광체 드럼(1) 표면에 남은 토너를 제거한다. 스캐너 유닛(3)은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1)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5)에는, 감광체 드럼(1) 상의 4색의 현상제(이하, "토너"라고 한다) 화상이 전사된다. 여기서, 감광체 드럼(1), 대전 롤러(2), 현상 유닛(4) 및 클리닝 부재(6)는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되어, 화상 형성 장치 A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적재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7)를 구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5)는 구동 롤러(10), 텐션 롤러(11), 2차 전사 대향 롤러(33)에 의해 걸쳐지고 있다. 중간 전사 벨트(5)의 내측에는, 감광체 드럼(1)(1a 내지 1d)에 대향하도록 1차 전사 롤러(12)(12a 내지 12d)가 각각 설치된다. 1차 전사 롤러(12)에는, 바이어스 인가 유닛(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된다.
감광체 드럼(1) 상에 형성된 4색의 토너상은, 감광체 드럼(1)이 화살표 Q 방향으로 회전하고, 중간 전사 벨트(5)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하고, 1차 전사 롤러(12)에 정극성의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5) 위로 순차적으로 1차 전사된다. 중간 전사 벨트(5) 위로 1차 전사된 4색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5) 위에 중첩된 상태로 2차 전사부(15)로 반송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1)의 표면에 남은 토너는 클리닝 부재(6)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토너는, 감광체 유닛(26)(26a 내지 26d) 내에 설치된 제거 토너실에 회수된다.
상기한 화상 형성 동작과 동기하여, 급송 장치(13), 레지스트 롤러 쌍(17) 등에 의해, 기록 매체인 시트가 반송된다. 급송 장치(13)는, 시트 S를 수납하는 급송 카세트(24)와, 시트 S를 급송하는 픽업 롤러(8)와, 급송된 시트 S를 레지스트 롤러 쌍(17)에 반송하는 피드 롤러(16) 및 피드 롤러(16)에 대향하는 분리 롤러(9)를 포함한다. 분리 롤러(9)에 내장된 토크 리미터의 설정 토크에 의해, 픽업 롤러(8)에 의해 복수 매의 시트 S가 급송되었을 경우에는, 복수 매의 시트는 1매씩 마찰 분리된다.
급송 카세트(24) 위에는, 구조체의 일부이며, 급송 카세트(24)와 화상 형성부를 구획하는 카세트 상의 스테이(above-cassette stay)(35)가 설치된다. 급송 카세트(24)는, 도 1의 장치의 전방 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유저는 급송 카세트(24)를 장치 본체로부터 인출한 후, 시트 S를 급송 카세트(24) 내에 세팅하고, 그 후에 급송 카세트(24)를 장치 본체에 삽입함으로써 시트 S의 보급을 완료할 수 있다. 급송 카세트(24)에 수납된 시트 S는 픽업 롤러(8)에 의해 픽업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시트 S는 피드 롤러(16)와 분리 롤러(9) 사이의 닙(nip)에서 1매씩 분리되어 반송된다.
이어서, 급송 장치(13)로부터 반송된 시트 S는, 레지스트 롤러 쌍(17)에 의해 2차 전사부(15)에 반송된다. 2차 전사부(15)에서, 2차 전사 롤러(18)에 정극성의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반송된 시트 S에 중간 전사 벨트(5) 상의 4색의 토너상이 2차 전사된다.
시트 S에의 2차 전사 후에 중간 전사 벨트(5) 위에 남은 토너는, 전사 벨트 클리닝 장치(23)에 의해 제거된다. 제거된 토너는 폐 토너 반송로(도시하지 않음)를 통과하고, 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폐 토너 회수 용기(34)에 회수된다.
한편, 정착 유닛인 정착기(14)는 시트 S에 전사된 토너상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이 토너상을 시트 S에 정착시킨다. 정착 벨트(14a)는 원통 형상이며, 히터 등의 발열 유닛을 접착한 벨트 가이드 부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가이드된다. 정착 벨트(14a)와 가압 롤러(14b)가 미리 정해진 가압력으로 정착 닙을 형성한다.
2차 전사부(15)로부터 반송된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시트 S가, 정착 벨트(14a)와 가압 롤러(14b)의 사이의 정착 닙에서 가열 및 가압되어, 시트 S상에 미정착 토너상이 정착된다. 그 후, 정착된 시트 S는 배출 롤러 쌍(19)에 의해 배출 트레이(20)에 배출된다.
급송 장치의 개략적 설명
제1 실시 형태의 급송 장치(13)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A의 하부에 배치된다. 급송 카세트(24)는 화상 형성 장치 A의 본체로부터 착탈가능하다. 급송 장치(13)는, 화상 형성 장치 A의 상부에 설치된 화상 형성부(2차 전사부(15) 및 정착기(14))를 향해서, 적재판(적재 부재)(21)에 적재된 시트 S를 1매씩 급송한다.
도 2a 및 2b는 급송 장치(13)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급송 장치(13)의 상세 구성을 도 2a 및 2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2a는 급송 장치(13)의 적재판(21)에 시트 S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로부터 적재판(21)을 상방에 들어 올려, 적재판(21)의 시트 S를 급송가능하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급송 장치(13)는 적재판(21)에 적재된 시트 S를 최상측 시트로부터 송출하는 픽업 롤러(급송 부재)(8)를 포함한다. 픽업 롤러(8)는 적재판(21)에 적재된 시트 S와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함으로써, 시트 S를 급송한다. 급송 장치(13)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여, 픽업 롤러(8)에 의해 급송된 시트 S를 반송하는 피드 롤러(16)와, 피드 롤러(16)에 압접된 분리 롤러(9)를 더 포함한다. 피드 롤러(16)와 분리 롤러(9)가 형성하는 분리 닙부에서, 시트 S는 1매씩에 분리되어서 반송된다. 분리 롤러(9)와 분리 롤러(9)의 축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크 리미터가 설치된다. 그 토크 리미터의 토크는, 픽업 롤러(8)에 의해 1매의 시트가 급송된 경우, 피드 롤러(16)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 S에 종동해서 분리 롤러(9)가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토크 리미터의 토크는, 픽업 롤러(8)에 의해 2매의 시트가 급송된 경우, 픽업 롤러(8)에 접촉하는 시트 S의 하부 시트 S(제2 시트 S)가 급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 롤러(9)가 회전하지 않도록 설정되고 있다.
시트 S를 급송가능한 위치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적재판(21)의 리프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 및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판(21)은 급송 카세트(24)에 설치되고, 걸림부(21a, 21b)를 지지점으로 해서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동)가능하다.
리프트 판(22)은 적재판(21)의 하방에 설치되고, 적재판(21)을 상방으로 밀어 올린다. 리프트 판(22)의 일단부에는 부채형 기어(25)가 설치된다. 이 부채형 기어(25)에는, 급송 카세트(24) 측에 설치되고, 도 6a 및 6b에 나타내는 급송 모터 M(구동 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27)이 교합하고 있다. 피니언(27)이 회전하면 부채형 기어(25)가 회전하고, 부채형 기어(25)가 회전하면 리프트 판(22)이 상방으로 회동한다. 이에 의해, 적재판(21)이 상방으로 회동하고, 적재판(21) 상의 시트 S는, 시트 S가 픽업 롤러(8)에 의해 급송가능한 위치까지 상승한다. 피니언(27), 부채형 기어(25), 리프트 판(22) 등에 의해, 적재판(21)을 상승시키는 상승 유닛이 구성된다.
급송 모터 M은 정회전의 구동력 및 역회전의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송 모터 M의 구동은 CPU 회로부(201)(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CPU 회로부(201)는 후술하는 위치 검지 센서(55)로부터의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급송 모터 M을 구동시킴으로써, 피니언(27)을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적재판(21)은, 적재판(21)에 적재되고 있는 시트 S의 상면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급송가능한 위치)에 도달할 될 때까지 상승한다.
사이드 규제 부재(30)는 적재판(21)에 적재된 시트 S의, 급송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의 위치를 규제한다. 사이드 규제 부재(30)는 급송 카세트(24)에 구비되고, 폭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사이드 규제 부재(30)는 적재판(21)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적재판(21)이 이동(상승)에도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시트 S의 폭 방향을 규제할 수 있다. 후단부 규제 부재(31)는 적재판(21)에 적재된 시트 S의, 급송 방향에서의 상류 단부(후단부)의 위치를 규제한다. 후단부 규제 부재(31)는 급송 카세트(24)에 구비되고, 급송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급송 프레임 유닛(32)에 대해서 도 4a 및 4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4b에서는, 설명을 위해 도 4a로부터 급송 프레임(36)을 제거한다. 급송 프레임 유닛(32)은 위치 검지 레버(37), 압축 스프링(38 및 39), 가압 레버(40), 픽업 롤러(8), 피드 롤러(16), 피드 롤러 축(41)(41a 및 41b), 비틀림 코일 스프링(42), 베어링(43), 기어(44), 용지 유무 센서(45), 용지 유무 플래그(46)를 포함한다. 이들 부품은 급송 프레임(36)에 보유 지지되고 있다.
픽업 롤러(8)와 피드 롤러(16)의 보유 지지에 대해서 설명한다. 픽업 롤러(8)는 롤러 홀더(보유 지지 부재)(47)에 의해 보유 지지되고, 롤러 홀더(47)는 피드 롤러 축(41a 및 41b)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피드 롤러 축(41a 및 41b)에는 피드 롤러(16)가 설치된다. 피드 롤러 축(41a)은 베어링(43)에 의해 급송 프레임(36)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보유 지지된다. 피드 롤러 축(41b)은 피드 롤러(16)의 타방 측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피드 롤러 축(41b)은 급송 프레임(3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있다. 피드 롤러 축(41b)과 급송 프레임(36)의 사이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42)이 설치된다. 유저는, 필요에 따라, 피드 롤러 축(41b)을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피드 롤러(16)와 픽업 롤러(8)를 보유 지지하는 롤러 홀더(47)를 교환할 수 있다.
픽업 롤러(8)를 시트 S에 가압시키기 위한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송 프레임(36)에 설치된 가압 레버(40)는 대략 중앙부의 축부(48)를 중심으로, 급송 프레임(36)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보유 지지되고 있다. 가압 레버(40)의 한쪽의 단부에 압축 스프링(38)이 작용하여 가압 레버(40)의 다른 쪽 단부를 롤러 홀더(47)에 접촉시키고 있다. 이에 의해, 픽업 롤러(8)의 시트 S에 대한 원하는 급송 압력이 확보되고 있다. 즉, 압축 스프링(38)은, 픽업 롤러(8)가 시트 S와 접촉하기 위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로서 기능한다. 가압 레버(40)는 압축 스프링(38)과 롤러 홀더(47)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로서 기능한다.
용지 유무 플래그(46)와 용지 유무 센서(45)는 적재판(21) 위의 시트 S의 유무를 검지하는 시트 유무 검지 유닛을 구성한다. 적재판(21) 위에 시트 S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용지 유무 플래그(46)는 적재판(21)이 상승 이동하는 동안에 용지 유무 센서(45)를 차광한다. 한편, 적재판(21) 위에 시트 S가 적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용지 유무 플래그(46)는 적재판(21)에 설치된 구멍에 들어간다. 따라서, 용지 유무 플래그(46)는 용지 유무 센서(45)를 차광하지 않는다(투과한다).
도 5a 및 5b는 급송 프레임 유닛(32)과 급송 카세트(24)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a는 급송 카세트(24)가 화상 형성 장치 A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도 5b는 급송 카세트(24)가 화상 형성 장치 A에 장착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화상 형성 장치 A는 급송 카세트(24)가 장착된 것을 검지하는 푸시 스위치(49)를 포함한다. 급송 프레임 유닛(32)에는, 급송 카세트(24)를 장착 및 인출할 때에, 픽업 롤러(8)와 시트 S의 마찰을 최소화하도록 해제 레버(50)가 설치된다. 해제 레버(50)는 픽업 롤러(8) 측에 설치된 압축 스프링(51)의 작용에 의해 축부(48)를 회동 중심으로 요동가능하다.
급송 카세트(24)가 급송 장치(13)로부터 인출될 때에는, 압축 스프링(51)으로부터 도 5a 및 5b의 상측 방향의 힘을 받는 해제 레버(50)의 해제부(50a)에 의해, 위치 검지 레버(37) 및 가압 레버(40)가 도 5a 및 5b의 하측 방향으로 눌려 내려간다(반시계 둘레 방향으로 회동한다). 가압 레버(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픽업 롤러(8)가 상방에 퇴피한다. 해제 레버(50)는 급송 프레임(36)의 도시하지 않은 접촉부에 접촉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압축 스프링(51)의 모멘트는 압축 스프링(38 및 39)의 모멘트를 초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급송 카세트(24)가 급송 장치(13)에 삽입되는 동안에, 해제 레버(50)의 리브(50b)가 급송 카세트(24)의 측벽(24a) 위에 놓인다. 이에 의해, 위치 검지 레버(37) 및 가압 레버(40)는 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동하고, 픽업 롤러(8)의 퇴피가 해제된다. 그리고, 급송 카세트(24)가 급송 장치(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위치 검지 레버(37) 및 가압 레버(40)가 급송 동작에 필요한 범위에서 동작할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6b는 급송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 전달 경로를 도시한다. 급송 모터 M은, 픽업 롤러(8), 피드 롤러(16), 피니언(27)을 구동한다. 급송 모터 M은 피니언(52) 및 감속 기어(53)를 개재해서 전자 클러치(electromagnetic clutche)(54a 및 54b)에 연결되고 있다. 전자 클러치(54a 및 54b)는 급송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의 연결, 차단을 행한다. 전자 클러치(54a 및 54b)가 통전되고 있는 동안에만, 급송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이 기어(54aa, 54ba)를 개재해서 도 6a 및 6b에 나타내는 기어(54ab, 54bb)에 전달된다. 전자 클러치(54a 및 54b)를 개재해서 급송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을 전달함으로써, 구동의 전달 편차를 저감할 수 있다.
기어(54ab)는 피드 롤러 축(41a)에 연결되어 있다. 급송 모터 M이 회전해서 기어(54ab)가 회전하면, 피드 롤러(16)(피드 롤러 축(41a)) 또한 회전한다. 전자 클러치(54b)는, 기어(53c)로부터 리프트 판(22)을 회동시키는 피니언(27)까지의 구동 전달 제어를 담당한다. 이 전자 클러치(54b)로부터 피니언(27)까지의 구동 열에는 웜 기어(53d)와 웜 휠(53e)이 개재하고 있다. 따라서, 전자 클러치(54b)의 전달이 중단된 경우에도, 시트 S의 무게에 의해 기어가 역회전하지 않고, 적재판(21)이 하강하지 않는다.
피드 롤러(16)의 축에는, 도시하지 않은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해서 기어(16a)가 설치된다. 기어(16a)는, 픽업 롤러(8)의 회전축에 설치된 기어(8a)에 구동을 전달한다. 이 픽업 롤러(8)의 축에도 원웨이 클러치가 내장된다. 본 구성에 의해, 레지스트 롤러 쌍(17), 피드 롤러(16), 픽업 롤러(8)의 순으로 감소하도록 롤러의 속도비가 되어 있는 경우에, 레지스트 롤러 쌍(17)에 대한 백 텐션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구성에 의해, 픽업 롤러(8)가 선행 시트를 급송하고 나서 후속 시트를 급송할 때까지의 기간에도, 픽업 롤러(8)와 시트 S의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구성에 의하면, 급송 간격(선행 시트와 후속 시트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으며, 급송 동작 개시 지시가 부여된 때로부터 실제로 시트 S가 급송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FPOT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여 적재판(21) 상의 시트 S의 지면의 위치를 검지하는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송 장치(13)는 위치 검지 센서(55)인 포토인터럽터를 포함한다. 적재판(21) 상의 시트 S가 픽업 롤러(8)에 의한 급송이 준비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있을 때, 도 5a에 도시된 위치 검지 레버(37)의 플래그 형상부(37a)에 의해 위치 검지 센서(55)가 차광된다. 또한, 위치 검지 레버(37)의 접촉부(37b)가 시트 S에 확실하게 접촉하도록, 위치 검지 레버(37)의 요동 중심의 반대 측의 단부에는 압축 스프링(39)이 설치된다.
급송 신호에 의해 시트 S가 순차적으로 급송되면, 적재판(21)에 적재된 시트 S의 상면의 높이가 낮아진다. 이에 따라, 롤러 홀더(47)는 피드 롤러 축(41a, 41b)을 중심으로 요동하고, 픽업 롤러(8)와 함께 하강한다. 또한, 가압 레버(40)와 위치 검지 레버(37)도 지면의 저하에 맞추어 요동하여 추종한다. 그 결과, 접촉부(37b)에 의한 차광이 해제되어, 위치 검지 센서(55)는 비검지 상태로 된다. 이렇게 위치 검지 센서(55)가 비검지 상태로 되면, (후술하는) 제어부는 전자 클러치(54b)의 구동을 제어하어, 적재판(21) 상의 시트 S가 미리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도록, 적재판 (21)을 상승시킨다. 즉, 제어 유닛은, 적재판(21) 상의 시트 S가 위치 검지 레버(37)을 회동시키고, 플래그 형상부(37a)에 의해 위치 검지 센서(55)가 차광될 때까지, 적재판(21)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제어를 반복함으로써, 적재판(21) 상의 시트 S가 없어질 때까지, 시트 S의 상면의 위치를 급송가능한 미리 정해진 위치에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픽업 롤러(8)는 시트 S를 확실하게 급송할 수 있다.
도 8은 화상 형성 장치 A의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 A의 컨트롤러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유닛으로서의 CPU 회로부(201)를 포함한다.
CPU 회로부(201)는 급송 카세트 유무 센서(49) 및 타이머(202)와 접속되어 있고, 센서의 검지 결과와 타이머(202)의 계측 시간을 입수할 수 있다. 또한, CPU 회로부(201)는 전자 클러치(54a) 및 전자 클러치(54b)와 접속되고 있다. 또한, CPU 회로부(201)는 급송 모터 M과 드라이버를 개재해서 접속되어 있고, 급송 모터 M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어서, 적재판(21) 상의 시트 S에 대하여, 픽업 롤러(8)를 접촉 및 이격시키는 구성 및 제어에 대해서 도 9a, 9b, 10a, 10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급송 모터 M을 보유 지지하는 구동 프레임(56)에는, 도 6a 및 6b에 도시된 기어(53b)에 맞물리는 기어(57a, 57b) 및 이격 부재(58)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기어(57a)와 기어(57b)의 사이에는 원웨이 클러치(클러치 부재)(59)가 설치된다. 이격 부재(58)는 기어(57b)와 걸림 결합되는 랙 기어를 구비한다. 이격 부재(58)와 구동 프레임(56)의 사이에는 인장 스프링(탄성 부재)(60)이 작용하고 있다. 인장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 부재(58)는 이격 부재(58)의 보스 형상(58a)이 구동 프레임(56)의 가이드 구멍(56a)에 맞부딪치는 위치(제1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즉, 이격 부재(58)는 인장 스프링(60)에 의해 제1 위치에 탄성적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격 부재(58)의 반대 측에는 역 U자 형상부가 구비되어 있고, 가압 레버(40)의 걸림 결합부(40c)와 걸림 결합한다.
원웨이 클러치(59)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급송 모터 M이 역회전(급송 동작 시의 방향과는 반대 방향)하는 때에, 기어(57a)는 도 10a 및 10b의 시계 방향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한다. 원웨이 클러치(59)는 기어(57a)에 설치된 캠 형상(57ab)으로부터 추력을 받아, 도 10a의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원웨이 클러치(59)의 기어부(59a)가 기어(57b)의 톱니와 맞물리고, 기어(57a)의 회전이 기어(57b)에 전달된다. 원웨이 클러치(59)가 기어(57a)의 캠 형상부(57ab)에 따르지 않고 계속해서 공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웨이 클러치(59)에는 반경 방향으로 부하를 부여하는 스프링 부재(61)가 작용하고 있다.
한편, 급송 모터 M이 정회전(급송 동작)할 때는, 기어(57a)는 도 10a 및 10b의 반시계 방향(실선 화살표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원웨이 클러치(59)에 작용하는 추력이 없어지므로, 톱니의 경사면 형상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59)는 기어(57b)로부터 기어(57a)를 향해 이동한다. 이에 의해, 기어(57a)의 회전이 기어(57b)에 전달되지 않는다. 즉, 원웨이 클러치(59)는 급송 모터 M의 역회전의 구동력을 이격 부재(58)에 전달하지만, 급송 모터 M의 정회전의 구동력은 이격 부재(58)에 전달하지 않는다.
이어서, 이격 부재(58)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A는 최종 작업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202)를 포함한다. 에너지 절약의 관점에서, 타이머(202)에 의해 최종 작업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것이 카운트(검지)되었을 경우, 화상 형성 장치 A는 최소한의 소비 전력으로 대기하는 슬립 모드에 들어간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 A의 환경과 시트 S의 표면의 재질에 따라서는, 픽업 롤러(8)가 시트 S에 접촉한 상태가 수 시간으로부터 1일 이상 경과하면, 시트 S의 형상 및 표면성에 국소적으로 영향을 미칠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CPU 회로부(201)는 타이머(202)의 경과 시간을 트리거로 사용해서 급송 모터 M을 역회전시킴으로써 픽업 롤러(8)를 시트 S로부터 이격시킨다. 즉, CPU 회로부(201)는, 픽업 롤러(8)에 의한 마지막 시트 S의 급송 동작이 종료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해도, 다음 시트 S의 급송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픽업 롤러(8)를 시트 S로부터 이격시킨다. 픽업 롤러(8)를 시트 S로부터 이격시킨 후에, 화상 형성 장치 A는 슬립 모드에 돌입한다.
급송 모터 M이 역회전하면, 이격 부재(58)는 기어(57b)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도 9a 및 9b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이동한 이격 부재(58)는 전술한 역 U자부에서 가압 레버(40)의 걸림 결합부(40c)를 가압한다. 가압된 가압 레버(40)는 요동(도 9a 및 9b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롤러 홀더(47) 및 롤러 홀더(47)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픽업 롤러(8)를 상승시킨다. 이에 의해, 위로 들어올려진 적재판(21)에 적재되어 급송가능 상태로 되어 있는 최상위의 시트 S로부터, 픽업 롤러(8)가 이격한다. 이때의 이격 부재(58)의 위치를 제2 위치라고 한다. 즉, 이격 부재(5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하강)할 때에, 압축 스프링(38)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가압 레버(40)를 가압(접촉)함으로써, 롤러 홀더(47)는 상승한다.
이격 부재(58)의 이동량은, 최상위의 시트 S로부터 픽업 롤러(8)가 충분히 이격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급송 모터 M의 역회전 시간(역회전량)에 기초하여 설정되고 있다. 즉, CPU 회로부(201)가 급송 모터 M을 제1의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킬 때에,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있었던 이격 부재(58)가 인장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2 위치로 위치한다. 이에 의해, 시트 S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픽업 롤러(8)가 접촉 위치부터 상방으로 퇴피한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도 11a 및 11b는 각각 제1 실시 형태의 흐름도 및 타이밍차트이다. 급송 동작이 개시될 때(즉, 용지 급송 모터 M이 정회전할 때),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어(57b)는 구동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격 부재(58)는 압축 스프링(38) 및 인장 스프링(60)의 힘에 의해 밀어 올려지고, 가압 레버(40)는 요동한다(도 9a 및 9b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픽업 롤러(8)가 시트 S에 접촉하면, 가압 레버(40)의 요동이 멈춘다. 이격 부재(58)는 더 상승하고, 가압 레버(40)의 걸림 결합부(40c)로부터 걸림 결합이 해제되는 제1 위치로 복귀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어(57b)와 이격 부재(58)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 후에, 예를 들어 마찰 손실에 의해이격 부재(58)가 제1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인장 스프링(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예를 들어 정전으로 접촉 및 이격 동작 중에 장치가 정지하는 경우에도, CPU 회로부(201)는 급송 모터 M을 제2의 미리 정해진 앙만큼 정회전시킴으로써 이격 부재(58)를 확실하게 제1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CPU 회로부(201)는 급송 모터 M을 제2의 미리 정해진 양만큼 회전시킴으로써, 이격 부재(58)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픽업 롤러(8)가 접촉 위치로 이동한다. 즉,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격 부재(58)와, 인장 스프링(60)과, 원웨이 클러치(59)는 픽업 롤러(8)를 접촉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을 구성한다. 제2의 미리 정해진 양은 제1의 미리 정해진 양과 같아도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픽업 롤러(8)의 위치를 검지하는 검지기(센서)가 필요없다. 또한, 이격 부재(58)는 제1 위치에서 가압 레버(40)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급송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8)이 작용하는 점과 이격 부재(58)가 걸림 결합하는 점이 가압 레버(40)의 회전 중심과 거의 동일한 직선에 배치된다. 따라서, 픽업 롤러(8)의 이격 시에 가압 레버(40)가 편향되어 원하는 이격 상태가 얻어지지 못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원웨이 클러치(59)을 이용하고, 급송 모터 M의 정회전 및 역회전을 이용함으로써, 픽업 롤러(8)의 접촉 및 이격 동작을 에너지 절약화, 소형화 및 저비용화에 의해 실현하고 있다.
픽업 롤러(8)가 시트 S로부터 이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급송압을 발생시키는 압축 스프링(38)의 힘이 급송 모터 M에 작용한다. 압축 스프링(38)의 힘이 급송 모터 M의 디텐트 토크를 초과하지 않도록, 급송 모터 M과 이격 부재(58) 사이의 감속비가 설정되고 있다. 즉, 급송 모터 M의 디텐트 토크에 의해 이격 부재(58)가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의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격 부재(58)의 이동량을 급송 모터 M의 역회전 시간에 의해 제어하지만, 스텝핑 모터의 스텝수를 관리하는 구성과 유사한 이점이 기대될 수 있는 것은 명확하다.
CPU 회로부(201)는, 픽업 롤러(8)를 시트 S로부터 이격시키는 때에, 도 6a 및 6b에 도시된 구동 열의 전자 클러치(54a 및 54b)의 구동의 전달을 중단시켜서, 피드 롤러 축(41) 및 피니언(27)(상승 유닛)에 구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CPU 회로부(201)는, 픽업 롤러(8)을 퇴피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급송 모터 M을 정회전 시킬 때도 전자 클러치(54a 및 54b)의 구동의 전달을 중단시킨다. 본 발명은 전자 클러치를 포함하는 구성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부분적인 결치 기어와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의 전달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의 편차 또는 장치의 오동작에 의해, 이격 부재(58)가 제2 위치로부터 더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과이격 상태)도 상정된다(도 12a 및 12b). 이러한 경우에,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랙의 길이가 조절되므로(미리 정해진 톱니 수를 가지도록 설정되고 있다), 기어(57a 및 57b)가 장시간 동안 계속해서 회전하더라도, 랙에 구동력을 입력하는 기어(57b)와 랙의 사이에 톱니의 건너뜀만 발생할 뿐이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격 기구 및 급송 유닛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2b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
상술한 바와 같이, 급송 카세트(24)를 급송 장치(13)로부터 인출하는 때에 픽업 롤러(8)를 이격시키므로, 유저에 의한 조작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3a는 적재판(21) 위에 시트 S가 없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적재판(21) 상에 시트 S가 없을 경우에는, 픽업 롤러(8)를 적재판(21)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용지 유무 센서(45)가 적재판(21) 위에 시트 S가 없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는, CPU 회로부(201)는 급송 모터 M을 역회전시켜서, 픽업 롤러(8)를 적재판(21)으로부터 이격시킨다. 도 14a 및 14b는 이상의 동작에 관한 흐름도 및 타이밍차트를 각각 나타낸다.
도 13a 및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재판(21)의 픽업 롤러(8)와 대향하는 부분에는, 최종 적재 시트의 중복 이송을 방지하기 위해서, 고무와 같이 비교적 마찰 계수가 높은 분리 부재(62)가 설치된다. 그로 인해, 적재판(21) 위에 시트 S가 없는 경우에는, 픽업 롤러(8)와 분리 부재(62)이 접촉하고, 유저의 급송 카세트(24)의 인발을 위한 조작력이 마찰력에 의해 높아진다. 이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용지 유무 플래그(46)를 사용한 용지 유무 센서(45)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CPU 회로부(201)는 픽업 롤러(8)를 이격시킨다. 따라서, 제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유저가 급송 카세트(24)를 급송 장치(13)로부터 인발할 때에 필요로 하는 힘을 저감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제어는 타이머(202)의 카운트에 기초하여 픽업 롤러(8)를 이격시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203)로부터의 오프(OFF) 신호에 기초하여, 픽업 롤러(8)를 이격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전원 스위치(203)는 소프트 스위치의 입력 유닛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전원 스위치(203)를 조작하여 전원 스위치(203)가 오프 신호를 출력하면, CPU 회로부(201)는 급송 모터 M을 제1의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켜서 픽업 롤러(8)를 시트 S로부터 이격시킨다. 그 후에, 장치가 정지 상태가 된다. 도 15a 및 15b는 각각 동작에 관한 흐름도 및 타이밍차트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송 장치(13)가 타이머를 포함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전원 스위치(203)로부터의 오프 신호에 응답하여 픽업 롤러(8)가 이격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계속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의 제2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공통되는 구성 및 동작의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의 급송 장치는, 픽업 롤러(8)를 접촉 위치(접촉 동작)과 퇴피 위치(이격 동작)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 유닛의 구성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16a 내지 16c, 17a 내지 17c 및 18a 내지 18c는 제2 실시 형태의 급송 장치의 이동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6a, 17a, 18a는 제품의 후방으로부터 본 관계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16b, 17b, 18b는 제품의 전방으로부터 본 관계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16c, 17c, 18c는 기어의 결합부 및 캠부의 확대도이다.
구동 프레임(56)에는 기어 홀더(64)가 보유 지지되고 있다. 기어 홀더(64)는 캠 기어(63)를 보유 지지한다. 캠 기어(63)는 캠부(63a)와, 기어부(63b)와, 보스(63c)를 포함한다. 기어(57b)로부터 기어부(63b)로 구동력이 전달되면, 캠 기어(63)는 기어 홀더(64)에 대하여 회전한다.
도 16a 내지 16c는 픽업 롤러(8)가 접촉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3)의 보스(63c)는, 인장 스프링(60)으로부터 받는 힘에 의해 기어 홀더(64)의 슬롯(64a)의 림부에 접촉한 채로 정지하고 있다. 이때,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63a)는 가압 레버(40)의 리브(40d)로부터 이격하고 있다.
도 17a 내지 17c는 픽업 롤러(8)가 퇴피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급송 모터 M으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기어(57a)가 도 17a의 실선 화살표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57a)는 원웨이 클러치(59)를 개재하여 기어(57b)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캠 기어(63)가 회전하고, 도 1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부(63a)가 가압 레버(40)의 리브(40d)를 하측 방향에 밀어 내린다. 이와 같이 하여, 가압 레버(40)에 의해 롤러 홀더(47)가 들어 올려지고, 픽업 롤러(8)가 접촉 위치로부터 퇴피 위치로 이동한다.
도 18a 내지 18c는 캠 기어(63)가 도 17a 내지 17c의 상태로부터 더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캠 기어(63)의 캠부(63a)와 기어부(63b)의 위상이 적절하게 설정되고 있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캠 기어(63)가 장시간 동안 계속해서 회전하더라도, 기어(57b)와 기어부(63b)의 사이에 톱니의 건너뜀만 발생할 뿐이다. 따라서, 이격 기구 및 급송 유닛의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도 18c의 원으로 둘러싸인 부분).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급송 모터 M을 제2의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정회전시킴으로써, 픽업 롤러(8)를 퇴피 위치로부터 접촉 위치로 복귀(도 18a 내지 18c의 상태로부터 도 16a 내지 16c의 상태로의 복귀)시킬 수 있다.
도 16c, 17c, 1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38)과, 가압 레버(40)의 리브(40d)와, 캠 기어(63)의 회전 중심이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된다. 캠부(63a)의 캠 곡률 중심이 캠 기어(63)의 회전 중심과 동일한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픽업 롤러(8)가 이격하는 때에, 압축 스프링(38)의 힘에 의해 캠 기어(63)를 회전시키는 토크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제2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급송 모터 M으로부터 기어(57a)까지의 감속비를 제1 실시 형태보다 작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유닛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급송 모터 M을 포함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구동 유닛은 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터와, 해당 모터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의 방향을 변경하는 클러치를 포함하여도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레이저 프린터 A에 본 발명이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복사기 및 복합기 등의 기타의 화상 형성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의 예로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들었지만, 본 발명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부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가, 노즐로부터 잉크 액을 토출시킴으로써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화상 형성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래의 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변경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의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11)

  1. 시트를 급송하는 급송 장치로서,
    시트가 적재되는 적재 부재와,
    제1 회전 및 제2 회전으로 회전가능한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유닛과,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과,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한 상태로 회전함으로써 시트를 급송하고,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1 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픽업 롤러와,
    상기 구동 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제1 회전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로부터 시트를 급송하도록 구성되는 피드 롤러와,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2 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적재 부재에 적재된 시트와 접촉하는 접촉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부터 상방으로 퇴피하는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제1 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퇴피 위치에 위치하는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이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한 시트 급송 동작의 종료로부터 미리 정해진 기간의 경과 후에,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회전의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픽업 롤러에 의한 시트 급송 동작의 종료로부터 상기 미리 정해진 기간의 경과 전에, 상기 모터가 상기 제2 회전의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제어하여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에 유지하는, 급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역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유닛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웨이 클러치를 개재해서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구동력이 전달되는 이격 부재와, 상기 이격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역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이격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상기 접촉 위치로부터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급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의 디텐트 토크(detent torque)에 의해, 상기 이격 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상태로 유지되는 급송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픽업 롤러를 보유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급송 탄성 부재와,
    상기 보유 지지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를 접속하도록 구성되는 접속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격 부재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할 때에 상기 접속 부재를 가압하는 급송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은, 정회전 및 역회전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급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를 제1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모터를 제2 미리 정해진 양만큼 정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접촉 위치로 이동시키는 급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픽업 롤러의 시트 급송 동작의 종료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급송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급송 장치의 본체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로부터의 오프(OFF)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를 상기 제1 미리 정해진 양만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픽업 롤러를 상기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는 급송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유닛은, 상기 이격 부재에 설치되고, 미리 정해진 톱니 수(number of teeth)를 갖는 랙 기어(rack gear)와, 상기 랙 기어에 구동력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기어를 포함하는 급송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 상기 픽업 롤러로의 구동 전달 경로에 설치된 급송 클러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모터가 역회전할 때에는, 상기 구동 유닛으로부터의 상기 역회전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픽업 롤러가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급송 클러치를 제어하는 급송 장치.
  11. 제1항에 따른 급송 장치와,
    상기 급송 장치에 의해 급송된 시트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50077836A 2014-06-03 2015-06-02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101827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15305 2014-06-03
JP2014115305A JP6366369B2 (ja) 2014-06-03 2014-06-03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457A KR20150139457A (ko) 2015-12-11
KR101827599B1 true KR101827599B1 (ko) 2018-02-08

Family

ID=547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836A KR101827599B1 (ko) 2014-06-03 2015-06-02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93497B2 (ko)
JP (1) JP6366369B2 (ko)
KR (1) KR101827599B1 (ko)
CN (1) CN105173798B (ko)
PH (1) PH120150001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083A (ko) * 2016-07-05 2018-01-15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급지 장치, 이를 채용한 매체 처리 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6758993B2 (ja) * 2016-08-12 2020-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94678B2 (en) * 2016-09-07 2021-01-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ick arm raise with one-way clutch and torque limiter
JP6852325B2 (ja) 2016-09-20 2021-03-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9757965B1 (en) 2016-10-14 2017-09-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ing device performance analysis
JP6891464B2 (ja) * 2016-11-24 2021-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3342735A1 (en) 2016-12-22 2018-07-0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3357843B1 (en) * 2017-02-07 2024-04-24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821460B2 (ja) * 2017-02-07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921604B2 (ja) * 2017-04-24 2021-08-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5949B2 (ja) * 2017-08-08 2021-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装置
JP6958137B2 (ja) * 2017-09-04 2021-11-0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114871B2 (ja) * 2017-10-06 2022-08-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供給装置、収容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7040057B2 (ja) * 2018-01-31 2022-03-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47A (ja) * 2004-09-30 2006-04-13 Kyocera Mita Corp 排紙装置
JP2007145543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機の給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8131A (ja) * 1982-02-24 1983-09-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自動給紙機構
JP3384205B2 (ja) * 1995-08-28 2003-03-10 富士通株式会社 媒体搬送装置
JP3422237B2 (ja) * 1996-10-22 2003-06-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給紙装置
JPH115640A (ja) 1997-06-12 1999-01-12 Konica Corp 給紙装置
JP3478776B2 (ja) * 2000-02-02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3804769B2 (ja) * 2000-12-18 2006-08-02 株式会社リコー 自動原稿給紙装置
JP4168279B2 (ja) 2003-05-09 2008-10-2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クラッチ装置及び該クラッチ装置を備えた記録装置
JP4459009B2 (ja) 2004-10-12 2010-04-2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3992039B2 (ja) * 2004-12-27 2007-10-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材供給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41811B2 (ja) * 2006-11-30 2009-03-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7041B2 (ja) * 2009-12-28 2013-10-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74538B2 (ja) 2010-11-22 2013-08-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97130A (ja) 2011-03-18 2012-10-18 Seiko Epson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シート送り出し機構
JP5370422B2 (ja) 2011-06-29 2013-1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86570B2 (ja) 2011-12-09 2014-01-1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440472B2 (ja) * 2014-12-03 2018-12-19 キヤノン株式会社 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547A (ja) * 2004-09-30 2006-04-13 Kyocera Mita Corp 排紙装置
JP2007145543A (ja) * 2005-11-29 2007-06-14 Kyocera Mita Corp 画像形成機の給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5000170B1 (en) 2016-11-28
PH12015000170A1 (en) 2016-11-28
KR20150139457A (ko) 2015-12-11
US10093497B2 (en) 2018-10-09
CN105173798A (zh) 2015-12-23
US20150344246A1 (en) 2015-12-03
JP2015229540A (ja) 2015-12-21
JP6366369B2 (ja) 2018-08-01
CN105173798B (zh) 2017-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7599B1 (ko) 급송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8430393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254698B2 (en) Sheet feeding device
JP5979922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5343B2 (ja) 画像形成装置
US8333375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66060B1 (ko) 시트 공급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91241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veyance device
US835350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0765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5780749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9771226B2 (en) Fee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8394738B (zh) 片材供给装置和成像装置
JP2015067388A (ja) シート給送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534301B2 (en) Medium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37556A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192255A1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1165177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0067574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3220904A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