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5616B1 -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 - Google Patents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616B1
KR101825616B1 KR1020167004536A KR20167004536A KR101825616B1 KR 101825616 B1 KR101825616 B1 KR 101825616B1 KR 1020167004536 A KR1020167004536 A KR 1020167004536A KR 20167004536 A KR20167004536 A KR 20167004536A KR 101825616 B1 KR101825616 B1 KR 101825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resin container
container
box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006A (ko
Inventor
타쓰아키 사이토
토시아키 미사이즈
Original Assignee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6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65D1/0276Bottom construction having a continuous contact surface, e.g. Champagne-typ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65D1/42Reinforcing or strengthening parts or members
    • B65D1/44Corrug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3Nest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3/10Handles
    • B65D23/102Gripping mean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 cavities, proj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1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 B65D77/042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or semi-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polygonal cross-section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e.g. carton the inner container being a bottle, canister or like hollow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18Ribs
    • B65D2501/0036Hollow circonferential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 B65D2501/0009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2501/0081Bottles of non-circular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tacks of articles; for special arrangements of groups of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좋은 취급성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수지 용기, 및 수지 용기를 포함하는 백-인-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지 용기는 가요성을 갖는 미리 결정된 양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수지 용기(11)이고, 상기 수지 용기는 유체에 대한 유입/배출부(24)가 형성되는 제1 표면부(21), 제1 표면부(21)에 연결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 표면부(22), 및 제1 표면부(21)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제2 표면부(22)에 연결되는 제3 표면부(23)를 포함하고, 제1 표면부(21)에는 제3 표면부(23) 측을 향해 제1 표면부(21)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1 리세스(31)가 형성되고, 제2 표면부(22)에는 제1 표면부(21)에서부터 제3 표면부(23)까지 용기의 중심을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2 리세스(3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RESIN CONTAINER AND BAG-IN-BOX}
본 발명은 액체, 분말 또는 알갱이와 같은 유체를 담는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bag-in-box)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용기는 자주 원료로서 높은 강도를 갖는 폴리카보네이트(PC) 수지를 사용하여 성형된 용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만들어진 용기는 가요성이 낮기 때문에 빈 용기를 저장하는 경우에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
이로 인해, 소프트한 원료로 성형되는, 가요성을 갖는 용기가 확산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러한 소프트 용기에 의하면, 저장 또는 폐기 시에는 용기의 부피가 감소될 수 있고, 사용 시에는 액체의 유출과 함께 대기압 하에서 용기가 자연적으로 쭈그러진다. 따라서, 액체의 감소와 함께 내부에 공기를 집어넣을 필요가 없고, 용기는 위생 면에서 우수하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 용기는 단독으로는 내구성이 낮기 때문에, 액체를 담은 상태에서 용기를 처리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판지 상자(cardboard box)로 만들어진 외부 상자에 소프트 용기를 저장함으로써 용기의 내구성을 보완하는 소위 백-인-박스가 개발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참조). 이러한 백-인-박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용기가 외부 상자 밖으로 꺼내어지고, 아래쪽으로 돌려진 용기의 상단에 제공된 주둥이 부분으로 위에서부터 정수기의 상자 모양 저장부에 용기를 삽입함으로써 용기가 설치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084342호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제4113871호 특허 문헌 3: JP-A-H09-40016
그러나, 전술한 백-인-박스에서는 외부 상자 밖으로 용기를 꺼내어 정수기의 상자 모양 저장부에 용기를 설치하는 경우에 외부 상자 또는 저장부와 용기 사이에 손을 집어넣을 갭이 없다. 따라서, 외부 상자 밖으로 용기를 꺼내어 정수기 저장부에 용기를 설치하기 어렵다. 또한, 외부 상자 밖으로 꺼내어진 용기는 잡기가 어렵고, 외부 상자 밖으로 꺼내어진 용기를 수직으로 뒤집어서 정수기 저장부에 삽입하는 프로세스의 작업성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좋은 취급성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수지 용기, 및 수지 용기를 포함하는 백-인-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수지 용기는 가요성을 가지며, 미리 결정된 양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수지 용기로서, 상기 수지 용기는
유체에 대한 유입/배출부가 형성되는 제1 표면부;
제1 표면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 표면부; 및
제1 표면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제2 표면부에 연결되는 제3 표면부를 포함하고,
제1 표면부에는 제3 표면부 측을 향해 제1 표면부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1 리세스(recess)가 형성되고,
제2 표면부에는 제1 표면부에서부터 제3 표면부까지 용기의 중심을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2 리세스가 형성된다.
본 구성을 갖는 수지 용기에 의하면, 주변이 둘러싸여 있는 상태에서도 제2 표면부의 제2 리세스를 따라 팔을 움직임으로써 손이 용기 바닥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상자, 정수기 저장부 등의 안과 밖으로 수지 용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용기를 움켜잡고 유입/배출부를 하향으로 돌리는 경우 하향 측에 배치되는 제1 표면부의 제1 리세스에 손을 삽입하여 쉽고 안정적으로 수지 용기를 움켜잡을 수 있다. 따라서, 핸들과 같은 액세서리 구성 요소를 제공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움켜잡는 것이 비용 증가 없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용기에서, 제3 표면부에는 제1 표면부를 향해 제3 표면부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3 리세스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구성을 갖는 수지 용기에 의하면, 제3 표면부 주위에 손을 넣어 제3 리세스에 손을 삽입함으로써 용기를 확실하게 움켜쥘 수 있다.
본 발명의 백-인-박스는 외부 상자를 포함하고,
전술한 복수의 수지 용기들은 서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로 외부 상자에 저장된다.
본 구성을 갖는 백-인-박스에 의하면, 하부 측 수지 용기의 유입/배출부가 간섭 없이 상부 측 수지 용기의 제3 리세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측 수지 용기의 제3 표면부는 하부 측 수지 용기의 제1 표면부 위에 배치되고, 상부 측 수지 용기는 갭 없이 안정적으로 하부 측 수지 용기 위에 적층된다. 또한, 수지 용기들이 외부 상자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자와 수지 용기 사이에는 수지 용기의 제2 리세스에 의해 갭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갭에 팔을 삽입함으로써, 수지 용기의 제3 표면부 주위에 손을 넣어 제3 리세스에 손을 삽입하여 수지 용기를 확실하게 움켜쥘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상자의 안과 밖으로 수지 용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백-인-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좋은 취급성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수지 용기, 및 수지 용기를 포함하는 백-인-박스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단면도의 하향 측에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용기를 바라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부착된 캡을 갖는 수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단면도에서 실시예에 따른 백-인-박스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5는 외부 상자의 저장 공간 내부에 적층되어 저장되어 있는 수지 용기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백-인-박스의 윗면 평판 부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의 일 실시예의 일 예가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 기술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수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단면도의 하향 측에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용기를 바라본 경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부착된 캡을 갖는 수지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용기(11)는 제1 표면부(21), 제2 표면부(22) 및 제3 표면부(23)를 포함하는 실질적으로 입방체 모양으로 형성되고, 미리 결정된 양의 액체가 수지 용기(11)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용기(11)에 저장되는 액체는 주로 물과 같은 액체를 포함한다. 또한, 액체 이외에 분말 또는 알갱이와 같은 유체가 수지 용기(11)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 용기(11)는 예를 들어, 블로우 성형 기계에 의해 가요성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와 같은 재료를 성형하여 형성되는 박막의 용기이다. 따라서, 수지 용기(11)는 저장 또는 폐기 시에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가요성을 갖는 용기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지 용기(11)가 가요성을 갖는 박막의 용기이기 때문에, 수지 용기(11)는 사용 후 쭈그러뜨려서 폐기되는 일회용(one-way) 용기로서 특히 사용된다.
제1 표면부(21)는 수지 용기(11)의 윗면을 형성하고, 제1 표면부(21)의 중심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관 모양의 유입/배출부(24)가 형성된다. 유입/배출부(24)에서 수지 용기(11)로 액체가 흐른다. 또한, 수지 용기(11) 내부의 액체는 유입/배출부(24)로부터 밖으로 흐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25)은 유입/배출부(24)에 부착된다. 이러한 캡(25)은 유입/배출부(24)에 부착되고 유입/배출부(24)에서 분리될 수 있고, 유입/배출부(24)에 캡(25)을 장착함으로써 수지 용기(11)는 밀봉될 수 있다.
제2 표면부(22)는 수지 용기(11)의 외주면을 형성하고, 제1 표면부(21)에 연결되어 하향 측으로 연장된다. 제3 표면부(23)는 수지 용기(11)의 바닥면을 형성하고, 제1 표면부(21)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제2 표면부(22)에 연결된다.
제1 표면부(21)에는 두 개의 제1 리세스(31)가 형성된다. 이들 제1 리세스(31)는 유입/배출부(24)가 샌드위칭되는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들 제1 리세스(31) 각각은 제3 표면부(23) 측을 향해 제1 표면부(21)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리세스이고, 제2 표면부(22) 측이 개방된다.
제2 표면부(22)에는 두 개의 제2 리세스(32)가 형성된다. 이들 제2 리세스(32)는 제1 리세스로부터 연속되도록 수지 용기(11)의 원주 방향으로 제1 리세스(31)들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제1 표면부(21)에서부터 제3 표면부(23)까지 수지 용기(11)의 중심을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도록 형성된다. 제2 리세스들(32) 각각은 수지 용기(11)의 평면도에서 수지 용기(11)의 중심을 향해 원호 모양으로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모양으로 형성된다.
제3 표면부(23)에는 제3 리세스(33)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리세스(33)는 수지 용기(11)의 중심에 형성되고, 제3 표면부(23)에서부터 제1 표면부(21)를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3 리세스(33)는 수지 용기(11)들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경우에 하측 수지 용기(11)의 유입/배출부(24)와 실질적으로 간섭하지 않는 크기로 우묵하게 만들어진다.
또한, 수지 용기(11)의 제2 표면부(22)에는 벨로즈(bellows) 부분(35)이 형성된다. 이러한 벨로즈 부분(35)은 수지 용기(11)의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홈 부분(36)을 가지며, 이들 홈 부분(36)은 수지 용기(11)의 수직 방향으로 동등하게 이격된다.
전술한 수지 용기(11)는 수직으로 뒤집힌 상태에서 정수기 등의 상자 모양 저장부에 삽입된다. 이후,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내부의 액체인 물이 수지 용기(11)의 유입/배출부(24)로부터 정수기로 공급된다.
물이 정수기에서 소비되어 수지 용기(11) 내부의 물이 감소하면, 가요성을 갖는 소프트한 수지 용기(11)는 그에 따라 변형되어 부피 용량이 감소한다. 결과적으로, 물의 감소와 함께 수지 용기(11)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위생이 보장된다. 이때, 수지 용기(11)의 외주면인 제2 표면부(22)에는 벨로즈 부분(35)이 형성되기 때문에, 벨로즈 부분(35)은 물의 감소와 함께 쉽게 변형된다.
도 4는 단면도에서 실시예에 따른 백-인-박스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외부 상자의 저장 공간 내부에 적층되어 저장되어 있는 수지 용기들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백-인-박스 윗면 평판 부분이 분리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인-박스(41)는 내부에 저장 공간(S)을 갖는 외부 상자(42)를 가지며, 두 개의 수지 용기(11)가 외부 상자(42)의 저장 공간(S)에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백-인-박스(41)에서, 가요성을 갖는 박막의 수지 용기(11)는 외부 상자(42)에 의해 보강된다. 따라서, 백-인-박스(41)에서 수지 용기(11)는 손상 없이 쉽게 저장되어 전달될 수 있다.
외부 상자(42)는 예를 들어, 판지(cardboard 또는 pasteboard)로 형성되고 입방체 모양을 갖는다. 외부 상자(42)는 윗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윗면 평판 부분(51), 이러한 윗면 평판 부분(51)의 외부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하향으로 연장하여 측면을 형성하는 사변의 관 모양의 측면 평판 부분(52), 및 측면 평판 부분(52)의 하부 말단에 연결되고 바닥면을 형성하는 직사각형의 바닥면 평판 부분(53)을 포함한다. 외부 상자(42)의 윗면 평판 부분(51)은 개폐될 수 있고, 열리는 이러한 윗면 평판 부분(51)으로 수지 용기(11)를 외부 상자(42)의 안과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수지 용기(11)는 서로 적층되는 수지 용기들로 외부 상자(42)의 저장 공간(S)에 저장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하부 측 수지 용기(11)의 유입/배출부(24)는 간섭 없이 상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3 리세스(33)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3 표면부(23)는 하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1 표면부(21) 위에 배치되고, 상부 측 수지 용기(11)는 갭 없이 안정적으로 하부 측 수지 용기(11) 위에 적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지 용기(11)가 외부 상자(42)의 저장 공간(S)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자(42)의 측면 평판 부분(52)과 수지 용기(11) 사이에는 수지 용기(11)의 제2 리세스(32)들에 의해 갭(G)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백-인-박스(41) 밖으로 수지 용기(11)를 꺼내어 정수기의 저장부에 수지 용기(11)를 설치하는 경우가 기술된다. 작업자는 백-인-박스(41)의 외부 상자(42)의 윗면 평판 부분(51)을 열고 외부 상자(42)의 저장 공간(S)에 저장되어 있는 수지 용기(11)를 꺼낸다. 여기에서, 외부 상자(42)의 측면 평판 부분(52)과 수지 용기(11) 사이에는 수지 용기(11)의 제2 리세스(32)들에 의해 갭(G)들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작업자는 수지 용기(11)의 바닥면인 제3 표면부(23)에 손이 쉽게 도달하도록 하기 위해 수지 용기(11)의 제2 리세스(32)를 따라 수지 용기(11)와 외부 상자(42) 사이의 갭(G)으로 팔을 삽입할 수 있다.
작업자는 수지 용기(11)의 제3 표면부(23) 주위에 손을 넣어 수지 용기(11)를 잡기 위해 수지 용기(11)를 움켜 쥐고, 외부 상자(42) 밖으로 수지 용기(11)를 꺼내기 위해 수지 용기(11)를 위로 당긴다. 여기에서, 수지 용기(11)의 바닥면인 제3 표면부(23)에는 상부 측인 제1 표면부(21)를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3 리세스(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이러한 제3 리세스(33)에 손을 삽입하여 수지 용기(11)를 확실하게 움켜 쥘 수 있다.
이후, 하향 측으로 유입/배출부(24)를 돌리기 위해, 작업자는 수지 용기(11)를 수직으로 뒤집고, 이러한 상태에서 수지 용기(11)를 움켜쥔다. 여기에서, 수지 용기(11)의 제1 표면부(21)에는 제3 표면부(23) 측을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1 리세스(31)가 형성되기 때문에, 수직으로 뒤집어진 수지 용기(11)에 대해, 작업자는 하향 측에 배치된 제1 리세스(31)에 손을 삽입하여 쉽고 안정적으로 수지 용기(11)를 움켜쥘 수 있다.
이후, 수직으로 뒤집어진 수지 용기(11)를 움켜쥐고 있는 동안, 작업자는 이러한 수지 용기(11)를 상향 측에서부터 정수기의 박스 모양 저장부로 낮추어서 수지 용기(11)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제2 표면부(22)에 형성된 제2 리세스(32)로 이루어지는 갭이 수지 용기(11)와 저장부의 내벽 사이에 수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갭으로 팔을 삽입하는 동안 저장부로 수지 용기(11)를 삽입함으로써, 작업자는 저장부의 내벽과 수지 용기(11) 사이에 팔이 끼지 않고 저장부에 수지 용기(11)를 원활하게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수지 용기(11)에 의하면, 주변이 둘러싸여 있는 상태에서도 제2 표면부(22)의 제2 리세스(32)를 따라 팔을 움직임으로써 수지 용기(11) 바닥에 손이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수지 용기(11)를 외부 상자(42), 정수기의 저장부 등의 안과 밖으로 수지 용기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 용기(11)를 움켜쥐고 유입/배출부(24)를 하향으로 돌리는 경우에 하향 측에 배치된 제1 표면부(21)의 제1 리세스에 손을 삽입하여 수지 용기(11)를 쉽고 안정적으로 움켜쥘 수 있다. 따라서, 수직으로 뒤집는 경우에 움켜쥘 수 있는 핸들이 제공되는 바닥면을 갖는 용기와 비교할 때 비용 증가 없이 움켜 쥐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제3 표면부(23)에는 제1 표면부(21)를 향해 제3 표면부(23)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3 리세스(3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3 표면부(23) 주변에 손을 넣고 제3 리세스(33)에 손을 삽입하여 수지 용기(11)를 확실하게 움켜쥘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백-인-박스(41)에 의하면, 서로 적층되어 있는 수지 용기(11)는 수지 용기(11)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제3 표면부(23)에 핸들과 같은 액세서리 부재를 갖지 않고, 제1 표면부(21) 측으로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3 리세스(33)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하부 측 수지 용기(11)의 유입/배출부(24)가 간섭 없이 상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3 리세스(33)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3 표면부(23)는 하부 측 수지 용기(11)의 제1 표면부(21) 위에 배치되고, 상부 측 수지 용기(11)는 갭 없이 안정적으로 하부 측 수지 용기(11) 위에 적층된다. 즉, 하부 측 수지 용기(11)의 유입/배출부(24)가 상부 측 수지 용기(11)와 간섭하지 않고, 상부 및 하부 수지 용기(11)가 외부 상자(42)에 안정적으로 적층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용기(11)가 외부 상자(42)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부 상자(42)와 수지 용기(11) 사이에는 수지 용기(11)의 제2 리세스(32)들에 의해 갭(G)이 수직으로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수지 용기(11)들이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외부 상자(42)와 수지 용기(11) 사이의 갭(G)에 팔을 삽입함으로써, 수지 용기(11)의 제3 표면부(23) 주변에 손을 넣고 제3 리세스(33)에 손을 삽입하여, 수지 용기(11)를 확실하게 움켜쥘 수 있다. 따라서, 수지 용기(11)를 외부 상자(42)의 안과 밖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백-인-박스(41)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지 용기(11)에서, 담긴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는 것에 대해 저항하는 모서리 부분은 외부 상자(42)와 접촉한다. 또한, 수지 용기(11)의 제2 표면부(22)가 담긴 물의 압력에 의해 팽창하는 경우에도, 수지 용기(11)의 제2 표면부(22)의 중심에는 수직 방향을 따라 제2 리세스(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상자(42)는 수지 용기(11)에 의해 내부로부터 압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백-인-박스(41)의 변형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실시예는 좋은 취급성과 함께 가요성을 갖는 수지 용기(11), 및 수지 용기(11)를 포함하는 백-인-박스(41)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예, 개선예 등이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달성될 수 있는 한,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각 구성 요소의 재료, 모양, 치수, 수치, 형태, 구성 요소의 개수, 배치 장소들은 자유롭게 임의이며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출원은 2013년 8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특허출원 제2013-172650호)을 기반으로 하고, 특허 출원의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11: 수지 용기 21: 제1 표면부
22: 제2 표면부 23: 제3 표면부
24: 유입/배출부 31: 제1 리세스
32: 제2 리세스 33: 제3 리세스
41: 백-인-박스 42: 외부 상자

Claims (3)

  1. 가요성을 갖고, 미리 결정된 양의 유체를 저장할 수 있는 수지 용기로서, 상기 수지 용기는
    상기 유체에 대한 유입/배출부가 형성되는 제1 표면부;
    상기 제1 표면부에 연결되고, 외주면을 형성하는 제2 표면부; 및
    상기 제1 표면부의 반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표면부에 연결되는 제3 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표면부에는 제3 표면부 측을 향해 상기 제1 표면부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1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표면부에는 상기 제1 표면부에서부터 상기 제3 표면부까지 상기 수지 용기의 중심을 향해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2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리세스는, 상기 제1 표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수지 용기의 중심을 향해 원호 모양으로 우묵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리세스의 폭은, 상기 제1 표면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봤을 때, 상기 수지 용기의 중심 측으로부터 상기 제2 표면부 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수지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표면부에는 상기 제1 표면부를 향해 상기 제3 표면부에서부터 우묵하게 만들어지는 제3 리세스가 형성되는 수지 용기.
  3. 외부 상자를 포함하는 백-인-박스로서,
    제2 항에 따른 복수의 수지 용기가 서로 적층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외부 상자에 저장되는 백-인-박스.
KR1020167004536A 2013-08-22 2014-08-11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 KR101825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2650 2013-08-22
JP2013172650A JP6226635B2 (ja) 2013-08-22 2013-08-22 樹脂容器及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PCT/JP2014/071227 WO2015025771A1 (ja) 2013-08-22 2014-08-11 樹脂容器及びバッグイン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006A KR20160035006A (ko) 2016-03-30
KR101825616B1 true KR101825616B1 (ko) 2018-02-05

Family

ID=52483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536A KR101825616B1 (ko) 2013-08-22 2014-08-11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46881B2 (ko)
JP (1) JP6226635B2 (ko)
KR (1) KR101825616B1 (ko)
CN (1) CN105452113B (ko)
TW (1) TWI537184B (ko)
WO (1) WO20150257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9906A1 (en) * 2016-02-26 2019-01-02 Plastipak Packaging, Inc. Stackable container with spout
US10111410B2 (en) * 2017-01-31 2018-10-30 Mirit Glasser Leash attachable portage and storage apparatus
JP6910157B2 (ja) * 2017-02-22 2021-07-28 アサヒ飲料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ボトル
USD945274S1 (en) * 2017-11-09 2022-03-08 Robert David Sager Water bottle
USD967353S1 (en) * 2020-04-16 2022-10-18 Mark Haufrect Bottleneck connector
US20220274736A1 (en) * 2021-02-26 2022-09-01 Regent Aubin Stackable fluid container with double top hand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443A (ja) * 2000-01-19 2001-07-24 Yoshino Kogyosho Co Ltd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1374A (en) * 1949-10-29 1953-06-09 Yee Sing Chun Container
US3690500A (en) * 1970-11-02 1972-09-12 Applic Gaz Sa Spherical containers for pressurized fluids
JPS5648039Y2 (ko) 1977-03-25 1981-11-10
US4805793A (en) * 1987-10-23 1989-02-21 Pioneer/Eclipse Corporation Stackable bottle
US5064101A (en) * 1989-10-31 1991-11-12 The Coca-Cola Company Five gallon nestable plastic syrup container
JPH05270592A (ja) * 1992-03-25 1993-10-19 Hidefusa Kudo 液体用カートリッジ装置
US5174458A (en) * 1992-05-12 1992-12-29 Colgate-Palmolive Company Collapsible container
US5330050A (en) * 1993-11-12 1994-07-19 Cornos Corporation Pallet merchandising system for containers
JPH0940016A (ja) 1995-07-31 1997-02-10 Kikkoman Corp 胴膨れ防止機能つきバックインボックス
US6068161A (en) * 1997-07-01 2000-05-30 Creative Edge Design Group, Ltd. Stackable, thin-walled containers having a structural load distributing feature permitting caseless shipping
JP2001111228A (ja) 1999-10-05 2001-04-20 Mitsubishi Gas Chem Co Inc フリップチップ搭載用高密度多層プリント配線板
US6527133B1 (en) * 2000-11-03 2003-03-04 Portola Packaging, Inc. Multiple label liquid container
US6588612B1 (en) * 2002-01-17 2003-07-08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ith stacking recesses
US7303796B2 (en) 2003-07-03 2007-12-04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Preform assembly, contain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342742A1 (de) * 2003-09-16 2005-05-12 Braun Melsungen Ag Behälter für Infusionsflüssigkeiten
JP4084342B2 (ja) 2004-10-06 2008-04-30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およびその支持具
JP4113871B2 (ja) 2004-11-08 2008-07-0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飲料ディスペンサ用カートリッジ容器
US20070114200A1 (en) * 2004-11-05 2007-05-24 Lane Dean V Stackable bottle system
US7467714B2 (en) * 2005-06-15 2008-12-23 Plastipak Packaging, Inc. Container stack and separating element therefor
US8235214B2 (en) * 2007-03-05 2012-08-07 Dean Intellectual Property Services Ii, Inc. Stackable liquid container with tunnel-shaped base
US8439214B2 (en) * 2007-03-16 2013-05-14 Plastipak Packaging, Inc. Plastic container with elongated vertical formation
CN201178991Y (zh) 2007-10-22 2009-01-14 黄全福 箱中袋式方便水箱
JP5253085B2 (ja) * 2008-07-18 2013-07-31 株式会社ウォーターダイレクト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ボトル
JP5374335B2 (ja) * 2009-11-30 2013-12-25 株式会社ウォーターダイレクト ボトルホルダ及び飲料サーバ
JP2011131890A (ja) * 2009-12-22 2011-07-07 Yokohama Shokoki Service Kk ボトル容器
JP5270592B2 (ja) 2010-02-23 2013-08-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画像符号化プログラム
US8561822B2 (en) * 2011-07-25 2013-10-22 Devtec Labs, Inc. Multi-gallon capacity blow molded container
CN202337412U (zh) 2011-11-22 2012-07-18 张奕 缩体便利水桶
US8746453B1 (en) * 2013-01-30 2014-06-10 Buddeez, Inc. Double-handle, stackable, pourable product contai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9443A (ja) * 2000-01-19 2001-07-24 Yoshino Kogyosho Co Ltd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00495A1 (en) 2016-07-14
CN105452113B (zh) 2018-02-13
KR20160035006A (ko) 2016-03-30
CN105452113A (zh) 2016-03-30
US10046881B2 (en) 2018-08-14
WO2015025771A1 (ja) 2015-02-26
JP6226635B2 (ja) 2017-11-08
TW201524851A (zh) 2015-07-01
JP2015040064A (ja) 2015-03-02
TWI537184B (zh) 2016-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616B1 (ko) 수지 용기 및 백-인-박스
KR101905209B1 (ko) 용기용 패키징
US10252834B2 (en) Rigid structured polymer container
US10189623B2 (en) Container assemblies for storing, shipping, and/or dispensing fluids, and related methods
US20090266782A1 (en) Stackable ribbed bottle system
US9169043B2 (en) Container with removable tray
EA027042B1 (ru) Пластиковая фланцевая емкость и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содержащая такие емкости
CA2532266A1 (en) Two stacking position square container
US20130168401A1 (en) Expandable container
KR20150000857A (ko) 과일 용기
US20200345163A1 (en) Stackable liquid containment system
RU114035U1 (ru) Канистра
MX2010013684A (es) Frasco de succion y montaje de tapa apilables.
EP2674391A1 (en) Water container for water dispenser
US20110174657A1 (en) Jar Storage Container
KR200247285Y1 (ko) 다수의 격실들을 갖는 음료용기
CN214427443U (zh) 加样槽更换套及医疗耗材
GB2570921A (en) Fluid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3139160U (ja) 流体輸送用容器
EP2392520B2 (en) Packaging assembly
JP3160572U (ja) 飲料用ボトル
KR200352428Y1 (ko)
JP2020006996A (ja) 口栓
KR20080093320A (ko) 플라스틱 포장용기
US20120305579A1 (en) Packag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