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277B1 - 난연제 - Google Patents

난연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277B1
KR101824277B1 KR1020127028562A KR20127028562A KR101824277B1 KR 101824277 B1 KR101824277 B1 KR 101824277B1 KR 1020127028562 A KR1020127028562 A KR 1020127028562A KR 20127028562 A KR20127028562 A KR 20127028562A KR 101824277 B1 KR101824277 B1 KR 101824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yl
alkyl
different
formula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4230A (ko
Inventor
클라우스 한
사빈 푸흐스
잉고 벨린
패트릭 스피에스
막시밀리안 호프만
페터 데글만
클레멘스 마쏜느
하르트무트 데네케
크리스토프 플레켄스타인
기르트 얀쎈스
만프레드 되링
미하엘 씨에지엘스키
요헨 바그너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3004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2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36Sulfur-, selenium-, or tellurium-containing compounds
    • C08K5/37Thiols
    • C08K5/372Sulfides, e.g. R-(S)x-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6Organic materials
    • C09K21/12Organ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황 화합물, 및 b) 인 화합물을 기준으로 인 함량이 5 내지 80 중량%인 1종 이상의 할로겐-부재 유기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제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스티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발포체의 보호에 특히 적합하다.
<화학식 (I)>
Figure 112012089201906-pct00046

여기서,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1 및 A2는 모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C6-C12-아릴, 시클로헥실, Si(ORa)3,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부분적 불포화, 또는 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며, 이는 비치환되거나 O, OH, S, SH, COORb, CONRcRd,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티오알킬, C6-C12-아릴, C6-C12-아릴옥시, C2-C18-알케닐, C2-C18-알케녹시, C2-C18-알키닐, 및 C2-C18-알키녹시의 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고; Z1 및 Z2는 모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CO- 또는 -CS-이고; Ra는 C1-C18-알킬이고; Rb, Rc, 및 Rd는 모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H, C1-C18-알킬, C6-C12-아릴이거나,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고; m 및 p는 모두 또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n은 2 내지 10의 자연수임.

Description

난연제 {FLAME RETARDANT}
본 발명은 인 화합물 및 황 화합물을 포함하는 난연제, 상기 난연제를 포함하는 특히 발포체 형태의 중합체 조성물, 상기 중합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단열재로서의 발포 중합체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난연제를 중합체, 특히 발포체, 예를 들어 건물의 단열을 위한 압출된 폴리스티렌 발포체 시트 (XPS) 또는 팽창성 폴리스티렌 (EPS)으로 이루어진 성형된 폴리스티렌 발포체에 제공하는 것은 매우 다양한 적용분야에서 중요하다.
플라스틱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난연제는 주로 적합한 상승제, 예를 들어 유기 퍼옥시드 또는 질소-함유 화합물과 임의로 조합된 폴리할로겐화된 탄화수소이다. 이러한 전통적인 난연제의 전형적 대표물질에는 예로서 폴리스티렌에서 사용되는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HBCD)이 있다. 생물 축적 (bioaccumulation) 때문에, 및 또한 일부 폴리할로겐화된 탄화수소의 난분해 특성 때문에, 플라스틱 산업에서 할로겐화된 난연제를 대체하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DE-A 16 94 945에는 황과 브롬 화합물 및 인 화합물의 조합이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위한 난연제로서 제안되어 있다.
EP-A 0 806 451에는 팽창된 (EPS 및 XPS) 폴리스티렌 발포체에서 유기인 난연제를 위한 상승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원소 황과 함께 디알킬 폴리술피드가 개시되어 있다.
WO 2009/035881에는 임의로 디- 또는 폴리술피드기를 가지는 인-황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공지된 시스템이 이미 양호한 결과를 달성함에도 불구하고, 특히 제조, 성능 특징, 및 보호를 필요로 하는 물질에서의 관련된 첨가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련하여 많은 개선의 여지가 존재한다. 예로서, 불투열성 물질, 예컨대 백악 또는 흑연이 또한 존재하는 경우 통상적인 난연제 HBCD를 증가된 양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일부 분야에서 개선을 제공하거나 공지된 시스템의 단점을 완화시키는 추가의 난연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유기인 화합물과 함께 방향족 또는 헤테로시클릭 말단기를 갖는 디- 또는 폴리술피드를 함유하는 난연제가 특히 중합체 발포체에서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특성을 가짐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황 화합물, 및
b) 인 화합물을 기준으로 인 함량이 5 내지 80 중량%인 1종 이상의 할로겐-부재 유기인 화합물
을 1:10 내지 10:1의 a:b 중량비로 포함하는 난연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1
여기서,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6-C12-아릴, 시클로헥실, Si(ORa)3,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부분적 불포화, 또는 방향족,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며, 여기서 시스템은 비치환되거나 O, OH, S, SH, COORb, CONRcRd,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티오알킬, C6-C12-아릴, C6-C12-아릴옥시, C2-C18-알케닐, C2-C18-알케녹시, C2-C18-알키닐, 및 C2-C18-알키녹시의 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고;
Z1 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O- 또는 -CS-이고;
Ra는 C1-C18-알킬이고;
Rb, Rc, 및 Rd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8-알킬, C6-C12-아릴이거나,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고;
m 및 p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0 또는 1이고,
n은 2 내지 10의 자연수임.
또한, 본 발명은 난연제로서의 성분 a) 및 b)의 혼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5 중량부의 본 발명의 난연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발포체,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중합체 기재 중합체 발포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중합체의 용융물을 제조하고 본 발명의 난연제와 혼합하는,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동일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중합체 조성물의 특히 건축 산업에서의 단열재로서의 용도를 또한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난연제는 예로서 스티렌 중합체 기재 발포체의 제조 동안 개선된 가공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저밀도 발포체를 보호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유리하게는, 불투열성 화합물의 첨가는 일반적으로 난연제 작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난연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중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종, 특히 바람직하게는 1종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페닐, 비페닐, 나프틸, N, S, 및 O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 또는 2개 갖는 5- 내지 8-원 포화 고리, 또는 N, S, 및 O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개 갖는 5- 내지 10-원 모노-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이며, 여기서 언급된 5개의 고리 시스템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비치환되거나 O, OH, C1-C12-알콕시, C2-C12-알케닐옥시, 및 COORb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Z1 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CO- 또는 -CS-이고;
Rb는 바람직하게는 H, C1-C12-알킬, C6-C10-아릴, 또는 N, O, 및 S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방향족 5- 또는 6-원 고리이고;
m 및 p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고;
n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의 자연수임.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부호의 정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특히 바람직하게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2
이고,
Z1 및 Z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CS-이고,
m 및 p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이고,
n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2, 4 또는 6임.
부호 및 지수의 모든 정의가 특히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의 하기 화합물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3
화학식 (I)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문헌 [Houben-Weyl,"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11/2, 1958, pp. 747 및 749]에서 N-폴리술피드 (예를 들어 I-3 및 I-4)에 대해 기재된 방법, 및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E11, 1985, pp. 129-149]에서 유기디술피드 및 디오르가노디술피드 (예를 들어 I-1, I-2, I-5)에 대해 기재된 방법, 및 문헌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E11, 1985, pp. 157]에서 고급 디오르가노디술피드 (예를 들어 I-6)에 대해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의 상세한 합성은 하기에 기재되어 있다:
화합물 I-1: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4
문헌 [Zysman-Colman, Eli; Harpp, David N.;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2003), 68(6), 2487-2489]
화합물 I-2: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5
문헌 [Bergfeld, Manfred; Eisenhuth, Ludwig. (Akzo Patente Gmbh, Germany). Ger. Offen. (1992), DE 4032680 A1 19920416]
화합물 I-3: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6
예를 들어 라쉬크 게엠베하 (RASCHIG GmbH) (독일 루드빅샤펜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화합물 I-4: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7
문헌 [Sun, Ranfeng; Zhang, Yonglin; Chen, Li; Li, Yongqiang; Li, Qingshan; Song, Haibin; Huang, Runqiu; Bi, Fuchun; Wang, Qingmi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2009), 57(9), 3661-3668]
화합물 I-5: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8
문헌 [Naimi-Jamal, M. Reza; Hamzeali, Hamideh; Mokhtari, Javad; Boy, Jurgen; Kaupp, Gerd.; ChemSusChem (2009), 2(1), 83-88],
및 또한
[Ozen, Recep; Aydin, Fatma; Monatshefte fuer Chemie (2006), 137(3), 307-310]
화합물 I-6:
Figure 112012089201906-pct00009
문헌 [Yoshigaki, Satoru; Anzai, Kunitomo; Kawasaki, Tsuneo. (Ouchi Shinko Chemical Industrial Co., Ltd., Japan). Jpn. Kokai Tokkyo Koho (1989) JP 01261361 A 19891018],
및 또한
[Levi, T. G. Gazzetta Chimica ltaliana (1931), 61 373-82]
화합물 I-7: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0
예를 들어 시그마-알드리치 케미 게엠베하 (Sigma-Aldrich Chemie GmbH) (독일 스타인하임 소재)로부터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함
황 화합물 a) 대 인 화합물 b)의 중량비는 1:10 내지 10:1,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6:1, 특히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3:1이다.
본 발명의 난연제는 성분 b)로서 인 화합물을 기준으로 5 내지 80 중량%의 인 함량을 갖는 인 화합물을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종,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종, 특히 1종 포함한다.
하기 화학식 (II)의 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1
여기서, 화학식 (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1은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R2는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R3은 H, SH, SR4, OH, OR5, 또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2
기이거나;
R1, R2, R3 중 두 기는 이에 결합된 인 원자와 함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하고;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이고;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이고;
R4, R5, R9, R10, R11, R12 및 R1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기로서 하나 이상의 C1-C4-알킬기를 가질 수 있는 C1-C12-알킬, C3-C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C6-C10-아릴 또는 C6-C10-아릴-C1-C4-알킬이고;
R6,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n은 Y1 및 Y2가 각각 O인 경우 0 또는 1이고, Y1 및 Y2가 각각 S인 경우 1, 2, 3, 4, 5, 6, 7, 또는 8이고;
m은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s, t,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임.
화학식 (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R1은 바람직하게는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임.
R2는 바람직하게는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임.
R3은 바람직하게는 H, SH, SR4, OH, OR5, 또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3
기임.
X1, X2 및 X3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임.
Y1 및 Y2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임.
R4 및 R5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기로서 하나 이상의 C1-C4-알킬기를 가질 수 있는 C1-C12-알킬, C3-C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C6-C10-아릴 또는 C6-C10-아릴-C1-C4-알킬임.
R6, R7, 및 R8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임.
n은 바람직하게는 Y1 및 Y2가 각각 O인 경우 1이고, Y2가 S인 경우 1 또는 2임.
m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정수임.
s, t, 및 u는 바람직하게는 1임.
모든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 R2, 또는 R3 중 두 라디칼이 함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하지 않는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화학식 (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다음과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1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C1-C8-알킬, C1-C8-알콕시, 시클로헥실, 페닐, 페녹시, 벤질, 벤질옥시임.
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C1-C8-알킬, C1-C8-알콕시, 시클로헥실, 페닐, 벤질, 벤질옥시임.
R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H, SH, SR4, OH, OR5, 또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4
기임.
X1 및 X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임.
Y1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O 또는 S임.
R4 및 R5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C8-알킬, 시클로헥실, 페닐, 또는 벤질임.
R7 및 R8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C8-알킬, C1-C8-알콕시, 시클로헥실, 페닐, 페녹시, 벤질, 또는 벤질옥시임.
n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Y1이 O인 경우 1이고, Y1이 S인 경우 1 또는 2임.
s 및 t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임.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특히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과 같은 화학식 (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특히 바람직하다:
R1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 페녹시임.
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임.
R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H, SH, SR4, OH, OR5, 또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5
기임.
X1 및 X3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임.
Y1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O 또는 S임.
R4 및 R5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시클로헥실, 페닐, 또는 벤질임.
R7 및 R8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페닐, 페녹시임.
n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Y1이 O인 경우 1이고, Y1이 S인 경우 1 또는 2임.
s 및 t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임.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특히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의 하기 군이 또한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6
여기서, 부호의 정의는 화학식 (I)에 기재된 바와 같다.
하기 성분 b)가 특히 바람직하다.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7
하기 화학식 (III)의 인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8
여기서, 화학식 (I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B는
Figure 112012089201906-pct00019
기이고;
R16은 -P(=X5)cR17R18, H, 직쇄 또는 분지형 C1-C12-알킬기, C5-C6-시클로알킬, C6-C12-아릴, 또는 벤질이고, 여기서 마지막으로 언급된 4개의 기는 비치환되거나 C1-C4-알킬 및 C1-C4-알케닐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로 치환되고;
R14, R15, R17, 및 R1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수소, O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23, COR24, COOR25, CONR26R27이거나, 두 라디칼 R14, R15, R17, 또는 R18은 이에 결합된 인 원자, 또는 P-O-B-O-P기와 함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하고;
R19, R20, R21, 및 R2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이고;
R23, R24, R25, R26, 및 R2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6-C10-아릴,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이고;
X4 및 X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S 또는 O이고;
b 및 c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0 또는 1이고;
X6, X7, X8 및 X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S 또는 O이고,
a는 1 내지 50의 자연수임.
화학식 (III)의 부호의 정의가 다음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B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V), (V), 또는 (VI)의 기임.
R16은 바람직하게는 (X5)rPR17R18 또는 H임.
R14, R15, R17, 및 R1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또는 C6-C10-아릴-C1-C16-알콕시임.
R19, R20, R21, 및 R22는 바람직하게는 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임.
X4 및 X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바람직하게는 S 또는 O임.
b 및 c는 바람직하게는 0 또는 1임.
X6, X7, X8 및 X9는 바람직하게는 O임.
a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의 자연수임.
부호의 모든 정의가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의 부호의 정의가 다음과 같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V), (V), 또는 (VI)의 기임.
R16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X5)rPR17R18임.
R14, R15, R17, 및 R1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 페녹시, 페닐-C1-C16-알킬, 또는 페닐-C1-C16-알콕시임.
R19, R20, R21, 및 R2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H임.
X4 및 X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특히 바람직하게는 S 또는 O임.
b 및 c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O 또는 S임.
X6, X7, X8 및 X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O임.
a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임.
부호 및 지수의 모든 정의가 특히 바람직한 정의인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R14 및 R15가 동일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4 및 R17, 또는 R14 및 R18이 동일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R15 및 R17, 또는 R15 및 R18이 동일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또한 특히 바람직하다.
R14, R15, R17 및 R18이 동일한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화학식 (I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다음과 같다: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V), (V), 또는 (VI)의 기임.
R16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X5)rPR17R18임.
R14, R15, R17, 및 R18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페녹시임.
R19, R20, R21, 및 R2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H임.
X4 및 X5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S 또는 O임.
b 및 c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O 또는 1임.
X6, X7, X8 및 X9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산소임.
a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임.
특히 바람직한 화학식 (III)의 화합물은 부호 및 지수의 모든 정의가 특히 바람직한 정의인 것들이다.
라디칼 R14, R15, R17, 및 R18 중 두 라디칼이 각각 이에 결합된 인 원자 또는 P-O-B-O-P기와 함께 3- 내지 12-원 고리 시스템을 형성하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R14, R15, R17 및 R18 중 두 라디칼이 함께 고리 시스템을 형성하지 않는 화학식 (III)의 화합물이 또한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화합물은 또한 하기와 같다: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0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1
화학식 (III)의 일부 화합물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들은 예로서 염기의 존재하에 해당 푸란- 또는 티오펜-기재 모 디올 구조를 클로로인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합성된다. 이러한 공정의 기저가 되는 반응의 유형은 문헌 (예를 들어, 문헌 [WO-A 2003/062251; Dhawan, Balram; Redmore, Derek. J. Org. Chem. (1986), 51(2), 179-83; WO 96/17853; Kumar, K. Ananda; Kasthuraiah, M.; Reddy, C. Suresh; Nagaraju, C, Heterocyclic Communications (2003), 9(3), 313-318; Givelet, Cecile; Tinant, Bernard; Van Meervelt, Luc; Buffeteau, Thierry; Marchand-Geneste, Nathalie; Bibal, Brigitte. J. Org. Chem. (2009), 74(2), 652-659] 참조)에 널리 기재되어 있는 클로로인 화합물과 알콜의 반응이다.
푸란- 또는 티오펜-기재 모 디올 구조는 대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당으로부터 출발하여 문헌 (예를 들어, WO 2006/063287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제조); 문헌 [Cottier, Louis; Descotes, Gerard; Sora, Yaya. Synth. Comm. (2003), 33(24), 4285-4295],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의 제조); 문헌 [CA 2196632, Katritzky, Alan R.; Zhang, Zhongxing; Lang, Hengyuan; Jubran, Nusrallah; Leichter, Louis M.; Sweeny, Norman. J. Heterocycl. Chem. (1997), 34(2), 561-565] 참조)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2,5-치환된 푸란-기재 유도체의 제조는 문헌으로부터 또한 널리 공지되어 있다 (R5-R8은 완전히 또는 어느 정도까지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H와 동일하지 않음):
- 예를 들어, α2,α5-아릴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의 제조: 문헌 [Ishii, Akihiko; Horikawa, Yasuaki; Takaki, Ikuo; Shibata, Jun; Nakayama, Juzo; Hoshino, Masamatsu. Tetrahedron Lett. (1991), 32(34), 4313-16; Jang, Yong-Sung; Kim, Han-Je; Lee, Phil-Ho; Lee, Chang-Hee. Tetrahedron Lett. (2000), 41(16), 2919-2923], 또는
- 예를 들어, α2,α5-알킬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의 제조: 문헌 [Krauss, Juergen; Unterreitmeier, Doris; Antlsperger, Dorothee. Archiv der Pharmazie (2003), 336(8), 381-384]
- 예를 들어, α2,α5-알킬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제조: 문헌 [Walba, D. M.; Wand, M. D.; Wilkes, M. C. J. Am. Chem. Soc. (1979), 101(15), 4396-4397]
- 예를 들어, α2,α5-알케닐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제조: 문헌 [Morimoto, Yoshiki; Kinoshita, Takamasa; Iwai, Toshiyuki. Chirality (2002), 14(7), 578-586]
이러한 유형의 비대칭 2,5-치환된 푸란-기재 디올의 합성은 문헌 (예를 들어, α2-알킬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제조: 문헌 [Donohoe, Timothy J.; Williams, Oliver; Churchill, Gwydian H. Angew. Chem. Int. Ed. (2008), 47(15), 2869-2871]; 또는 α2-알킬화된 α5-알키닐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의 합성: 문헌 [Abe, Masato; Kubo, Akina; Yamamoto, Shuhei; Hatoh, Yoshinori; Murai, Masatoshi; Hattori, Yasunao; Makabe, Hidefumi; Nishioka, Takaaki; Miyoshi, Hideto. Biochemistry (2008), 47(23), 6260-6266]; 또는 α2-알콕실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의 제조: 문헌 [Lu, Dan; Li, Pingya; Liu, Jinping; Li, Haijun, CN 101544624 A])으로부터 또한 공지되어 있다.
하기 화학식 (II)의 티오유사체 (X=S)의 합성은 문헌 (문헌 [Kuszmann, J.; Sohar, P. Carbohydrate Research (1972), 21(1), 19-27] 참조)으로부터 또한 공지되어 있다.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2
화학식 (III)의 티오유사체 (X=S)의 합성 (문헌 [Garrigues, Bernard. Phosphorus, Sulfur and Silicon (1990), 53(1-4), 75-9] 참조) 및 화학식 (III)의 치환된 티오유사체, 예를 들어 α2,α5-아릴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티오펜의 합성 (문헌 [Kumaresan, D.; Agarwal, Neeraj; Gupta, Iti; Ravikanth, M. Tetrahedron (2002), 58(26),5347-5356] 참조)이 역시 공지되어 있다.
화학식 (IV)의 티오유사체 (X=S) 및 화학식 (IV)의 치환된 티오유사체, 예를 들어 α2,α5-알킬화된 2,5-비스(히드록시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의 합성이 또한 기재되어 있다 (문헌 [Luttringhaus, A.; Merz, H. Archiv der Pharmazie und Berichte der Deutschen Pharmazeutischen Gesellschaft [Archive of pharmacy and reports of the German Pharmaceutical Society] (1960), 293, 881-890] 및 각각 [Block, Eric; Ahmad, Saleem. Phosph. Sulfur and the Related Elements (1985), 25(2), 139-145] 참조).
푸란- 또는 티오펜-기재 디올의 일부는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순수한 형태로 발생한다. 푸란- 또는 티오펜-기재 디올은 이들의 순수한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기하 이성질체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난연 효능제의 합성에 필요한 클로로인 유도체는 통상적으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거나 문헌 (문헌 [Science of Synthesis (formerly Houben Weyl) 42 (2008); Houben Weyl E1-2 (1982); Houben Wey 12 (1963-1964)] 참조)으로부터 널리 공지된 합성 경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연제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은 중합체를 기준으로 0.2 내지 10 중량부이다. 특히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로 이루어진 발포체의 경우에 중합체를 기준으로 2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중합체를 기준으로 2.5 내지 10 중량부의 양에 의해 충분한 난연성이 제공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이러한 적용분야를 위해, 중량부 데이터는 항상 임의의 첨가제를 제외하고 난연제가 되는 화합물, 특히 중합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연제의 유효성은 추가의 적합한 난연 상승제, 예를 들어 열적 자유-라디칼 생성제 디쿠밀 퍼옥시드, 디-tert-부틸 퍼옥시드, 또는 디쿠밀을 첨가함으로써 여전히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난연 상승제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은 중합체를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이다.
추가의 난연제, 예를 들어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금속 산화물, 금속 수산화물,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트, 포스피네이트, 팽창성 흑연, 또는 상승제, 예를 들어 Sb2O3, Sn 화합물, 또는 니트록실 라디칼을 포함하거나 방출하는 화합물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적합한 추가의 할로겐-부재 난연제는 예로서 엑솔리트 (Exolit) OP 930, 엑솔리트 OP 1312, HCA-HQ, 사이아가드 (Cyagard) RF-1243, 파이롤 (Fyrol) PMP, 포스라이트 (Phoslite) IP-A, 멜라푸르 (Melapur) 200, 멜라푸르 MC, 및 부디트 (Budit) 833으로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하다.
할로겐의 완전한 부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의 난연제를 사용하고 비교적 소량의 할로겐-함유, 특히 브롬화된 난연제, 예를 들어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HBCD), 또는 브롬화된 스티렌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올리고머 (예를 들어, WO-A 2007/058736에 기재된 바와 같은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를,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부, 특히 0.1 내지 0.5 중량부 (중합체 기준)의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할로겐 함량이 낮은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난연제는 할로겐-부재이다.
중합체, 난연제, 및 추가의 첨가제로 이루어진 조성물이 할로겐-부재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난연제, 즉 성분 a 및 b의 조합은 난연제, 바람직하게는 비발포 및/또는 발포 중합체, 특히 열가소성 중합체가 되는 물질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단독으로 및/또는 상승제와의 혼합물로, 및/또는 추가의 난연 물질과의 혼합물로 사용된다. 이를 위해, 난연제를 바람직하게는 용융물에서 해당 중합체와 물리적으로 혼합하고 이어서 먼저 인 함량이 0.05 내지 5 중량부 (중합체 기준)인 중합체 혼합물의 형태로 완전한 컴파운딩 공정을 수행하고, 이어서 제2 단계에서 동일한 중합체 또는 또다른 중합체와 함께 추가로 가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난연제 (A) 및 중합체 성분 (B)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사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중합체의 예에는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중합체 배합물의 형태의 혼합물의 ABS, ASA, SAN, AMSAN,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술폰,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산화물,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에테르 케톤, 및 폴리에테르 술피드를 비롯한 발포 또는 비발포 스티렌 중합체가 있다.
각각 개별적으로 또는 중합체 배합물의 형태의 혼합물의 발포 또는 비발포 스티렌 단일중합체 및 발포 또는 비발포 스티렌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난연 중합체 발포체, 특히 스티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것들, 바람직하게는 EPS 및 XPS가 바람직하다.
난연 중합체 발포체의 밀도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0 kg/m3,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kg/m3이다. 발포체의 폐쇄된-셀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80% 초과,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이다.
본 발명의 난연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 및 압출된 스티렌 중합체 발포체 (XPS)는 혼합을 통해 가공하여 발포제 및 본 발명의 난연제를 중합체 용융물로 도입하고, 이어서 압력하에 압출 및 펠렛화하여 팽창성 펠렛 (EPS)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절한 성형 다이를 사용하여 압출 및 감압을 통해 가공하여 발포체 시트 (XPS) 또는 발포체 압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스티렌 중합체는 스티렌, 알파-메틸스티렌, 또는 스티렌과 알파-메틸스티렌의 혼합물을 기재로 하는 중합체를 포함하며, 이는 SAN, AMSAN, ABS, ASA, MBS, 및 MABS 중의 스티렌 내용물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하기 참조).
한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발포체는 팽창성 폴리스티렌 (EPS)이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발포체는 압출된 스티렌 중합체 발포체 (XPS)이다.
폴리스티렌 표준물에 대한 굴절계 측정 (RI)으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된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의 몰질량 Mw은 바람직하게는 120000 내지 40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000 내지 300000 g/mol이다. 전단 및/또는 온도의 영향으로 인한 몰 질량의 감소 때문에, 팽창성 폴리스티렌의 몰 질량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스티렌의 몰 질량보다 약 10000 g/mol만큼 낮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스티렌 중합체는 투명유리형 폴리스티렌 (GPPS),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HIPS), 음이온 중합된 폴리스티렌 또는 내충격성 폴리스티렌 (AIPS), 스티렌-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중합체 (ABS),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SAN), 아크릴로니트릴-알파-메틸스티렌 공중합체 (AMSAN),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아크릴레이트 (ASA), 메틸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MBS),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MABS) 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폴리페닐렌 에테르 (PPE)와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기계적 특성 또는 열적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언급된 스티렌 중합체는 임의로 상용화제의 사용과 함께 일반적으로 중합체 용융물을 기준으로 최대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총 비율의 열가소성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미드 (PA),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PP) 또는 폴리에틸렌 (PE), 폴리아크릴레이트, 예컨대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PMMA), 폴리카르보네이트 (PC), 폴리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또는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폴리에테르 술폰 (PES), 폴리에테르 케톤 또는 폴리에테르 술피드 (PES),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적으로 변형되거나 관능화된 중합체 또는 올리고머, 고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디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생분해성 지방족 또는 지방족/방향족 코폴리에스테르와의 언급된 양의 범위의 혼합물이 또한 가능하다.
적합한 상용화제의 예에는 말레산 무수물-변형된 스티렌 공중합체, 에폭시기 함유 중합체, 및 유기실란이 있다.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은 상기 언급된 열가소성 중합체, 특히 스티렌 중합체 및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의 중합체 재생 물질의 혼합물을 이들의 특성을 실질적으로 손상시키지 않는 양, 일반적으로 50 중량% 이하, 특히 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또한 수용할 수 있다.
발포제를 포함하는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은 균일하게 분산된 1종 이상의 분산제를 발포제를 포함하는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을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중량%의 총 비율로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적합한 발포제는 EPS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리적 발포제, 예컨대 2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 알콜, 케톤, 에테르, 또는 할로겐화된 탄화수소이다. 이소부탄, n-부탄, 이소펜탄, 또는 n-펜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XPS에 있어서, CO2, 또는 알콜 및/또는 C2-C4 카르보닐 화합물, 특히 케톤과의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포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미세 분포된 내부 수 (water) 액적을 스티렌 중합체 매트릭스로 도입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방법의 예는 용융된 스티렌 중합체 매트릭스에 물을 첨가하는 것이다. 물의 첨가 위치는 발포제 공급물의 상류, 또는 이와 함께, 또는 이의 하류일 수 있다. 물의 균일한 분포는 동적 또는 정적 혼합기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충분한 양의 물은 스티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중량%이다.
내부 물의 90% 이상이 0.5 내지 15 ㎛의 직경을 갖는 내부 수 액적의 형태인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는, 발포시 충분한 셀 수와 균일한 발포체 구조를 갖는 발포체를 형성한다.
발포제 및 물의 첨가량은 발포 전 벌크 밀도/발포 후 벌크 밀도로서 정의되는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의 팽창력 α가 125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00이 되게 하는 방식으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펠렛 (EPS)의 벌크 밀도는 일반적으로 700 g/l 이하, 바람직하게는 590 내지 660 g/l이다.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 충전제의 양 및 성질에 따라 590 내지 1200 g/l의 벌크 밀도가 발생할 수 있다.
첨가제, 기핵제, 충전제, 가소제, 가용성 및 불용성 무기 및/또는 유기 염료 및 안료, 예를 들어 불투열성 물질, 즉 IR 흡수제, 예컨대 카본 블랙, 흑연, 또는 알루미늄 분말은 예를 들어 혼합기 또는 보조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또는 함께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에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염료 및 안료의 첨가되는 양은 일반적으로 0.01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부이다. 스티렌 중합체 내에서 안료의 균일하고 마이크로분산된 분포를 위해서, 특히 극성 안료의 경우에, 분산제, 예를 들어 유기실란, 에폭시기 함유 중합체, 또는 말레산 무수물-그라프트된 스티렌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한 가소제는 미네랄 오일 및 프탈레이트이고, 이들의 사용될 수 있는 양은 스티렌 중합체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서, 발포제를 혼합을 통해 중합체 용융물로 도입할 수 있다. 한 가능한 공정은 a) 용융물 제조, b) 혼합, c) 냉각, d) 이송, 및 e) 펠렛화의 단계를 포함한다. 플라스틱 가공으로부터 공지된 장치들 또는 장치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각각의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정적 또는 동적 혼합기, 예컨대 압출기가 이러한 혼합 공정에 적합하다. 중합체 용융물은 중합 반응기로부터 직접 취하거나 혼합 압출기에서 직접 또는 개별 용융 압출기에서 중합체 펠렛을 용융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용융물의 냉각은 혼합 어셈블리 또는 개별 냉각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펠렛화기의 예에는 가압 수중 펠렛화기, 회전 나이프를 사용하는 펠렛화기 및 온도-조절 액체를 분무-미스트함으로써 냉각시키는 펠렛화기, 또는 미립화를 포함하는 펠렛화기가 있다.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적합한 장치 배열의 예는 다음과 같다:
a) 중합 반응기-정적 혼합기/냉각기-펠렛화기
b) 중합 반응기-압출기-펠렛화기
c) 압출기-정적 혼합기-펠렛화기
d) 압출기-펠렛화기.
배열은 첨가제, 예를 들어 고상 첨가제 또는 감열성 첨가제를 도입하기 위한 보조 압출기를 또한 가질 수 있다.
다이 플레이트에 통과할 때 발포제를 포함하는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의 온도는 일반적으로 14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40℃이다. 유리 전이 온도 부근으로 냉각시키는 것은 불필요하다.
다이 플레이트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용융물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된다. 다이 플레이트의 온도는 발포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용융물의 온도보다 20 내지 100℃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이 내에서의 중합체 침착을 방지하고 문제가 없는 펠렛화를 제공한다.
시장성이 높은 펠렛 크기를 수득하기 위해, 다이로부터의 출구에서 다이 구멍의 직경 (D)은 0.2 내지 1.5 mm,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8 mm이어야 한다. 이는 다이 팽창 후에도 2 mm 미만, 특히 0.4 내지 1.4 mm의 펠렛 크기의 조절된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할로겐-부재 방법에 의해 난연성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를 제조하기 위한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특히 바람직하다:
a) 유기 발포제 및 본 발명의 난연제 1 내지 25 중량%를 중합체 용융물로 도입하기 위해 적어도 150℃의 온도에서 정적 또는 동적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하는 단계,
b) 발포제를 포함하는 스티렌 중합체 용융물을 적어도 120℃의 온도로 냉각시키는 단계,
c) 다이로부터의 출구에서의 직경이 1.5 mm 이하인 구멍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를 통해 배출시키는 단계, 및
d) 다이 플레이트의 바로 뒤에서 수중에서 1 내지 20 bar의 압력에서 발포제를 포함하는 용융물을 펠렛화하는 단계.
본 발명의 난연제 및 유기 발포제의 존재하에 수성 현탁액에서 현탁 중합을 통해 본 발명의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를 제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현탁 중합 공정에서, 단량체로서 스티렌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의 중량의 20% 이하는 다른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예컨대 알킬스티렌, 디비닐벤젠, 아크릴로니트릴, 1,1-디페닐 에테르, 또는 α-메틸스티렌으로 대체될 수 있다.
통상적인 조제, 예를 들어 퍼옥시드 개시제, 현탁 안정화제, 발포제, 사슬 이동제, 팽창 보조제, 기핵제, 및 가소제가 현탁 중합 공정 동안 첨가될 수 있다. 중합 공정에서 첨가되는 본 발명의 난연제의 양은 0.5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이다. 첨가되는 발포제의 양은 단량체를 기준으로 3 내지 10 중량%이다. 이러한 양은 현탁액의 중합 전, 중합 동안, 또는 중합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적합한 발포제의 예에는 4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가 있다. 현탁 안정화제로서, 무기 피커링 (Pickering) 분산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피로포스페이트 또는 칼슘 포스페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현탁 중합 공정은 평균 직경이 0.2 내지 2 mm인 본질적으로 원형인 비드-형상 입자를 제조한다.
가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최종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펠렛이 글리세롤 에스테르, 대전방지제, 또는 케이킹방지제 (anticaking agent)로 코팅될 수 있다.
EPS 펠렛은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GMS (전형적으로 0.25%), 글리세롤 트리스테아레이트 (전형적으로 0.25%), 에어로실 (Aerosil) R972 미세-입자 실리카 (전형적으로 0.12%), 또는 Zn 스테아레이트 (전형적으로 0.15%), 또는 대전방지제로 코팅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고온의 공기 또는 증기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펠렛을 예비발포하여 밀도가 5 내지 150 kg/m3, 특히 10 내지 50 kg/m3인 발포체 비드를 제공하고, 제2 단계에서 이들을 폐쇄된 몰드 내에서 융합하여 성형된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팽창성 폴리스티렌 입자를 가공하여 밀도가 8 내지 150 kg/m3,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kg/m3 (ISO 845에 따라 측정)인 폴리스티렌 발포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팽창성 비드를 예비발포한다. 이는 대개 예비발포기로서 공지된 것에서 증기를 사용하여 비드를 가열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어서, 생성된 예비발포 비드를 융합하여 성형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예비발포된 비드를 기밀 밀봉을 갖지 않는 몰드로 도입하고 증기로 처리한다. 냉각 후 성형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발포체는
a) 중합체 성분 P를 가열하여 중합체 용융물을 형성하고,
b) 발포제 성분 T를 중합체 용융물로 도입하여 발포성 용융물을 형성하고,
c) 발포와 함께 비교적 낮은 압력 대역으로 발포성 용융물을 압출하여 압출된 발포체를 제공하고,
d) 단계 a) 및/또는 b) 중 하나 이상에서 본 발명의 난연제 및 또한 임의로 추가의 조제 및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수득가능한 압출된 폴리스티렌 (XPS)이다.
스티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본 발명의 발포체, 특히 EPS 및 XPS는 예로서 특히 건축 산업에서 단열재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특히 건축 산업에서 할로겐-부재 단열재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티렌 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본 발명의 발포체, 예컨대 EPS 및 XPS의 소화 시간 (발포체 밀도가 15 g/l이고 노화 시간이 72 h인 DIN 4102 B2 내화 시험)은 바람직하게는 15 초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초 이하이고, 따라서 상기 발포체는 화염 높이가 표준에 기재된 시험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한 상기 내화 시험의 합격 조건을 충족시킨다.
하기 실시예는 어떠한 제한 없이 본 발명의 추가의 설명을 제공한다.
실시예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3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4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기인 화합물 PC 1-7은 다음과 같이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하거나 구입하였다:
PC1: ABCR로부터 구입
PC2:
이소소르비드 비스(디페닐 포스페이트)의 합성:
장치:
4000 ml 교반 장치, 아르곤으로 비활성화
혼합물:
이소소르비드 (98%) 298.2 g (2.0 mol),
트리에틸아민 506 g (5.0 mol),
톨루엔 2000 mL, 및
클로로디페닐 포스페이트 (96%) 1120 g (4.0 mol).
용융된 이소소르비드 (298.2 g, 2 mol)를 RT에서 4 L 표준 교반 장치에서 톨루엔 (2000 mL)으로 도입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대부분의 이소소르비드는 재침전되었다. 혼합물을 80℃로 가열하였다 (이소소르비드의 90%가 용해됨). 이어서, 용액을 RT로 복귀시켰다. 클로로디페닐 포스페이트 (1120 g, 4.0 mol)를 22 내지 42℃에서 5 시간의 기간 내에 적가하였다. 뿌연 황색 혼합물을 RT에서 밤새 계속 교반하였다. 31P NMR을 통한 반응의 모니터링은 정량적 전환을 나타내었다.
침전된 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를 (질소-비활성화) 쉬렝크 (Schlenck) 프릿을 통한 흡인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이어서 톨루엔 (1 x 300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포화 수성 Na2CO3 용액 (2 x 500 mL)과 함께 진탕하고, 이어서 물 (2 x 500 mL)로 세척하고 밤새 Na2SO4상에서 건조하였다. Na2SO4를 흡인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이어서 톨루엔 (1 x 300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 (65℃, 77 mbar)상에서 진공하에 농축하고, 이어서 오일 펌프에 의해 제공된 진공하에서 80℃에서 4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생성물을 96% 초과의 순도 (31P NMR을 기초로 함)의 적갈색 오일 (1046 g, 이론의 86%)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생성물의 수성 에멀션의 pH는 5.0이었다.
분석 데이타: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5
PC3: 문헌 [M.G. Zimin; N. G. Zabirov; V. Smirnov. Zhournal Obschei Khimii; 1980; 50; 1; 24-30]
PC4: 란세스 (Lanxess)로부터의 디스플라몰 (Disflamoll) TP
PC5: 문헌 [W. Kuchen, H. Buchwald. Chem. Ber., 1958, 91, 2871-2877]
PC6: 산코 (Sanko)로부터의 HCA
PC6 :
2,3,4,5-테트라히드로푸란-2,5- 일디메틸 2,5- 비스(디페닐티오포스피네이트)의 제조
장치:
정밀 유리 마개, 교반기, 기포 계수관 및 Ar 입구가 있는 환류 응축기, 온도계, 및 적가 깔대기가 있는 1 L 4-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
혼합물:
2,5-비스(히드록시메틸)-2,3,4,5-테트라히드로푸란 29.1 g (0.22 mol)
디페닐티오포스피노일 클로라이드 116.0 g (0.45 mol, 2.08 eq.)
N-메틸이미다졸 36.9 g (0.45 mol, 2.08 eq.)
톨루엔 300 mL
방법:
2,5-비스(히드록시메틸)-2,3,4,5-테트라히드로푸란 (29 g, 0.22 mol)을 300 mL의 톨루엔에 용해시켰다. N-메틸이미다졸 (36.9 g, 0.45 mol, 2.1 eq.)을 용액에 첨가하고 디페닐티오포스피노일 클로라이드 (116.0 g, 0.45 mol, 2.1 eq.)를 45 분의 기간 내에 적가하였다. 이러한 공정 동안, 온도가 24℃로부터 43℃로 상승되었다.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10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용액을 RT로 냉각시켰다. N-메틸이미다졸 히드로클로라이드가 결정화된 후, 액체를 따라내어 제거하고, 유기 상을 먼저 1.5% 농도 HCl 용액 (150 mL)에 이어서 물 (200 mL)로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7.5% 농도 NaHCO3 용액 (2 x 15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여과에 의해 건조제를 제거한 후,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적갈색의 유성 고체 (129.6 g, 104%)인 조 생성물을 실리카-겔 여과 (용리액: n-헥산/EE 1:0-1:1)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97% 순도 (31P NMR을 기초로 함)의 갈색 오일 (88.1 g, 71%)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 :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6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7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8
Figure 112012089201906-pct00029
PC7 : 푸란-2,5- 일디메틸 2,5- 비스(디페닐포스피네이트)의 제조
장치:
정밀 유리 마개, 교반기, 기포 계수관 및 N2 입구가 있는 환류 응축기, 온도계, 및 적가 깔대기가 있는 1 L 4-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
혼합물: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 23.0g (0.18 mol)
디페닐포스피노일클로라이드 86.9 g (0.36 mol, 2.0 eq.)
트리에틸아민 40.6 g (0.40 mol, 2.2 eq.)
톨루엔 300 mL
방법:
2,5-비스(히드록시메틸)푸란 (23 g, 0.18 mol)을 300 ml의 톨루엔에 매우 실질적으로 용해시켰다 (완전히 용해시킨 것은 아님). 트리에틸아민 (40.6 g, 0.4 mol, 2.2 eq.)을 현탁액에 첨가하고, 디페닐포스피노일 클로라이드 (87 g, 0.36 mol, 2.0 eq.)를 적가하였다. 25 분의 기간 (적가의 약 1/3)내에 온도가 23℃로부터 33℃로 상승되었다. 이어서, 냉수를 사용하여 27℃로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27℃가 유지되도록 적가의 비를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총 3일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후처리를 위해, 혼합물을 7.5% 농도 NaHCO3 용액 (2 x 250 mL) 및 물 (250 mL)로 세척하고, 이어서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마지막으로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조 생성물을 300 ml의 CH2Cl2에 다시 녹이고 7.5% 농도 NaHCO3 용액 500 ml와 함께 3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유기 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99% 초과의 순도 (31P NMR을 기초로 함)의 갈색 고체 (79 g, 83%)의 형태로 수득하였다.
분석 데이타 :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0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1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2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3
TGA (아르곤 하에서): 155℃ (2% 질량 손실), 160℃ (5% 질량 손실), 200℃ (10% 질량 손실).
황 화합물 SC1 내지 SC6을 실시예에서 사용하였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유기폴리술피드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하거나 구입하였다:
SC1:
디페닐 테트라술피드의 제조
문헌 [Zysman-Colman, Eli; Harpp, David N. J. Org. Chem; 2003; 68; 6; 2487-2489]에 기재된 바와 같음.
SC2: ABCR로부터 구입
SC3: 라쉬크로부터 구입
SC4: ABCR로부터 구입
SC5: ABCR로부터 구입
SC6: 팔츠 앤드 바우어 (Pfaltz & Bauer)로부터 구입
시험의 기재:
발포체 밀도가 15 kg/m3인 발포체 시트의 내화 성능을 DIN 4102 (B2 내화 시험)에 따라 측정하였다.
헥사브로모시클로도데칸 (하기 HBCD로 지칭됨)을 비교 실시예로서 사용하였다.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고유 점도 IV가 83 ml/g인 바스프 에스이 (BASF SE)로부터의 PS 148H (GPC, RI 검출기, 표준물로서 PS를 사용하여 측정된 Mw = 240000 g/mol, Mn = 87000 g/mol)로 이루어진 폴리스티렌 용융물로 n-펜탄 7 중량부를 혼합을 통해 도입하였다. 발포제를 포함하는 용융물을 초기에 260℃로부터 190℃의 온도로 냉각시킨 후, 표에서 언급된 난연제를 포함하는 폴리스티렌 용융물을 보조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에 의해 주요 스트림으로 도입하였다.
기재된 양 (중량부)은 폴리스티렌의 전체 양을 기준으로 하였다.
32개의 구멍을 갖는 다이 플레이트 (다이의 직경: 0.75 mm)를 통해 60 kg/h로 폴리스티렌 용융물, 발포제, 및 난연제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이송하였다. 가압 수중 펠렛화 공정을 사용하여 좁은 크기 분포를 갖는 압밀 펠렛을 제조하였다.
펠렛의 몰 질량은 각각 220000 g/mol (Mw), 80000 g/mol (Mn)이었다 (GPC, RI 검출기, 표준물로서 PS를 사용하여 측정함). 펠렛을 증기 스트림에 노출시켜 예비발포하고 12시간 동안 저장한 후 폐쇄된 몰드에서 추가의 증기 처리에 의해 융합시켜 밀도가 15 kg/m3인 발포체 슬랩을 제조하였다.
밀도가 15 kg/m3인 발포체를 72 시간 동안 저장한 후 DIN 4102에 따라 발포체 시트의 내화 성능을 측정하였다.
표 1에 그 결과를 기재하였다:
<표 1>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4
<표 2>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5
<표 3>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6
<표 4>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7
압출된 폴리스티렌 발포체 시트
고유 점도가 98 ml/g인 바스프 에스이로부터의 폴리스티렌 158K (GPC, RI 검출기, 표준물로서 PS를 사용하여 측정된 Mw = 261000 g/mol, Mn = 77000 g/mol) 100 중량부, 셀 크기의 조절을 위한 기핵제로서의 탈크 0.1 부, 및 난연제 (표에 기재된 부), 및 또한 임의로 황을 내부 축 직경이 120 mm인 압출기로 연속해서 도입하였다. 에탄올 3.25 중량부 및 CO2 3.5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포제 혼합물을 압출기에서의 내부 구멍을 통해 연속해서 그리고 동시에 주입하였다. 압출기에서 180℃에서 균일하게 혼련된 겔을 이완 영역을 통해 이송하고, 15 분의 체류 시간 후, 105℃의 배출 온도로 너비가 300 mm이고 높이가 1.5 mm인 다이를 통해 대기로 압출하였다. 발포체를 압출기에 연결된 캘리브레이터 (calibrator)를 통해 이송하여 횡단면이 650 mm x 50 mm이고 밀도가 35 g/l인 발포체 시트의 웹을 제조하였다. 폴리스티렌의 몰 질량은 각각 240000 g/mol (Mw), 70000 g/mol (Mn)이었다 (GPC, RI 검출기, 표준물로서 PS를 사용하여 측정함). 생성물을 절단하여 시트를 제조하였다. 30일의 보관 시간 후, 10 mm의 두께를 사용하여 시편의 내화 성능을 DIN 4102에 따라 시험하였다.
표 5에 실시예로부터의 결과를 기재하였다.
<표 5>
Figure 112012089201906-pct00038

Claims (16)

  1. a) 하기 화학식 (I)의 1종 이상의 황 화합물, 및
    b) 인 화합물을 기준으로 인 함량이 5 내지 80 중량%인 1종 이상의 할로겐-부재 유기인 화합물
    을 1:10 내지 10:1의 a:b 중량비로 포함하는 난연제.
    <화학식 (I)>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2

    여기서,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6-C12-아릴, 시클로헥실, Si(ORa)3,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포화, 부분적 불포화, 또는 방향족,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며, 여기서 고리는 비치환되거나 O, OH, S, SH, COORb, CONRcRd, C1-C18-알킬, C1-C18-알콕시, C1-C18-티오알킬, C6-C12-아릴, C6-C12-아릴옥시, C2-C18-알케닐, C2-C18-알케녹시, C2-C18-알키닐, 및 C2-C18-알키녹시의 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고;
    Z1 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O- 또는 -CS-이고;
    Ra는 C1-C18-알킬이고;
    Rb, Rc, 및 Rd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8-알킬, C6-C12-아릴이거나, 3 내지 12개의 고리 구성원을 가지며 N, O, 및 S의 군으로부터의 1종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방향족, 모노- 또는 비시클릭 고리이고;
    m 및 p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0 또는 1이고,
    n은 2 내지 10의 자연수임.
    여기서, 1종 이상의 인 화합물은 하기로부터 선택된다: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3
    ,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4
    ,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5
    ,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6
    ,
    하기 화학식 (II)의 인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III)의 인 화합물.
    <화학식 (II)>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7

    여기서, 화학식 (I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R1은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R2는 C1-C16-알킬, C1-C10-히드록시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R3은 H, SH, SR4, OH, OR5, 또는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8
    기이거나;
    X1, X2 및 X3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이고;
    Y1 및 Y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O 또는 S이고;
    R4, R5, R9, R10, R11, R12 및 R13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기로서 하나 이상의 C1-C4-알킬기를 가질 수 있는 C1-C12-알킬, C3-C8-시클로알킬이거나 또는 C2-C12-알케닐, C2-C12-알키닐, C6-C10-아릴 또는 C6-C10-아릴-C1-C4-알킬이고;
    R6, R7, 및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9, COR10, COOR11, CONR12R13이고;
    n은 Y1 및 Y2가 각각 O인 경우 0 또는 1이고, Y1 및 Y2가 각각 S인 경우 1, 2, 3, 4, 5, 6, 7, 또는 8이고;
    m은 0 내지 100의 정수이고;
    s, t, 및 u는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임.
    <화학식 (III)>
    Figure 112017084231583-pct00059

    여기서, 화학식 (III)의 부호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B는
    Figure 112017084231583-pct00060
    기이고;
    R16은 -P(=X5)cR17R18, H, 직쇄 또는 분지형 C1-C12-알킬기, C5-C6-시클로알킬, C6-C12-아릴, 또는 벤질이고, 여기서 마지막으로 언급된 4개의 기는 비치환되거나 C1-C4-알킬 및 C2-C4-알케닐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라디칼로 치환되고;
    R14, R15, R17, 및 R18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수소, O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 C3-C10-시클로알킬, C3-C10-시클로알콕시, C6-C10-아릴, C6-C10-아릴옥시,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 SR23, COR24, COOR25, CONR26R27이거나 두 라디칼 R14, R15, R17, 또는 R18은 이에 결합된 인 원자 또는 P-O-B-O-P기와 함께 고리를 형성하고;
    R19, R20, R21, 및 R22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1-C16-알콕시, C2-C16-알케녹시이고;
    R23, R24, R25, R26, 및 R27은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H, C1-C16-알킬, C2-C16-알케닐, C6-C10-아릴, C6-C10-아릴-C1-C16-알킬, C6-C10-아릴-C1-C16-알콕시이고;
    X4 및 X5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S 또는 O이고;
    b 및 c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0 또는 1이고;
    X6, X7, X8 및 X9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S 또는 O이고,
    a는 1 내지 50의 자연수임.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부호 및 지수의 정의가 다음과 같은 난연제: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페닐, 비페닐, 나프틸, N, S, 및 O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 또는 2개 갖는 5- 내지 8-원 포화 고리, 또는 N, S, 및 O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 내지 4개 갖는 5- 내지 10-원 모노- 또는 비시클릭 방향족 고리이며, 여기서 언급된 5개의 고리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비치환되거나 O, OH, C1-C12-알콕시, C2-C12-알케닐옥시, 및 COORb의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Z1 및 Z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O- 또는 -CS-이고;
    Rb는 H, C1-C12-알킬, C6-C10-아릴, 또는 N, O, 및 S의 군으로부터의 헤테로원자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방향족 5- 또는 6-원 고리이고;
    m 및 p는 0 또는 1이고;
    n은 2 내지 10의 자연수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부호의 정의가 다음과 같은 난연제:
    A1 및 A2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Figure 112012089201906-pct00040
    이고,
    Z1 및 Z2는 -CS-이고,
    m 및 p는 0 또는 1이고,
    n은 2, 4 또는 6임.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이
    Figure 112016030444310-pct00047

    로부터 선택된 것인 난연제.
  5. 중합체의 용융물을 제조하고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난연제와 혼합하는 것인, 발포 또는 비발포 중합체 난연제의 제조 방법.
  6. 1종 이상의 중합체 및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난연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난연제 0.2 내지 10 중량부 (중합체 100 중량부 기준)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할로겐-부재인 중합체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스티렌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중합체가 발포체인 중합체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중합체 발포체의 밀도가 5 내지 150 g/l인 중합체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팽창성 스티렌 중합체 (EPS)의 형태인 중합체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압출된 스티렌 중합체 발포체 (XPS)의 형태인 중합체 조성물.
  14. 제13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열재.
  15. 팽창된 형태의 제12항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단열재.
  16. 삭제
KR1020127028562A 2010-04-01 2011-03-30 난연제 KR1018242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0158989 2010-04-01
EP10158989.3 2010-04-01
PCT/EP2011/054874 WO2011121001A1 (de) 2010-04-01 2011-03-30 Flammschutzmitt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4230A KR20130044230A (ko) 2013-05-02
KR101824277B1 true KR101824277B1 (ko) 2018-01-31

Family

ID=4420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562A KR101824277B1 (ko) 2010-04-01 2011-03-30 난연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2553008B1 (ko)
JP (1) JP5882985B2 (ko)
KR (1) KR101824277B1 (ko)
CN (1) CN102918096B (ko)
ES (1) ES2605327T3 (ko)
PL (1) PL2553008T3 (ko)
RU (1) RU2012146394A (ko)
WO (1) WO20111210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964B1 (ko) * 2010-12-27 2019-02-25 바스프 에스이 난연제 시스템
WO2013017417A1 (de) 2011-07-29 2013-02-07 Basf Se Polymeres flammschutzmittel
WO2013135701A1 (de) * 2012-03-13 2013-09-19 Basf Se Synthese von polyphenoldisulfiden
EP2733166A1 (de) 2012-11-20 2014-05-21 Basf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xpandierbaren styrolpolymergranulaten und styrolpolymerschaumstoffen mit verringertem restmonomerengehalt
EP2871208A1 (en) * 2013-11-08 2015-05-13 Carl-Eric Wilen Sulfenamides, sulfinamides and sulfonamides as flame retardants
KR102295665B1 (ko) 2018-12-17 2021-08-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비할로겐 난연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난연성 수지 성형품
CN110396284B (zh) * 2019-07-12 2021-06-29 南京理工大学 一种膨胀型阻燃剂、阻燃聚乳酸材料及其制备方法
DE102019135325A1 (de) 2019-12-19 2021-06-24 Hochschule Hamm-Lippstadt,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Flammgeschützte Copolymere und Formmassen
DE112021006475A5 (de) 2020-12-17 2023-12-07 Hochschule Hamm-Lippstadt, Körperschaft des öffentlichen Rechts Brandhindernde copolymere und formmass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504A (ja) 2009-07-03 2012-12-10 サンパー クンストシュトフ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難燃性発泡性ポリマ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07237A (en) 1966-11-29 1968-03-27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cellular structures of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with decreased inflammability
JPH01261361A (ja) 1988-04-13 1989-10-18 Oouchi Shinko Kagaku Kogyo Kk ジペンタメチレンチウラムヘキサスルフィドの製造法
DE4032680A1 (de) 1990-10-15 1992-04-16 Akz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2-aminodithiothiazolen und 2-aminotrithiothiazolen
WO1996017853A1 (en) 1994-12-07 1996-06-13 Akzo Nobel N.V. Process for making hydrocarbyl (dihydrocarbyl) phosphates
US5846901A (en) 1996-03-01 1998-12-0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lor-forming compounds and their use in carbonless imaging
CA2203306A1 (en) * 1996-05-06 1997-11-06 Albemarle Corporatio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for use in styrenic polymers
AR038161A1 (es) 2002-01-24 2004-12-29 Basf Ag Procedimiento para separar acidos de mezclas de reaccion quimicas con la ayuda de liquidos ionicos
JP2004277609A (ja) * 2003-03-17 2004-10-07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難燃性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発泡体
US7393963B2 (en) 2004-12-10 2008-07-01 Archer-Daniels-Midland Company Conversion of 2,5-(hydroxymethyl)furaldehyde to industrial derivatives, purification of the derivatives, and industrial uses therefor
KR20080066787A (ko) 2005-11-12 2008-07-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브롬화 부타디엔/비닐 방향족 공중합체, 당해 공중합체와비닐 방향족 중합체와의 블렌드 및 당해 블렌드로부터형성된 중합체성 발포체
WO2009035881A2 (en) 2007-09-13 2009-03-19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hosphorus-sulfur fr additives and polymer systems containing same
CN101544624B (zh) 2009-05-11 2011-06-08 吉林大学 5-羟甲基糠醛缩-5-糠醛甲醇及其制备方法及其医药用途
RU2012114679A (ru) * 2009-09-14 2013-11-10 Басф Се Свободные от галогена, огнестойкие полимерные пенопласты, содержащие,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о олигофосфо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PL2480598T3 (pl) * 2009-09-24 2015-03-31 Sunpor Kunststoff Gmbh Ognioodporne spienialne produkty polimeryzacji styrenu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31504A (ja) 2009-07-03 2012-12-10 サンパー クンストシュトフ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難燃性発泡性ポリマ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53008A1 (de) 2013-02-06
EP2553008B1 (de) 2016-08-24
KR20130044230A (ko) 2013-05-02
CN102918096B (zh) 2014-09-17
PL2553008T3 (pl) 2017-02-28
ES2605327T3 (es) 2017-03-13
WO2011121001A1 (de) 2011-10-06
CN102918096A (zh) 2013-02-06
RU2012146394A (ru) 2014-05-10
JP2013527859A (ja) 2013-07-04
JP5882985B2 (ja)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277B1 (ko) 난연제
KR101824268B1 (ko) 난연제
KR101951964B1 (ko) 난연제 시스템
US9115312B2 (en) Flame retardant
KR101786505B1 (ko) 방염성의 발포성 중합체
US20120178842A1 (en) Halogen-free, flame-proof polymer foams containing at least one oligophosphorus compound
US20120184635A1 (en) Flameproof expandable polymerizates
US8691896B2 (en) Halogen-free, phosphorus-containing flame-retardant polymer foams
KR20120120282A (ko) 할로겐-부재 인-함유 방염 중합체 발포체
US20110196052A1 (en) Flame retardants
US20130030066A1 (en) Polymeric flame retardant
US20120172467A1 (en) Flame retardant system
KR20120116014A (ko) 난연제
TW201207092A (en) Flame retard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