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828B1 -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828B1
KR101823828B1 KR1020170067193A KR20170067193A KR101823828B1 KR 101823828 B1 KR101823828 B1 KR 101823828B1 KR 1020170067193 A KR1020170067193 A KR 1020170067193A KR 20170067193 A KR20170067193 A KR 20170067193A KR 101823828 B1 KR101823828 B1 KR 10182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dehydrator
vegetables
dewatering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보영
Original Assignee
(주)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 filed Critical (주)명성
Priority to KR1020170067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통이 포함된 탈수부와, 상기 탈수통에 야채를 투입하도록 제1컨베이어가 포함된 투입부로 이루어진 야채용 탈수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컨베이어로 세척된 야채를 공급하는 1단계; 상기 제1컨베이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탈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2단계; 상기 탈수통의 내부로 제1컨베이어가 세척된 야채를 탈수통의 내부로 투입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후진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이 기울어져 있는 회전통의 상부를 통해 회전통의 내부 측 하부부터 상부 측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식으로 야채를 투입함으로써 야채의 자체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방지 및 탈수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컨베이어의 선단에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 장착되어 탈수 후, 탈수된 야채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Driving method of continuous dehydrator for vegetable}
본 발명은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통이 포함된 탈수부와, 상기 탈수통에 야채를 투입하도록 제1컨베이어가 포함된 투입부로 이루어진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채(채소)를 탈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특허등록번호 제0922285호에 세척된 야채나 과실 또는 수분을 함유한 야채나 과실의 탈수물품을 수용하는 탈수조를 회전시켜 상기 탈수조에 수용된 탈수물품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시키도록 하는 야채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야채탈수기는 상단이 개방되고 어느 일측에 탈수물품에서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구가 마련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외부 일측에 세워지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을 따라 승강하면서 상단에 안착된 탈수조를 상기 본체의 내외부로 승강시키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상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부로 진입된 탈수조의 상단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탈수조가 회전될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임의로 개방됨을 방지하는 충격흡수부가 구성된 덮개부; 및 상기 본체의 어느 일측에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진입된 탈수조를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상기 탈수조(20)에 수용된 탈수물품에 함유된 수분들이 탈락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탈수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26592호에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벽과 외벽을 관통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측벽 및 상기 측벽에 형성된 복수 개의 개구부, 및 상기 측벽의 하단부에 연결형성되는 바닥판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기 외벽에 힌지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 상기 본체의 상기 바닥판에 연동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를 구동시키는 동력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일단, 상기 본체의 상기 내벽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도록 상기 일단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타단, 및 유체가 유동되도록 천공형성된 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판; 상기 안착판에 안착되는 것으로,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탈수될 채소가 투입 및 배출되고 내부와 외부가 관통되는 탈수공이 형성된 탈수용기;를 포함하는 대용량 채소 탈수기가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야채를 탈수하는 장치는 대부분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본체의 내부에 야채를 투입한 후, 상기 야채가 투입된 본체를 상부에서 압착수단에 의해 야채를 압착하거나,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탈수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으나, 야채를 압착하게 되면 야채가 손상되어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며, 본체를 회전시킴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야채를 탈수시키는 방법은 대량의 야채를 한꺼번에 투입 및 배출하기 때문에 탈수 후, 배출시 야채가 본체 내에 잔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본체에 야채를 배출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구성되어야 하는 등 경제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단이 기울어져 있는 회전통의 상부를 통해 회전통의 내부 측 하부부터 상부 측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식으로 야채를 투입함으로써 야채의 자체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방지 및 탈수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컨베이어의 선단에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 장착되어 탈수 후, 탈수된 야채의 배출이 용이한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통이 포함된 탈수부와, 상기 탈수통에 야채를 투입하도록 제1컨베이어가 포함된 투입부로 이루어진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1컨베이어로 세척된 야채를 공급하는 1단계; 상기 제1컨베이어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탈수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2단계; 상기 탈수통의 내부로 제1컨베이어가 세척된 야채를 탈수통의 내부로 투입하면서 가이드레일을 따라 후진하는 3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이 기울어져 있는 회전통의 상부를 통해 회전통의 내부 측 하부부터 상부 측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식으로 야채를 투입함으로써 야채의 자체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방지 및 탈수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컨베이어의 선단에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 장착되어 탈수 후, 탈수된 야채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정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배면(후면) 개요도.
도 5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탈수통을 지지하는 케이싱의 외부 사진.
도 6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시 탈수기의 케이싱과 탈수통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의 측면사진.
도 8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의 선단 사진.
도 9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탈수통 내부로 투입컨베이어가 투입되는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로 야채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진.
도 11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케이싱의 전면 사진.
도 12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케이싱의 전면 일부 상세사진.
도 13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시 탈수기에서 가이드레일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
본 발명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통(120)이 포함된 탈수부(100)와, 상기 탈수통(120)에 야채를 투입하도록 제1컨베이어(210)가 포함된 투입부(200)로 이루어진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은 상기 제1컨베이어(210)로 세척된 야채를 공급하는 1단계;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탈수통(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2단계; 상기 탈수통(120)의 내부로 제1컨베이어(210)가 세척된 야채를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하면서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후진하는 3단계;과정을 포함하여 구동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부(100)와, 상기 탈수부(100)에 야채를 투입하는 투입부(200)로 이루어진 야채용 탈수기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전방으로 상향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된 중공체 형상의 탈수통(120)과, 상기 탈수통(12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140)과, 상기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탈수통(120)은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상부 측 외주연에 몸체(121)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몸체(12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에는 자석(M1)이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122)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는 플랜지부(122)에 장착된 자석(M1)과 동일극성을 지니는 자석(M2)이 장착되어 상기 탈수통(120)의 플랜지부(122)는 하우징(111)의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탈수통(120)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140)은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에 벨트(141)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풀리(142)와, 상기 탈수통(12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몸체(121)의 외주연에 벨트(1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벨트안착부(143)와, 상기 풀리(142)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144)로 이루어지되, 상기 풀리(142)와 탈수통(120)의 벨트안착부(143)는 벨트(141)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풀리(142)가 회전하게 되면 탈수통(120)도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풀리(142)는 탈수통(120)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안착부(143)에 형성된 홈은 상기 풀리(14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투입부(200)는 탈수부(100)의 케이싱(110)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에 안착되어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된 탈수통(120)의 내부로 선단이 삽입되도록 전·후진하는 제1컨베이어(210)와, 상기 가이드레일(220)에 안착된 제1컨베이어(210)를 전·후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230)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전·후진구동수단(230)에 의해 전진하여 선단이 탈수통(120)의 내부 측 하단에 위치한 후, 전·후진구동수단(230)에 의해 후진하는 동시에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자체구동을 하게 됨으로써 제1컨베이어(210) 상에 놓인 야채는 상기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은 각각 탈수통(120)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지면에 수평하게 장착된 수평가이드레일(22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컨베이어(210)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211)은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한 쌍의 전방다리(213) 및 후방다리(214)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전방다리(213)는 수평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움직이고, 후방다리(214)는 상향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움직이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전진할수록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은 탈수통(12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 탈수통(120)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후방다리(213)의 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후방바퀴(215)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되, 한 쌍의 후방바퀴(215) 는 상하면이 상향가이드레일(221)의 상하면에 접촉하여 상향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어, 제1컨베이어(210)가 전진하여 선단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더라도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에는 제1컨베이어(210)에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컨베이어(24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은 상단이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수직프레임(131) 간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2)으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케이싱(110)과 수직프레임(131) 간에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회전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탈수통(120)의 진동을 완하시켜주기 위하여 완충부재(133)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완충부재(133)는 내부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합성고무재질로 제작되되, 각각의 완충부재(133)는 독립적으로 공기를 충진할 수 있어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케이싱(110)의 수평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측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정면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배면(후면) 개요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는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부(100)와, 상기 탈수부(100)에 야채를 투입하는 투입부(200)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탈수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전방으로 상향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된 중공체 형상의 탈수통(120)과, 상기 탈수통(12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140)과, 상기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은 상단이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31)과, 상기 수직프레임(131) 간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110)과 수직프레임(131) 간에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회전구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탈수통(120)의 진동을 완하시켜주기 위하여 완충부재(133)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상기 탈수통(12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을 완충부재(133)에 의해 충격을 완화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33)는 내부에 공기를 충진할 수 있는 합성고무재질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완충부재(133)는 독립적으로 공기를 충진할 수 있어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131)에 의해 지지되고 있는 케이싱(110)의 수평밸런스를 맞출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수직프레임(131)의 하단에도 수평밸랜스를 맞출 수 있도록 높이조절나사(134)가 장착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탈수통을 지지하는 케이싱의 외부 사진, 도 6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시 탈수기의 케이싱과 탈수통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수통(120)은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상부 측 외주연에 몸체(121)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2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에는 자석(M1)이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122)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는 플랜지부(122)에 장착된 자석(M1)과 동일극성을 지니는 자석(M2)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상기 탈수통(120)의 플랜지부(122)는 하우징(111)의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탈수통(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는 탈수통(1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베어링(B)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의 측면사진, 도 8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의 선단 사진, 도 9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탈수통 내부로 투입컨베이어가 투입되는 사진, 도 10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투입컨베이어로 야채를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와의 관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부(200)는 탈수부(100)의 케이싱(110) 전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에 안착되어 케이싱(110)의 내부에 장착된 탈수통(120)의 내부로 선단이 삽입되도록 전·후진하는 제1컨베이어(210)와, 상기 가이드레일(220)에 안착된 제1컨베이어(210)를 전·후진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전·후진구동수단(2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는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는 메쉬벨트(212)와 상기 메쉬벨트(212)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을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211)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프레임(211)의 선단에는 분사노즐(250)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전·후진구동수단(230)에 의해 전진하여 선단이 탈수통(120)의 내부 측 하단에 위치한 후, 전·후진구동수단(230)에 의해 후진하는 동시에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자체구동을 하게 됨으로써 제1컨베이어(210) 상에 놓인 야채는 상기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은 각각 탈수통(120)을 향하여 상부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지면에 수평하게 장착된 수평가이드레일(222)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220)에는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상부로 이격되게 지지하도록 복수 개의 지지다리(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다리(260)의 하면에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나사(261)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상기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은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컨베이어(210)를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사이드프레임(211)은 전방 측과 후방 측에 각각 한 쌍의 전방다리(213) 및 후방다리(21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방다리(213)는 수평가이드레일(222)을 따라 움직이고, 후방다리(214)는 상향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움직이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전진할수록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은 탈수통(120)의 상부를 통해 내부로 삽입시 탈수통(120)과 나란한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다.
특히, 상기 한 쌍의 가이드레일(220)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 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후방다리(213)의 하단에는 각각 한 쌍의 후방바퀴(215)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되, 한 쌍의 후방바퀴(215)는 상하면이 상향가이드레일(221)의 상하면에 접촉하여 상향가이드레일(221)을 따라 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어, 제1컨베이어(210)가 전진하여 선단이 하부방향으로 경사지더라도 가이드레일(220) 상에서 이탈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에는 제1컨베이어(210)에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컨베이어(240)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측면에는 제1컨베이어(210)으로 야채를 공급하는 제3컨베이어(2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케이싱의 전면 사진, 도 12는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에서 케이싱의 전면 일부 상세사진이다.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탈수통(120)을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140)은 상기 케이싱(110)의 전면에 벨트(141)가 안착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풀리(142)와, 상기 탈수통(120)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의 상부로 연장형성된 몸체(121)의 외주연에 벨트(141)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는 벨트안착부(143)와, 상기 풀리(142)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14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풀리(142)와 탈수통(120)의 벨트안착부(143)는 벨트(141)에 의해 동력이 전달되도록 연결되어 있어, 상기 풀리(142)가 회전하게 되면 탈수통(120)도 따라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풀리(142)는 탈수통(120)을 중심으로 하는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고, 상기 벨트안착부(143)에 형성된 홈은 상기 풀리(142)에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어 있다.
제3컨베이어(270)에 의해 세척된 야채가 제1컨베이어(210)로 공급되면, 제1컨베이어(210)는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20)의 내부로 삽입되게 되고, 제1컨베이어(210)가 탈수통(12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컨베이어(210)가 자체구동하여 야채를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제2컨베이어(240)로 이송시키게 된다.
제2컨베이어(240)로 이송된 야채는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시키게 되고, 제1컨베이어(210)의 사이드프레임(211)에 설치된 분사노즐(250)로부터 공기를 분사시키면서 제1컨베이어(210)가 후진하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 야채용 연속시 탈수기에서 가이드레일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개요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컨베이어(210)가 탈수통(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을 분할하여 제작하고, 상기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이 마주 보는 단면에 턴버클(300)을 장착하여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턴버클(270)은 길이방향의 양단에 너트홀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271)와 상기 회전체(271)의 양단에 너트홀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막대(272)로 구성된 것으로, 한쪽의 나사결합은 오른나사 결합이고, 다른 쪽 나사결합은 왼나사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어, 나사막대(272)의 양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체(271)를 회전시키면 한 쌍의 나사막대(272)는 서로 근접하게 이동하거나, 반대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이다.
이에, 한 쌍의 나사막대(272)를 각각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의 일면에 고정하고 회전체(27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향가이드레일(221)과 수평가이드레일(222)의 간격은 좁아지거나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상향가이드레일(221)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다리(260)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 개의 관통공(262)을 형성하고, 상기 상향가이드레일(221)에 형성된 관통공(도면 미도시)을 일치시켜 볼트 또는 핀과 같은 체결부재(도면 미도시)로 체결함으로써 수평가이드레일(222)로부터 간격이 조절된 상향가이드레일(221)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탈수부(100)의 케이싱(1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탈수통(120)이 기울어진 각도에 따라 탈수통(120)에 삽입시 제1컨베이어(210)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이 기울어져 있는 회전통의 상부를 통해 회전통의 내부 측 하부부터 상부 측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연속식으로 야채를 투입함으로써 야채의 자체 하중에 의한 손상이 방지 및 탈수시간이 단축되며, 또한 컨베이어의 선단에 공기 또는 물을 분사할 수 있는 노즐이 장착되어 탈수 후, 탈수된 야채의 배출이 용이하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탈수부
110. 케이싱 111. 하우징
120. 탈수통 121. 몸체 122. 플랜지부
130. 지지프레임 131. 수직프레임 132. 수평프레임
133. 완충부재 134. 높이조절나사
140. 회전구동수단 141. 벨트 142. 풀리
143. 벨트안착부 144. 모터
200. 투입부
210. 제1컨베이어 211. 사이드프레임 212. 메쉬벨트
213. 전방다리 214. 후방다리 214. 전방바퀴
215. 후방바퀴
220. 가이드레일 221. 상향가이드레일 222. 수평가이드레일
230. 전·후진구동수단
240. 제2컨베이어
250. 분사노즐
260. 지지다리 261. 높이조절나사 262. 관통공
270. 턴버클 271. 회전체 272. 나사막대
B. 베어링
M1, M2. 자석

Claims (3)

  1. 투입되는 야채를 탈수하는 탈수통(120)이 포함된 탈수부(100)와, 상기 탈수통(120)에 야채를 투입하도록 제1컨베이어(210)가 포함된 투입부(200)로 이루어진 야채용 탈수기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210)로 세척된 야채를 공급하는 1단계; 상기 제1컨베이어(210)가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이동하여 선단이 탈수통(120)의 내부로 삽입되는 2단계; 상기 탈수통(120)의 내부로 제1컨베이어(210)가 세척된 야채를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하면서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후진하는 3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컨베이어(210)에는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50)이 장착되어 있어, 분사노즐(250)로부터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탈수통(120)의 내부로 투입되어 건조된 야채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선단에는 제1컨베이어(210)에 수평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컨베이어(240)가 설치되어 있어,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20)의 내측면 접선방향으로 야채를 투입하는 것으로,
    상기 탈수부(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전방으로 상향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110)과, 상기 케이싱(110)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장착된 중공체 형상의 탈수통(120)과, 상기 탈수통(120)을 회전구동시키는 구동수단(140)과, 상기 케이싱(11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탈수통(120)은 타공망이 형성되어 있는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상부 측 외주연에 몸체(121)보다 직경이 큰 플랜지부(122)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상기 몸체(121)의 상단에 형성된 플랜지부(122)에는 자석(M1)이 장착되고, 상기 플랜지부(122)는 케이싱(110)의 내부에 형성된 링형상의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11)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되, 상기 하우징(111)의 내부는 플랜지부(122)에 장착된 자석(M1)과 동일극성을 지니는 자석(M2)이 장착되어 상기 탈수통(120)의 플랜지부(122)는 하우징(111)의 내부면과 접촉하지 않고 회전하는 것이 특징인 야채용 탈수기의 구동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067193A 2017-05-30 2017-05-30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KR10182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3A KR101823828B1 (ko) 2017-05-30 2017-05-30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3A KR101823828B1 (ko) 2017-05-30 2017-05-30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828B1 true KR101823828B1 (ko) 2018-01-31

Family

ID=6108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93A KR101823828B1 (ko) 2017-05-30 2017-05-30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127A (zh) * 2018-06-19 2018-11-23 石台县秋浦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富硒菜用脱水机
CN114209071A (zh) * 2021-12-09 2022-03-22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具有干燥功能的蔬菜清洗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09B1 (ko) 2006-09-20 2008-09-09 김옥자 가래떡 자동 제조장치
JP2014150785A (ja) * 2013-02-13 2014-08-25 Hosoda Kogyo Kk 脱水かご、それを備える食品用遠心脱水装置および食品搬送用コンベ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609B1 (ko) 2006-09-20 2008-09-09 김옥자 가래떡 자동 제조장치
JP2014150785A (ja) * 2013-02-13 2014-08-25 Hosoda Kogyo Kk 脱水かご、それを備える食品用遠心脱水装置および食品搬送用コンベア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51127A (zh) * 2018-06-19 2018-11-23 石台县秋浦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富硒菜用脱水机
CN114209071A (zh) * 2021-12-09 2022-03-22 温州科技职业学院 一种具有干燥功能的蔬菜清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828B1 (ko)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KR100959575B1 (ko) 야채 세척기
KR20070060723A (ko) 농산물 자동세척 및 탈수장치
CN109567241B (zh) 一种农业水果干用加工装置
CN206260741U (zh) 一种食品原料清洗消毒保护装置
KR101854078B1 (ko)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
CN103908002A (zh) 一种果蔬脱水机
CN107960605B (zh) 一种豆芽自动化加工线
CN110522052A (zh) 一种猕猴桃清洗加工装置
JP2019017294A (ja) 搬送装置、食材処理装置および食材処理方法
CN108967632B (zh) 利用气囊缩涨实现有序均匀扑粉的饴糖加工用扑粉设备
KR200454932Y1 (ko) 과실 선별 세척장치
KR101302732B1 (ko) 천일염 탈수장치
KR101246872B1 (ko) 농식품을 세척, 살균 및 탈수할 수 있는 신선편이 농식품 제조 장치
CN104116126B (zh) 一种蔬菜脱水机
CN216220107U (zh) 一种食用菌罐头加工用快速烘干装置
CN106180106B (zh) 一种桶自动清洗装置
KR20100102297A (ko) 해태 제조장치
CN109602040B (zh) 一种果蔬清洗装置
KR101621011B1 (ko) 절임채소 탈수장치
CN114887756B (zh) 一种高效林木种子清洗分级装置
CN112696913A (zh) 基于风选下料技术的脱水蔬菜用烘干装置
CN214183949U (zh) 一种节能型砂石分离机
KR102506996B1 (ko) 식물성 단백질 탈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 단백질 탈수방법
CN211861762U (zh) 一种新型颗粒包埋成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