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732B1 - 천일염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천일염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732B1
KR101302732B1 KR1020110130187A KR20110130187A KR101302732B1 KR 101302732 B1 KR101302732 B1 KR 101302732B1 KR 1020110130187 A KR1020110130187 A KR 1020110130187A KR 20110130187 A KR20110130187 A KR 20110130187A KR 101302732 B1 KR101302732 B1 KR 101302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er
support frame
outer cylinde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3689A (ko
Inventor
강순택
Original Assignee
강순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택 filed Critical 강순택
Priority to KR1020110130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73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3/00Halid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3/04Chlorides
    • C01D3/06Preparation by working up brines; seawater or spent ly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일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받침프레임과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와 내부로 천일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된 외통과, 외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내통과, 외통과 내통 사이에 개재되어 내통을 외통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와, 중계부와 연결되어 내통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외통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와 제1구동실린더에 의해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와, 외통에 설치되어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천일염을 내통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와, 내통의 회전에 의해 외통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지지프레임과 지지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에 의하면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리브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외통의 수평조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천일염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solar salt}
본 발명은 천일염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회전을 통해 천일염을 탈수시키기 위한 천일염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에게 소금은 항상 적정량 섭취해야 하는 필수 성분으로서, 식생활에 있어서는 다른 무엇보다도 필수적인 양념원이다. 소금에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바닷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천일염과, 이 천일염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가공 제조한 가공소금(화학염 및 정제염 등)이 있다. 천일염은 바닷물 속의 미네랄이 포함된 채로 제조되기 때문에 가공소금에 비해 인체에 아주 유익하다. 특히 국내 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에는 인체에 유익한 많은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천일염은 국내는 물론 외국에서도 외부 자연환경에 노출된 상태에서 바닷물을 건조시켜 제조하기 때문에 먼지, 지푸라기, 흙, 담배꽁초, 돌, 못 등의 많은 이물질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색상 또한 깨끗하지 않다. 이러한 이유 등으로 현재 국내에서는 천일염을 식품이 아닌 광물로 분류하여 식품으로는 곧바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삭제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김치를 담그거나 장을 담글 때 등 천일염을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고 있어 위생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천일염은 가공소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 데, 이때에도 천일염을 세척하지 않은 상태로 가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소금들 역시 위생적으로 안전하다고 볼 수 없다.
위와 같이, 천일염은 그 위생적인 문제로 세척된 후에 공급되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마대에 담은 후 적재 보관하여 자연 탈수시킨 후에 보급되고 있는데, 이러한 자연 탈수는 유통시간을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적재 보관에 따른 별도의 노동력 및 설비가 증가하며 특히, 간수가 많이 함유되어 쓴맛이 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87558호에는 천일염을 세척한 뒤 수분을 제거하는 천일염의 세척설비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의 천일염의 세척설비는 천일염이 투입되는 호퍼와; 투입된 천일염을 제1세척기로 이송 공급하는 제1이송수단과; 하단에는 세척된 천일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상부에는 천일염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이 부상하여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염도 28도~30도의 세척수가 수용된 수조통과, 회전축에 교반날개가 착설된 교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세척기와; 일측에는 세척된 천일염이 토출되는 토출구가 마련되고 바닥판은 침강된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며 염도 28도~30도의 세척수가 수용된 세척통과, 축봉에 스크류가 착설된 혼합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2세척기와; 제2세척기에서 토출된 천일염을 탈수수단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수단과; 천일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원심력에 의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일염 세척설비는 천일염을 세척수가 수용되어 있는 제1세척기에 투입하여 세척을 진행하므로 천일염이 세척수에 녹아버리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제1세척기와 제2세척기를 통해 세척을 하는 과정을 수행한 뒤에 탈수과정을 수행하므로 천일염의 탈수공정이 길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천일염 세척설비는 세척된 천일염의 탈수를 수행하는 탈수수단으로서 원심 탈수기를 적용하고 있으나, 상기의 원심 탈수기는 탈수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수단이 결여되어 있어 원심 탈수기의 내구성이 약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시간에 수분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천일염 탈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와, 내부로 천일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천일염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내통과,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을 상기 외통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내통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통을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천일염을 상기 내통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지지리브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장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완충부는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기 지지리브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리브를 관통하여 일 단이 상기 지지리브의 하부를 지지하며 타 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부재의 타 단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와,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볼트부재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지지리브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내통이 회전될 때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된 제2구동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통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이 상기 내통의 바닥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천일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이 상기 내통의 회전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틀어지게 배치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의 이격 거리가 설정된 허용범위보다 좁아지게 될 때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구름접촉될 수 있게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구름접촉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간격유지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에 의하면 탈수 도중 내통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하여 외통을 통해 지지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지지부 및 지지리브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프레임에 대하여 지지리브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외통의 수평조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일염 탈수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천일염 탈수장치의 개폐부를 도시한 부분발췌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천일염 탈수장치의 스크래퍼를 도시한 부분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일염 탈수장치(1)는 받침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5)을 포함하는 지지부(10)와, 지지부(10)에 지지되는 외통(20)과, 지지부(10)와 외통(20)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30)와, 외통(2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내통(40)과, 외통(20)에 대하여 내통(4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70)와, 탈수완료된 천일염을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내통(40)에 마련된 배출구(45)를 개폐하는 개폐부(50)와, 내통(40) 내부에서 천일염을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60)를 구비한다.
지지부(10)는 지면으로부터 소정높이로 이격된 구조물(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으로 중앙에 중공가 마련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면 좁고 밑면은 넓게 형성된 받침프레임(11)과, 받침프레임(1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며 받침프레임(11)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되 중공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120°만큼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지지프레임(15)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프레임(11) 및 지지프레임(15)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줄일 수 있도록 내부를 빈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받침프레임(11)의 중앙을 향하는 지지프레임(15)의 측면에는 각각 후술하는 외통(20)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받침프레임(11)의 반경방향으로 인입된 장착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홈(16)은 지지프레임(15)을 관통하게 형성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다르게 받침프레임(11)의 중앙을 향하는 측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외통(20)은 지지프레임(15)에 일 측이 지지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구조를 갖고, 지지프레임(15)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되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천일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25)가 마련되어 있다.
완충부(30)는 지지리브(21)와 지지프레임(15) 사이에 설치되어 내통(4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화시키면서 지지리브(21)를 지지프레임(15)에 지지시키는 것으로 볼트부재(31)와 너트부재(33)와 탄성부재(35) 및 캡(37)을 포함한다.
볼트부재(31)는 장착홈(16)에 삽입된 지지리브(21)의 저면으로부터 지지리브(21)를 관통하며, 일 단이 지지리브(21)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리브(21)를 지지하며 타 단은 지지프레임(15)의 상면에 마련된 관통홀을 통해 노출된다.
너트부재(33)는 볼트부재(31)가 하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프레임(15)의 상면에 지지시키는 것으로 지지프레임(15)의 상부로 노출된 볼트부재(31)의 단부에 체결되어 있다. 너트부재(33)는 볼트부재(31)에 체결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볼트부재(31)를 지지프레임(15)의 상면으로 돌출시키거나 하방으로 인입되게 하여 지지리브(21)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완충부(30)는 내통(40)의 고속회전에 의해 발생하여 외통(20)을 통해 지지프레임(15)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킴으로써 지지부(10) 및 지지리브(21)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지지리브(21)의 높낮이를 각각 조절할 수 있으므로 외통(20)의 수평조정이 용이하다.
탄성부재(35)는 지지프레임(15)에 대해 지지리브(21)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도록 지지리브(21)와 지지프레임(15)의 상면 사이에서 볼트부재(3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어 있다.
장착홈(16)이 마련된 지지프레임(15)의 일 측면과 대향하는 타 측면에는 지지리브(21)에 볼트부재(31)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17)가 형성된다.
캡(37)은 지지프레임(15)의 상면으로 돌출된 볼트부재(31)와 볼트부재(31)를 지지프레임(15)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33)가 외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 캡(37)이 더 구비된다.
내통(40)은 회전을 통해 천일염을 탈수하기 위한 것으로, 외통(2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투입구(25)를 통해 투입된 천일염을 수용하며, 외주면에는 복수의 탈수구멍(41)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내부에 수용된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개방된 배출구(45)가 마련되어 있다.
중계부(70)는 내통(40)과 외통(20) 사이에 개재되어 외통(20)에 대하여 내통(40)을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내통(40)의 하부에서 배출구(45)와 연통되어 배출구(45)를 통해 천일염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며 동력부(80)에 의해 회전되는 제1중계부(71)와, 외통(20)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면이 마련되고 외통(20)의 하부에 고정되며 제1중계부(71)가 내측에 삽입되는 제2중계부(73)와, 제2중계부(73)에 대하여 제1중계부(71)를 회전시킬 수 있게 제1중계부(71)와 제2중계부(73)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베어링부재(77)들을 포함한다.
제1중계부(71)는 내통(40)에서 탈수된 천일염을 적재차량 또는 별도의 저장용기 등으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동력부(80)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종동풀리(72)가 마련되어 있다.
제2중계부(73)는 외통(20)의 저면 일부가 안착될 수 있게 안착단이 형성되어 있고, 제1중계부(7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제1중계부(71)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동력부(80)는 외통(2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81)과, 상기 고정브라켓(8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82)와, 구동모터(82)에 마련된 구동풀리(84)와, 구동모터(82)의 회전력을 종동풀리(72)에 전달하도록 구동풀리(84)와 종동풀리(72)에 연결되는 벨트(85)부재를 포함한다. 상기의 구동 및 종동풀리(84,72)는 체인을 이용할 경우 스프로킷으로 대체될 수 있다.
개폐부(50)는 외통(20)의 상부 중앙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51)와, 제1구동실린더(51)에 의해 내통(40)의 회전중심축 상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배출구(45)를 개폐하는 개폐통(54)을 포함한다.
제1구동실린더(51)는 제1실린더본체(52)와 제1실린더본체(52)로부터 출입되는 제1로드(53)로 구성되며 상기 제1로드는 개폐통(54)이 배출구(45)를 폐쇄하는 상태 즉, 내통(40)이 회전할 때 내통(40)의 바닥에 밀착된 상태로 내통(40)과 함께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개폐통(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개폐통(54)은 제1로드(53)에 배출구(45)와 인접하는 바닥에 밀착될 수 있게 배출구(45)보다 큰 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중앙측이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다.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개폐통(54)의 저면에는 내통(40)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게 탄성력을 갖는 패킹부재가 부착될 수도 있다.
개폐통(54)의 내부에는 개폐통의 내구력을 높이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회전할 때 안정적으로 개폐통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로드(53)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격벽(54a)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래퍼(60)는 천일염의 탈수 완료된 천일염을 배출구(45)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구(45)를 개방한 상태로 내통(40)을 회전시킬 때 탈수과정 중 원심력에 의해 내통(40)의 가장자리 측으로 밀려있는 천일염을 쓸어내리기 위한 것으로, 외통(20)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2구동실린더(61)와, 제2구동실린더(61)의 단부에 고정된 경사판(64)과, 경사판(64)의 일 측면에 부착된 탄성패드(65)를 포함한다.
상기 제2구동실린더(61)는 제2실린더본체(62)와, 제2실린더본체(62)에 출입되는 제2로드(63)를 포함하며 제2로드(63)가 내통(40)의 회전중심축에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내통(40)의 회전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된다.
경사판(64)은 제2로드(63)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고, 제2로드(63)가 하강하면서 내통(40)의 가장자리 측에 쌓여있는 천일염에 간섭될 수 있도록 저면이 내통(40)의 바닥과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천일염이 배출구(45) 측으로 안내될 수 있게 저면이 내통(40)의 회전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틀어지게 배치되어 있다.
탄성판은 천일염이 경사판(64)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통(40)의 내주면에 접촉된 상태로 내통(40)의 내주면에 부착된 천일염들을 긁어낼 수 있도록 경사판(64)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간격유지부(90)가 더 구비된 제2실시 예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간격유지부(90)는 내통(40)과 외통(20) 사이의 거리가 설정된 허용거리에 도달할 때 내통(40)과 외통(20) 사이의 거리가 허용거리보다 좁아지는 방지하는 것으로 장착브라켓(91)과 구름부재(92)를 포함한다.
장착브라켓(91)은 내통(40)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구름부재(92)는 상기 장착브라켓(9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내통(40)의 회전중심축과 나란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회전할 수 있고 양단이 상하로 배치되며, 내통(40)와 외통(20)이 설정된 허용거리에 도달하면 외통(20)의 내주면에 구름접촉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상기 구름부재(92)는 외통(20)의 외주면에 구름접촉됨에 따라 내통(40)의 회전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좁은 접촉면적을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 탈수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부
20 : 외통
30 : 완충부
40 : 내통
50 : 개폐부
60 : 스크래퍼
70 : 중계부
80 : 동력부
90 : 간격유지부

Claims (4)

  1. 삭제
  2.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와, 내부로 천일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천일염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내통과;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을 상기 외통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내통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통을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천일염을 상기 내통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측면에 상기 지지리브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는 장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된 상기 지지리브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리브를 관통하여 일 단이 상기 지지리브의 하부를 지지하며 타 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되는 볼트부재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노출된 상기 볼트부재의 타 단에 체결되어 상기 볼트부재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에 고정시키는 너트부재와,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사이에서 상기 볼트부재 외측으로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지지리브를 하방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탈수장치.
  3.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와, 내부로 천일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천일염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내통과;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을 상기 외통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내통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통을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천일염을 상기 내통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크래퍼는 상기 내통이 회전될 때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된 제2구동실린더의 로드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내통의 가장자리 측에 위치하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이 상기 내통의 바닥과 예각을 이루며, 상기 천일염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저면이 상기 내통의 회전중심축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틀어지게 배치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저면에 결합되는 탄성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탈수장치.
  4. 받침프레임과, 상기 받침프레임의 상면에 상호 이격되게 상방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도록 외주면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각각 연장된 지지리브와, 내부로 천일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부에 투입구가 마련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천일염을 수용하며, 외주면에 다수의 탈수구멍들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천일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내통과;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내통을 상기 외통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중계부와;
    상기 중계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통을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와;
    상기 외통의 상부에 고정되는 제1구동실린더와,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의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여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배출구를 폐쇄하는 상태로 상기 내통과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게 상기 제1구동실린더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통을 포함하는 개폐부와;
    상기 외통에 설치되어 상기 내통의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하면서 상기 천일염을 상기 내통의 바닥을 향하도록 하방으로 쓸어내리는 스크래퍼와;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에 작용하는 진동을 완충시키도록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와;
    상기 내통의 회전에 의해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 사이의 이격 거리가 설정된 허용거리에 도달할 때 상기 내통과 상기 외통 사이의 거리가 상기 허용거리보다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간격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내통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장착브라켓과, 상기 장착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외통의 내주면에 구름접촉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 탈수장치.
KR1020110130187A 2011-12-07 2011-12-07 천일염 탈수장치 KR101302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87A KR101302732B1 (ko) 2011-12-07 2011-12-07 천일염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187A KR101302732B1 (ko) 2011-12-07 2011-12-07 천일염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689A KR20130063689A (ko) 2013-06-17
KR101302732B1 true KR101302732B1 (ko) 2013-09-03

Family

ID=48860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187A KR101302732B1 (ko) 2011-12-07 2011-12-07 천일염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7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370A (zh) * 2018-09-10 2018-12-25 姚平社 一种市政建设用雨水回收处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0999B1 (ko) * 2012-12-11 2014-11-03 강순택 천일염 탈수장치
CN113501590B (zh) * 2021-09-10 2021-11-30 北京乾合晶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太阳能的污水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483U (ko) * 1996-11-27 1998-08-17 이영서 세탁기의 터브 완충구조
KR20040016635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삼각기계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
KR100895997B1 (ko) * 2008-02-22 2009-05-07 주식회사 정현프랜트 화학약품용 필터드라이어
KR20110044484A (ko) * 2009-10-23 2011-04-29 강순택 천일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483U (ko) * 1996-11-27 1998-08-17 이영서 세탁기의 터브 완충구조
KR20040016635A (ko) * 2002-08-19 2004-02-25 주식회사 삼각기계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
KR100895997B1 (ko) * 2008-02-22 2009-05-07 주식회사 정현프랜트 화학약품용 필터드라이어
KR20110044484A (ko) * 2009-10-23 2011-04-29 강순택 천일염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78370A (zh) * 2018-09-10 2018-12-25 姚平社 一种市政建设用雨水回收处理装置
CN109078370B (zh) * 2018-09-10 2020-12-18 安徽远维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建设用雨水回收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3689A (ko) 2013-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830407T3 (en) FIELD CLEANING DEVICE
KR101302732B1 (ko) 천일염 탈수장치
KR100922285B1 (ko) 야채탈수기
KR101545165B1 (ko) 홍합 세척 및 분리 장치
RU2660256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сеи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20150074870A (ko) 곡물 세척 및 숙성장치
CN109170954A (zh) 一种夹层式桃类清洗装置
US3814336A (en) Hydropulper and classifier equipment
US5212876A (en) Automatic spin dryer
US5433390A (en) Decentralized solid waste recycling systems
KR101823828B1 (ko)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의 구동방법
KR100547933B1 (ko) 천일염의 세척방법 및 세척설비
KR101854078B1 (ko) 야채용 연속식 탈수기
CN208643650U (zh) 一种有机质垃圾资源化减量处理设备
CN203181963U (zh) 可移动式果蔬脱水机
CN215996940U (zh) 一种天然植物凝胶提取用均质破壁装置
CN110179145B (zh) 蔬菜脱水用料水隔离装置及具有其的蔬菜脱水机
KR20130002094A (ko) 농식품을 세척, 살균 및 탈수할 수 있는 신선편이 농식품 제조 장치
US201403326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materials
KR101281293B1 (ko) 착즙기
KR101440999B1 (ko) 천일염 탈수장치
KR101621011B1 (ko) 절임채소 탈수장치
CN109602040B (zh) 一种果蔬清洗装置
CN113197140A (zh) 一种冰鲜杂鱼和颗粒饵料通用型投饵机
KR101434455B1 (ko) 곡물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