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4455B1 - 곡물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4455B1
KR101434455B1 KR1020130036281A KR20130036281A KR101434455B1 KR 101434455 B1 KR101434455 B1 KR 101434455B1 KR 1020130036281 A KR1020130036281 A KR 1020130036281A KR 20130036281 A KR20130036281 A KR 20130036281A KR 101434455 B1 KR101434455 B1 KR 101434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washing
cleaning member
clean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6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로모텍
김정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로모텍, 김정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로모텍
Priority to KR1020130036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44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4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4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10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 B08B3/102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with additional treatment of the liquid or of the object being cleaned, e.g. by heat, by electricity or by vibration with means for agitating the liqu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 자동으로 수행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곡물의 세척 공간을 제공하고 하단에 출구가 마련된 세척조; 상기 세척 공간에 위치하는 세척 부재;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부재를 구동시키는 세척 부재 구동부; 세척 대상 곡물이 저장되고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부재의 위에 마련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곡물량 조절기를 구비하는 곡물 저장 호퍼; 상기 세척 부재 위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관; 상기 물공급관 상에 설치된 물량 조절기; 상기 세척조의 출구와 결합된 전환 밸브;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폐수 배출관;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곡물 배출관; 상기 곡물 배출관 상에 설치된 곡물 배출 펌프; 및 상기 구동 모터, 상기 곡물량 조절기, 상기 물량 조절기 및 상기 곡물 배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곡물세척장치 {GRAIN WASH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 자동으로 수행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곡물을 가공하는 공장이나 식사 인원이 많은 식당에서는 인력으로 쌀과 같은 곡물을 단시간에 대량으로 세척하기 어렵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서 곡물세척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세척 작업을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수행될 뿐 기타 다른 작업들(예를 들면, 곡물 공급, 급수, 모터 작동, 곡물 배출)은 여전히 사람의 손을 통해 제어되기 때문에, 여전히 불편함이 따른다. 또한,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고 곡물과 사람의 손이 접촉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며, 세척이 완료된 곡물을 작업자가 직접 찜솥과 같은 용기에 담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반복 세척시에 물 소비량이 많아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의 모든 과정이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수행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 효과가 향상된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물세척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곡물 세정 후 곡물을 세정한 물을 리사이클링 하여 물의 낭비를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곡물 종류 및 세척량에 따라 최적의 세척을 수행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곡물세정을 자동화하고 세정시간을 단축시켜 사용자가 다른 일을 할 수 있도록 시간을 제공하고 피로감이 적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곡물의 세척 공간을 제공하고 하단에 출구가 마련된 세척조; 상기 세척 공간에 위치하는 세척 부재;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부재를 구동시키는 세척 부재 구동부; 세척 대상 곡물이 저장되고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부재의 위에 마련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곡물량 조절기를 구비하는 곡물 저장 호퍼; 상기 세척 부재 위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관; 상기 물공급관 상에 설치된 물량 조절기; 상기 세척조의 출구와 결합된 전환 밸브;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폐수 배출관;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곡물 배출관; 상기 곡물 배출관 상에 설치된 곡물 배출 펌프; 및 상기 구동 모터, 상기 곡물량 조절기, 상기 물량 조절기 및 상기 곡물 배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곡물세척장치는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상기 세척 부재 위로 연장되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순환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세척장치는 상기 곡물 저장 호퍼와 연결된 곡물 공급관과, 상기 곡물 공급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곡물 공급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물세척장치는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세척 부재는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 구멍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세척 부재는 석재일 수 있다.
상기 세척 부재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 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부재의 상면은 상기 회전축선 쪽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며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에 의해 곡물 공급부, 물공급부, 세척부, 배출부 등 모든 구성이 자동으로 제어되므로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의 모든 과정이 연속적으로 자동으로 수행된다. 또한, 회전하는 석재 위에서 곡물이 구르면서 세척되므로 이물질이 쉽게 떨어지게 되어 세척 효과가 뛰어나다. 그리고,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장치 내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위생적이다. 또한, 수위감지센서가 구비되므로 세척 조건에 맞게 물이 자동으로 조절됨은 물론이고 리사이클링을 통하여 일정량의 물만 버리고 나머지의 물은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가 구비되므로 곡물 종류 및 세척량과 같은 세척 조건에 맞는 최적을 세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로서, 몸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몸체를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척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척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세척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곡물세척장치(100)는 몸체(110)와, 세척조(120)와, 수위감지센서(130)와, 세척 부재(140)와, 세척 부재 구동부(150)와, 곡물 저장 호퍼(160)와, 곡물 공급관(165)와, 곡물 공급 펌프(167)와, 물 공급관(170)과, 물량 조절기(172)와, 전환 밸브(180)와, 폐수 배출관(181)과, 곡물 배출관(182)과, 곡물 배출 펌프(185)와, 순환관(186)과, 순환 펌프(187)와,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곡물세척장치(100)는 세척 대상인 곡물의 투입부터 배출까지 논스톱으로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하, 곡물세척기(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몸체(110)는 곡물세척장치(100)를 지지하는 프레임 역할을 하며, 내부에 다른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는 내부 공간(111)을 제공한다. 몸체(110)의 바닥에는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112)이 마련되어서 곡물세척장치(100)가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몸체(110)의 외벽에는 내부 공간(111)과 통할 수 있는 도어가 구비된다.
세척조(120)는 몸체(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내부에 곡물이 세척되는 세척 공간(121)을 제공한다. 세척조(12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고, 세척조(120)의 가장 좁은 하단에는 출구(122)가 마련된다. 그에 따라, 세척조(120) 내의 곡물과 세척수는 자중에 의해 원활하게 출구(122)를 통해 세척조(120) 밖으로 빠져나간다. 세척조(120)의 상단에는 개구부(123)가 마련되며, 세척조(120)의 상단은 몸체(110)의 상단 밖으로 돌출된다.
수위감지센서(130)는 세척조(120) 내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세척조(120)에 설치된다. 수위감지센서(130)로는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이 사용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수위감지센서(130)에서 측정된 수위 신호는 제어부(190)로 전송된다.
세척 부재(140)는 세척조(120)의 내부에 형성된 세척 공간(121)에 수용되어서 회전하면서 세척 공간(121)으로 제공되는 곡물에 대한 세척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세척 부재(140)는 곡물의 세척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거친 표면을 갖는 맷돌 등에 사용되는 석재인 것으로 설명한다. 도 2에는 세척 부재(14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세척 부재(140)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세척 부재(140)는 대체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상으로서, 세척 공간(121) 내에서 회전축선인 중심선(X)이 연직방향(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세척 부재(140)에는 중심선(X)을 따라서 관통하는 결합 구멍(141)이 마련된다. 결합 구멍(141)을 통해 세척 부재 구동부(150)와 결합된다. 결합 구멍(141)의 주위에는 결합 구멍(141)과 인접하여 원주방향을 따라 위치하는 다수의 배출 구멍(144)이 마련된다. 배출 구멍(144)은 세척 부재(140)를 관통하며 결합 구멍(141)과 대체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배출 구멍(144)을 통해 곡물과 세척수가 아래로 배출된다. 세척 부재(140)의 상면(142)은 중심선(X) 쪽으로 갈수록 아래로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이러한 경사에 의하여 세척 부재(140)가 회전할 때 곡물과의 표면 마찰력이 향상된다. 또한, 세척 부재(140)의 상면(142)에는 다수의 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홈(143)에 의하여 세척 부재(140)가 회전할 때 곡물이 원심력으로 바깥 쪽으로 밀려나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어서 세척 효과가 향상된다.
세척 부재 구동부(150)는 세척 부재(140)를 회전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세척 부재 구동부(150)는 회전 샤프트(151)와, 구동 모터(152)와, 회전력 전달 수단(153)을 구비한다.
회전 샤프트(151)는 세척 부재(140)의 회전축선인 중심선(X)을 따라서 상하로 연장되며 하부가 세척 부재(140)에 형성된 결합 구멍(141)에 삽입되어 세척 부재(140)에 고정된다. 회전 샤프트(151)의 상단은 세척조(120)의 상단 개구부(123)를 통해 세척조(120)의 밖으로 돌출된다.
구동 모터(152)는 세척주(120)의 외부에 위치하며 몸체(110)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구동 모터(152)의 구동 샤프트(152a) 몸체(110)의 상부로 돌출된다.
회전력 전달 수단(153)은 구동 모터(152)의 회전력을 회전 샤프트(151)로 전달한다. 회전력 전달 수단(153)으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샤프트(151)의 상단에 결합된 제1 풀리(154)와, 구동 모터(152)의 구동 샤프트(152a)에 결합된 제2 풀리(155)와, 제1 풀리(154)와 제2 풀리(155)를 연결하는 벨트(156)를 구비하는 벨트 구조인 것으로 설명한다. 구동 모터(152)의 작동은 제어부(19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곡물 저장 호퍼(160)는 몸체(110)의 위에 설치된다. 곡물 저장 호퍼(160)의 하단에는 곡물 배출부(160a)가 마련된다. 곡물 배출부(160a)는 세척조(120)의 상단 개구부(123) 내에 위치한다. 곡물 배출부(160a)에는 곡물량 조절기(161)가 설치된다. 곡물량 조절기(161)는 자동제어 밸브 구조로서,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곡물 공급관(165)의 일단부는 곡물 저장 호퍼(160)에 연결되고, 타단은 몸체(110)를 거쳐서 외부에 위치한다. 곡물 공급관(165) 상에는 몸체(110)에 설치된 곡물 공급 펌프(167)가 구비된다. 곡물 공급 펌프(167)은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곡물 공급관(165)을 통해 포대와 같은 외부 곡물 저장 수단(B)에 담긴 곡물이 곡물 저장 호퍼(160)로 이송된다. 작업성 향상을 위하여, 곡물 공급관(165)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공급관(170)은 세척조(120)의 상단 개구부(123)를 통해 세척수가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물 공급관(170) 상에는 물량 조절기(172)가 설치된다. 물량 조절기(172)는 자동제어 밸브 구조로서,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전환 밸브(180)는 세척조(120)의 출구(122)를 폐수 배출관(181), 곡물 배출관(182) 및 순환관(186) 중 어느 하나와 연결시킨다. 전환 밸브(180)는 자동제어 밸브 구조로서,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폐수 배출관(181)은 전환 밸브(180)로부터 연장되어서 몸체(110)의 밖으로 이어진다. 폐수 배출관(181)을 통해서는 세척완료 후 발생한 폐수(곡물이 쌀인 경우 쌀뜸물)가 외부로 배출된다. 폐수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배출된다.
곡물 배출관(182)은 전환 밸브(180)로부터 연장되어서 몸체(110)의 밖으로 이어진다. 곡물 배출관(182)의 끝단에는 개폐 스위치(184)가 마련된 배출 노즐(183)이 구비된다. 곡물 배출관(182)을 통해 세척이 완료된 곡물이 밥솥과 같은 용기(A)에 담아질 수 있다. 곡물 배출관(182) 상에는 곡물 배출 펌프(185)가 설치된다. 곡물 배출 펌프(185)는 곡물 배출관(182)을 통해 곡물을 이송시킨다. 곡물 배출 펌프(185)는 제어부(190)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된다.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곡물 배출관(182)은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순환관(186)은 전환 밸브(180)로부터 연장되어서 끝단이 세척조(120)의 상단 개구부(123) 내에 위치한다. 순환관(186) 상에는 순환 펌프(187)가 설치된다. 순환 펌프(187)는 순환관(186)을 통해 세척조(120)로부터 배출된 물과 곡물을 세척조(120)로 다시 제공한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마이컴의 구조를 갖는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어부(19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출력부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적절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작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장치 및 다른 구성(펌프, 모터 및 센서)들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구비한다. 사용자는 입출력부를 통해 곡물 세척을 위한 기본 정보(세척 대상 곡물의 종류 및 세척량 등)를 입력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세척 기본 정보를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적의 세척 조건(세척수의 양, 세척 시간, 세척 부재의 회전 속도, 세척 반복수 등)을 계산하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구동 모터(152), 곡물량 조절기(161), 곡물 공급 펌프(167), 물량 조절기(172), 전환 밸브(180), 곡물 배출 펌프(185) 및 순환 펌프(187)로 보낸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제어부(190)의 입출력부를 통해 기본적인 세척 정보(세척 대상 곡물의 종류 및 세척량 등)를 입력하고, 세척의 시작을 지시한다. 곡물세척장치(10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기 입력한 기본 세척 정보에 맞춰서 세척을 시작하게 된다.
제어부(190)는 곡물 저장 호퍼(160)에 필요한 곡물의 양이 있는지 확인(이를 위하여 곡물 저장 호퍼(160)에는 저장된 곡물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등의 저장량 확인 수단이 구비되며, 이는 제어부(190)로 전달된다)하며, 필요한 곡물의 양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사용자에게 입출력부를 통해 알려준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곡물 공급관(165)을 외부 곡물 저장 수단(B)에 연결하고 곡물의 공급이 준비되었음을 입출력부를 통해 알려준다. 곡물 공급 준비 상태가 완료되었음을 통지받은 제어부(190)는 곡물 공급 펌프(167)를 가동시켜서 곡물 저장 호퍼(160)를 세척 대상 곡물로 채운다.
제어부(190)가 곡물 저장 호퍼(160)에 세척 대상 곡물의 필요한 양이 충분히 수용된 상태임을 확인 한 후에는, 곡물량 조절기(161)를 이용하여 세척 대상 곡물의 정해진 양을 세척조(120) 내로 공급한다. 이때, 제어부(190)는 물량 조절기(172)를 제어하여 세척 조건에 맞게 정해진 세척수의 양을 세척조(120) 내로 공급한다. 또한, 이와 함께 제어부(190)는 구동 모터(152)에 동작 신호를 보내서 세척 조건에 맞게 세척 부재(140)를 회전시킨다. 세척 대상 곡물과 세척수는 세척 부재(140)의 상면(도 2와 도 3의 142)으로 공급되고, 세척 부재(140)의 회전에 의하여 곡물은 세척된다. 세척 부재(140)의 상면(142)에서 세척된 곡물과 세척에 사용된 세척수는 세척 부재(140)의 배출 구멍(144)을 통해 아래로 배출된다. 배출 구멍(144)을 통해 아래로 배출된 곡물과 세척수는 세척조(120)의 아래에 쌓이게 된다. 정해진 양의 곡물이 세척수와 함께 세척 부재(140)의 배출 구멍(144)을 통과하여 세척조(120)의 아래에 쌓이면, 제어부(190)는 정해진 세척 반복 횟수에 따라 세척을 반복하게 된다. 세척의 반복은 전환 밸브(180)가 제어부(190)에 의해 작동하여 세척된 곡물과 세척수를 순환관(186)을 통해 세척조(120)의 상부로 다시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경우에 따라서는 물공급관(170)을 통해 세척수가 새로 공급될 수도 있다.
1회 세척 또는 다수의 세척 과정을 거쳐서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전환 밸브(180)의 작용에 의해 먼저 폐수가 폐수 배출관(181)을 통해 배출된다. 폐수가 배출된 후, 전환 밸브(180)의 작용에 의해 세척이 완료된 곡물은 곡물 배출관(182)을 통해 용기(A)로 제공된다.
상기 설명을 통해 곡물세척장치(100)는 곡물의 세척에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곡물세척장치(100)는 곡물의 물불림에도 사용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척 부재가 상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된 석재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세척 부재의 구성을 이와 같이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는 세척 부재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세척 부재(240)는 상면(142)에 다수의 돌기(2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243)에 의하여 곡물에 붙은 이물질이 쉽게 떨어질 수 있다. 다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세척 부재(1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홈(143)과 도 4에 도시된 다수의 돌기(243)가 함께 형성되어서 세척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당업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곡물세척장치 110 : 몸체
112 : 바퀴 120 : 세척조
130 : 수위감지센서 140 : 세척 부재
150 : 세척 부재 구동부 160 : 곡물 저장 호퍼
161 : 곡물량 조절기 165 : 곡물 공급관
167 : 곡물 공급 펌프 170 : 물공급관
172 : 물량 조절기 180 : 전환 밸브
181 : 폐수 배출관 182 : 곡물 배출관
185 : 곡물 배출 펌프 186 : 순환관
187 : 순환 펌프 190 : 제어부

Claims (8)

  1. 내부에 곡물의 세척 공간을 제공하고 하단에 출구가 마련된 세척조(120);
    상기 세척 공간에 위치하는 세척 부재(140, 240);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상기 세척 부재를 구동시키는 세척 부재 구동부(150);
    세척 대상 곡물이 저장되고 상기 세척조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척 부재의 위에 마련된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를 개폐하는 곡물량 조절기를 구비하는 곡물 저장 호퍼(160);
    상기 세척 부재 위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물공급관(170);
    상기 물공급관 상에 설치된 물량 조절기(172);
    상기 세척조의 출구와 결합된 전환 밸브(180);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폐수 배출관(181);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연장되는 곡물 배출관(182);
    상기 곡물 배출관 상에 설치된 곡물 배출 펌프(185); 및
    상기 구동 모터, 상기 곡물량 조절기, 상기 물량 조절기, 상기 전환 밸브 및 상기 곡물 배출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환 밸브로부터 상기 세척 부재 위로 연장되는 순환관(186)과, 상기 순환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순환 펌프(18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물 저장 호퍼와 연결된 곡물 공급관(165)과, 상기 곡물 공급관 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그 작동이 제어되는 곡물 공급 펌프(16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1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수위신호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는 상하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하로 연장되어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 구멍(14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는 석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의 상면에는 다수의 홈 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 부재의 상면은 상기 회전축선 쪽으로 갈수록 내려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KR1020130036281A 2013-04-03 2013-04-03 곡물세척장치 KR101434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81A KR101434455B1 (ko) 2013-04-03 2013-04-03 곡물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6281A KR101434455B1 (ko) 2013-04-03 2013-04-03 곡물세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4455B1 true KR101434455B1 (ko) 2014-09-02

Family

ID=51758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6281A KR101434455B1 (ko) 2013-04-03 2013-04-03 곡물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44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75B1 (ko) 2018-01-25 2018-06-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필립라이스 곡물세척기
CN114273324A (zh) * 2021-12-27 2022-04-05 江西金穗丰糖业有限公司 一种带有烘干功能的大米清洗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951A (ja) 2002-04-15 2004-01-08 Hisamitsu Tsukahara 穀類および豆類の洗浄方法、洗浄浸漬方法および加工方法
JP2006280341A (ja) 2005-04-05 2006-10-19 Kurabo Ind Ltd 食品洗浄殺菌装置および食品の洗浄殺菌方法
KR101087711B1 (ko) 2011-06-30 2011-12-08 주식회사 와이씨트레이딩 자동 곡물 세척 장치
KR101121141B1 (ko) 2011-10-19 2012-03-09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과일 및 야채 세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951A (ja) 2002-04-15 2004-01-08 Hisamitsu Tsukahara 穀類および豆類の洗浄方法、洗浄浸漬方法および加工方法
JP2006280341A (ja) 2005-04-05 2006-10-19 Kurabo Ind Ltd 食品洗浄殺菌装置および食品の洗浄殺菌方法
KR101087711B1 (ko) 2011-06-30 2011-12-08 주식회사 와이씨트레이딩 자동 곡물 세척 장치
KR101121141B1 (ko) 2011-10-19 2012-03-09 주식회사 그린이엔지 과일 및 야채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7875B1 (ko) 2018-01-25 2018-06-1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필립라이스 곡물세척기
CN114273324A (zh) * 2021-12-27 2022-04-05 江西金穗丰糖业有限公司 一种带有烘干功能的大米清洗机
CN114273324B (zh) * 2021-12-27 2022-10-21 江西金穗丰糖业有限公司 一种带有烘干功能的大米清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9167B1 (ko) 전자동 밥솥
US7337706B2 (en) Full automatic rice cooking apparatus
KR102145671B1 (ko) 쌀 세척장치
KR20130056151A (ko) 곡물 자동 세척장치
US10736466B2 (en) Rice washer
KR101434455B1 (ko) 곡물세척장치
KR20150074870A (ko) 곡물 세척 및 숙성장치
KR101087711B1 (ko) 자동 곡물 세척 장치
KR101703318B1 (ko) 쌀 저장 및 세척 기능 일체형 완전자동 밥통
JP3706828B2 (ja) 一釜炊飯システム用自動洗米装置
JP6822352B2 (ja) 洗米装置
JP7390649B2 (ja) 炊飯器
JP7426648B2 (ja) 炊飯器
JP2002224578A (ja) 粒体気流搬送装置及び同装置を用いた自動洗米装置
JP3826844B2 (ja) 炊飯器及び自動炊飯器
JP7129007B2 (ja) 洗米炊飯機
JP7111148B2 (ja) 洗米装置
JP7111147B2 (ja) 洗米装置
JP2003144946A (ja) 自動炊飯器、自動炊飯方法、洗米装置、洗米方法、炊飯装置、炊飯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181366A (ja) プログラム
JP2004065550A (ja) 炊飯器及び自動炊飯器
JP2922829B2 (ja) 精米機能を有する洗米炊飯装置
CN110464215B (zh) 烹饪方法、烹饪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7248544B2 (ja) 炊飯の前処理システム
JP2004074003A (ja) 米供給装置および洗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