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011B1 - 절임채소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절임채소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1011B1
KR101621011B1 KR1020140132585A KR20140132585A KR101621011B1 KR 101621011 B1 KR101621011 B1 KR 101621011B1 KR 1020140132585 A KR1020140132585 A KR 1020140132585A KR 20140132585 A KR20140132585 A KR 20140132585A KR 101621011 B1 KR101621011 B1 KR 101621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pickled
main body
vegetable
veget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462A (ko
Inventor
정영배
서혜영
유승란
이상일
박상언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32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10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39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1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1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과정에서 절임채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원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조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임채소의 탈수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구가 마련된 탈수본체;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채소수용체; 상기 탈수본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수단; 및 상기 탈수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의하면, 절임채소가 수용된 채소수용체를 상하로 병진운동시켜서 탈수하는 방식이므로 절임채소가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되지 않고 과도한 원심력도 작용되지 않으므로 절임채소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김치원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절임채소를 수용하는 채소수용체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량에 따라 적층 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구성부품이 적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고장이 적어 유지보수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가동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절임채소 탈수장치{DEWATER APPARATUS FOR SALTED VEGETABLES}
본 발명은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탈수과정에서 절임채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원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수조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임채소의 탈수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독특한 채소 가공식품으로, 배추, 무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여서 고추, 마늘, 파, 생강, 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려 발효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이다.
김치는 익어감에 따라 항균 작용을 갖게 되고, 숙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젖산균은 새콤한 맛을 더해주며, 장 속의 다른 유해균의 작용을 억제하여 이상 발효를 막을 수 있고, 병원균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만 아니라 김치 원료인 채소는 자체에 다량의 섬유소가 함유되어 있어 변비를 예방하고 장염이나 결장염과 같은 질병을 예방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김치는 양념을 버무리는 단계의 시행전에 채소를 절이는 절임공정을 수행하고, 이후 탈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탈수공정은 자연탈수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대량의 김치를 제조하는 제조라인에서는 생산성을 고려하여 신속한 탈수를 위해 별도의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시행한다.
예컨대, 절인 채소의 탈수에 이용되는 탈수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41075호로 개시된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 제10-0441075호로 개시된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로 절단된 절인배추편을 탈수 및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받침대(7)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베드(6)에 복수의 구동풀리(51)(52)를 갖는 구동모터(5)를 설치하여 각각 구동부재(53)(54)를 개재하여 탈수수단(1)의 작동풀리(14) 및 탈수수단(1) 내에서 회전 작동되는 배출수단(2)의 작동풀리(2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탈수수단(1)은, 벽체에 다수의 탈수공(11a)을 형성하고 외면에는 다수의 보강지주(11c)와 보강편(11b)을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한 탈수통(11)의 바닥부(12)가 중공의 제 1지지축(13)에 의해 상기 작동풀리(14)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2)은, 상기 제1지지축(13)의 중공부 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끼워지는 제2지지축(23)에 의해 상기 작동풀리(24)와 연결되는 바닥판(22) 상에, 하단에 자전롤(25a)을 갖는 다수의 지지봉(25)을 고정 설치하여 다수의 배출편(26a)을 하면에 부착한 비산방지 덮개(26)가 상단에 부착 설치되게 하고, 상기 지지봉(25)의 외측으로는 나선형으로 되는 이송부재(21)의 내주면이 부착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2)의 중앙 개구부에는 상부덮개(31)와 연결되어 지지봉(25) 보다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내관(3)을 설치하고, 상기 탈수수단(1)의 외측으로는, 상부 일측에 배출구(41)를 형성하며 하단 외주연측으로는 그 내부의 바닥판(42)과 연통되게 배수로(43)를 형성한 외통(4)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는 절인배추편이 동일 구동원에 의해 서로 다른 속도로 동일 회전방향으로 동시 회전되는 탈수수단과 배출수단에 의해 신속하고 위생적으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탈수된 절인 배추편들이 배출수단에 의해 장치 일측의 배출구를 통해 연속적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위생적으로 김치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이하와 같은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는 탈수통(11)의 바닥부(12)가 제 1지지축(13)에 의해 작동풀리(14)와 연결되어 회전되면서 탈수작용을 수행하게 되므로 내부에 수용된 절인배추가 고속 회전되는 과정에서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되고 과도한 원심력으로 인해 심하게 손상된다. 이로 인해 김치 원료의 손실이 많고 김치로 제조된 상태에서 상품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종래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는 한 번에 탈수할 수 있는 절인배추의 용량이 탈수통(11)의 크기에 한정되므로 작업량에 제한이 따르고 소량의 절인배추를 탈수할 경우에도 탈수통(11) 전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커서 에너지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종래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는 구성부품이 많고 구조가 복잡하므로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고장의 요소가 많아서 유지보수비가 상승 될 뿐만 아니라 고장에 따른 휴지시간의 증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탈수과정에서 절임채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원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김치의 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탈수조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임채소의 탈수용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구가 마련된 탈수본체;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채소수용체; 및 상기 탈수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구가 마련된 탈수본체;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채소수용체; 상기 탈수본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수단; 및 상기 탈수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지지수단은,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피설치부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탈수본체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하단이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되고 하단이 피설치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채소수용체는 복수 개가 다단으로 적층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채소수용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저부가 볼록구조로 형성되고, 상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진동수단은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수단은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상에서 전후 이동되고 탈수본체에 설치되는 로드를 구비한 병진운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진동수단의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내장되는 제어박스를 구비하고, 상기 상하이동부재는 상단이 상기 지지부재에 접속되고 하단이 상기 제어박스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박스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박스본체; 상기 박스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안착되는 방진구; 및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접속되도록 상기 박스본체에 돌출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의하면, 절임채소가 수용된 채소수용체를 상하로 병진운동시켜서 탈수하는 방식이므로 절임채소가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되지 않고 과도한 원심력도 작용되지 않으므로 절임채소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이로 인해 김치원료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고 김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의하면, 절임채소를 수용하는 채소수용체가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작업량에 따라 적층 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구성부품이 적고 구조가 간결, 단순하므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고장이 적어 유지보수비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가동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절인배추 탈수 및 배출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의 진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의 진동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탈수본체(1) 및 채소수용체(2)를 구비하되, 탈수과정에서 절임채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진동방식으로 탈수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진동수단(3)이 더 구성되어 있다.
탈수본체(1)는 채소수용체(2)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골격부재의 기능을 수행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사각통 형상으로 부재로서 하부에는 채소수용체(2)로부터 낙수된 용수가 배치되도록 배수구(1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수구(12)에는 볼밸브와 같은 개폐밸브(13)가 설치되어 탈수본체(1) 내부에 낙수된 용수을 드레인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개폐밸브(13)는 탈수본체(1) 내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레벨게이지의 감지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자동제어밸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개폐밸브(13)가 자동제어밸브로 구성되면 탈수본체(1)의 내부에 채워지는 낙수의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될 경우 자동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채소수용체(2)는 절여진 배추 등의 절임채소가 채워져 수용되는 부분으로 탈수본체(1)에 설치된다. 그리고 채소수용체(2)는 절임채소에 포함된 용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바닥판(22)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채소수용체(2)는 대략 사각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바닥 부분이 타공판, 철망, 여과망 등이 설치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채소수용체(2)의 바닥판(22)은 보다 원활한 탈수를 위해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채소수용체(2)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채소수용체(2)는 반복적인 적재가 가능하도록 상단 둘레를 따라 걸림턱(23)이 형성되어 있다.
진동수단(3)은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하기 위해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실린더몸체(311)와, 이 실린더몸체(311)상에서 전후 이동되고 탈수본체에 접속되는 로드(312)를 구비한 병진운동기구(31)로 구성된다.
그리고 병진운동기구(31)는 전기식 액츄에이터 또는 공압실린더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다량의 절임채소를 안정적으로 요동시킬 수 있도록 비교적 구동력이 큰 유압실린더가 선택되어 설치된다. 이때, 유압실린더는 복수 개가 배치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유압실린더는 유압구동유닛(32)의 작동에 따라 유동되는 유압작동유에 의해 전후진 되는 것으로, 유압구동유닛(32)은 유압작동유가 저장되는 작동유탱크(321), 작동유탱크(321)의 유압작동유를 흡입하여 유압호스(329)를 매개로 유압실린더로 압송하는 유압펌프(322), 유압실린더로 공급되는 유압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밸브(323), 유량조절밸브(324), 역류방지밸브(325), 릴리프밸브(326), 등이 구성된 것으로 이러한 유압구동유닛(32)은 유압실린더(31,병진운동기구)를 포함하는 유압장치에 널리 적용되고 있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세부구성 및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유압펌프(322) 및 솔레노이드밸브(323)는 입력부(34)를 통해 구동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제어부(33)의 제어하에 작동되면서 유압실린더를 전후진 시키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채소수용체(2)의 내부공간에 절여진 배추 등의 절임채소를 일정량 투입하고 병진운동기구(31)로 구성된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게 되면 로드(312)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탈수본체(1)가 상하로 이동된다. 이와 탈수본체(1)가 상하로 이동되면 채소수용체(2) 또한 연동 되므로 채소수용체(2)에 작용되는 관성력, 충격력에 의해 절임채소에 포함된 용수는 바닥판(22)에 다수의 배수홀을 통해 낙수로 떨어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종래와 같이 절임채소를 고속 회전시켜서 탈수하는 방식이 아니라 절임채소가 수용된 채소수용체를 상하로 병진운동시켜서 탈수하는 방식이므로 절임채소가 서로 마찰되거나 충돌되지 않고 과도한 원심력도 작용되지 않으므로 절임채소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채소수용체(2)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희망하는 작업량에 따라 적층 수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낭비를 막을 수 있고 사용상에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일 실시예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갖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구(12)가 마련된 탈수본체(1), 탈수본체(1)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채소수용체(2), 및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3)을 구비하되, 상기 탈수본체(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수단(4)이 더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지지수단(4)은 탈수본체(1)를 지지하면서 진동수단(3)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력에 의해 요동될 수 있는 구조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다양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지지수단(4)은 탈수본체(1)에 설치되는 지지부재(41)와, 이 지지부재(4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바닥면과 같은 피설치부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1)는 탈수본체(1)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편(411)과, 이 지지편(411)의 하단과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413)를 매개로 설치되는 지지판(412)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42)는 탈수본체(1)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부재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단 부분이 지지부재(41)에 접속되고 하단 부분이 바닥면과 같은 피설치부에 고정되는 탄성부재(42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421)는 압축코일스프링이 선택되어 설치된다. 이때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 부분은 상지지구(422)에 안착되어 고정볼트(424)에 의해 지지판(412)에 고정되고 압축코일스프링의 하단 부분은 하지지구(423)에 안착되어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하지지구(423)에는 탈수본체(1)로부터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기 위한 방진구(4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진동수단(3)은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구성요소로서,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모터(35)로 구성되어 전술한 지지판(412)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진동모터(35)는 공지된 모터 중에서 감속기가 구비되고 출력축에 진동발생용 캠 등이 설치된 기어드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모터(35)는 모터 제조사에 제조판매하는 공지된 것을 적용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진동모터(35)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진동수단(3)의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34)가 내장되는 제어박스(36)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어박스(36)는 탈수본체(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는 이격지에 배치되고, 제어박스(36)로부터 인출되는 전원공급케이블(c)이 진동모터(35)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박스(36)는 육면체 형상의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박스본체(361)와, 이 박스본체(361)의 저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안착되는 복수의 방진구(362)가 구비되어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진동수단(3)으로 구성되는 진동모터(3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내장된 마이컴 등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어 제어박스(36)에 내장되어 있고, 입력부(34)는 진동모터(35)의 온/오프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전원버튼, 시간설정버튼, 모드설정버튼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어박스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절임채소의 탈수작용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진동수단(3)이 진동모터(35)로 구성되어 있고, 탈수본체(1)가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상하이동부재(42)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진동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되면서 탈수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부분절개 단면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배수구(12)가 마련된 탈수본체(1), 탈수본체(1)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된 채소수용체(2), 및 탈수본체(1)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3), 및 탈수본체(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본체지지수단(4), 진동수단(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진동수단의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34)가 구비된 제어박스(36)를 구비하되, 탈수본체(1)가 제어박스(36)의 상부에 설치, 구성되어 있다.
제어박스(36)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박스본체(361)와, 이 박스본체(361)의 저면에 설치되어 설치면에 안착되는 복수의 방진구(36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방진구(362)는 탈수본체(1)로부터 가해지는 부하를 흡수하고 소음의 발생을 저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박스본체(361)에는 후술되는 상하이동부재(42)가 접속되도록 양쪽에 지지구(363)가 돌출되어 있다.
본체지지수단(4)은 전술한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탈수본체(1)에 설치되는 지지부재(41)와, 이 지지부재(41)에 일단이 접속되고 타단이 박스본체(361)에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재(4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부재(42)는 상단 부분이 지지부재(41)에 접속되고 하단 부분이 박스본체(361)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구(363)에 고정되는 탄성부재(421)로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절임채소 탈수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탈수본체 12:배수구
13:개폐밸브 2:채소수용체
22:바닥판 23:걸림턱
3:진동수단 31:병진운동기구
32:유압구동유닛 33:제어부
34:입력부 35:진동모터
36:제어박스 361:박스본체
362:방진구 4:본체지지수단
41지지부재 411:지지편
412:지지판 42:상하이동부재
421:탄성부재 422:상지지구
423:하지지구 424:고정볼트

Claims (12)

  1. 삭제
  2. 절임채소 탈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 일측부에 배수구가 마련된 탈수본체;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고 다수의 배수홀과 상단 둘레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다단으로 적층되는 복수개로 이루어진 채소수용체;
    상기 탈수본체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탈수본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일단이 접속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상하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본체지지수단; 및
    상기 탈수본체에 진동력을 인가하도록 접속되는 진동수단, 상기 진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진동수단의 구동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내장되는 육면체 형상의 제어박스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상하이동부재가 안착되는 상기 제어박스 외측면에 구비된 2개 이상의 돌출된 지지구와, 상기 제어박스 저면의 방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탈수본체의 저부에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하단이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는 지지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소수용체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의 저부가 볼록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
  9. 제2항, 제4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진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
  10. 제2항, 제4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수단은 실린더몸체와, 상기 실린더몸체상에서 전후 이동되고 탈수본체에 설치되는 로드를 구비한 병진운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임채소 탈수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132585A 2014-10-01 2014-10-01 절임채소 탈수장치 KR101621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85A KR101621011B1 (ko) 2014-10-01 2014-10-01 절임채소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85A KR101621011B1 (ko) 2014-10-01 2014-10-01 절임채소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462A KR20160039462A (ko) 2016-04-11
KR101621011B1 true KR101621011B1 (ko) 2016-05-13

Family

ID=55800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585A KR101621011B1 (ko) 2014-10-01 2014-10-01 절임채소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10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1522A (zh) * 2018-07-19 2020-01-31 安徽省东乾食品有限公司 一种应用于脱水蔬菜生产的复合型烘干系统
KR102510284B1 (ko) * 2022-07-14 2023-03-14 김봉주 원심탈수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960Y1 (ko) * 2003-03-12 2003-06-11 박종환 오존 발생기가 부착된 자동 야채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960Y1 (ko) * 2003-03-12 2003-06-11 박종환 오존 발생기가 부착된 자동 야채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462A (ko) 201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049B1 (ko) 탈수장치
CN204469909U (zh) 一种轻质物料的离心脱水装置
KR20150074870A (ko) 곡물 세척 및 숙성장치
KR101621011B1 (ko) 절임채소 탈수장치
CN109602031A (zh) 一种用于果脯生产的水果预处理系统
AU2017101140A4 (en) Intelligent rice storage machine
CN208446566U (zh) 一种蓝莓干用加工机
CN112021609A (zh) 一种粮油生产加工用大豆清洗辅助沥干装置及沥干方法
CN104116126B (zh) 一种蔬菜脱水机
KR101427792B1 (ko) 수분이 함유된 식자재 건조용 탈수기
KR101240129B1 (ko) 마대걸레 자동 세탁기
KR200439290Y1 (ko) 보조통을 구비한 야채 세척기
CN213369827U (zh) 一种基于海带结清洗处理用的脱水装置
CN203181963U (zh) 可移动式果蔬脱水机
CN210226851U (zh) 一种双孢菇快速除水装置
KR20170089137A (ko) 해태엽체의 탈수장치
CN209646937U (zh) 一种滚筒筛
KR101809413B1 (ko) 야채류 탈수장치
KR20130013781A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N205079546U (zh) 自动连续作业离心脱水机
CN110694339A (zh) 固液分离机
CN218389700U (zh) 一种香菇脱水装置
RU115182U1 (ru) Овощечистка бытовая
KR20130003885U (ko) 배수통 세척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싱크대
CN203837437U (zh) 花生果脱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