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049B1 -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049B1
KR101300049B1 KR1020110110529A KR20110110529A KR101300049B1 KR 101300049 B1 KR101300049 B1 KR 101300049B1 KR 1020110110529 A KR1020110110529 A KR 1020110110529A KR 20110110529 A KR20110110529 A KR 20110110529A KR 101300049 B1 KR101300049 B1 KR 101300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dewatering
space
supply pip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0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145A (ko
Inventor
심관흠
Original Assignee
심관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관흠 filed Critical 심관흠
Priority to KR1020110110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049B1/ko
Priority to CN201280053206.XA priority patent/CN103946165A/zh
Priority to JP2014538719A priority patent/JP2014530760A/ja
Priority to PCT/KR2012/008931 priority patent/WO2013062387A1/ko
Priority to US14/354,218 priority patent/US20150033573A1/en
Publication of KR2013004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049B1/ko
Priority to IN1134/KOLNP/2014A priority patent/IN2014KN011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01D33/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arranged for outward flow 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7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33/7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 B04B11/02Continuous feeding or discharging;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3/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 B04B3/04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in which solid particles or bodies becom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and simultaneous sifting or filtering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6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closed, e.g. dru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존과 거의 동일한 규모와 탈수시간 및 회전속도를 가지면서도 기존에 비해 향상된 탈수효율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된 탈수대상물의 투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투입구와 연결된 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공급공간과 연결된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대상 공급관,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토출공과 연결된 탈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탈수공간과 상기 설치공간을 연결하는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탈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와 연결되어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탈수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탈수공간에 위치한 탈수대상물을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탈수장치{APPARATUS FOR DEHYDRATING}
본 발명은 슬러지나 다양한 형태의 탈수대상물의 수분을 탈수시키는 장치로, 특히 탈수과정에서 탈수대상물의 신규 투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탈수대상물의 투입과 탈수가 연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높은 탈수효율을 가질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 되는 슬러지나 기타 산업현장에서 수분을 함유한 상태로 발생 되는 부산물들은 모두 처리 과정에서 수분을 최소화시키는 탈수과정을 거친 후 폐기 처리된다.
이때 사용되는 기존의 탈수장치는 크게 압축형 탈수방식과 회전형 탈수방식 등으로 나누어지는데,
이러한 기존의 탈수장치들은 탈수 방식에 상관없이 탈수대상물을 탈수조 내부에 투입시킨 후 탈수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탈수대상물의 추가적인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고 탈수가 완료되고 탈수대상물을 빼낸 후 새로운 탈수대상물을 투입해야 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탈수단계와 탈수대상물 투입단계가 상호 명확히 구분되어 진행되는 방식이다.
이로 인해 기존 탈수장치는 탈수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불가피하게 탈수장치의 규모를 크게 제작하여 처리용량을 늘리거나 탈수조의 회전속도를 늘릴 수밖에 없어 그로 인한 공간 소비와 제작부담 문제 및 에너지소실문제가 수반될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10-0010049(공개일자 2010.10.13)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탈수과정에서 새로운 탈수대상물의 투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은 규모의 탈수장치로도 높은 처리효율을 얻을 수 있는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는,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 상기 설치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일측에는 외부와 연결된 탈수대상물의 투입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투입공과 연결된 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공급공간과 연결된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대상 공급관, 상기 설치공간 내에서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둘러싸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토출공과 연결된 탈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탈수공간과 상기 설치공간을 연결하는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탈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와 연결되어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탈수공간 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탈수공간에 위치한 탈수대상물을 상기 배출구를 향해 이동시키는 배출유도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과 연결되어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도부는 스크류날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 둘레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조는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둘러싸고 있는 제1탈수관, 상기 제1탈수관을 둘러싸고 있는 제2탈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공간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투입공을 통해 투입된 탈수대상물을 상기 토출공을 향해 이동시키는 공급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조 일측에 위치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구와 연결된 배출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상기 배출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선별공이 형성되어 있는 선별케이스, 상기 배출공간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을 통해 배출된 탈수물을 상기 선별공을 향해 이동시키는 선별유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은 상기 선별공간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탈수조 중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 관통지점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유도부는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중심으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회전날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수조 일측에 상기 설치공간과 외부를 연결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수분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탈수조 내부에 탈수대상 공급관이 삽입되어 탈수조 내부에 탈수공간과 탈수물 공급공간이 별개로 형성되고 탈수대상물의 탈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배출유도부에 의해 탈수대상물의 배출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과 달리 탈수과정에서 탈수대상물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작은 규모의 탈수장치로도 월등히 높은 탈수처리량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1은 전체 단면도
도2는 선별케이스 및 선별유도부의 구조를 나타낸 A-A'선 단면도
도3은 탈수대상 공급관과 탈수조 및 본체의 구조 및 수분의 배출경로를 나타낸 B-B'선 단면도
도4는 탈수대상물이 최초 탈수대상 공급관에 투입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5는 탈수대상 공급관을 통해 탈수조로 공급된 후 탈수과정을 거친 뒤 수분과 고형체가 분리되어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전체 단면도
도6은 별도의 세척부가 더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전체 단면도
이하 도면에 도시된 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 탈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0), 탈수대상 공급관(300), 제1구동부(400), 공급유도부(500), 탈수조(700), 제2구동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체(100)은 본 발명의 전체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H빔 등의 프레임 간 연결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체((10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타 구성요소들의 받침판 역할을 위한 격벽(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00) 상단 중앙에는 후술하는 투입호퍼(200)가 설치될 결합구(110)가 형성된다.
참고로 본체(100)의 구조는 도면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후술하는 각 구성요소의 지지역할을 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얼마든지 변형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체(100)에는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설치된다.
탈수대상 공급관(300)은 탈수대상물의 공급 경로 역할 및 후술하는 배출유도부(600)의 작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하단부가 막혀 있고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급공간(310)이 형성된 중공관 형태이고 하단부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된 제1구동축(350)이 격벽(112) 중앙 바닥을 관통하고 상단부는 본체(100)의 결합구(110)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제1구동축(350)과 격벽(112) 사이에는 제1베어링(B1)설치되고 탈수대상 공급관 상단부와 결합구(112) 사이에는 제2베어링(B2)이 설치됨에 따라 탈수대상 공급관(300)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하단 양측에는 공급공간(310)내 탈수대상물이 후술하는 탈수조(700)의 탈수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토출공(340)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설치된 탈수대상 공급관(300)에는 제1구동부(400)가 연결되는데,
제1구동부(400)는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1구동모터(410)와 제1동력전달부(420)로 구성된다.
그 중 제1구동모터(410)는 본체(100)의 격벽(112) 아래쪽 공간에 위치하고 제1동력전달부(420)는 일반적인 밸트나 스프로킷 또는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제1구동축(350)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1구동모터(410)의 구동력이 제1동력전달부(420)를 통해 제1구동축(350)으로 전달되어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탈수대상 공급관(300)에는 투입호퍼(200)가 설치된다.
투입호퍼(200)는 외부의 탈수대상물(1)을 탈수대상 공급관(300)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과하협의 일반적인 호퍼 구조로 이루어지며 본체(100) 상부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단부가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상단부에 끼워진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투입호퍼(200)를 통해 공급된 탈수대상물(1)이 곧장 탈수대상 공급관(300)내부로 유입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렇게 투입호퍼(200)까지 설치된 상태에서 탈수대상 공급관(300)에는 공급유도부(500)가 설치된다.
공급유도부(500)는 투입호퍼(200) 및 탈수대상 공급관(300) 내부로 공급된 탈수대상물을 토출공(340)쪽으로 이동시켜 후술하는 탈수조(700)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일반적인 교반스크류 구조, 즉 스크류날개(510)가 회전축(520)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공급유도부(500)는 전체적으로 투입호퍼(200) 상단부에서부터 탈수대상 공급관(300) 하단까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설치된다.
이때 공급유도부(500)는 상단구간은 투입호퍼(200)내에 위치하고 그 아래 구간은 탈수대상 공급관(300)내부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공급유도부(500)의 상단부는 투입호퍼 상부면에 위치한 모터(M)와 연결되고 하단부는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내부 바닥 중앙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때 공급유도부(500)의 하단부와 탈수대상 공급관(300) 바닥면 간에는 베어링을 통해 연결됨에 따라 탈수대상 공급관(300)과 공급유도부(500)가 각각 제1구동모터(410) 및 모터(M)에 의해 상호 독립적으로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에는 탈수조(700)가 설치된다.
탈수조(700)는 탈수대상 공급관(300)을 통해 토출된 탈수대상물의 실질적인 탈수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다시 제1탈수관(710)과 제2탈수관(720)으로 나뉘어 구성된다.
제1탈수관(710)은 탈수 과정에서 수분과 탈수고형체를 1차적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내경이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외경보다 큰 중공관 형태이고 탈수대상 공급관(300)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제1탈수관(710) 내부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1탈수관(710)은 전체적으로 매쉬(MESH)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철판에 미세타공이 이루어진 구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2탈수관(720)은 제1탈수관(710)을 통과한 수분과 탈수고형체를 2차적으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역시 전체적으로 중공관 형태이고 제1탈수관(710)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제2탈수관(720)은 전체적으로 부직포 등의 필터형태로 이루어져 아주 미세한 크기의 탈수고형체까지 걸러내고 수분만이 통과 될 수 있을 정도의 공극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때 제2탈수관(720)의 내경과 제1탈수관(710)의 외경은 거의 동일하게 제작되어 제2탈수관(720)은 내부면이 제1탈수관(710) 외부면에 밀착된 상태로 둘러싼 구조를 가지며 제1탈수관(710)의 타공들과 제2탈수관(720)의 미세공극에 의한 탈수공(700a)이 둘레면 상에 복수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참고로 탈수조(700)는 제1탈수관과 제2탈수관(720)의 이중관 구조 외에도 수분과 이물질 간 원활한 분리가 가능한 구조라면 둘 중 어느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탈수관(710)과 제2탈수관(720)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진 탈수조(700)는 탈수대상 공급관(300)과의 직경차이로 인해 내부에 탈수공간(700b)이 형성되고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탈수공간(700b)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위치된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러한 탈수조(700)의 바닥판(730)은 탈수조(72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제작되어 탈수조는 바닥판(730)이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바닥판(730)의 하부면이 격벽(112)의 상부면 상에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떠 있는 상태로 위치된다.
그리고 탈수조(700) 상판(740)은 바닥판(730)보다 약간 더 큰 직경의 플랜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판(740)의 상부면 테두리에는 후술하는 선별케이스(1300)와의 결합을 위한 슬라이드레일(742)이 테두리 둘레를 따라 원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판(740)과 바닥판(730) 사이에는 별도의 지지봉(750)을 설치하여 지지봉(750)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상부는 상판(740)의 중앙을 관통하고 있고 상판(740) 중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관통지점 주변에는 배출공(744)이 링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러한 탈수조의 바닥판(730)의 하부 중앙에는 제2구동축(790)이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본체(100)의 격벽(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어 있다. 이때 격벽 중 제2구동축(790)의 관통지점에는 제3베어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제2구동축(790)의 원활한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제2구동축(790)은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져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제1구동축(350)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즉 제1구동축(350)은 제2구동축(790)을 상하 관통한 상태이고 이때 제1구동축의 하단부가 제2구동축(790)의 하단에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되어 돌출지점이 제1동력전달부(420)와 연결된다.
따라서 제1구동축(350)과 제2구동축(790)은 상호 별개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탈수대상 공급관(300)과 탈수조(700)은 별개 회전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탈수조(700)에는 제2구동부(800)가 연결되는데,
제2구동부(800)는 탈수조(700)의 회전에 필요한 구동원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제2구동모터(810) 및 제2동력전달부(820)로 구성된다.
제2구동모터(810)는 본체(100)의 격벽 아래 공간에 위치되고 제2동력전달부(820)는 제1동력전달부 처럼 일반적인 밸트나 스프로킷 또는 기어구조로 이루어져 탈수조(700)의 제2구동축(790)과 연결된다.
이로 인해 제2구동모터(810)의 구동력이 제2동력전달부(820)를 통해 제2구동축(790)으로 전달되어 바닥판(730)이 회전되고, 이로 인해 제1, 2탈수관(710)(720) 및 상판(740)이 동시에 함께 회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부(760)는 탈수조(720)를 통해 배출된 수분이 집수됨과 동시에 탈수조(700) 전체의 케이스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중공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탈수조(700)의 바닥판 까지 둘러싼 상태에서 하부가 본체(100) 격벽 상에 안착 고정되고 상단부는 탈수조(700)의 상판(740) 하부면과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때 케이스부(760)의 내경은 탈수조의 바닥판 보다 크게 제작됨에 따라, 케이스부(760)의 내벽면과 탈수조 바닥판(730)의 테두리 사이에는 배수간극(770)이 형성되며 탈수조(700)의 바닥판(730)과 격벽(112) 사이에는 배수공간(780)이 형성된다.
이 상태에서 본체(100)의 격벽(112) 중 배수간극(770) 아래 지점에는 탈수된 수분의 외부 배출을 위한 배수배관(D)이 설치된다.
그리고 탈수조(700) 바닥판(730)과 본체(100)의 격벽 사이에는 별도의 배수가이드편(900)이 형성되는데, 배수가이드편(900)은 원형 링 형태로 탈수조의 제2구동축(790)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배수간극(770)을 통해 격벽 상부면으로 떨어진 수분은 배수가이드편(900)에 의해 제2구동축(790)쪽으로 가지 못하고 케이스부와 배수가이드편 사이 배수공간(780) 내에만 위치되어 배수배관(D)을 통해 배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렇게 설치된 탈수조(700)의 상판(740) 상부면에는 탈수된 고형체의 외부 선별을 위한 선별부(1000)가 형성되는데,
선별부는 내부에 선별공간(1100)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선별공간(1100)과 외부를 연결하는 선별공(1200)이 형성되어 있는 선별케이스(1300)가 안착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선별케이스(1300)는 외부가 본체(100)와 연결되어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 테두리는 탈수조(700)의 상판에 형성된 슬라이드레일(742)에 삽입됨에 따라 탈수조(70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렇게 설치된 선별케이스(1300)에는 선별유도부(1400)가 더 설치된다.
선별유도부(1400)는 탈수대상물이 탈수조(700)의 배출공(744)을 통해 선별공간으로 배출된 후 선별공(780)쪽으로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처럼 전체적으로 임팰러 형태로 이루어지며 탈수대상 공급관(300) 중 탈수조(700) 상판을 관통한 지점의 둘레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탈수조(700) 상판(740)의 배출공(744)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회전 시 선별유도부(1400)도 함께 회전되고 이 과정에서 배출공(744)을 통해 선별공간(1100)으로 유입되는 탈수대상물이 선별유도부(1400)의 회전력에 의해 선별공(1200)쪽으로 유도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선별공(1200)에는 가이드편(1500)을 형성시켜 선별유도부를 통해 이동된 탈수대상물이 선별공을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탈수대상 공급관(300)에는 배출유도부(600)가 설치된다.
배출유도부(600)는 탈수과정에서 탈수대상물을 위쪽으로 상승시켜 배출공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급유도부와 달리 단순 스크류날개 형태로만 이루어지고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둘레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된다.
즉 배출유도부(600)는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구동원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때 배출유도부(600)와 공급유도부(500)의 나선 방향은 상호 반대가 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특유의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처럼 외부의 탈수대상물(1)이 투입호퍼(200)로 공급된 뒤 탈수대상 공급관(300)의 공급공간(310)에 수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급유도부(500)가 회전함에 따라 투입호퍼(200)내 탈수대상물(1)이 아래를 향해 강제적으로 하강 된다.
그리고 탈수대상 공급관(300) 하단까지 하강된 탈수대상물은 토출공(340)를 통해 탈수공간(700b)으로 배출된다.
위 과정에서 탈수대상 공급관(300)이 제1구동모터(410)에 의해 회전되며, 이로 인해 배출유도부(600)도 함께 회전됨에 따라, 탈수공간 내 탈수대상물은 배출유도부의 회전에 의해 위쪽으로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탈수조(700)는 제2구동부(800)에 의해 회전되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탈수대상물이 상승되는 과정에서 탈수조 회전에 의해 작용된 원심력에 의해 탈수대상물은 탈수조 내벽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된다.
이 과정에서 [도 5]처럼 탈수대상물의 수분은 탈수조의 탈수공을 통과한 뒤 배수간극(770)을 통해 배수공간(780)으로 집수됨과 동시에 배수배관으로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수분은 [도 4]처럼 배수가이드편(900)에 의해 제2구동축 쪽으로 이동되지 못하고 배수배관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탈수된 고형체 형태의 탈수대상물은 계속 상승하다가 배출공을 통해 선별케이스(1300)의 선별공간(1100)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선별유도부(1400)의 회전력에 의해 이동하여 선별공(120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탈수대상물이 탈수조 내부에서 상승과 탈수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탈수대상 공급관으로는 새로운 탈수대상물이 공급되고 탈수조 내부의 탈수대상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양 만큼 탈수대상 공급관으로부터 새로운 탈수대상물이 탈수조 내부로 공급되어 위 과정이 연속적으로 반복한다.
즉 탈수 및 배출과정에서 새로운 탈수대상물의 공급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과 동일한 규모 및 탈수시간 조건에서 훨씬 많은 탈수처리양을 가질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기본적인 구성요소는 위에설 설명한 구조와 동일하나, 별도의 세척배관(1600)을 형성시켜 세척배관(1600)을 통해 배출된 세척수를 통해 탈수조(700)의 탈수공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에 차이가 있다.
이때 세척배관의 분사노즐은 케이스부의 일측에만 설치한 상태에서 탈수조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세척을 실시하면 탈수조 둘레면 전체의 세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렇게 탈수공의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탈수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및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탈수대상 공급관과 탈수조가 다중관 형태로 이루어지고 탈수대상물이 탈수대상 공급관의 상단부터 하단으로 이동한 후 탈수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존과 동일한 규모로도 많은 탈수처리양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구성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100 : 본체 200 : 투입호퍼
300 : 탈수대상 공급관 400 : 제1구동부
500 : 공급유도부 600 : 배출유도부
700 : 탈수조 800 : 제2구동부

Claims (7)

  1. 상단부가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는 공급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상기 공급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토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대상 공급관,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상하 길이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탈수대상 공급관을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공급공간에 삽입되어 있고 상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 가능한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둘레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공간 내 탈수대상물을 아래쪽으로 하강 이동시키는 스크류날개를 갖는 공급유도부,
    상기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유도부를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 둘레를 둘러싸고 있고 내부에는 상기 토출공과 연결된 탈수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둘레면에는 상기 탈수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탈수조의 상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탈수조를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과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둘레면에 상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 형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탈수공간에 위치한 탈수대상물을 위쪽으로 상승시키는 배출유도부
    를 포함하는 탈수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탈수조는,
    내경이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둘레를 둘러싸고 있으며 둘레면에는 탈수대상물의 수분과 탈수고형체의 배출을 위한 복수개의 타공들이 형성되어 있는 제1탈수관,
    내부면이 상기 제1탈수관의 외부 둘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탈수관의 둘레를 감싸고 있고 둘레면에는 상기 제1탈수관의 타공보다 작은 직경의 탈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2탈수관
    을 포함하는 탈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탈수조의 상단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탈수조와 함께 회전되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의 상부가 관통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지점 주변에는 상기 탈수공간과 연결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슬라이드레일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상판,
    상기 상판의 상부면 상에 안착되어 있되 하단테두리가 상기 슬라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공과 연결된 선별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공간과 외부를 연결하는 선별공을 갖고 있는 선별케이스,
    를 더 포함하는 탈수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탈수조 하측에 위치하고 배수배관을 갖고 있는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탈수조는 바닥판이 상기 격벽의 상부면과 상하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된 제2구동축이 상기 격벽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2구동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격벽과 상기 바닥판 사이에 위치하되 상기 제2구동축을 둘러싸는 형태로 위치하는 배수가이드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격벽과 바닥판 사이 중 상기 배수가이드편과 케이스부의 내벽면 사이 지점에는 배수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배관은 상기 격벽 중 상기 배수공간이 형성된 구간 내에 형성되어 있는
    탈수장치.
  5. 삭제
  6. 제3항에서,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은 상기 선별공간을 관통하고 있고 상기 배출공은 상기 탈수조 중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 관통지점 부근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선별공간 내에서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중심으로 외부를 향해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기 탈수대상 공급관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날개 형태로 이루어진
    탈수장치.
  7. 제2항에서,
    상기 탈수조 외부에 위치하고 있고 세척수를 상기 제2탈수관 외부로부터 제1탈수관 내측을 향해 분사하는 세척배관
    을 더 포함하는 탈수장치
KR1020110110529A 2011-10-27 2011-10-27 탈수장치 KR101300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29A KR101300049B1 (ko) 2011-10-27 2011-10-27 탈수장치
CN201280053206.XA CN103946165A (zh) 2011-10-27 2012-10-29 脱水装置
JP2014538719A JP2014530760A (ja) 2011-10-27 2012-10-29 脱水装置
PCT/KR2012/008931 WO2013062387A1 (ko) 2011-10-27 2012-10-29 탈수장치
US14/354,218 US20150033573A1 (en) 2011-10-27 2012-10-29 Dehydrator
IN1134/KOLNP/2014A IN2014KN01134A (en) 2011-10-27 2014-05-27 Dehyd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0529A KR101300049B1 (ko) 2011-10-27 2011-10-27 탈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145A KR20130046145A (ko) 2013-05-07
KR101300049B1 true KR101300049B1 (ko) 2013-09-10

Family

ID=48168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0529A KR101300049B1 (ko) 2011-10-27 2011-10-27 탈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33573A1 (ko)
JP (1) JP2014530760A (ko)
KR (1) KR101300049B1 (ko)
CN (1) CN103946165A (ko)
IN (1) IN2014KN01134A (ko)
WO (1) WO20130623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116A (zh) * 2017-10-31 2018-02-23 平湖市万顺达机械有限公司 一种污泥脱水分离机
CN107721127A (zh) * 2017-10-31 2018-02-23 平湖市万顺达机械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洗的污泥脱水分离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01355A (zh) * 2013-12-02 2014-02-26 成都绿源新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螺环式污泥干燥器
CN105080735A (zh) * 2015-08-13 2015-11-25 成都市新津迎先粮油有限公司 一种可自动提醒螺旋搅拌的多级离心机
CN106242236A (zh) * 2016-10-14 2016-12-21 德山工程株式会社 污泥用离心脱水机
US10557665B2 (en) * 2016-10-14 2020-02-11 Gala Industries, Inc. Centrifugal pellet dryer
CN108452956B (zh) * 2018-03-05 2024-04-26 刘一成 一种软管内腔脱水装置及其操作方法
CN111056592A (zh) * 2019-12-31 2020-04-24 重庆长江勘测设计院有限公司 一种污水处理脱泥机
CN111871049B (zh) * 2020-08-24 2023-08-08 江西智联新材料有限公司 一种山嵛酸酰胺提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52A (ja) * 1997-07-04 1999-01-2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汚泥処理方法
KR200356865Y1 (ko) * 2004-04-30 2004-07-19 주식회사 하이닥두원 유체 정화장치
KR20060053643A (ko) * 2004-11-17 2006-05-22 김현식 잔반 탈수 장치
KR100963881B1 (ko) * 2009-08-18 2010-06-1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일원화된 탈수 및 농축 타입 응집반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505B2 (ko) * 1974-06-15 1978-01-19
DE3006482C2 (de) * 1980-02-21 1983-04-14 J.M. Voith Gmbh, 7920 Heidenheim Rotationssortierer
JP2826991B2 (ja) * 1996-02-18 1998-11-18 アムコン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
WO2010093813A2 (en) * 2009-02-11 2010-08-19 George Holmes Centrifugal dryer with replaceable blades and self cleaning rotor seal and centrifugal dewatering tower
CN201729746U (zh) * 2010-05-31 2011-02-02 广州德众液压管道技术有限公司 污泥循环烘干装置
US8590174B2 (en) * 2011-02-28 2013-11-26 Rose Agri-Seed, Inc.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soil from see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3152A (ja) * 1997-07-04 1999-01-26 Toshiba Corp 遠心薄膜乾燥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汚泥処理方法
KR200356865Y1 (ko) * 2004-04-30 2004-07-19 주식회사 하이닥두원 유체 정화장치
KR20060053643A (ko) * 2004-11-17 2006-05-22 김현식 잔반 탈수 장치
KR100963881B1 (ko) * 2009-08-18 2010-06-16 (주)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 일원화된 탈수 및 농축 타입 응집반응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21116A (zh) * 2017-10-31 2018-02-23 平湖市万顺达机械有限公司 一种污泥脱水分离机
CN107721127A (zh) * 2017-10-31 2018-02-23 平湖市万顺达机械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洗的污泥脱水分离机
CN107721127B (zh) * 2017-10-31 2020-09-11 平湖市万顺达机械有限公司 一种方便清洗的污泥脱水分离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KN01134A (en) 2015-10-16
CN103946165A (zh) 2014-07-23
KR20130046145A (ko) 2013-05-07
US20150033573A1 (en) 2015-02-05
WO2013062387A1 (ko) 2013-05-02
JP2014530760A (ja) 2014-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049B1 (ko) 탈수장치
CN105410958B (zh) 一种滚筒式清洗脱皮机
KR101649669B1 (ko) 세탁기, 세탁기의 버블생성장치 및 세탁방법
CN205042233U (zh) 离心式固液分离装置
JP7112497B2 (ja) 洗浄機器及び洗浄水の吐出方法
KR10151728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01124153Y (zh) 一种除杂机
JP2013011036A (ja) スクリーンドラム
US2037840A (en) Continuous centrifugal washing and dewatering machine
JP2009142773A (ja) スクリュプレスの前処理装置
KR101437908B1 (ko) 물과 응집 슬러지의 비중 차이를 이용한 수직형 스크류 탈수기
CN202116473U (zh) 全自动淀粉分离机
CN115127311A (zh) 一种废旧塑料回收用原料的脱水设备
CN210936203U (zh) 一种莜麦清洗甩干机
CN110387661B (zh) 波轮及洗衣机
CN106858650A (zh) 循环浸泡式清洗机
JP4761243B2 (ja) 連続脱水装置及び連続脱水方法
CN204912172U (zh) 一种立式摩擦脱水机
CN204073597U (zh) 一种转筒式格栅机
CN211746756U (zh) 一种胡椒去皮脱水分级选种一体机
CN213826097U (zh) 一种新型鼓式木片水洗机
CN211099363U (zh) 一种果蔬垃圾处理设备
KR20130056967A (ko) 우산 탈수장치
JP2018094468A (ja) ベルト走行式ドラム型濃縮機
CN106858651A (zh) 循环浸泡冲击式清洗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