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02297A - 해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해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02297A
KR20100102297A KR1020090020602A KR20090020602A KR20100102297A KR 20100102297 A KR20100102297 A KR 20100102297A KR 1020090020602 A KR1020090020602 A KR 1020090020602A KR 20090020602 A KR20090020602 A KR 20090020602A KR 20100102297 A KR20100102297 A KR 20100102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water
foot
su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0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46330B1 (ko
Inventor
박유선
최현이
김병남
Original Assignee
박유선
김병남
최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선, 김병남, 최현이 filed Critical 박유선
Priority to KR1020090020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633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2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2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6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6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장 위에 김을 펼침과 동시에 김으로부터 수분을 흡입하여 탈수하도록 함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물에 혼합된 해태를 발장 위에 펼치는 김성형부와, 상기 김성형부에서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부 및 건조부를 포함하는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김성형부의 공급통(10) 하측에 구비된 저수통(15)에 결합수단으로 관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수통(15)을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연결관(30)과;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통(15)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흡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흡입펌프(25)가 관연결되는 물배출관(40)과;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평연결관(30)이 연결되는 연결공(41)을 일시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 내부의 물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차단판(50)과; 상기 저수통(15)의 내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의 저면 승강시 상기 발장(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상기 저수통(15)으로 떨어뜨리는 발장밀착판(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급통, 저수통, 발장, 수평연결관, 물배출관, 흡입차단판, 발장밀착판

Description

해태 건조장치{LAVER DRIER}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장 위에 김을 펼침과 동시에 김으로부터 수분을 흡입하여 탈수하도록 함으로써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를 잘게 세절하여 물에 혼합하여 발장에 얇게 펼쳐 부착시킨 후 이를 건조하여 생산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김 생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건조 김의 생산과정을 자동화한 해태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태 제조장치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2322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7920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92229호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해태 제조장치는 무한 궤도로 이송하는 수평이송체인에 발장걸이를 견인상태로 이송과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이동방식으로 이송시키면서 해태를 성형 및 탈수 후 건조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건조 김의 생산 속도가 수평이송체인의 이송속도에 의해 결정된다.
그런데, 김의 생산 속도를 높이고자 수평이송체인의 이송속도를 높일 경우 성형 시의 시간이 짧아지게 되고, 그에 따른 짧은 배수시간으로 발장 위에 성형된 해태원초에 다량의 수분이 남아 있게 됨으로써 수평 이송체인의 간헐 작동에 의한 관성에 의해 성형모양이 흐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성형 불량이 야기되고,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 된다.
이에 등록특허 제0837878호와 같이, 작동요소의 승하강을 보다 더욱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된 김 성형장치 및 이를 적용한 해태 건조기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를 포함한 종래의 해태 건조장치는 김의 성형 후 수평이송체인을 탈수부로 이송시켜 발장 위에 성형된 해태원초(물김)을 탈수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정밀하게 제어하더라도 수평이송체인의 이동으로 인해 성형된 해태원초의 성형모양이 흐트러지는 현상을 완전해소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김의 빠른 생산과 더불어 해태원초가 고르게 펼쳐져 성형완료된 고품질의 김을 생산하도록 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장 위에 김을 펼치는 김성형과정을 거침과 동시에 발장의 저면에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흡입하여 탈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이송과정에서 김의 탈수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김의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해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평이송체인의 이동속도 증가로 발장의 빠른 이동시에도 김성형과 탈수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김을 고르게 펼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고품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게 되는 해태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물에 혼합된 해태를 발장 위에 펼치는 김성형부와, 상기 김성형부에서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부 및 건조부를 포함하는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김성형부의 공급통(10) 하측에 구비된 저수통(15)에 결합수단으로 관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수통(15)을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연결관(30)과;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통(15)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흡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흡입펌프(25)가 관연결되는 물배출관(40)과;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평연결관(30)이 연결되는 연결공(41)을 일시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 내부의 물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차단판(50)과; 상기 저수통(15)의 내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의 저면 승강시 상기 발장(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상기 저수통(15)으로 떨어뜨리는 발장밀착판(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상기 흡입차단판(5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55)과, 상기 물배출관(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55)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연결편(57)과, 상기 연결편(57)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인입/인출시 상기 회전축(55)을 회전시키는 공압실린더(59)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저수통(15)의 배수구(16)와 상기 수평연결관(30)을 연결하고, 상단에 상기 저수통(15)의 저면에 밀착되게 제1결합판(33)이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연결대(32)과; 상기 배수구연결대(32)에 상기 저수통(15)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저수통(15)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판(33)에 볼트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지지체(37)가 구비된 제2결합판(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판(35)의 상측에는 상기 발장밀착판(60)이 상기 지지체(37)에 결합되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승강시 상기 발장밀착판(60)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발장 위에 김을 펼치는 김성형과정을 거침과 동시에 발장의 저면에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흡입하여 탈수하도록 함으로써 별도로 이송과정에서 김의 탈수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수평이송체인의 이동속도 증가로 발장이 빠르게 이동하더라도 김성형과 탈수가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김을 고르게 펼칠 수 있어 양질의 김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해태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태 건조장치의 김성형부와 탈수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바라본 해태 건조장치의 탈수부를 보인 개략적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태 건조장치의 탈수부를 보인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수통에 결합되는 탈수부의 단면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의 상승에 따른 저수통 및 발장밀착판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결관에 연결되는 물배출관과 흡입펌프 및 회전수단을 보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배출관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차단판을 보인 단면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해태 건조장치는 기존의 건조장치와 같이 잘게 세절되어 물에 혼합된 해태를 발장위에 얇게 펼치는 김성형부(1)와,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부(3)를 포함한다. 또한,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미도시)와, 건조된 김을 발장(20)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발장(20)이 설치되는 발장걸이를 견인 상태로 김성형부, 탈수부, 건조부, 분리부로 이송시키는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수평이송체인(미도시)이 구 비된다.
상기 수평이송체인은 이송 및 정지를 반복하는 간헐 이동방식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견인되는 발장걸이는 간헐적으로 이송되면서 김성형부, 탈수부, 건조부, 분리부를 순차적으로 거치게 된다.
상기 김성형부(1)와 건조부 및 분리부는 이미 공지된 기술로 그 결합관계 및 동작원리에 대해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기 탈수부(3)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탈수부(3)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상기 김성형부에서는 발장(20)이 성형틀(12)과 저수통(15) 사이로 이송되면 상기 성형틀(12)이 하강하여 발장(20) 위에 얹혀지고, 도 1에 도시된 밸브체(11)의 상승동작에 따라 공급통(10)의 물김이 발장(20) 위로 공급되어 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저수통(15)의 저면이 승강되면서 수위가 상승되어 발장(20)에 공급된 물김이 저수통(15)의 수위에 잠기면서 성형틀(12) 내부로 고르게 펼쳐지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종래의 김성형부(1)와 동작원리는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김성형부(1)를 통한 김성형과 동시에 상기 탈수부(3)를 통해 탈수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부 구성은 상기 탈수부(3)는 상기 저수통(15)에 결합수단으로 관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수통(15)을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연결관(30)과,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일측에 연결되는 물배출관(40)과,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는 흡입차단판(50)과, 상기 저수통(15)의 내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의 저 면 승강시 상기 발장(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상기 저수통(15)으로 떨어뜨리는 발장밀착판(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연결관(30)은 도 3과 같이 상기 저수통(15)을 상호 연결시켜 상기 저수통(15) 내부의 물을 모아 상기 물배출관(40)으로 배출시키도록 관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되는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저수통(15)에 결합되어 진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저수통(15)에 형성된 배수구(16)와 상기 수평연결관(30)을 연결하는 배수구연결대(32)와, 상기 배수구연결대(32)와 상기 저수통(15)을 결합시키는 제1결합판(33)과 제2결합판(35)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결합판(33)은 상기 배수구연결대(32)의 상단에 상기 저수통(15)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결합판(35)은 상기 배수구연결대(32)에 상기 저수통(15)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저수통(15)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판(33)에 볼트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결합판(35)에는 상부면에 다수의 지지체(37)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체(37)는 상기 제1결합판(33)의 고정시 사용되는 고정볼트(38)의 다리부위가 끼워져 상기 제2결합판(35)에 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고정볼트(38)는 상기 제2결합판(35)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체(37)의 일측에 볼트결합되면서 상기 제1결합판(33)과 제2결합판(35) 및 지지체(37)를 서로 연결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결합판(35)의 상측에는 상기 발장밀착판(60)이 상기 지지체(37)에 조임볼트(39)로 결합되어 상기 제2결합판(35)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고, 도 5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승강시 상기 발장밀착판(60)이 함께 상승 되면서 상기 저수통(15)의 내측 상부로 들리면서 상기 발장이 설치된 발장걸이의 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물배출관(40)에는 상기 저수통(15)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흡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흡입펌프(25)가 관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물배출관(40)에는 적어도 3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수평연결관(30)과 흡입펌프(25)가 연결되는 구멍 2개와 물배출을 위해 배출관(45)이 연결되는 구멍 1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는 상기 수평연결관(30)이 연결되는 연결공(41)을 일시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 내부의 물의 흡입을 제어하도록 상기 흡입차단판(50)이 형성된다.
상기 흡입차단판(50)은 상기 연결공(41)을 차단할 수 있을 정도의 면적으로 형성되면 충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면형상을 사분원형으로 형성하였다.
상기 흡입차단판(50)은 후술되는 회전축(55)의 외주면에 일체로 결합되게 구비되어 상기 성형틀(12)의 하강으로 발장(20) 위에 물김이 펼쳐지는 경우에 맞춰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공(41)을 개방하여 물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흡입한 후 상기 성형틀(12)의 상승시 상기 연결공(41)을 폐쇄하여 물의 흡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흡입차단판(50)을 회전시키기 위한 상기 회전수단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상기 흡입차단판(50)이 일체로 결합 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55)과, 상기 물배출관(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55)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연결편(57)과, 상기 연결편(57)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인입/인출시 상기 회전축(55)을 회전시키는 공압실린더(59)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공압실린더(59)의 로드가 인입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차단판(50)이 상기 연결공(41)을 폐쇄시키고 있으며, 이 상태에서 상기 공압실린더(59)의 로드가 인출되어 지면 상기 연결편(57)이 회전되면서 회전축(55)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흡입차단판(50)이 회전되면서 상기 연결공(41)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공(41)의 개방후에는 상기 흡입펌프(25)의 동작으로 상기 발장(20) 위에 얹혀진 물김으로부터 수분을 흡입하여 상기 수평연결관(30)으로 떨어뜨린 후 상기 물배출관(40)에 형성된 배출구멍을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탈수부(3)는 종래의 저수통(15) 승강수단과 같이 상기 저수통(15)을 승강시키도록 상기 김성형부의 메인구동축(13)에 승강바(14)로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승강바(14)가 상기 수평연결관(3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구동축(13)의 회전에 따라 상기 수평연결관(30)을 승/하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승/하강은 종래의 해태 건조장치와 같이 상기 성형틀의 승/하강동작과 연동 동작되게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입차단판(50)의 회전을 위해 공압실린더(59)를 이용한 기계적인 메카니즘으로 구성하였으나, 상기 흡입차단판(50)이 결합되는 회전축(55)을 모터에 의해 회전동작되게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이용한 전기적인 메카니즘으로 자동화하여 상기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흡입차단판(50)의 회전을 제어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물김을 발장(20) 위에 펼치기 위해 성형틀(12)을 하강시키고, 공급통(10) 내부의 밸브체(11)를 상승시켜 물김을 발장(20) 위로 공급하여 펼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저수통(15)의 저면이 상승되면서 발장(20)의 저면을 발장밀착판(60)이 받쳐주면서 물김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저수통(15) 내부로 떨어뜨리게 됨과 아울러 흡입펌프(25)의 동작으로 저수통(15)의 물을 흡입시켜 수평연결관(30)과 물배출관(40)을 통과시킨 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발장(20)에 물김이 얹혀짐과 동시에 탈수동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다음공정에서 탈수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며, 수평이송체인의 속도를 증가시켜 상기 발장(20)이 빠르게 이송되더라도 일측으로 김이 편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발장(20)은 동력발생장치로 작동되는 수평이송체인에 의해 간헐적으로 동작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흡입펌프(25)에 의한 상기 저수통(15)의 물의 흡입을 제어하도록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차단판(50)은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저수통(15)과 연결되는 수평연결관(30)의 연결공(41)을 개폐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해태 건조장치의 김성형부와 탈수부를 보인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좌측에서 바라본 해태 건조장치의 탈수부를 보인 개략적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해태 건조장치의 탈수부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저수통에 결합되는 탈수부의 단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수부의 상승에 따른 저수통 및 발장밀착판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연결관에 연결되는 물배출관과 흡입펌프 및 회전수단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물배출관의 내부에 구비된 흡입차단판을 보인 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김성형부 3: 탈수부
10: 공급통 11: 밸브체
12: 성형틀 13: 메인구동축
14: 승강바 15: 저수통
16: 배수구 20: 발장
25: 흡입펌프 30: 수평연결관
32: 배수구연결대 33: 제1결합판
35: 제2결합판 37: 지지체
38: 고정볼트 39: 조임볼트
40: 물배출관 41: 연결공
45: 배출관 50: 흡입차단판
55: 회전축 57: 연결편
59: 공압실린더 60: 발장밀착판

Claims (3)

  1. 물에 혼합된 해태를 발장 위에 펼치는 김성형부와, 상기 김성형부에서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시키는 탈수부 및 건조부를 포함하는 해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3)는, 상기 김성형부의 공급통(10) 하측에 구비된 저수통(15)에 결합수단으로 관연결되어 다수개의 상기 저수통(15)을 상호 연결시키는 수평연결관(30)과;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저수통(15)의 내부에 저장되는 물을 흡입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흡입펌프(25)가 관연결되는 물배출관(40)과;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수평연결관(30)이 연결되는 연결공(41)을 일시 차단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 내부의 물의 흡입을 제어하는 흡입차단판(50)과;
    상기 저수통(15)의 내측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저수통(15)의 저면 승강시 상기 발장(20)의 저면에 밀착되면서 김에 포함된 수분을 상기 저수통(15)으로 떨어뜨리는 발장밀착판(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물배출관(40)의 내부에 상기 흡입차단판(50)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축(55)과,
    상기 물배출관(4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회전축(55)의 일측에 편심되게 설치되는 연결편(57)과,
    상기 연결편(57)의 단부에 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로드의 인입/인출시 상기 회전축(55)을 회전시키는 공압실린더(5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저수통(15)의 배수구(16)와 상기 수평연결관(30)을 연결하고, 상단에 상기 저수통(15)의 저면에 밀착되게 제1결합판(33)이 일체로 형성된 배수구연결대(32)과;
    상기 배수구연결대(32)에 상기 저수통(15)을 연결시키도록 상기 저수통(15)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결합판(33)에 볼트결합되고, 상부면에 다수의 지지체(37)가 구비된 제2결합판(35)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결합판(35)의 상측에는 상기 발장밀착판(60)이 상기 지지체(37)에 결합되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수평연결관(30)의 승강시 상기 발장밀착판(60)이 함께 상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건조장치.
KR1020090020602A 2009-03-11 2009-03-11 해태 제조장치 KR101046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02A KR101046330B1 (ko) 2009-03-11 2009-03-11 해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0602A KR101046330B1 (ko) 2009-03-11 2009-03-11 해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2297A true KR20100102297A (ko) 2010-09-24
KR101046330B1 KR101046330B1 (ko) 2011-07-05

Family

ID=4300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0602A KR101046330B1 (ko) 2009-03-11 2009-03-11 해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63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17A (ko) * 2014-07-01 2016-01-21 주식회사 신진기계 해태 초제기
CN105943191A (zh) * 2016-05-27 2016-09-21 长春理工大学 用于鱼类动物药物注射的固定装置
KR20180003202U (ko) * 2018-09-21 2018-11-12 주식회사 신진기계 김 탈수기
CN110024978A (zh) * 2019-03-11 2019-07-19 唐仲杏 一种节省紫菜晾晒时间的翻转式紫菜饼快速晾晒加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0267B1 (ko) 2007-08-03 2009-01-28 이광주 해태 건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817A (ko) * 2014-07-01 2016-01-21 주식회사 신진기계 해태 초제기
CN105943191A (zh) * 2016-05-27 2016-09-21 长春理工大学 用于鱼类动物药物注射的固定装置
CN105943191B (zh) * 2016-05-27 2018-07-13 长春理工大学 用于鱼类动物药物注射的固定装置
KR20180003202U (ko) * 2018-09-21 2018-11-12 주식회사 신진기계 김 탈수기
CN110024978A (zh) * 2019-03-11 2019-07-19 唐仲杏 一种节省紫菜晾晒时间的翻转式紫菜饼快速晾晒加工装置
CN110024978B (zh) * 2019-03-11 2022-08-26 南安市英钗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节省紫菜晾晒时间的翻转式紫菜饼快速晾晒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6330B1 (ko) 2011-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330B1 (ko) 해태 제조장치
KR200454431Y1 (ko) 김 제조장치
KR101170539B1 (ko)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KR20090078374A (ko) 해태 초제기
CN210869379U (zh) 一种鸭蛋生产加工装置
KR101719637B1 (ko) 곡물 세척 장치
CN107548422B (zh) 用于形成模塑的纤维小便器瓶的装置
CN106988162B (zh) 一种上模移动加热的纸塑产品成型设备及方法
KR200289635Y1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KR102331527B1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KR100797217B1 (ko) 김 분리장치
CN207646528U (zh) 一种隔板成型机
JP2005052053A (ja) 海苔製造装置の海苔抄き装置
KR102081442B1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KR0174726B1 (ko) 한지제조장치
CN217715660U (zh) 一种虾青素生产用虾青素晶体干燥装置
CN220338966U (zh) 一种血粉加工风干装置
KR20180018021A (ko) 건조 김 생산장치용 탈수부재의 세척 및 탈수장치
CN215466560U (zh) 一种大米加工用清洗烘干机
KR100986827B1 (ko) 해태 초제기
CN111471816B (zh) 一种带有甩干功能的驴皮清洗机
CN208340245U (zh) 一种干燥剂生产用高效过滤装置
CN208300895U (zh) 一种杜仲精粉加工设备
CN208002073U (zh) 一种鸭饲料原料清洗烘干装置
CN207727048U (zh) 一种油茶籽提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