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7817A - 해태 초제기 - Google Patents

해태 초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7817A
KR20160007817A KR1020140082082A KR20140082082A KR20160007817A KR 20160007817 A KR20160007817 A KR 20160007817A KR 1020140082082 A KR1020140082082 A KR 1020140082082A KR 20140082082 A KR20140082082 A KR 20140082082A KR 20160007817 A KR20160007817 A KR 20160007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aver
storage tank
water storag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2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5014B1 (ko
Inventor
최현이
박유선
김병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진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진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진기계
Priority to KR1020140082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14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30Physical treatment, e.g. electrical or magnetic means, wave energy or ir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김으로부터 분리된 물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해태가 발장위에 균일하게 펼쳐지게 할 수 있는 해태 초제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물김을 유입받아 정량으로 공급하고 발장(5)의 상면에 해태를 초제하여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15)이 하부에 마련된 물김공급부(10)와, 상기 발장(5)이 상부에 얹혀지고 해태의 초제 후 남은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저수조(20)를 포함하는 해태 초제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의 사방 측면에는 각 측면의 하부에 물배출구멍(22)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20)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되,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해 물김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승이동하여 상기 발장(5)과의 사이에 물수용공간(26)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발장(5)에 해태의 초제 후에는 하강이동하여 초제과정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26)으로 수용되어진 물을 상기 물배출구멍(22)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제어판(30); 상기 저수조(2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부 일측이 상기 배수제어판(30)의 하면에 연결대(42)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프레임(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태 초제기{APPARATUS FOR MAKING LAVER}
본 발명은 물김으로부터 분리된 물의 배출이 용이함은 물론, 해태가 발장위에 균일하게 펼쳐지게 할 수 있는 해태 초제기에 관한 것이다.
김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제부(1)에서 발장(5)에 해태를 초제한 후 이송시켜 김탈수부(2)에서 탈수시키고, 건조부(3)를 통해 김을 건조시킨 후 김분리부(4)에서 발장으로부터 김을 분리하는 작업을 거쳐 김을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초제부에서의 해태 초제는 발장위에 틀을 놓고 물과 해태를 혼합하여 틀 내측의 발장위에 쏟아 붓는 작업으로 최근에는 기계식 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해태 초제작업을 자동으로 행할 수 있는 해태 초제기의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5361호의 김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김 성형장치는 세절된 해태와 물이 혼합된 물김이 저장되는 탱크와, 탱크에 연결되어 물김이 유입되고 바닥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공급통과, 공급통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공급통의 배출공을 개폐하는 다수개의 밸브가 구비된 밸브체와, 공급통의 하부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성형틀과, 성형틀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김에서 분리된 물을 받아 배출하는 저수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밸브체와 성형틀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저수조의 상면에는 발장이 안착되게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초제밑판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의 김 성형장치는 발장이 초제밑판에 안착되면 성형틀이 하강되어 발장위에 얹혀지고, 밸브체가 상승되어 공급통의 배출공을 개구시키게 된다. 이때, 공급통 내의 물김이 배출공을 통해 성형틀내의 발장위로 공급된다. 공급된 물김은 발장에서 해태와 물로 분리되는데, 해태는 발장 상면에 걸러지고 물은 저수조로 배수된다. 따라서, 해태가 발장위에 일정 사이즈로 초제된다.
그러나 상기 김 성형장치는 물김으로부터 물이 자중에 의해 초제밑판의 배수공을 통해 저수조로 유입되어 분리되기 때문에 분리시간이 오래 걸리고, 발장위로 해태가 균일하게 초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2009-0078374호가 개시되었다. 상기 특허기술은 저수조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인위적으로 강하시켜 발장으로부터 분리된 물이 단시간에 저수조로 유입되게 하였다.
그러나 저수조에 유입된 물은 브로워의 흡입력을 통해서 흡입관을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물김에 포함된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저수조나 흡입관의 내주면에 끼여 오염되고, 그로 인해 수시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폄함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95361호(2002.11.04, 해태 건조기의 김 성형장치) 특허문헌 2: 공개특허공보 제2009-0078374호(2009.07.20, 해태 초제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물김을 발장에 공급하는 경우에 물김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으로 수용된 물에 의해 해태가 발장위에 균일하게 펼쳐지게 되고,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의 외부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해태 초제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물김을 유입받아 정량으로 공급하고 발장의 상면에 해태를 초제하여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이 하부에 마련된 물김공급부와, 상기 발장이 상부에 얹혀지고 해태의 초제 후 남은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해태 초제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의 사방 측면에는 각 측면의 하부에 물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되, 상기 물김공급부를 통해 물김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승이동하여 상기 발장과의 사이에 물수용공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발장에 해태의 초제 후에는 하강이동하여 초제과정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으로 수용되어진 물을 상기 물배출구멍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제어판; 상기 저수조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부 일측이 상기 배수제어판의 하면에 연결대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배수제어판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그 성형틀의 개수만큼 내부에 단위저수조를 형성하도록 격판으로 분할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수조는 상기 성형틀의 하부에 그 성형틀의 개수만큼 다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배출구멍은 상기 저수조의 사방 측면 하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제어판은 상기 저수조의 내부 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 사이에 그 지지판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수조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마련되는 고무판과, 상기 고무판을 지지판에 결합 고정하는 결합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대와 수평프레임은 내부에 물배출공간이 각각 형성되게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제어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대의 물배출공간에 연통되게 물배수공이 형성되며, 그 물배수공에는 상기 물배출유닛의 블로워 흡입동작시에만 물배수공을 개방하도록 배수공개폐판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물배수공을 통해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물배출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배출유닛은, 상기 수평프레임에 일측이 흡입관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배출관이 연결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수용공간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블로워와, 상기 배출안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김공급부를 통한 물김의 공급시에만 상기 흡입관이 연결된 흡입구를 개방하는 흡입구개폐판과, 상기 흡입구개폐판을 회동동작시키는 회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해태 초제기에 따르면, 물김을 발장에 공급하는 경우에 물김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으로 수용되는 물에 의해 해태가 발장위에 균일하게 펼쳐지면서 초제되어져 건조 후 김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게 되고, 저수조의 측면을 통해 물을 직접 배출시킴으로써 초제작업과정에서의 반복적인 물 배출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조로 유입된 물을 측면에 형성된 물배출구멍을 통해 바로 배출시킬 수 있음으로써 청결함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어 기존에 저수조나 흡입관 내주면에 물김에 포함된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끼이거나 부착되어 더러워짐에 따라 수시로 청소를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김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의 개략적인 정면상태도,
도 3은 도 2의 좌측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측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의 저수조 및 배수제어판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저수조의 일 실시예의 상태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저수조의 다른 실시예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해태의 초제과정을 보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배수제어판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수평프레임을 통해 물배출이 이루어지는 구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에서 물배출유닛을 보인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태 초제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태 초제기는 발장(5)에 물김을 공급하여 해태와 물을 분리하면서 발장위에 해태가 펼쳐지게 하는 초제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장치이다.
해태 초제기의 구성은, 세절된 해태와 물이 혼합된 물김을 물김탱크(미도시)로부터 유입받아 정량으로 공급하는 물김공급부(10)와, 발장(5)이 상부에 얹혀지고 해태의 초제 후 남은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저수조(20)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는 배수제어판(30)과, 배수제어판(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프레임(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물김공급부(10)는 바닥면에 다수의 배출구멍(미부호)이 형성된 공급통(11)과, 그 공급통(11)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배출구멍을 개폐하는 마개가 형성된 밸브체(12)와, 상기 밸브체(12)를 소정 사이클로 승강시키는 밸브체승강부(13)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통(11)의 하부에는 발장(5)의 상면에 해태를 초제하여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15)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물김공급부(10)는 물김의 공급시 성형틀(15)이 발장의 가장자리 부위에까지 하강되어 김의 성형공간을 형성하고, 그와 함께 밸브체(12)가 상승하여 물김을 발장위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공지의 물김공급부(1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브체승강부의 작동원리 등 물김공급부의 세부적인 동작관계는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저수조(20)는 상부가 개구된 통체로, 상기 발장(5)이 상부에 얹혀지도록 개구된 상부에 초제밑판(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초제밑판(24)에는 발장에 의해 분리된 물이 저수조(20) 내로 유입되게 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20)에는 사방 측면 하부에 물배출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물배출구멍(22)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지되, 수평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장공으로 형성하여 신속하게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물이끼 등의 이물질이 끼이지 않고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저수조(2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5)의 하부에 그 성형틀(15)의 개수만큼 내부에 단위저수조(20a)를 형성하도록 격판(20b)으로 분할되어 다수의 단위저수조(20a)가 구비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2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틀(15)의 하부에 그 성형틀(15)의 개수만큼 다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한 이유는, 종래에는 상기 저수조(20)를 하나의 통체로 형성하여 내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였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저수조 내부에 배수제어판(30)이 설치됨에 따라 배수제어판(30)의 원활한 승강동작을 위해서 상기 성형틀(15) 개수에 맞게 저수조를 구비하거나 저수조의 내부에 단위저수조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저수조(20)에는 해태가 발장(5)에 초제된 후 남은 물이 유입되는데, 이렇게 유입된 물은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상하 이동동작에 따라 상기 물배출구멍(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상기 배수제어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초제밑판(24)과 배수제어판(30) 사이에 형성된 물수용공간(26)에 물이 수용된 후 보관되어 있다가 상기 배수제어판(30)이 하강되면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 상기 물배출구멍(22)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배수제어판(30)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승동작시에는 상기 발장(5)과의 사이, 정확하게는 상기 초제밑판(24)과의 사이에 물수용공간(26)이 형성되게 상승동작되고, 하강동작시에는 상기 물배출구멍(22)의 아래쪽 위치에 이르기까지 하강 동작된다.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상하 이동동작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해 물김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승 이동동작하고, 상기 발장(5)에 해태가 초제되어진 후에는 하강 이동동작하도록 구비되며, 초제과정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26)으로 수용되어진 물은 상기 배수제어판(30)의 하강 이동동작시 상기 물배출구멍(22)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제어판(30)은 저수조(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채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져, 배수제어판(30)이 상승된 상태에서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이 배수제어판(30)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물배출구멍(22)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배수제어판(3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지지판(3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 사이에 그 지지판(31)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수조(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마련되는 고무판(32)과, 상기 고무판(32)을 지지판(31)에 결합 고정하는 결합구(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구(33)는 리벳 또는 볼트와 너트일 수 있다.
상기 고무판(32)이 저수조(20)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에 있게 됨으로써 상기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이 저수조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상기 저수조(20)의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부 일측이 상기 배수제어판(30)의 하면에 연결대(42)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프레임(40)은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하이동되게 동작되는데, 상하이동동작되면서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별도의 실린더 등으로 구성하여 상기 성형틀(15)의 하강동작 또는 밸브체(12)의 상승동작시 상기 수평프레임(40)을 상승동작시켜 배수제어판(30)이 상승이동되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상기 밸브체(12)를 승하강동작시키는 밸브체승강부(13)의 구동축(13a)에 수평프레임(40)을 연결수단(수직프레임, 편심캠, 연결지지대 등으로 구성)으로 연결시키도록 하여 상기 성형틀(15)의 하강동작과 연계되어 수평프레임의 상승동작이 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어떠한 구조로 형성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상승 및 하강동작과 상기 밸브체(12)의 상승 및 하강동작이 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상기 수평프레임(4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상하 이동동작만을 안내하도록 구현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0)과 연결대(42)의 내부에 각각 물배출공간(41,44)이 형성되게 중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40)과 연결대(42)의 내부를 중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일측에 물배출유닛(50)을 연결하도록 하여 상기 물배출유닛(50)을 통해 상기 물수용공간(26)의 물을 순간적으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프레임(40)과 연결대(42)를 중공으로 형성하여 물배출유닛(50)을 통해 물수용공간(26)의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이유는, 물김의 공급을 통해 해태가 발장(5)에 초제되는 과정에서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에 의해 해태가 발장에 균일하게 초제되는데, 이때 해태의 초제와 함께 순간적으로 물을 흡입하여 배출시킴으로써 해태가 균일하게 초제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배수제어판(30)만이 구비된 상태에서는 해태가 발장에 균일하게 초제된 상태에서 배수제어판(30)을 하강시켜 물을 저수조의 하측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물배출구멍(22)으로 배출시키게 되나, 배수제어판(30)의 하강동작에 의해 물이 저수조의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발장에 균일하게 초제된 해태가 흐트러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물수용공간(26)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대(42)의 물배출공간(44)에 연통되게 물배수공(35)이 형성되고, 상기 물배수공(35)에는 상기 물배출유닛(50)의 블로워(55) 흡입동작시에만 물배수공(35)을 개방하도록 배수공개폐판(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개폐판(36)을 구비한 이유는, 상기 블로워(55)를 통한 흡입동작이 있기 전에는 상기 배수공개폐판(36)이 상기 물배수공(35)을 폐쇄하도록 하여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에 의해 해태의 균일한 초제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 물배출유닛(5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물배수공(35)을 통해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물배출유닛(50)의 일 예로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0)에 일측이 흡입관(52)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배출관(53)이 연결된 배출안내부(51)와, 상기 배출안내부(51)에 설치되어 상기 물수용공간(26)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블로워(55)와, 상기 배출안내부(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한 물김의 공급시에만 상기 흡입관(52)이 연결된 흡입구(51a)를 개방하는 흡입구개폐판(57)과, 상기 흡입구개폐판(57)을 회동동작시키는 회동수단(59)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구개폐판(57)은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한 물김의 공급시에 맞춰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동작되어 지나, 물김의 공급시점보다 약간 늦게 흡입구를 개방하도록 동작되는 것으로, 물김의 공급으로 해태가 발장에 초제된 후 즉시 물이 흡입될 수 있도록 동작되는 것이다.
이는 실제 육안으로 확인하는 경우에는 거의 동시에 동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물김의 공급시 해태의 초제가 이루어지면서 물수용공간에 수용된 물이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수단(59)은 실린더 또는 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성형틀(15)이 하강되고 밸브체(12)가 상승되어 물김이 발장(5) 위에 공급되어 펼쳐지고, 이와 동시에 배수제어판(30)이 저수조(20)의 내부에서 상승동작된다.
물김이 발장(5)위에 공급되면서 해태가 발장(5)에 초제되고 남은 물은 물수용공간(26)으로 낙하되어 수용되는데, 낙하된 물이 물수용공간(26)에 가득 수용되면서 발장을 받쳐주게 되어 해태가 발장(5)에 균일하게 초제되는 것을 안내하게 된다.
해태가 발장에 초제되는 시점과 동시에 배수제어판(30)이 하강되어져 물배출이 이루어진다. 배수제어판(30)은 물배출구멍(22)이 형성된 위치의 아래에까지 내려가고,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은 물배출구멍(22)을 통해 배출되어 진다. 물배출구멍(22)을 통해 물이 배출되는 동안 해태가 초제된 발장은 전진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와 함께 그 후방에 존재하는 다른 발장이 초제밑판(24)의 상부로 얹혀지게 되며, 성형틀(15)의 하강과 배수제어판(30)의 상승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한 과정을 거쳐 새로운 발장에 해태를 초제하게 된다.
상기한 해태 초제과정은 간헐적으로 이루어진다.
1: 초제부 2: 김탈수부
3: 건조부 4: 김분리부
5: 발장 10: 물김공급부
11: 공급통 12: 밸브체
13: 밸브체승강부 15: 성형틀
20: 저수조 20a: 단위저수조
20b: 격판 22: 물배출구멍
24: 초제밑판 26: 물수용공간
30: 배수제어판 31: 지지판
32: 고무판 33: 결합구
35: 물배수공 36: 배수공개폐판
40: 수평프레임 41, 44: 물배출공간
42: 연결대 50: 물배출유닛
51: 배출안내부 51a: 흡입구
52: 흡입관 53: 배출관
55: 블로워 57: 흡입구개폐판
59: 회동수단

Claims (7)

  1. 물김을 유입받아 정량으로 공급하고 발장(5)의 상면에 해태를 초제하여 성형하기 위한 성형틀(15)이 하부에 마련된 물김공급부(10)와, 상기 발장(5)이 상부에 얹혀지고 해태의 초제 후 남은 물이 유입되어 배출되는 저수조(20)를 포함하는 해태 초제기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의 사방 측면에는 각 측면의 하부에 물배출구멍(22)이 형성되고,
    상기 저수조(20)의 내부에 상하 이동되게 마련되되,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해 물김이 공급되는 경우에 상승이동하여 상기 발장(5)과의 사이에 물수용공간(26)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발장(5)에 해태의 초제 후에는 하강이동하여 초제과정에서 분리되어 물수용공간(26)으로 수용되어진 물을 상기 물배출구멍(22)으로 배출되게 하는 배수제어판(30);
    상기 저수조(20)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부 일측이 상기 배수제어판(30)의 하면에 연결대(42)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승하강수단에 의해 상하이동되면서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승하강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프레임(4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는 상기 성형틀(15)의 하부에 그 성형틀(15)의 개수만큼 내부에 단위저수조(20a)를 형성하도록 격판(20b)으로 분할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20)는 상기 성형틀(15)의 하부에 그 성형틀(15)의 개수만큼 다수 개 마련되어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구멍(22)은 상기 저수조(20)의 사방 측면 하부에 하나 이상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장공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제어판(30)은 상기 저수조(20)의 내부 평면적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한 쌍의 지지판(31)과, 상기 한 쌍의 지지판(31) 사이에 그 지지판(31)의 가장자리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저수조(2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마련되는 고무판(32)과, 상기 고무판(32)을 지지판(31)에 결합 고정하는 결합구(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42)와 수평프레임(40)은 내부에 물배출공간(41,44)이 각각 형성되게 중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배수제어판(30)의 중앙부에는 상기 연결대(42)의 물배출공간(44)에 연통되게 물배수공(35)이 형성되며, 그 물배수공(35)에는 상기 물배출유닛(50)의 블로워(55) 흡입동작시에만 물배수공(35)을 개방하도록 배수공개폐판(36)이 구비되고,
    상기 수평프레임(40)의 일측에는 상기 물배수공(35)을 통해 물수용공간(26)에 수용된 물을 흡입하여 배출하는 물배출유닛(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배출유닛(50)은, 상기 수평프레임(40)에 일측이 흡입관(52)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배출관(53)이 연결된 배출안내부(51)와, 상기 배출안내부(51)에 설치되어 상기 물수용공간(26)의 공기를 흡입 배출하는 블로워(55)와, 상기 배출안내부(5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물김공급부(10)를 통한 물김의 공급시에만 상기 흡입관(52)이 연결된 흡입구(51a)를 개방하는 흡입구개폐판(57)과, 상기 흡입구개폐판(57)을 회동동작시키는 회동수단(59)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 초제기.
KR1020140082082A 2014-07-01 2014-07-01 해태 초제기 KR101645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82A KR101645014B1 (ko) 2014-07-01 2014-07-01 해태 초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2082A KR101645014B1 (ko) 2014-07-01 2014-07-01 해태 초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817A true KR20160007817A (ko) 2016-01-21
KR101645014B1 KR101645014B1 (ko) 2016-08-02

Family

ID=55308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2082A KR101645014B1 (ko) 2014-07-01 2014-07-01 해태 초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0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629U (ko) * 1989-10-13 1991-06-12
KR100295361B1 (ko) 1998-12-30 2001-07-12 윤종용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80004863U (ko) * 2007-04-19 2008-10-23 주식회사 티에스팜 식물 새싹재배기
KR20090078374A (ko) 2008-01-15 2009-07-20 김창석 해태 초제기
KR20100102297A (ko) * 2009-03-11 2010-09-24 박유선 해태 제조장치
KR200454431Y1 (ko) * 2009-04-21 2011-07-04 박유선 김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9629U (ko) * 1989-10-13 1991-06-12
KR100295361B1 (ko) 1998-12-30 2001-07-12 윤종용 불 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
KR20080004863U (ko) * 2007-04-19 2008-10-23 주식회사 티에스팜 식물 새싹재배기
KR20090078374A (ko) 2008-01-15 2009-07-20 김창석 해태 초제기
KR20100102297A (ko) * 2009-03-11 2010-09-24 박유선 해태 제조장치
KR200454431Y1 (ko) * 2009-04-21 2011-07-04 박유선 김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014B1 (ko) 201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0877B1 (en) Pollen separator
ITPN20120062A1 (it) Impianto perfezionato per lo svuotamento di contenitori di prodotti ortofrutticoli
KR101645014B1 (ko) 해태 초제기
KR101787316B1 (ko) 몰드 성형장치
CN210473295U (zh) 一种防滤网堵塞的油脂生产用过滤装置
KR101046330B1 (ko) 해태 제조장치
KR101951286B1 (ko) 반자동식 초지장치
CN106689408B (zh) 豆腐成型装置
CN206405024U (zh) 一种黄豆浸泡装置
KR102370153B1 (ko) 펄프 몰드 성형기의 세척장치
CN206746138U (zh) 一种可过滤的结晶罐
KR200454431Y1 (ko) 김 제조장치
CN206341884U (zh) 大豆工业生产流水线泡料装置
CN107548422B (zh) 用于形成模塑的纤维小便器瓶的装置
CN205217473U (zh) 一种新型的震荡清洗装置
CN211625939U (zh) 一种红毛苔挤压沥水装置
KR20170089137A (ko) 해태엽체의 탈수장치
CN109692809B (zh) 一种节水全自动粮食淘洗用装置的使用方法
CN109662332B (zh) 用于防臭的小型餐厨垃圾处理装置
KR20160053202A (ko) 두부 압착 성형 장치
CN210914240U (zh) 一种螺栓自动整列装置
KR20160039462A (ko) 절임채소 탈수장치
CN219441534U (zh) 一种嫩豆腐加工用上料装置
CN217089108U (zh) 一种动物实验研究用饲喂装置
CN213848666U (zh) 一种用于食用菌深加工过程的清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