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635Y1 -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 Google Patents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635Y1
KR200289635Y1 KR2020020018560U KR20020018560U KR200289635Y1 KR 200289635 Y1 KR200289635 Y1 KR 200289635Y1 KR 2020020018560 U KR2020020018560 U KR 2020020018560U KR 20020018560 U KR20020018560 U KR 20020018560U KR 200289635 Y1 KR200289635 Y1 KR 200289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carrier
chain
inverted
auxiliar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85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주
Original Assignee
최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주 filed Critical 최광주
Priority to KR20200200185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635Y1/ko

Links

Landscapes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장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산되는 김의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건조된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발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모터(60)와, 이 구동모터(60)에 연결되어 바디(1) 내부 양측의 폐루프 순환경로(10)를 따라 순환되도록 된 적어도 한 쌍의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이송하는 다수개의 메인케리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 순환경로(10)의 두지점에 연통되도록 연결 형성된 반전경로(20)와, 이 반전경로(20) 전단에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인접되게 폐루프 형태로 배열된 반전체인(30)과, 이 반전체인(3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보조케리어(33)와, 이 보조케리어(33)와 메인케리어(13) 사이에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메인케리어(13)로부터 보조케리어(33)로 다시 보조케리어(33)로부터 메인케리어(13)로 전달해 주는 발장전달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리어(1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은 그 후단(53)이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보조케리어(33)에 물려져 반전체인(30)을 따라 소정구간 이송되는 동안, 이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은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보조케리어(3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은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다시 메인케리어(13)로 전달되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의해 이송되면서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는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에 대해 선행하여 이송되도록 하므로써, 발장프레임(50)이 반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Drying unit reversal apparatus of laver drier}
본 고안은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장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산되는 김의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건조된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고, 발장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른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를 잘게 세절하여 물에 혼합하여 발장에 얇게 펼쳐 건조한 후 마른김을 발장으로부터 분리하여 생산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김 건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도 1에서와 같은, 해태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태 건조장치는 물김을 발장(55) 위에 얇게 펼치는 김성형부(70)와, 성형된 김으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75)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80)와, 건조된 김을 발장(55)로부터 분리해내는 탈거부(85)로 구성되며, 상기 발장(55)은 한 스탭씩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어태치먼트체인(11)에 연결되어 상기 각각의 공정부분을 통과하면서 탈수, 건조, 탈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순환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태 건조기는 물김을 얇게 펼쳐 건조하기 위한 발장(55)이 어태치먼트체인(11)에 고정 설치되어 항상 동일한 면에만 물김이 펼쳐져 각각의 작업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해태 건조기를 장기간 가동하다보면, 이전 순환과정에서 건조되어 분리된 김의 부스러기 등이 발장(55)의 상면에 달라붙어 있는 상태에서 다시 물김을 펼쳐 건조시키기 때문에, 후 순환과정에서 성형 및 건조되는 마른김은 선 순환공정의 김 부스러기 등과 일체화되어 발장(55)으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 두꺼운 부분이 발생되어 이 부분이 제대로 건조되지 않음은 물론, 달라붙은 김부스러기에 의해 김이 거칠어지는 등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발장(55)은 김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고, 생산되는 김이 거칠어지면, 이를 교체해주어야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발장(55)의 어느 일면에만 지속적으로 김이 성형 건조되면, 김 부스러기가 매 순환과정마다 달라붙어 다음 순환과정에서 생산되는 김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김이 제대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발장(55)을 자주 교체해 주어야 하는 등 유지보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발장에 달라붙은 김 부스러기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생산되는 김의 품질이 향상됨은 물론, 건조된 김이 발장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되도록 하고, 발장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해태 건조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해태 건조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발장 반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상기 발장 반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순환경로 11 : 어태치먼트체인
13 : 메인케리어 20 : 반전경로
30 : 반전체인 33 : 보조케리어
40 : 발장전달수단 50 : 발장프레임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모터(60)와, 이 구동모터(60)에 연결되어 바디(1) 내부 양측의 폐루프 순환경로(10)를 따라 순환되도록 된 적어도 한 쌍의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이송하는 다수개의 메인케리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 순환경로(10)의 두지점에 연통되도록 연결 형성된 반전경로(20)와, 이 반전경로(20) 전단에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인접되게 폐루프 형태로 배열된 반전체인(30)과, 이 반전체인(3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보조케리어(33)와, 이 보조케리어(33)와 메인케리어(13) 사이에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메인케리어(13)로부터 보조케리어(33)로 다시 보조케리어(33)로부터 메인케리어(13)로 전달해 주는 발장전달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리어(1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은 그 후단(53)이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보조케리어(33)에 물려져 반전체인(30)을 따라 소정구간 이송되는 동안, 이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은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보조케리어(3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은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다시 메인케리어(13)로 전달되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의해 이송되면서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는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에 대해 선행하여 이송되도록 하므로써, 발장프레임(50)이 반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해태건조기는 바디(1) 내부 양측의 폐루프 순환경로(10)를 따라 순환되도록 된 한 쌍의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메인케리어(13)와, 이 메인케리어(13)에 물려져 이송되는 발장프레임(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 발장프레임(50)은 어태치먼트체인(11)을 따라 이송되면서 물에 혼합된 김을 발장(55) 위에 얇게 펼치는 김성형부(70)와, 성형된 김을 가압 탈수하는 탈수부(75)와, 탈수된 김을 건조시키는 건조부(80)와, 건조부(80)를 통과한 마른 김을 발장(55)으로부터 분리해내는 탈거부(85)를 경유하도록 반복 순환되면서 김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 유사하며, 상기 탈거부(85)와 김성형부(70) 사이에는 발장 반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발장(55)의 상면과 하면을 교번적으로 뒤집어 이용하므로써, 이 발장(55)에 달라 붙은 김 부스러기 등이 탈락되어 품질이 우수한 김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발장반전장치는 어태치먼트체인 순환경로(10)에 연결 형성된 반전경로(20)와, 이 반전경로(20) 전단에 설치된 반전체인(30)과, 이 반전체인(3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보조케리어(33)와, 이 보조케리어(33)와 메인케리어(13) 사이에 설치된 발장전달수단(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전경로(20)는 어태치먼트체인 순환경로(10) 하측에 대략 V자 형태로 연결 형성된 것으로, 그 양단에는 어태치먼트체인의 순환경로(10)와 연통되는 입구(21)와 출구(23)가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입구(21)측에는 폐루프형상의반전체인(30)이 설치되고, 그 출구(23)에는 자중에 의해 출구(23)를 닫아주는 가이드레버(25)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상기 반전체인(30)은 반전경로(20)의 입구(21)에 연결되도록 어태치먼트체인(11) 하측에 설치된 폐루프형상의 체인으로서,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이 반전경로(20)를 통과하는 동안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을 소정구간 이송해주기 위한 것이다. 이 반전체인(30)은 대략 역삼각 형상으로 배열 설치되어 그 상단부에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과 소정구간 나란하게 배열되는 이송구간(31)이 구비되어 이 이송구간(31)에서 발장프레임(50)을 이송해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 반전체인(30) 상단의 이송구간(31)에는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과 나란하게 설치된 발장 가이드레일(14)의 개방부(15)가 형성되어 이 개방부(15)를 통해 메인케리어(1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을 보조케리어(33)로 전달하고, 다시 보조케리어(33)에 의해 소정구간 이송된 발장프레임(50)을 메인케리어(13)로 전달하게 된다.
그 외에도,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과 반전체인(30)은 커낵팅로드(63)와 래칫기어(65)를 이용한 간헐적 전동수단(61)에 의해 구동모터(60)에 연결되어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반전체인(30)이 정지되고, 반전체인(30)이 이송되는 동안에는 어태치먼트체인(11)이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보조케리어(33)는 메인케리어(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반전체인(30)에 상측이 개방되도록 소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된 것이다. 또한, 이 보조케리어(33)는 그 상단부가 메인케리어(13)의 하단부까지 연장형성되어 메인케리어(13)와 발장프레임(50)을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장전달수단(40)은 보조케리어(33)와 메인케리어(13) 사이에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메인케리어(13)로부터 보조케리어(33)로 다시 보조케리어(33)로부터 메인케리어(13)로 전달해 주는 것으로, 상기 반전체인(30) 상단의 이송구간(31)과 나란하게 배치된 승강레일(47)과, 이 승강레일(47)을 업다운시키는 승강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레일(47)은 발장 가이드레일(14)의 개방부(15)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것으로, 상승시에는 발장 가이드레일(14)과 동일높이를 이루고, 하강시에는 상기 보조케리어(33) 하측까지 하강한다. 따라서, 이 승강레일(47)이 하강되면, 메인케리어(1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이 하측에 위치된 보조케리어(33)로 전달되고, 승강레일(47)이 상승되면, 보조케리어(3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이 메인케리어(13)로 전달된다.
상기 승강수단은 구동모터(60)에 의해 회전되는 캠(41)과, 이 캠(41)에 접촉되어 회동승강되는 회동레버(42)와, 이 회동레버(42)를 캠(41)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탄지하는 스프링(43)과, 상기 회동레버(42)에 연결로드(44)를 통해 연결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승강레일(47)이 연결 설치된 승강로드(45)로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해태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는 탈거부(85)와 김성형부(70) 사이에 구비되어 발장(55)의 상하면을 뒤집어 다음 순환공정을 수행하도록 하므로써, 이전 순환공정에서 발장(55)에 달라붙은 김 부스러기 등이 발장(55)을 뒤집어 이송하는 동안 탈락되어 발장(55)의 표면을 청결하게 하여 다음순환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발장 반전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이 메인케리어(13)에 삽입되어 어태치먼트체인(11)을 따라 발장 가이드레일(14)의 개방부(15) 앞까지 이송되면, 상기 승강레일(47)이 상승되어 발장 가이드레일(14)의 개방부(15)를 차단하고, 이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이 한 스텝 더 이송되면, 상기 메인케리어(13)에 삽입되어 이송되는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과 후단(53)이 모두 승강레일(47) 위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레일(47)이 하강되면, 메인케리어(13)에 삽입되어 있던 발장프레임(50)이 승강레일(47)을 따라 하강되어 보조케리어(33)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반전체인(30)이 한 스텝 전진되면,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이 삽입된 보조케리어(33)는 반전경로(20)의 입구(21)를 경유하여 반전체인(30)의 하강구간(32)을 따라 이송되므로, 이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은 보조케리어(33)에서 이탈되어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며,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은 보조케리어(33)에 삽입되어 반전체인(30) 상단의 이송구간(31)을 따라 이송되어 상부에서 대기하고 있는 메인케리어(13) 하측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승강레일(47)이 상승되면서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을 상승시키면, 이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이 메인케리어(13)에 삽입된다. 이후,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이 전진되면 메인케리어(13)에 삽입된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이 어태치먼트체인(11)을 따라 이송되면서 반전경로(20)를 통과하는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을 끌려오게 하므로써, 발장프레임(50)이 반전되어김성형부(70)로 이송된다.
이상의 발장 반전장치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클러치기구가 구비되어, 물김의 상태나 점성, 발장의 상태 등에 따라 마른김이 발장으로부터 지나치게 쉽게 박리되는 경우에는 발장을 반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탈거부(85)와 김성형부(70) 사이에 발장반전장치가 구비되어 발장(55)의 상하면을 뒤집어 순환시키므로써, 발장(55)의 상면에 달라붙은 김 부스러기 등이 발장(55) 이송과정에서 분리되어 다음공정에서 성형 및 건조되는 마른김이 발장(55)으로부터 용이하게 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김이 고르게 건조되고 표면이 매끄러운 고품질의 마른김을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장반전장치는 발장(55)을 항상 청결하게 사용함과 더불어, 발장(55)의 양면을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일면만 사용하던 발장(55)에 비해 그 내구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Claims (1)

  1. 구동모터(60)와, 이 구동모터(60)에 연결되어 바디(1) 내부 양측의 폐루프 순환경로(10)를 따라 순환되도록 된 적어도 한 쌍의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이송하는 다수개의 메인케리어(13)를 포함하여 구성된 해태 건조기에 있어서, 상기 어태치먼트체인(11) 순환경로(10)의 두지점에 연통되도록 연결 형성된 반전경로(20)와, 이 반전경로(20) 전단에 어태치먼트체인(11)과 인접되게 폐루프 형태로 배열된 반전체인(30)과, 이 반전체인(30)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된 보조케리어(33)와, 이 보조케리어(33)와 메인케리어(13) 사이에 설치되어 발장프레임(50)을 메인케리어(13)로부터 보조케리어(33)로 다시 보조케리어(33)로부터 메인케리어(13)로 전달해 주는 발장전달수단(4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케리어(1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은 그 후단(53)이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보조케리어(33)에 물려져 반전체인(30)을 따라 소정구간 이송되는 동안, 이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은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보조케리어(33)에 의해 이송되어온 발장프레임(50)의 후단(53)은 발장전달수단(40)에 의해 다시 메인케리어(13)로 전달되어 어태치먼트체인(11)에 의해 이송되면서 반전경로(20)를 따라 이송되는 발장프레임(50)의 선단(51)에 대해 선행하여 이송되도록 하므로써, 발장프레임(50)이 반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태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KR2020020018560U 2002-06-19 2002-06-19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KR200289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560U KR200289635Y1 (ko) 2002-06-19 2002-06-19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8560U KR200289635Y1 (ko) 2002-06-19 2002-06-19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635Y1 true KR200289635Y1 (ko) 2002-09-16

Family

ID=73124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8560U KR200289635Y1 (ko) 2002-06-19 2002-06-19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635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57A (ko) * 2002-08-28 2002-09-11 윤 선 장 다기능 해태제조기
KR20040043799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제조기의 발장이송장치
KR20040043800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 제조기의 발장전환장치
KR101115596B1 (ko) * 2008-05-30 2012-03-05 우석수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KR101161639B1 (ko) 2009-04-08 2012-07-02 박유선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KR101289464B1 (ko) 2011-06-27 2013-07-24 박유선 김 제조기의 해태 건조장치
CN107758262A (zh) * 2017-10-10 2018-03-06 深圳市极维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载具循环的自动化生产产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957A (ko) * 2002-08-28 2002-09-11 윤 선 장 다기능 해태제조기
KR20040043799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제조기의 발장이송장치
KR20040043800A (ko) * 2002-11-20 2004-05-27 우석수 김 제조기의 발장전환장치
KR101115596B1 (ko) * 2008-05-30 2012-03-05 우석수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KR101161639B1 (ko) 2009-04-08 2012-07-02 박유선 해태제조기의 건조장치
KR101289464B1 (ko) 2011-06-27 2013-07-24 박유선 김 제조기의 해태 건조장치
CN107758262A (zh) * 2017-10-10 2018-03-06 深圳市极维度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载具循环的自动化生产产线
CN107758262B (zh) * 2017-10-10 2024-05-24 重庆飞象智能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实现载具循环的自动化生产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635Y1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CN109362862B (zh) 一种专用于贝类的清洗装置
KR101200558B1 (ko) 김 제조기
CN110524365A (zh) 一种夏季用凉竹席缝隙处去毛刺机以及去毛刺方法
CN108620373A (zh) 物料自动清洗装置
KR101170539B1 (ko) 해태 건조기용 발장 분리기
CN110122901A (zh) 一种自动化甘蔗清洗去泥设备
CN210869379U (zh) 一种鸭蛋生产加工装置
KR100775673B1 (ko) 해태 건조기
KR101046330B1 (ko) 해태 제조장치
CN205337521U (zh) 气浮式洗菜装置
CN115157553B (zh) 一种生产tpu鞋底的生产流水线
KR20040068779A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KR200454431Y1 (ko) 김 제조장치
JP4495738B2 (ja) 乾海苔製造装置の抄き部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US1965056A (en) Machine for cleaning and polishing fruit
KR20020070957A (ko) 다기능 해태제조기
KR200255590Y1 (ko) 김 제조장치에 있어서의 김발 회전장치
JP5502643B2 (ja) 魚のヌメリ除去装置
JP4180848B2 (ja) 海苔製造機
CN215466402U (zh) 一种线路板加工用清洗装置
CN116391505B (zh) 一种水利工程用水草清理装置
JP4184123B2 (ja) 海苔製造方法及び装置
CN219258766U (zh) 胶原蛋白肠衣原料清洗工序上料装置
KR200160251Y1 (ko) 가축분뇨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