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0558B1 - 김 제조기 - Google Patents

김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0558B1
KR101200558B1 KR1020110077929A KR20110077929A KR101200558B1 KR 101200558 B1 KR101200558 B1 KR 101200558B1 KR 1020110077929 A KR1020110077929 A KR 1020110077929A KR 20110077929 A KR20110077929 A KR 20110077929A KR 101200558 B1 KR101200558 B1 KR 10120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aitai
drying
uni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3911A (ko
Inventor
우석수
Original Assignee
우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석수 filed Critical 우석수
Publication of KR20110103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김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주이송체인에 마련된 간섭구에 의해 이송되는 발장의 발에 해태를 성형하는 해태 성형부와, 발에 성형된 해태를 탈수시키는 해태 탈수부와, 탈수된 해태를 건조시키는 해태 건조부와, 건조된 해태를 분리하는 해태 분리부를 구비하고, 해태 건조부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구비한 하우징과, 건조공간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와,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고, 주이송체인으로부터 발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해태가 건조되게 하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1건조부와, 제1건조부로부터 발장을 전달받아 주이송체인을 통해 이송시키는 발장 중계부와, 제1건조부로부터 이격되어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발장 중계부를 거쳐 진행되는 발장을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해태가 재건조되게 하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2건조부와, 제1, 2서브이송체인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김 제조기에 의하면,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두 번에 걸쳐 건조되기 때문에, 온풍의 이용효율이 증가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온풍기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해태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김의 품질을 높이고, 이에 따라 고유가시대에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해태의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김 제조기{LAVER MANUFACTURING MACHINE}
본 발명은 해태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 김 제조장치의 해태 성형부에 의해 발장에 성형된 해태를 무한궤도 체인에 의해 이송시키면서 해태를 건조하는 해태 건조장치와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조 김은 양식장에서 채취한 해태 엽체를 세절하여 물에 혼합한 다음 발장에 얇게 펼쳐지게 성형하고, 건조하여 발장으로부터 마른 해태를 분리하여 제조한다.
최근에는 김 건조에 따른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건조 김의 생산과정을 자동화한 건조 김 제조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건조 김 제조장치는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95361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55590호, 국내 공개특허 제2003-0023222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77920호,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292229호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개시된 건조 김 제조장치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주이송체인에 발장을 구비하고, 발장위에 일정 주기로 물과 혼합된 해태를 공급하여 성형하는 해태성형부를 거쳐, 발장이 서브이송체인으로 궤도 전환되어 해태 건조기에 이송되고 온풍에 의해 발장위의 해태가 건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건조 김 제조장치는 건조 김의 생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주이송체인의 이송속도를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주이송체인의 이송속도를 높이게 되면, 발장이 궤도 전환되어 해태건조기내로 이송되게 하는 서브이송체인의 이송속도가 높아지고, 이에, 이송되는 발장위에 성형된 해태가 해태 건조기내에 잔류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해태가 완전히 건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해태 건조기내의 건조온도를 높여 해태의 건조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고유가시대에 연료소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발장위에 성형된 해태가 해태 건조기내에 잔류하는 시간을 늘리기 위해 서브이송체인을 일정 거리만큼 연장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서브이송체인을 단순히 연장시키는 방법은 해태 건조기의 규모를 무작정 크게 할 수 없는 점, 건조공간의 부피 증가로 보다 많은 온풍기의 설치에 따른 제조비용 증가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료의 소비를 최소화하면서 해태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건조 김의 생산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건조공간으로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와;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고, 해태 성형부에 의해 해태가 성형된 발장을 이송하는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1건조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상기 주이송체인을 통해 이송시키는 발장 중계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장 중계부를 거쳐 이송되는 상기 발장을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재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2건조부와; 상기 제1, 2서브이송체인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장은 상기 주이송체인 및 상기 제1,2서브이송체인에 간섭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지지바와;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 마련되고, 상기 해태가 성형되는 다수의 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건조부는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2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2서브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하여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3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과 상기 주이송체인이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주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발장의 좌/우측 지지바를 간섭하여 상기 발장을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 전달시키고, 수직하게 세워 이송시키는 다수의 수직바와; 상기 제1서브스프로킷을 감싸고 상기 제1서브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3서브스프로킷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발장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제1발장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장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발장을 뒤집어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에 전달전 상태로 복원시키도록 구축되며, 상기 발장 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와 상기 제2건조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상기 제1,2건조부의 사이에서 상기 제1 및 제2건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형을 형성하면서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주이송체인을 지지하게 설치되어 만곡이송경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만곡용 스프로킷과; 상기 만곡이송경로를 따라 만곡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를 상기 만곡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하는 주레일과; 상기 주레일의 상기 만곡이송경로에 대응되는 오목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상기 주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발장의 우측 지지바가 지속적으로 걸리어 상기 발장이 뒤집어지게 하는 역전레일;을 구비한다.
또 다르게는 상기 발장 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와 상기 제2건조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상기 제1,2건조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직선형태로 이송되도록 상기 주이송체인을 지지하여 경사직선 중계경로를 형성하는 경사지지 스프로킷과; 상기 주이송체인의 상기 경사직선 중계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주레일과; 상기 경사직선 중계경로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상기 주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발장의 우측 지지바가 지속적으로 걸리어 상기 발장이 뒤집어지게 하는 역전레일; 및 상기 주이송체인을 따라 역전되어 이송되는 발장을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간섭하여 상기 제2건조부의 수직바에 의해 상기 제2건조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분리 레일;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발장중계부는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발장을 뒤집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2건조부로 전달할 수 있게 구축되며, 상기 제1건조부와 상기 2건조부 사이를 지나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상기 제1,2건조부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직선형태로 이송되도록 상기 주이송체인을 지지하여 경사직선 중계경로를 형성하는 경사지지 스프로킷과; 상기 주이송체인의 상기 경사직선 중계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송되게 하는 주레일과; 상기 주이송체인을 따라 이송되는 발장을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간섭하여 상기 제2건조부의 수직바에 의해 상기 제2건조부로 이송되도록 하는 분리레일; 및 상기 경사직선 중계경로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발장이 상기 분리레일에 진입되기 전까지 상기 발장의 상기 제2건조부로의 진입방향을 간섭에 의해 가이드하는 진입안내 레일;을 구비한다.
상기 제2건조부는 상기 제1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과;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4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레일을 경유한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여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5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의 타측을 지지하되, 상기 제5서브스프로킷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근접되게 하여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발장이 상기 주이송체인에 전달되게 하는 제6서브스프로킷과;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에 수직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과 상기 주이송체인이 근접된 위치에서 상기 주이송체인에 의해 이송된 상기 발장의 좌/우측 지지바를 간섭하여 상기 발장을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으로 전달시키고, 수직하게 세워 이송시키는 다수의 수직바와; 상기 제4서브스프로킷을 감싸고 상기 제4서브스프로킷으로부터 상기 제6서브스프로킷으로 이동되는 경로를 따라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좌측 지지바가 걸리어 상기 발장이 상기 제2서브이송체인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게 하는 제2발장 레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서브스프로킷에 마련된 제1래칫기어와,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제1래칫기어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래칫을 구비한 제1래칫수단과; 상기 제5서브스프로킷에 마련된 제2래칫기어와, 회동동작에 의해 상기 제2래칫기어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래칫을 구비한 제2래칫수단과; 상기 제1,2래칫수단이 연동되어 구동되게 상기 제1,2래칫을 링크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연결로드와; 상기 주이송체인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메인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제2래칫수단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에 일측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래칫에 연결된 동력전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간헐적인 회전으로 변환하는 간헐구동 인덱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제조기에 의하면, 발장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2건조부를 순차적으로 지나고, 하부에서 상부로 흐르는 온풍에 의해 두 번에 걸쳐 건조되기 때문에, 온풍의 이용효율이 증가되어 상대적으로 적은 온풍기의 사용이 가능하면서도 해태의 건조효율을 향상시켜 김의 품질을 높이고, 이에 따라 고유가시대에서 연료 소비를 줄일 수 있으므로 해태의 건조비용을 절감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2건조부로 인해 상대적으로 작은 설치공간에서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제약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은 발장의 해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제1,2건조부에 의해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고, 온풍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므로, 발장의 해태는 하부보다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상부측 온풍에 의해 1차 건조된 다음,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하부측 온풍에 의해 2차 건조되므로 발장의 해태가 급격히 건조되지 않고 서서히 건조되므로 김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가 적용된 김 제조기를 나타내보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태 건조장치를 확대해 보인 부분 발췌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해태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해태 건조장치의 제1,2건조부에서 이송되는 발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해태 건조장치의 주스프로킷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해태 건조장치의 구동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의 해태 건조장치가 적용된 김 제조기에서 해태 탈수부를 지난 발장을 제1건조부로 상승이송시키는 발장 상승이송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해태 건조장치의 일부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인 해태 건조장치가 적용된 건조 김 제조장치 및 해태 건조장치의 구조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구비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건조공간에 온풍을 공급하는 온풍공급부(20)와,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어 해태 성형부(100)에 의해 해태가 성형된 발장(30)을 이송하는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상기 발장(30)을 전달받아 이송시켜 해태를 건조하는 제1건조부(40)와, 제1건조부(40)로부터 발장(30)을 전달받아 주이송체인(110)을 통해 이송시키는 발장 중계부(50),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어 발장 중계부(50)에 의해 주이송체인(110)을 통해 이송되는 발장(30)을 전달받아 이송시켜 해태를 이차 건조하는 제2건조부(60)와, 제1,2건조부(40,60)에 전달된 발장(30)을 이송시키기 위한 구동부(70)로 이루어져 있다.
하우징(10)의 외면에는 내부의 건조공간에서 이송되는 발장(30)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한 표시창(11)이 상/하단에 각각 구비된다.
온풍공급부(20)는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으로 온풍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온풍기(21)가 마련된다. 하우징(10)의 하부로부터 공급되는 온풍은 건조공간에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건조공간에서 이송되는 해태를 건조하게 된다.
발장(30)은 첨부한 도 4를 참조하면, 일정 간격으로 나란하게 위치되어 다수의 연결바(34)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지지바(31,32)와, 좌/우측 지지바(31,32)의 사이에 위치되고 좌/우측 지지바(31,32)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배열되며 해태가 성형되는 발(33)로 이루어져 있다. 발(33)은 연결바(34)의 사이사이에 위치된다.
주이송체인(110)에는 발장(30)의 좌/우측지지바(31)(32)가 인입되어 걸리도록 수용홈을 형성한 간섭구(111)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제1건조부(40)는 건조공간의 상부에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서브이송체인(41)과, 제1서브이송체인(41)이 무한궤도로 회전되게 제1서브이송체인(41)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서브스프로킷(42)과, 제1서브이송체인(41)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3서브스프로킷(43,44)을 포함하고 있다.
제1서브이송체인(41)에는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다수의 수직바(45)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설치된다.
제2,3서브스프로킷(43,44)은 제1서브이송체인(41)의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고, 제2,3서브스프로킷(43,44)을 지나는 제1서브이송체인(41)이 주이송체인(110)과 근접되도록 설치된다.
수직바(45)는 발장의 좌/우측 지지바(31,32)의 양측에 위치된 연결바(34)를 간섭가능한 길이로 형성되고, 제1서브이송체인(41)과 주이송체인(110)의 근접거리는 수직바(45)의 길이를 감안하여 수직바(45)가 주이송체인(110)에 의해 이송되는 발장(30)의 좌/우측 지지바(31,32)의 양측에 위치된 연결바(34)를 간섭할 수 있는 정도의 거리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수직바(45)는 제2서브스프로킷(43)을 선회하면서 주이송체인(110)의 간섭구(111)에 인입된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를 간섭구(111)로부터 이탈시킴과 동시에 우측 지지바(32)를 간섭함으로서 발장(30)을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 옮기게 된다. 그리고, 발장(30)은 제1서브이송체인(41) 및 수직바(45)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제1서브스프로킷(42)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제1서브이송체인(41)에 근접되고, 우측 지지바(32)는 상측에 위치된다.
발장(30)이 제1서브스프로킷(42)을 선회하여 제3서브스프로킷(44)측으로 이송되는 경로에는 자중으로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좌측 지지바(31)를 지지하는 제1발장 레일(46)이 구비된다.
제1발장 레일(46)은 제3서브스프라켓(43)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주이송체인(110)이 이송되게 지지하는 제1전달가이드 스프라켓(91) 사이에서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제1발장 레일(46)로부터 이탈될 때, 주이송체인(110)의 간섭구(111)의 수용홈에 인입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되게 설치된다.
발장 중계부(50)는 첨부한 도 3을 참조하면, 제1건조부(40)와 제2건조부(40) 사이 즉, 주이송체인(11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1전달가이드 스프라켓(91)과 제2전달가이드 스프라켓(92) 사이에 주이송체인(110)이 만곡형을 형성하며 이송될 수 있게 만곡이송경로(56)를 형성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주이송체인(110)을 지지하는 다수의 만곡용 스프로킷(51)과, 만곡 이송경로(56)를 따라 이송되는 주이송체인(110)의 경로를 따라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를 안내하는 주레일(52)과, 만곡형으로 이루어진 주레일(52)의 오목부위 중앙에 주레일(52)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되어 좌측 지지바(31)가 주레일(52)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우측 지지바(32)가 지속적으로 걸리어 발장(30)이 뒤집어지게 하는 역전레일(53)로 이루어져 있다.
역전레일(53)은 주레일(52)의 선회중심에 위치되고, 역전레일(53)과 주레일(52)간의 간격은 발장(30)의 좌/우측 지지바(31,32)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건조부(60)는 제1건조부(4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부터 이격되고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서브이송체인(61)과, 제2서브이송체인(61)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제4,5,6서브스프로킷(62,63,64)을 포함하고 있다.
제4서브스프로킷(62)은 제2서브이송체인(61)의 일측을 지지하고, 제5,6서브스프로킷(63,64)은 제2서브이송체인(61)의 타측을 지지한다. 제5,6서브스프로킷(63,64)은 상하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다. 제5,6서브스프로킷(63,64)은 제2서브이송체인(61)의 타측을 발장 중계부(50)를 경유한 주이송체인(110)과 근접되게 지지한다.
또한, 발장(30)은 제4서브스프로킷(62)을 선회한 후 제6서브스프로킷(64)으로 이송되는 경로에는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를 지지하는 제2발장 레일(66)이 구비된다.
제2서브이송체인(61)에도 수직바(65)가 상호 이격되게 다수 마련되어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주이송체인(110)이 무한궤도로 회전되도록 주이송체인(110)을 지지하는 만곡용 스프로킷(51)의 외주면에는 주이송체인(110)의 간섭구(111) 수용홈에 수용된 좌측지지바(31)가 인입되는 인입홈(51a)이 형성되어 있다. 인입홈(51a)은 만곡용 스프로킷(51)의 기어치 사이에 형성된다.
특히, 발장(30)의 좌측지지바(31)가 얹혀진 주이송체인(110)의 상면에 밀착되는 만곡용 스프로킷(51)에 상기 인입홈(5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주이송체인(110)의 이송시 발장(30)의 좌측지지바(31)가 만곡용 스프로킷(51)의 인입홈(51a)에 인입되므로 만곡용 스프로킷(51)의 기어치와 주이송체인(110)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져 주이송체인(110)이 만곡용 스프로킷(51)에 의해 원활히 이송된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동부(70)는 제1건조부(40)의 제2서브스프로킷(43)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1래칫수단(71)과, 제2건조부(60)의 제5서브스프로킷(63)을 간헐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2래칫수단(72)과, 제1,2래칫수단(71,72)이 연동되어 구동되도록 제1,2래칫수단(71,72)을 연결하는 연결로드(73)와, 주이송체인(110)을 간헐적으로 이송시키는 메인구동부의 동력을 제2래칫수단(7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로드(74)로 이루어져 있다.
제1래칫수단(71)은 제2서브스프로킷(43)과 동심을 이루며 설치되고 함께 회전되는 제1래칫기어(71a)와, 회동동작에 의해 제1래칫기어(71a)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래칫(71b)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래칫수단(72)은 제1래칫수단(71)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제5서브스프로킷(63)에 설치된 제2래칫기어(72a)와, 회동동작에 의해 제2래칫기어(72a)를 간헐적으로 회전시키는 제2래칫(72b)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결로드(73)는 제1,2래칫(71b,72b)을 링크에 의해 연결된다.
동력전달로드(74)는 주이송체인(110)을 간헐적으로 이송되게 하는 메인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112)에 일측이 편심되게 연결되고, 타측은 제2래칫(72b)의 일측에 연결된다. 이에 회전축(112)의 회전력이 동력전달로드(74)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되고, 전환된 직선운동에 의해 제2래칫(72b)이 회동된다.
한편, 메인구동부는 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간헐적인 회전으로 변환하는 간헐구동 인덱스로 이루어져 있다.
간헐구동 인덱스는 상호 치합되어 회전하는 두 기어중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의 외주면 일부분에만 기어치를 형성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간헐적으로 전달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두 개의 원판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하나의 원판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롤러를 다수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원판 외주면 일부분에는 롤러가 인입되는 롤러홈을 형성하여, 롤러홈이 형성된 원판을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때, 롤러홈에 롤러가 인입될 때에만 롤러를 구비한 원판에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메인구동부의 구동으로 주이송체인(110)이 회전되고, 해태가 성형된 발장(30)이 이송된다. 이때, 발장(30)에 성형된 해태는 상방을 향해 노출되어 있다.
메인구동부의 동력은 동력전달로드(74) 및 연결로드(73)에 의해 제1,2래칫수단(71,72)에 전달되고, 제1,2래칫수단(71,72)에 의해 제1,2서브이송체인(41,61)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먼저 발장(30)은 하우징(10)의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된 제1건조부(40)의 제2서브스프로킷(43)에 근접된다. 이때, 제1서브이송체인(41)의 수직바(45)에 의해 발장(30)이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 옮겨진다.
즉, 제1서브이송체인(41)의 이송으로 제2서브스프로킷(43)을 선회하는 수직바(45)가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를 먼저 간섭구(111)로부터 이탈시키고 우측 지지바(32)를 차례로 간섭하여 발장(30)을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 옮기게 된다.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 옮겨진 발장(30)은 수직바(45)에 지지되어 수직하게 세워지게 된다. 이때, 발장(30)위의 해태는 발장(30)의 이송방향을 향하고 있게 된다.
발장(30)은 제1서브스프로킷(42)을 선회하여 이송방향이 전환되고, 제3서브스프로킷(44) 측으로 이송된다. 물론, 발장(30)은 제1발장 레일(46)에 좌측 지지바(31)가 지지됨으로써, 제1서브이송체인(4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제3서브스프로킷(44)측에 도달된 발장(30)은 좌측 지지바(31)가 제1발장 레일(46)로부터 이탈되면서 인접되게 배치된 제1전달가이드 스프로켓(91)을 따라 이동하는 주이송체인(110)의 간섭구(111)의 수용홈에 인입되어 주이송체인(110)으로 옮겨지게 된다. 그리고,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는 발장 중계부(50)의 주레일(52)에 인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때,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는 주레일(52)을 따라 이송되고, 발장(30)의 우측 지지바(32)는 역전레일(53)을 따라 이송되면서 발장(30)을 뒤집게 된다.
즉, 발장(30)의 우측지지바(32)가 역전레일(53)에 걸린상태에서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역전레일(53)을 중심으로 주레일(52)을 따라 선회되면서 발장(30)이 뒤집어지게 된다.
이때, 발장(30)에 성형된 해태는 상방을 향하게 되어, 발장(30)은 제1건조부(40)에 인입되기 전 상태로 복원된다.
발장 중계부(50)에 의해 역전된 발장(30)은 제2전달가이드 스프로켓(92)과 제5서브 스프라켓(63) 사이에서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된 제2건조부(60)로 전달되어 다시 한번 건조공간내를 순환하게 된다.
제2건조부(60)에서의 발장(30)의 순환은 상기 제1건조부(40)에서의 과정과 동일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5서브스프로킷(63)에 근접된 발장(30)은 제2서브이송체인(61)의 수직바에 의해 제2서브이송체인(61)으로 옮겨지고, 제2서브이송체인(61)과 함께 순환된 후, 주이송체인(110)에 재복귀된다.
한편, 제1건조부(40)를 순환한 발장(30)을 제2건조부(60)에 유입되기 전에 발장 중계부(50)에 의해 뒤집는 이유는, 제1건조부(40)를 지난 발장(30)을 발장 중계부(50)에서 뒤집지 않은 상태로 제2건조부(60)에 전달하게 되면, 제2건조부(60)를 거친 이후 주이송체인(110)으로 전달될 때 성형된 해태가 발장(30)의 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해태분리부(400) 측에서 작업자가 해태의 건조상태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나, 발장 중계부(50)에 의해 뒤집게 되면, 건조과정 이후의 해태의 건조상태를 해태분리부(400)측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2건조부(40,60)가 건조공간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되면, 건조공간의 하부로 유입된 온풍이 건조공간의 상부로 이동되면서 제1,2건조부(40,60)에서 순환되는 발장(30)의 해태를 건조하게 된다. 따라서, 발장(30)의 해태는 제1건조부(40)를 지나면서 1차 건조되고, 제2건조부(60)를 재차 지나면서 2차 건조되어 온풍의 이용효율이 증가된다.
또한, 제1,2건조부(40,60)를 상/하방향으로 설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본 실시 예인 해태 건조장치는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로 형성되면서, 많은 발장(30)의 해태를 동시에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해태 건조장치를 적용한 김 제조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를 참조하면, 김 제조기는 메인 구동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주이송체인(110)과, 주이송체인에 마련된 간섭구에 의해 이송되는 발장(30)과, 발장의 발에 해태를 성형하는 해태 성형부(100)와, 해태 성형부에 의해 발에 성형된 해태를 탈수시키는 해태 탈수부(200)와, 해태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해태를 건조시키는 해태 건조부(300)와, 발장위에 건조된 해태를 분리하는 해태 분리부(400)로 이루어진다.
해태 건조부(300)는 상기에서 언급한 해태 건조장치가 적용된다.
주이송체인(110), 발장(30), 해태 성형부(100), 해태 탈수부(200), 해태 분리부(400)는 일반적인 김 제조기에서 사용되는 것이며, 본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출원 제2007-0010290호에 언급되어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해태 건조장치가 적용된 김제조기의 특징은 해태 건조장치가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제1,2건조부(40,60)에 의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졌기 때문에, 해태 탈수부(200)를 지난 발장(30)을 상승시켜 제1건조부(40)로 원활히 이송시키기 위한 발장 상승이송부(500)가 포함된다.
첨부한 도 7을 참조하면, 발장 상승이송부(500)는 무한궤도로 이송되는 주이송체인(110)이 해태 탈수부(200)와 제1건조부(40)의 사이에서 경사지게 이송되도록 주이송체인(110)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로킷(80)과, 주이송체인(110)이 경사지게 이송되는 동안 발장의 우측 지지바(32)를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격시켜 발장(30)이 원활히 상승되도록 하는 이격수단(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격수단(90)은 해태 탈수부(200)와 제1건조부(40)의 사이를 지나는 주이송체인(110)의 경로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이격레일(91)과, 해태 탈수부(200)측 이격레일(91)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주이송체인(110)에 의해 이송된 발장(30)의 우측 지지바(32)를 간섭하여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격시켜 이격레일(91)상에 위치시키는 간섭로드(92)와, 메인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간섭로드(92)를 회동시키는 구동로드(93)로 이루어져 있다.
구동로드(93)는 메인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회전축(113)에 편심되게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타측은 간섭로드(92)의 단부에 힌지연결된다.
메인구동부는 상기에서 언급한 간섭구동 인덱스가 사용된다.
한편, 주이송체인(110)을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로킷(80)에도 상기에서 언급한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인입되는 인입홈(51a)이 형성된다(도 5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발장 상승이송부(500)는 발장(30)의 우측 지지바(32)를 간섭로드(92)에 의해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이격레일(91)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자유롭게 함으로써, 발장(30)이 경사지게 이송되는 동안 좌측 지지바(31)를 힌지축으로 회동되어 주이송체인(110)의 경사진 경로를 따라 원활하게 상승된다.
따라서, 발장 상승이송부(500)에 의해 상대적으로 높아진 해태 건조장치의 제1건조부(40)로 발장(30)을 상승이송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김 제조기의 전체 높이를 해태 건조장치의 높이와 동일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김 제조기의 높이상승으로 야기될 수 있는 불편한 김 제조기의 수리 및 보수작업이 간편해진다.
도 1에서 참조부호 80은 발장역전부로서 제2건조부(60)를 지나 주이송체인(110)으로 전달된 발장(30)을 해태가 발장(30)의 하면에 위치되도록 뒤집을 수 있게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1건조부(40)와 제2건조부(60) 사이에서 발장(30)을 역전시키는 또 다른 구조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발장중계부는 경사지지 스프로킷(161)(162), 주레일(152), 역전레일(153) 및 분리레일(155)을 구비한다.
경사지지 스프로킷(161)(162)은 제1건조부(40)와 제2건조부(60) 사이를 지나는 주이송체인(110)이 제1,2건조부(40)(60)의 사이에서 하방으로 진행할 수록 오른쪽으로 경사지게 직선형태로 이송되도록 주이송체인(161)을 지지하여 경사직선 중계경로(167)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제1전달 가이드 스프로킷(91)으로 제2건조부를 향하는 이송경로상에 두 개의 경사지지 스프로킷(161)(162)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경사지지 스프로킷(161)까지가 제2건조부(60)로 발장을 전달하기 위한 경사직선 중계경로(167)에 해당한다.
주레일(152)은 주이송체인(110)의 경사직선 중계경로(167)를 따라 형성되어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걸리어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역전레일(153)은 경사직선 중계경로(167)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주레일(152)을 따라 이송되는 동안 발장(30)의 우측 지지바(32)를 간섭에 의해 선회시켜 발장(30)이 뒤집어질 수 있게 선회가이드용 경로를 갖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역전레일(153)은 선회가이드 경로에 의해 발장(30)을 역전시킨 이후 발장(30)의 좌우측 지지바(31)(32)가 모두 주이송레일(110)의 간섭구(111)에 삽입되어 이송될 수 있게 선회가이드경로로 부터 연장되게 형성된 밀착경로(153b)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분리레일(155)은 역전레일(153)에 의해 역전된 후 주이송체인(110)을 따라 양측 지지바(31)(32)가 모두 간섭구(111)에 지지된 상태로 이송되는 발장을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간섭하여 제2건조부(60)의 수직바(65)에 의해 제2건조부(60)로 이송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분리레일(155)의 간섭면(155a)은 경사직선 중계경로(167)가로지르는 방향을 따라 상부에서 하방으로 진행할 수록 제2건조부(60)를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발장(30)은 분리레일(155)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후단의 지지바(32)는 주이송체인(110)에 지지되고 선단의 지지바(31)는 분리레일(155)에 분리된다.
참조부호 157은 분리레일(155)에 의해 선단의 지지바(31)가 분리될 때 선단의 지지바(31)가 상승되고 있는 수직바(45) 사이로 진입될 수 있게 제2건조부(60)의 진입방향을 향해 안내할 수 있게 간섭하는 진입가이드 롤러이다.
한편, 제2건조부(60)로부터 참조부호 93으로 표기된 지지스프로킷을 거쳐 발장(30)이 이송되는 과정에서 다시 한번 역전시키기 위한 발장 역전부(80)가 제2건조부(60)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참조부호 81 및 85는 주이송체인(110)에 지지된 한측의 지지바(32)를 지지되게 간섭하여 주이송체인(110)의 이송경로를 따라 구속상태로 발장(30)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구속 가이드 레일이고, 참조부호 82는 내측으로 만곡되게 형성되어 주이송체인(110)으로 분리된 부분의 발장(30)을 간섭하여 선회시키는 역전레일이다.
한편,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발장 중계부가 발장을 비역전상태로 제2건조부(60)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고, 그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발장 중계부는 경사지지 스프로킷(161)(162), 주레일(352), 진입안내레일(358) 및 분리레일(355)을 구비한다.
주레일(352)은 주이송체인(110)의 경사직선 중계경로(167)를 따라 형성되어 발장(30)의 좌측 지지바(31)가 걸리어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이송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분리 레일(355)은 주이송체인(110)을 따라 이송되는 발장을 주이송체인(1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간섭하여 제2건조부(60)의 수직바(45)에 의해 제2건조부(60)로 이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진입안내 레일(358)은 경사직선 중계경로(167)에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발장(30)이 분리레일(355)에 진입되기 전까지 발장의 제2건조부(60)로의 진입방향을 간섭에 의해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359는 발장이 분리레일(155)에 의해 완전히 분리되기 전까지 발장(30)을 간섭하여 제2건조부(60)의 진입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게 간섭하는 진입가이드 롤러이다.
참조부호 95는 제2건조부(60)를 거쳐 주이송체인(110)으로 다시 이송되는 발장(30)의 주이송체인(110)에 지지되지 않은 지지바(32) 부분을 간섭하여 구속가이드 레일(87)에 진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구속안내 레일(95)이다.
이러한 구조의 발장 중계부를 적용하는 경우 구조는 상대적으로 단순해 지는 장점을 제공한다.
10 : 하우징 20 : 온풍공급부
30 : 발장 40 : 제1건조부
50 : 발장 중계부 60 : 제2건조부
70 : 구동부 80 : 지지스프로킷
90 : 이격수단 100 : 해태 성형부
200 : 해태 탈수부 300 : 해태 건조부
400 : 해태 분리부 500 : 발장 상승이송부

Claims (3)

  1. 메인 구동부에 의해 간헐적으로 이송되는 주이송체인과, 상기 주이송체인에 마련된 간섭구에 의해 이송되는 발장과, 상기 발장의 발에 해태를 성형하는 해태 성형부와, 상기 해태 성형부에 의해 상기 발에 성형된 해태를 탈수시키는 해태 탈수부와, 상기 해태 탈수부에 의해 탈수된 해태를 건조시키는 해태 건조부와, 상기 발장 위에 건조된 해태를 분리하는 해태 분리부로 이루어진 김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해태 건조부는
    내부에 건조공간을 구비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된 온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온풍이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공간에서 이송되는 해태를 건조하는 온풍공급부와;
    상기 건조공간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상기 해태 탈수부를 거친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1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1건조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상기 발장을 전달받아 상기 주이송체인을 통해 이송시키는 발장 중계부와;
    상기 제1건조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건조공간의 하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장 중계부를 거쳐 진행되는 상기 발장을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전달받아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제2서브이송체인에 의해 순환시켜 상기 해태가 재건조되게 하며, 상기 주이송체인으로 복귀시키는 제2건조부와;
    상기 제1, 2서브이송체인을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장은
    상기 주이송체인 및 상기 제1,2서브이송체인에 간섭되고, 상호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된 좌/우측 지지바와;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사이에 상기 좌/우측 지지바의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다수 마련되고, 상기 해태가 성형되는 다수의 발로 이루어지고,
    상기 해태 탈수부를 거친 상기 발장을 상대적으로 높아진 상기 해태 건조부의 상기 제1건조부로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해태 탈수부와 상기 제1건조부의 사이에 이송되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경사지게 이송되도록 하여 상기 발장을 상승시켜 제1건조부에 이송시키는 발장 상승이송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장 상승이송부는
    상기 주이송체인이 상기 해태 탈수부와 상기 제1건조부의 사이에서 경사진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주이송체인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스프로킷과;
    상기 주이송체인이 경사진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발장의 우측 지지바를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이격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수단은
    상기 주이송체인의 경사진 경로상에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격되게 설치된 이격레일과;
    상기 해태 탈수부측 상기 이격레일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발장의 우측 지지바를 상기 주이송체인으로부터 이격시켜 상기 이격레일에 위치시키는 간섭로드와;
    상기 메인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간섭로드를 회동시키는 구동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메인구동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간헐적인 회전으로 변환하는 간헐구동 인덱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제조기.
KR1020110077929A 2008-05-30 2011-08-04 김 제조기 KR101200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1232 2008-05-30
KR1020080051232 2008-05-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57A Division KR101115596B1 (ko) 2008-05-30 2009-05-25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911A KR20110103911A (ko) 2011-09-21
KR101200558B1 true KR101200558B1 (ko) 2012-11-13

Family

ID=416867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57A KR101115596B1 (ko) 2008-05-30 2009-05-25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KR1020110077929A KR101200558B1 (ko) 2008-05-30 2011-08-04 김 제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5657A KR101115596B1 (ko) 2008-05-30 2009-05-25 해태 건조장치 및 이를 적용한 김 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1155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710A (ko) * 2014-07-14 2016-01-25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464B1 (ko) * 2011-06-27 2013-07-24 박유선 김 제조기의 해태 건조장치
CN103519250B (zh) * 2013-10-18 2014-10-22 陈德光 一种紫菜制品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KR102175050B1 (ko) 2018-12-28 2020-11-05 강신탁 김 건조율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키는 김 공급장치
KR102331527B1 (ko) * 2019-11-21 2021-11-26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의 발장 클리닝 장치
KR102162014B1 (ko) 2020-01-29 2020-10-06 가람전자(주) 김 계수 및 정렬 건조장치
KR102174749B1 (ko) 2020-03-10 2020-11-05 가람전자(주) 원초김 자동 정렬 및 결속장치
KR102338638B1 (ko) * 2021-09-17 2021-12-14 황영진 해태건조기용 발장 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60B1 (ko) * 2007-04-19 2008-07-02 박유선 해태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9635Y1 (ko) * 2002-06-19 2002-09-16 최광주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60B1 (ko) * 2007-04-19 2008-07-02 박유선 해태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8710A (ko) * 2014-07-14 2016-01-25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
KR101629408B1 (ko) 2014-07-14 2016-06-10 유한회사 진성 해태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5596B1 (ko) 2012-03-05
KR20090124946A (ko) 2009-12-03
KR20110103911A (ko)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0558B1 (ko) 김 제조기
JP4083020B2 (ja) 動物飼育装置および動物飼育方法
CN202057163U (zh) 全自动纸管烘干机
CN102210477B (zh) 全自动红枣去核机
CN201800947U (zh) 自动装盒机入盒推杆装置
CN203987955U (zh) 组合式鞋底清洗机
CN208067222U (zh) 一种螺丝搓牙装置
CN206629684U (zh) 一种转盘式挤奶机
CN109051702A (zh) 一种自动感应步进式暂存载物台及其暂存方法
CN113995151A (zh) 一种可对新鲜蔬菜进行清洁脱水一体化装置
CN205739720U (zh) 一种纱线传送储料机构
KR100775673B1 (ko) 해태 건조기
KR101095661B1 (ko) 해태 건조장치
CN218898141U (zh) 一种新型食材自动穿串设备
CN204742396U (zh) 一种湿面条补粉机
CN214594090U (zh) 一种摆动式洗地瓜装置
KR200289635Y1 (ko) 해태 건조기의 발장 반전장치
CN112857011A (zh) 一种粪料发酵用烘干设备及物料输送机
CN213991717U (zh) 一种辣椒收获机用辣椒提升机构
CN201983555U (zh) 水力输冰系统
CN209536174U (zh) 一种蛋托自动供应机
CN206701781U (zh) 一种松花蛋自动清洗装置
CN108651326B (zh) 一种集蛋机
CN218380343U (zh) 粪料发酵用烘干设备及物料输送机
CN105730990B (zh) 一种平面双向交错同步输送蕉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