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3742B1 - 배터리식 천공기 - Google Patents

배터리식 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3742B1
KR101823742B1 KR1020157034597A KR20157034597A KR101823742B1 KR 101823742 B1 KR101823742 B1 KR 101823742B1 KR 1020157034597 A KR1020157034597 A KR 1020157034597A KR 20157034597 A KR20157034597 A KR 20157034597A KR 101823742 B1 KR101823742 B1 KR 10182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battery
frame
battery housing
fron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5743A (ko
Inventor
도시키 요코야마
Original Assignee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토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5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5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01Housing of the drill, e.g. handg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45/00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 B23B45/02Hand-held or like portable drilling machines, e.g. drill guns; Equipment therefor driven by electric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021Stands, supports or guiding device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for securing them to the work
    • B25H1/0057Devices for securing hand tools to the work
    • B25H1/0064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 B25H1/0071Stands attached to the workpiece by 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24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과제) 천공기의 소형 경량화
(해결 수단) 천공기에 있어서, 하면 벽부 및 전면 벽부에 의해 L 형을 이루는 프레임과, 전면 벽부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되어 있고,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천공 구동부와, 그 천공 구동부와 별도의 부재로 되어, 천공 구동부의 모터의 구동 전원으로서의 배터리를 전면 벽부의 후측에서 또한 하면 벽부의 상측의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갖도록 한다. 프레임은 천공 공구에 의한 천공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강도를 갖도록 한다.

Description

배터리식 천공기{BATTERY-OPERATED DRILLING MACHINE}
본 발명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가반형의 천공기에 관한 것이다.
가반형의 천공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과 드릴 등의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갖고 프레임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장착된 천공 구동부와, 프레임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당해 천공기를 피가공물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 유지하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프레임은 내부 공간을 갖고, 그 내부 공간에는 천공 구동부의 모터 등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나 전기 배선 등이 배치된다. 그 프레임은 통상적으로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의 주물로 제작되어 있고, 그 때문에 제작 가능한 형상이 한정되고. 벽 두께가 커지며, 장치 전체로서의 사이즈 및 중량이 커져 있었다.
최근에는 이 종류의 천공기의 가반성을 높이기 위해서, 천공 공구 구동용으로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이 사용되도록 되어 왔고, 통상적으로 배터리는 프레임에 형성되는 배터리 수납부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주물로서 성형되는 프레임은 사이즈 및 중량이 보다 큰 것이 된다.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7-35698호
그래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사용한 천공기로서, 이와 같은 종래의 것보다 소형 경량화를 가능하게 하는 천공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천공기에 있어서,
천공 가공을 받는 피가공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면 벽부 및 그 하면 벽부에 연접하고 그 하면 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면 벽부와 함께 L 형을 이루는 전면 벽부를 갖는 프레임과,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천공 구동부로서, 상기 전면 벽부의 앞쪽 (前側) 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 벽부가 상기 피가공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 공구를 그 피가공물에 대해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리거나 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벽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천공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과는 별도의 부재로 준비되어, 그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원으로서의 배터리를, 상기 전면 벽부의 후측에서 또한 상기 하면 벽부의 상측의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천공 공구에 의한 상기 천공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강도를 갖도록 된 천공기를 제공한다.
당해 천공기에 있어서는, 천공 구동부를 지지함과 함께 천공 공구에 의한 천공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강도를 갖도록 된 프레임과, 그 프레임에 장착되는 배터리 하우징을 별도의 부재로서 구성함으로써, 배터리 하우징의 기계적 강도는 작은 것이어도 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주물 등으로 만들 필요없이 수지 등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또, 형상의 선택의 자유도도 커져, 당해 천공기를 보다 소형이고 또한 경량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를 배치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의 각각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 하우징을 좌우로 분할한 구조로 함으로써, 내부에 회로나 배선 등을 장착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면 벽부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 벽부를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배터리에 접속된 전자석식 고정부이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석식 고정부를 기동시키기 위한 전자석 스위치와, 상기 모터를 기동시키기 위한 모터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 스위치와 상기 모터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좌우의 상이한 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2 개의 스위치를 좌우의 상이한 측의 측면에 배치함으로써, 스위치로의 배선이 간섭하기 어려워져,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장착성도 향상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벽부 또는 상기 하면 벽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 제어 회로를 이와 같은 배치로 함으로써, 쓸데없는 공간이 적어져, 당해 천공기를 더욱 소형인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이 금속제이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수지제이도록 할 수 있다.
비교적 중량이 있고 또한 천공 가공 중에 천공 공구로부터 큰 힘을 받는 천공 구동부를 지지하는 L 형의 프레임은 금속제로서 충분한 강도를 갖게 하면서, 지나치게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 배터리 하우징은 수지제로 함으로써, 장치 전체로서의 경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배터리를 유지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수지제로 함으로써, 배터리의 접속 단자의 금속 부재로의 접촉에 의한 단락을 방지함과 함께, 통상적으로는 수지의 케이싱으로 덮여 있는 배터리가 배터리 하우징에 대해 착탈되었을 때에 배터리가 마모되거나 손상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면 벽부 및 상기 전면 벽부의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좌우의 리브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좌우의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프레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상기 전면 벽부의 후측에서 그 전면 벽부에 마주 보도록 설정된 중간 벽부와, 그 중간 벽부의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좌우의 측벽부를 갖고, 상기 중간 벽부와 상기 좌우의 측벽부에 의해 상기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 공간을 확정하도록 할 수 있다.
배터리를 수용하기 위한 배터리 수용 공간이 천공 구동부가 장착되는 전면 벽부에서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있고, 그에 따라 비교적 중량이 있는 구동 제어부와 배터리가 전후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므로, 장치 전체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해져 장치가 전도되기 어려워짐과 함께, 운반시에도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발열체인 모터와 배터리가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므로, 효율적인 폐열과 냉각도 가능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터리 수용 공간은 상기 좌우의 측벽부 사이에 끼인 바닥면 벽부를 추가로 갖고, 그 바닥면 벽부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배터리 수용 공간 내에 물이 들어갔을 때에 그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도록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우측 부분의 상부에는 우측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좌측 부분의 상부에는 좌측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우측 손잡이부 및 좌측 손잡이부가 하나의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우측 손잡이부에서 좌측 손잡이부에까지 연장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우측 손잡이부 및 좌측 손잡이부가 연결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당해 천공기를 운반할 때에 큰 힘이 가해지는 손잡이 내에 나사를 연장시킴으로써, 그 나사의 강도를 이용하여 손잡이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벽부의 전면에 도브테일홈 (dovetail groove) 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 구동부에 상기 도브테일홈과 슬라이딩하여 걸어맞추는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프레임의 전면 벽부에 직접 도브테일홈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부품 점수를 줄임과 함께 장치를 보다 소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는 상기 내부 공간 내의 하방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상방 위치에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와 배선 접속된 회로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구동 제어 회로와 상기 회로 부재 사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판을 갖고, 그 칸막이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그 개구부와 밀봉하여 걸어맞추는 시일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은 상기 개구부를 지나 배선되어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칸막이판에 대해 밀봉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의 상방에 위치하는 회로 부재의 주위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구동 제어 회로가 배치되는 내부 공간의 하방에까지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천공기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의 전방 좌측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전방 우측면측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체부의 분해도이다.
도 5 는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배터리가 분리된 상태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배터리가 장착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 은 도 1 에 나타내는 천공기의 천공 구동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천공 구동부의 다른 각도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 (10) 는,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부 (12) 와, 본체부 (12) 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왕복동하도록 그 본체부 (12) 의 전방에 장착된 천공 구동부 (14) 와, 본체부 (12) 의 후방 상부에 장착된 배터리 (16) 와, 본체부 (12) 의 하방에 장착되고 본체부 (12) 를 당해 천공기 (10) 에 의한 천공 작업 위치에 고정 유지하기 위한 전자석식 고정부 (18) 를 구비한 배터리식의 가반형의 천공기 (10) 이다. 이 천공기 (10) 는, 전자석식 고정부 (18) 에 의해 소정의 천공 작업 위치에 고정된 상태에서, 천공 구동부 (14) 의 하단에 장착된 천공 공구 (44) 를 모터 (48) 에 의해 회전 구동하고, 본체부 (12) 에 장착된 이송 핸들 (66) 을 회전시킴으로써, 랙 (64) 과 피니언 (65) 으로 이루어지는 기어 장치를 통하여, 천공 구동부 (14) 를 본체부 (12) 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시켜 천공 공구 (44) 에 의한 가공 대상물로의 천공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체부 (12)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천공 구동부 (14) 가 장착되는 전면 벽부 (20-1) 및 전자석식 고정부 (18) 가 장착되는 하면 벽부 (20-2) 에 의해 L 형을 이루는 프레임 (20) 과, 그 프레임 (20) 에 장착되어 배터리 (16) 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도록 한 배터리 하우징 (22) 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비교적으로 큰 힘이 가해지는 천공 구동부 (14) 와 전자석식 고정부 (18) 가 직접 장착되는 프레임 (20) 은 알루미늄제로서 필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고, 한편, 그만큼 큰 힘이 가해지지 않는 배터리 하우징 (22) 은 수지제로 함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배터리 하우징 (22) 을 수지제로 함으로써, 배터리 (16) 의 접속 단자 (도시 생략) 가 접하더라도 단락되는 경우도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L 형을 이루는 프레임」이란, 예를 들어, 하면 벽부 (20-2) 의 일부가 전면 벽부 (20-1) 보다 더욱 전방으로까지 연장되어 있어, 전체로서의 형상이 L 자상이 아닌 경우라도, 그 프레임 (20) 의 구조 중에 L 자상의 부분이 구성되어 있는 것이면, 그러한 프레임도 이 「L 형을 이루는 프레임」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20) 에는, 전면 벽부 (20-1) 및 하면 벽부 (20-2) 의 우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우측 리브 (20-3) 와 좌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좌측 리브 (20-4)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좌우의 리브 (20-3, 20-4) 에 의해 천공 구동부 (14) 를 지지하는 프레임 (20) 의 강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좌우의 리브 (20-3, 20-4) 의 상단 부분의 사이에는, 좌우의 측면 (20-10, 20-11) 사이에서 연장되는 핸들 설치용 구멍 (20-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핸들 설치용 구멍 (20-8) 중에는, 이송 핸들 (66) 이 장착되는 샤프트 (23-1) 와, 이송 핸들 (66) 에 의한 그 샤프트의 회전을 천공 구동부 (14) 의 상하로의 움직임으로 변환하기 위한 피니언 (65) (도 3, 도 7) 을 수납하는 원통상의 기어 기구부 (23) 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 하우징 (22) 은, 중앙 부분에서 분할된 우측 부분 (22-1) 과 좌측 부분 (22-2) 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우측 부분 (22-1) 과 좌측 부분 (22-2) 은 프레임 (20) 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그 프레임 (20) 에 장착된다. 배터리 하우징 (22) 이 프레임 (20) 에 장착되면, 배터리 하우징 (22) 과 프레임 (20) 사이에 내부 공간 (24) (도 3) 이 형성된다. 이 내부 공간 (24) 에 있어서의 좌우의 리브 (20-3, 20-4) 의 사이에 끼인 위치에는, 전면 벽부 (20-1) 와 평행하게 구동 제어 회로 (36) (도 4) 가 배치된다. 이 구동 제어 회로 (36)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16) 로부터 천공 구동부 (14) 의 모터 (48) 나 전자석식 고정부 (18) 내의 전자석 (18-1) 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또한, 이 구동 제어 회로 (36) 는 하면 벽부 (20-2) 와 평행하게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레임 (20) 에는, 전면 벽부 (20-1) 의 상면 (20-12) 에서 우측면 (20-10) 및 좌측면 (20-11) 의 하단에까지 각각 연장되는 걸어맞춤홈 (20-5) 이 형성되어 있다. 하면 벽부 (20-2) 는 상부 판상부 (20-2a) 및 그 상부 판상부 (20-2a) 와 일체 성형된 하부 블록상부 (20-2b) 를 갖는다. 한편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를 받아들이는 전면 개구부 (22-4) 와 하면 벽부 (20-2) 를 받아들이는 하면 개구부 (22-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전면 개구부 (22-4) 의 상부 및 상하 방향의 가장자리 그리고 하면 개구부 (22-5) 의 가장자리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된 가장자리 (22-6) 가 형성되고 있고, 배터리 하우징 (22) 을 프레임 (22) 에 장착한 때에, 이 돌출된 가장자리부 (22-6) 가 프레임의 걸어맞춤홈 (20-5) 및 상부 판상부 (20-2a) 의 가장자리부의 하면 (20-6) 에 걸어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또한 프레임 (20) 의 핸들 설치용 구멍 (20-8) 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된 원환상 가장자리부 (22-8) 도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 (20) 과 배터리 하우징 (22) 의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 부분을 이와 같이함으로써, 구동 제어 회로 (36) 가 위치하는 내부 공간 (24) 내에 먼지나 물이 외부로부터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프레임 (20) 의 좌우의 리브 (20-3, 20-4) 에 형성된 원형의 걸어맞춤 오목부 (20-9) 에 걸어맞춰지는 6 개의 돌기가 원형상으로 나열된 걸어맞춤 돌기부 (22-9) 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하우징 (22) 과 프레임 (20) 의 걸어맞춤이 보다 강고해지도록 하고 있다.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그 우측면 (22-14) 및 좌측면 (22-15) (도 1) 의 각각에 나사 삽입 통과 구멍 (22-11) 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 (82) (도 1) 를 이들 나사 삽입 통과 구멍 (22-11) 을 지나 프레임 (20) 의 우측면 (20-10) 및 좌측면 (20-11) 에 각각 형성된 4 개의 나사 구멍 (21) 에 걸어맞춤으로써, 배터리 하우징 (22) 은 프레임 (20) 에 고정된다. 또한, 우측 부분 (22-1) 에 형성된 6 개의 나사 삽입 통과 구멍 (22-12) 을 통과한 나사를 좌측 부분 (22-2) 에 형성된 6 개의 나사 구멍 (22-13) 에 걸어맞춤으로써, 우측 부분 (22-1) 과 좌측 부분 (22-2) 을 직접적으로 연결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이 프레임 (20) 에 대해 많은 지점에서 고정되게 되어 있으므로, 배터리 하우징 (22) 에 큰 힘이 가해진 때에도 응력 집중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배터리 하우징 (22) 이 파손될 위험성이 낮아진다.
배터리 하우징 (22) 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 (26)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의 우측 부분 (22-1) 에 형성된 우측 손잡이부 (26-1) 와 좌측 부분 (22-2) 에 형성된 좌측 손잡이부 (26-2) 로 이루어지고, 우측 부분 (22-1) 과 좌측 부분 (22-2) 이 프레임 (20) 에 장착될 때에 우측 손잡이부 (26-1) 및 좌측 손잡이부 (26-2) 가 하나의 손잡이 (26) (도 1) 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우측 손잡이부 (26-1) 와 좌측 손잡이부 (26-2) 는, 우측 손잡이부 (26-1) 에서 좌측 손잡이부 (26-2) 에까지 연장되는 나사 (27) (도 2) 에 의해 연결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이 나사가 보강재로서도 기능하여 손잡이 (26) 의 강도를 크게 하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의 후방 상부에는 배터리 (16) 를 받아들이기 위한 배터리 수용 공간 (28)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터리 수용 공간 (28) 에 배터리 (16) 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 공간 (28) 은,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의 후측에서 그 전면 벽부 (20-1) 에 마주 보도록 설정된 중간 벽부 (28-1) 와, 이 중간 벽부 (28-1) 에 연접한 바닥면 벽부 (28-2) 와, 중간 벽부 (28-1) 의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 (28-3) 및 좌측 벽부 (28-4) 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서 획정되어 있다. 배터리 수용 공간 (28) 의 상부 및 후부는 개방되어 있고, 배터리 (16) 는 개방된 상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배터리 수용 공간 (28) 내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장착된다. 바닥면 벽부 (28-2) 는 전방에서 후부를 향하여 하방으로 약간 경사져 있고, 배터리 수용 공간 (28) 에 침입한 물이 자연스럽게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배터리 (16) 는 배터리 수용 공간 (28) 내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접속 단자가 아래를 향하게 되어 있어 물이나 먼지가 배터리 (16) 중에 침입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배터리 하우징 (22) 의 상부에는, 배터리 커버 (30) 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도 6 에 나타내는 배터리 (16) 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배터리 커버 (30) 가 배터리 하우징 (22) 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어 배터리 (16) 의 경사진 커버 걸어맞춤면 (16-1) (도 3) 에 맞닿고, 배터리 (16) 를 배터리 하우징 (22) 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배터리 커버 (30) 가 배터리 하우징 (22) 의 중간 벽부 (28-1) 와 배터리 (16) 사이의 간극을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상부로부터 덮어 가리므로, 절분 (切紛) 이나 물 등이 배터리 (16) 의 단자부에 침입하기 어려워진다. 배터리 (16) 를 분리할 때에는, 배터리 커버 (30) 를 전방으로 눌러 배터리 하우징 (22) 내로 퇴피시키고 나서, 배터리 (16) 를 상방으로 꺼내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 커버 (30) 를 형성함으로써, 배터리 (16) 가 부주의하게 벗어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3 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 커버 (30) 의 배터리 하우징 (22)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스위치 걸어맞춤 돌기부 (30-1) 가 형성되어 있고, 배터리 커버 (30) 가 후방으로 돌출하여 배터리 (16) 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본체부 (12) 에 형성된 리밋 스위치 (32) 를 눌러 ON 으로 하고, 전방으로 퇴피한 상태에서는 리밋 스위치 (32) 를 OFF 로 하도록 되어 있다. 이 리밋 스위치 (32) 는 내부 공간 (24) 에 배치된 구동 제어 회로 (36) 에 접속되어 있고, 배터리 (16) 가 올바르게 장착되어 있는지, 또, 배터리 (16) 를 벗어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지를 감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장착된 배터리 (16) 는, 구동 제어 회로 (36)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 구동 제어 회로 (36) 를 통하여 모터 (48) 및 전자석식 고정부 (18) 에 전력을 공급한다. 배터리 (16) 로부터 모터 (48) 및 전자석식 고정부 (18) 에 공급되는 전력은, 구동 제어 회로 (36) 에 의해 적절히 제어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과 프레임 (20)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 (24) 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방 내부 공간 (24-1) 에는, 구동 제어 회로 (36)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당해 천공기 (10) 의 상태를 배터리 하우징 (22) 의 상부의 LED 표시부 (33) (도 1) 에 표시하기 위한 LED 표시 회로 (34) 가, 배터리 하우징 (22) 의 외부로부터 보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LED 표시 회로 (34) 는 녹색, 황색, 적색의 LED 를 갖고, 이들 LED 의 점멸 상태에 의해 작업자에게 배터리 (16) 의 잔량이나 모터 (48) 로의 부하의 정도를 알리거나 이상 발생시의 경고를 하거나 한다. 또한, 녹색, 황색, 적색의 별개의 LED 대신에, 하나의 소자로서 패키징되어 상이한 색을 발광할 수 있는 하나의 LED 를 사용하도록 해도 된다. LED 표시 회로 (34) 의 하측에는, 상기 서술한 리밋 스위치 (32) 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제어 회로 (36) 와 LED 표시 회로 (34) 및 리밋 스위치 (32) 사이에는, 각각 수축 튜브 등으로 덮인 배선 (35)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터리 하우징 (22) 에는, 구동 제어 회로 (36) 와 LED 표시 회로 (34) 및 리밋 스위치 (32) 사이의 위치에 칸막이판 (38) 이 형성되어 있고, 구동 제어 회로 (36) 가 배치되는 하방 내부 공간 (24-2) 을 LED 표시 회로 (34) 및 리밋 스위치 (32) 가 배치되는 상방 내부 공간 (24-1) 으로부터 분리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의 우측 부분 (22-1) 에 형성된 우측 칸막이판 (38-1) 과 좌측 부분 (22-2) 에 형성된 좌측 칸막이판 (38-2) 이 그 사이에 L 자상의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대향하고, 그 개구부에 L 자상의 시일 부재 (39) 가 밀봉하여 걸어맞추도록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 (39) 의 중앙부에는 배선 삽입 통과 구멍 (39-1) 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배선 삽입 통과 구멍 (39-1) 에 LED 표시 회로 (34) 및 리밋 스위치 (32) 에 접속된 배선 (35) 을 통과하여 밀봉되게 되어 있다. 칸막이판 (38) 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 상방 내부 공간 (24-1) 에 위치하는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의 부분에는 배수구 (80) 가 형성되어 있다. 상방 내부 공간 (24-1) 은, 배터리 하우징 (22) 의 외부로 돌출되는 배터리 커버 (30) 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므로, 외부에 대해 밀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비 등의 물이 침입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경사진 칸막이판 (38) 과 배수구 (80) 를 갖는 구조에 의해, 상방 내부 공간 (24-1) 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구동 제어 회로 (36) 가 위치하는 하방 내부 공간 (24-2) 에는 침입시키지 않고 그 물을 배수구 (80) 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로써, 구동 제어 회로 (36) 가 물에 젖어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부 판상부 (20-2a) 의 상면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고, 만일, 하방 내부 공간 (24-2) 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상부 판상부 (20-2a) 의 후단에 형성된 배수홈 (20-13) 으로부터 외부로 물이 배출되도록도 되어 있다.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의 전면에 장착된 천공 구동부 (14) 의 하부에 위치하는 아버 (40) 에는, 드릴이나 환상 커터 등의 천공 공구 (44) 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버 (40) 는 감속기 (45) 를 통하여 천공 구동부 (14) 의 상부의 모터 커버 (46) 내에 형성된 모터 (48) 에 연결되어 있고, 이 모터 (48) 를 구동시킴으로써 천공 공구 (44) 를 회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 커버 (46) 의 측면 (50) 에는 복수의 통기공 (52) 이 형성되어 있고, 그 통기공 (52) 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모터 (48) 를 냉각시키도록 되어 있다. 통기공 (52) 을 상면 (54) 이 아니라 측면 (50) 에 형성하고 있는 것은, 물이나 절분, 분진 등의 먼지가 가능한 한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천공 구동부 (14) 의 좌측면에는, 절삭유의 주입구가 되는 플러그 (56) 가 형성되어 있고, 그 플러그 (56) 에 호스가 부착된 원터치식 소켓을 장착함으로써, 천공 가공 중인 천공 공구 (44) 에 절삭유를 공급하게 되어 있다.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의 전면에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브테일홈 (62) 이 형성되고, 천공 구동부 (14) 에는,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좌우 양측 가장자리가 도브테일홈 (62) 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된 슬라이더 (6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 (63) 에는 랙 (64) (도 8) 이 형성되고, 프레임 (20) 에는 랙 (64) 에 걸어맞추는 피니언 (65) (도 7) 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20) 의 우측면 (20-10) (도 2) 에 돌출되어 있는 샤프트 (23-1) 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 이송 핸들 (66) 을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피니언 (65) 을 회전시켜 천공 구동부 (14) 를 프레임 (20) 에 대해 상하로 움직이게 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이송 핸들 (66) 은 프레임 (20) 의 좌측면 (20-11) 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 (23-1) 의 단부에 장착할 수도 있고, 상황에 따라 좌우 어느 쪽으로도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천공 구동부 (14) 의 모터 (48) 로부터 연장되는 배선 (68) 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브테일홈 (62) 과 슬라이더 (63) 에 형성된 배선 삽입 통과로 (69) (도 7, 8) 를 지나 본체부 (12) 의 내부 공간 (24) 내에 이르러 구동 제어 회로 (36) 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에는 거의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배선이 걸리거나 하여 과대한 힘이 가해져 배선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체부 (12) 의 하방에 장착된 전자석식 고정부 (18) 는 내부의 전자석 (18-1) 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자계를 발생시키고, 철 등의 자성체에 자기 흡착하여, 당해 천공기 (10) 를 고정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전자석식 고정부 (18) 와 프레임 (20) 사이에는 위치 조정 기구 (58) 가 형성되어 있고, 위치 조정 기구 (58)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위치 조정 핸들 (60) 을 돌림으로써 본체부 (12) 의 위치를 전자석식 고정부 (18) 에 대해 전후 좌우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어, 천공 위치를 미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위치 조정 핸들 (60) 은 위치 조정 기구 (58) 의 우측면에 장착할 수도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의 좌측면 (22-15) 에는, 전자석식 고정부 (18) 를 기동시키기 위한 전자석 스위치 (70) 가 형성되어 있다. 전자석 스위치 (70) 의 주위에는 벽 (72) 이 형성되어 있고, 전자석 스위치 (70) 가 부주의하게 조작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전자석 스위치 (70) 는 후방측 (도 1 에서 봤을 때 좌측) 의 부분을 누르면 OFF 가 되게 되어 있지만, 벽 (72) 은 그 후방측의 부분이 높아져 있고, 전자석 스위치 (70) 가 특히 ON 에서 OFF 로 잘못하여 전환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터리 하우징 (22) 의 우측면 (22-14) 에는, 모터 (48) 를 기동시키기 위한 모터 스위치 (74) 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스위치 (74) 의 주위에도 벽 (76) 이 형성되어 있고, 모터 스위치 (74) 가 부주의하게 조작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전자석 스위치 (70) 와 모터 스위치 (74) 를 배터리 하우징 (22) 의 좌우의 상이한 측의 측면 (22-14, 22-15) 에 배치함으로써, 스위치를 배치하는 장소의 확보가 용이해진다. 또 내부 공간 (24) 내에서의 배선의 간섭도 작아지므로, 배터리 하우징 (22) 을 작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자석 스위치 (70) 와 모터 스위치 (74) 를 잘못하여 조작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천공기 (10) 는, 본체부 (12) 를 별도의 부재로 된 알루미늄제의 L 형의 프레임 (20) 과 수지제의 배터리 하우징 (22) 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소형 경량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 비교적 중량이 있는 배터리 (16) 를 마찬가지로 중량이 있는 천공 구동부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하여 높은 안정성을 실현하고, 천공 가공 중의 전도를 방지함과 함께 가반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발열체인 모터 (48) 와 배터리 (16) 를 열전도율이 작은 수지를 통하여 떨어진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서로의 열의 영향을 작게 하여 냉각성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 (20) 의 전면 벽부 (20-1) 와 하면 벽부 (20-2) 는 평판상의 부재로 되어 있지만, 원기둥이나 원통상의 부재 등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프레임 (20) 은 알루미늄제로 하고 있지만,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재료이면, 다른 금속 재료나 고강도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료, 또는 복수의 재료의 조합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배터리 하우징 (22) 은 수지제로 하고 있지만,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할 수도 있고, 특히 금속 등의 도전성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배터리 수용 공간 (28) 을 구성하는 부분, 특히 배터리 (16) 의 접속 단자가 접할 가능성이 높은 부분을 수지 등의 비도전성 재료로 구성하도록 하여, 배터리 (16) 의 단락을 방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천공기 (10) 의 고정부는 전자석식이 아니고, 영구 자석을 이용한 것이나 클램프 기구에 의한 것 등 다른 방식을 채용한 고정부로 할 수도 있다.
천공기 : 10
본체부 : 12
천공 구동부 : 14
배터리 : 16
커버 걸어맞춤면 : 16-1
전자석식 고정부 : 18
전자석 : 18-1
프레임 : 20
전면 벽부 : 20-1
하면 벽부 : 20-2
상부 판상부 : 20-2a
하부 블록상부 : 20-2b
우측 리브 : 20-3
좌측 리브 : 20-4
걸어맞춤홈 : 20-5
하면 : 20-6
핸들 설치용 구멍 : 20-8
걸어맞춤 오목부 : 20-9
우측면 : 20-10
좌측면 : 20-11
상면 : 20-12
배수홈 : 20-13
나사 구멍 : 21
배터리 하우징 : 22
우측 부분 : 22-1
좌측 부분 : 22-2
전면 개구부 : 22-4
하면 개구부 : 22-5
돌출된 가장자리부 : 22-6
돌출된 원환상 가장자리부 : 22-8
걸어맞춤 돌기부 : 22-9
내측면 : 22-10
나사 삽입 통과 구멍 : 22-11
나사 삽입 통과 구멍 : 22-12
나사 구멍 : 22-13
우측면 : 22-14
좌측면 : 22-15
기어 기구부 : 23
샤프트 : 23-1
내부 공간 : 24
상방 내부 공간 : 24 -1
하방 내부 공간 : 24 -2
손잡이 : 26
우측 손잡이부 : 26-1
좌측 손잡이부 : 26-2
나사 : 27
배터리 수용 공간 : 28
중간 벽부 : 28-1
바닥면 벽부 : 28-2
우측 벽부 : 28-3
좌측 벽부 : 28-4
배터리 커버 : 30
스위치 걸어맞춤 돌기부 : 30-1
리밋 스위치 : 32
LED 표시부 : 33
LED 표시 회로 : 34
배선 : 35
구동 제어 회로 : 36
칸막이판 : 38
우측 칸막이판 : 38-1
좌측 칸막이판 : 38-2
시일 부재 : 39
배선 삽입 통과 구멍 : 39-1
아버 : 40
천공 공구 : 44
감속기 : 45
모터 커버 : 46
모터 : 48
측면 : 50
통기공 : 52
상면 : 54
플러그 : 56
위치 조정 기구 : 58
위치 조정 핸들 : 60
도브테일홈 : 62
슬라이더 : 63
랙 : 64
피니언 : 65
이송 핸들 : 66
배선 : 68
배선 삽입 통과로 : 69
전자석 스위치 : 70
벽 : 72
모터 스위치 : 74
벽 : 76
배수구 : 80
나사 : 82

Claims (14)

  1. 천공기에 있어서,
    천공 가공을 받는 피가공물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면 벽부 및 그 하면 벽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 하면 벽부와 함께 L 형의 단일 부재를 구성하는 전면 벽부를 갖는 프레임과,
    천공 공구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를 갖는 천공 구동부로서, 상기 전면 벽부의 앞쪽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 벽부가 상기 피가공물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천공 공구를 그 피가공물에 대해 접근시키거나 떨어뜨리거나 하기 위해서 상기 전면 벽부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천공 구동부와,
    상기 프레임과는 별도의 부재로 준비되어, 그 프레임에 고정되어 그 프레임과 함께 당해 천공기의 본체부를 구성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전원으로서의 배터리를 착탈 가능하게 유지하는 배터리 수용 공간을 상기 전면 벽부의 후측에서 또한 상기 하면 벽부의 상측의 위치에 확정하는 배터리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벽부의 후측에서 그 전면 벽부에 마주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 벽부와, 그 중간 벽부의 좌우의 양측에 있어서 그 중간 벽부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는 우측 벽부 및 좌측 벽부를 갖고, 상기 중간 벽부의 후측에서 상기 우측 벽부와 상기 좌측 벽부의 사이에 상기 배터리 수용 공간을 확정하도록 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그 좌우로 분할되어 이루어지는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그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이 각각 상기 프레임에 그 우측 및 좌측으로부터 장착되도록 되고, 상기 프레임과 상기 배터리 하우징 사이에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회로를 배치하기 위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천공 공구에 의한 상기 천공 가공시에 발생하는 부하를 지지하는 강도를 갖도록 된 천공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하면 벽부 및 상기 전면 벽부의 좌우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형성된 좌우의 리브를 갖는 천공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 벽부의 하면에 장착되고, 상기 하면 벽부를 상기 피가공물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전자석식 고정부로서, 상기 배터리에 접속되어 그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자석식 고정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천공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식 고정부를 기동시키기 위한 전자석 스위치와, 상기 모터를 기동시키기 위한 모터 스위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전자석 스위치와 상기 모터 스위치가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좌우의 상이한 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천공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회로가, 상기 내부 공간 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벽부 또는 상기 하면 벽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된 천공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이 금속제이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이 수지제인 천공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우측 벽부 및 좌측 벽부 사이에 끼인 바닥면 벽부를 추가로 갖고, 그 바닥면 벽부가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져 있는 천공기.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기 우측 부분의 상부에는 우측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의 상기 좌측 부분의 상부에는 좌측 손잡이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우측 부분 및 좌측 부분이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우측 손잡이부 및 좌측 손잡이부가 하나의 손잡이를 형성하고, 그 우측 손잡이부에서 좌측 손잡이부에까지 연장되는 나사에 의해 상기 우측 손잡이부 및 좌측 손잡이부가 연결 고정되어 있는 천공기.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전면 벽부의 전면에 도브테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천공 구동부에 상기 도브테일홈과 슬라이딩하여 걸어맞추는 슬라이더가 형성되어 있는 천공기.
  1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회로는 상기 내부 공간 내의 하방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 공간 내의 상방 위치에는 상기 구동 제어 회로와 배선 접속된 회로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터리 하우징은 상기 구동 제어 회로와 상기 회로 부재 사이에서 상기 내부 공간을 상하로 분할하는 칸막이판을 갖고, 그 칸막이판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그 개구부와 밀봉하여 걸어맞추는 시일 부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선은 상기 개구부를 지나 배선되어 상기 시일 부재에 의해 상기 칸막이판에 대해 밀봉되어 있는 천공기.
KR1020157034597A 2013-05-08 2014-05-02 배터리식 천공기 KR101823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8268 2013-05-08
JP2013098268A JP5886786B2 (ja) 2013-05-08 2013-05-08 バッテリ式穿孔機
PCT/JP2014/062136 WO2014181764A1 (ja) 2013-05-08 2014-05-02 バッテリ式穿孔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743A KR20160005743A (ko) 2016-01-15
KR101823742B1 true KR101823742B1 (ko) 2018-01-30

Family

ID=5186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597A KR101823742B1 (ko) 2013-05-08 2014-05-02 배터리식 천공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2995403B1 (ko)
JP (1) JP5886786B2 (ko)
KR (1) KR101823742B1 (ko)
CN (1) CN105246625B (ko)
AU (2) AU2014263591B2 (ko)
TW (1) TWI547329B (ko)
WO (1) WO2014181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2777B2 (ja) * 2013-05-29 2016-07-13 日東工器株式会社 バッテリ式穿孔機
CN113661032B (zh) * 2019-03-25 2024-06-25 日东工器株式会社 电池式电动工具
US11845178B2 (en) 2020-11-03 2023-12-19 Techtronic Cordless Gp Modular work station
CN113042780B (zh) * 2021-04-22 2023-04-28 广州信诺船舶服务有限公司 一种细长孔加工装置及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7825A (en) * 1958-08-20 1961-04-04 Buck Mfg Company Electromagnetic drill support with auxiliary power supply
JPS6196609U (ko) * 1984-11-29 1986-06-21
JPH0683926B2 (ja) * 1988-07-14 1994-10-26 岑男 竹内 消雪ノズルの補修に用いる工事用機械
JPH0735698Y2 (ja) * 1989-06-23 1995-08-16 日東工器株式会社 穿孔機
JPH0748331Y2 (ja) * 1989-07-24 1995-11-08 日東工器株式会社 マグネットベースを具えた携帯式穿孔機の取付け装置
US5126643A (en) * 1991-06-24 1992-06-30 Rotabroach Limited Control system for hole cutting machines
US5342153A (en) * 1993-05-14 1994-08-30 Dobkins Edward L Portable drill support with a work surface engaging base
JP3262415B2 (ja) 1993-07-19 2002-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像読取り装置、表面状態検査装置及び該装置を備える露光装置
JP3027538B2 (ja) * 1996-05-28 2000-04-04 日東工器株式会社 穿孔機制御装置
JP3442969B2 (ja) * 1997-07-09 2003-09-02 日東工器株式会社 孔明け加工機
DE10064173C1 (de) * 2000-12-22 2002-06-13 Rothenberger Werkzeuge Ag Bohrmaschine mit Elektromotor für Gesteinsbohrer
DE20108167U1 (de) * 2001-05-15 2001-08-30 Lehrberger, Andreas, 82377 Penzberg Handbohrmaschine mit Höhenführung zum Bohren von senkrechten Löchern und senkrechten Verschrauben
CN1254353C (zh) * 2001-05-21 2006-05-03 三菱麻铁里亚尔株式会社 钻孔装置及钻孔方法
US6729414B2 (en) * 2002-07-16 2004-05-04 Black & Decker Inc. Cordless drill with metal housing
JP4077777B2 (ja) * 2003-08-29 2008-04-23 日東工器株式会社 低丈型電動ドリル装置
CN2799134Y (zh) * 2005-06-30 2006-07-26 吴彤 双机双控式磁座钻
CN200948510Y (zh) * 2006-09-27 2007-09-19 吕成远 一种改进的磁座钻
US8376667B2 (en) * 2007-07-27 2013-02-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AC/DC magnetic drill press
JP2011251370A (ja) * 2010-06-02 2011-12-15 Kiso Kogyo:Kk マグネットドリル
DE102011006279A1 (de) * 2011-03-29 2012-10-04 Metabowerke Gmbh Bohrvorrichtung mit autarker Energiequelle
CN202539629U (zh) * 2012-01-16 2012-11-21 吕成远 一种改良的磁座钻导滑结构
JP6174432B2 (ja) * 2013-03-29 2017-08-02 日東工器株式会社 バッテリ式穿孔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5743A (ko) 2016-01-15
TW201509569A (zh) 2015-03-16
JP5886786B2 (ja) 2016-03-16
AU2017202536A1 (en) 2017-05-11
CN105246625A (zh) 2016-01-13
EP2995403A4 (en) 2017-01-11
EP2995403A1 (en) 2016-03-16
AU2017202536B2 (en) 2018-11-22
JP2014217915A (ja) 2014-11-20
EP2995403B1 (en) 2020-04-15
AU2014263591B2 (en) 2017-05-04
TWI547329B (zh) 2016-09-01
AU2014263591A1 (en) 2015-12-24
WO2014181764A1 (ja) 2014-11-13
CN105246625B (zh) 2017-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742B1 (ko) 배터리식 천공기
US11305393B2 (en) Dust collector and work tool provided with dust collector
KR101799662B1 (ko) 배터리식 천공기
US8376667B2 (en) AC/DC magnetic drill press
JP7098603B2 (ja) 電動工具
KR101828664B1 (ko) 배터리식 천공기
JP2015150664A (ja) 作業工具
CN113661032B (zh) 电池式电动工具
JP7456869B2 (ja) 自動かんな盤
JP6701653B2 (ja) 電動工具
CN216176662U (zh) 一种新型冷却式机床主轴箱
JP2017056539A (ja) 可搬型動力工具
WO2018225379A1 (ja) せん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