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627B1 -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627B1
KR101822627B1 KR1020160064003A KR20160064003A KR101822627B1 KR 101822627 B1 KR101822627 B1 KR 101822627B1 KR 1020160064003 A KR1020160064003 A KR 1020160064003A KR 20160064003 A KR20160064003 A KR 20160064003A KR 101822627 B1 KR101822627 B1 KR 10182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door
shelf
fram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4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3052A (ko
Inventor
나판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세아방재
Priority to KR1020160064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6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33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3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A62B1/1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mechan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5Suspended platforms, frames or sheets for patient in ly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18Other single parts for rope lowering-devices, e.g. take-up rollers for ropes, devices for shooting r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 프레임부 외측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상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어 개방시 프레임부를 통한 노인이용시설 외부로 이송낭의 비상탈출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고 이송낭의 하강시 상층부로부터 위험물질이 이송낭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험물 낙하방지용 루프도어부; 프레임부로부터 루프도어부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프도어부의 상향 회동 개방시 프레임부로부터 노인이용시설 외벽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루프도어부의 하측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박스부; 슬라이딩박스부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슬라이딩박스부의 하측부에 이송낭이 결속되도록 한 후 이송낭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낭완강부; 루프도어부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구성된 상태에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고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부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는 것을 통하여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쉘프도어부; 및 쉘프도어부의 내측면에 셀프도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쉘프도어부의 개방시 이송낭이 안착되도록 한 후 쉘프도어부의 하측부위를 벗어나 루프도어부 하측부의 슬라이딩박스부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안착부를 포함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Transfer pocket escaping apparatus for escaping bedridden patient in case of fire}
본 발명은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요양병원 등과 같은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침상 환자가 수용된 들것 또는 상기 들것을 커버하는 이송낭이 아래층의 피난층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 및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가 시작되면서 치매나 중풍 등의 노인성 질환 등으로 심신에 상당한 장애가 발생하여 도움을 필요로 하는 노인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이러한 노인들을 입소시켜 급식과 요양 및 그 밖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노인요양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노인요양시설의 경우, 노인들이 편의를 위해 사용되는 요양 침대 등을 구비하고 있으나, 화재 등과 같은 안전사고 발생시 시설 이용자를 안전하게 피난층으로 무동력 이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환자이송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등록특허 10-0311907호 등에,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휠체어 등과 같은, 환자이송장치가 안출된 바 있다.
여기서, 종래의 환자이송장치는, 환자가 사용 중인 휠체어 등에 계단을 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궤도나 복수개의 바퀴가 삼각형의 꼭지점 위치에 배열되는 휠 박스 등이 구성되어, 환자 또는 보호자가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계단을 이용하여 피난층으로 대피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자이송장치는, 노인요양시설의 비상탈출을 위한 대피공간에 구성된 것이 아니고 환자 개인이 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지급되는 것이기 때문에, 환자의 수에 대응되도록 구비하는데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그 숫자가 환자의 수에 대응되지 못하는 경우 비상탈출 상황시 심각한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환자이송장치는, 휠체어 등에 착석이 불가능한 침상 또는 와상(臥床) 환자의 경우 이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비상대피 상황시 많은 숫자의 보호자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 신속한 대피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침상 환자가 수용된 이송낭이 아래층의 피난층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 및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 프레임부 외측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상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어 개방시 프레임부를 통한 노인이용시설 외부로 이송낭의 비상탈출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고 이송낭의 하강시 상층부로부터 위험물질이 이송낭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험물 낙하방지용 루프도어부; 프레임부로부터 루프도어부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프도어부의 상향 회동 개방시 프레임부로부터 노인이용시설 외벽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루프도어부의 하측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박스부; 슬라이딩박스부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슬라이딩박스부의 하측부에 이송낭이 결속되도록 한 후 이송낭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낭완강부; 루프도어부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의 내측면에 구성된 상태에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고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부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는 것을 통하여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쉘프도어부; 및 쉘프도어부의 내측면에 셀프도어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쉘프도어부의 개방시 이송낭이 안착되도록 한 후 쉘프도어부의 하측부위를 벗어나 루프도어부 하측부의 슬라이딩박스부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의 하강시 이송낭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안착부를 포함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침상 환자가 수용된 이송낭이 아래층의 피난층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 및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쉘프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루프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슬라이딩안착부에 이송낭이 안착되고 이송낭완강부에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슬라이딩안착부로부터 이송낭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의해 이송낭 하강이 완료된 후 다른 이송낭이 하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5와 도 6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있어서 이송낭완강부를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9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쉘프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루프도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슬라이딩안착부에 이송낭이 안착되고 이송낭완강부에 결속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슬라이딩안착부로부터 이송낭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하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의해 이송낭 하강이 완료된 후 다른 이송낭이 하강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1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5와 도 6의 이송낭 피난장치의 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4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있어서 이송낭완강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이송낭 피난장치에 있어서 슬라이딩안착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100)는,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별도로 구성되거나 종래의 창호 프레임 위치에 구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110), 프레임부(110) 외측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상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어 개방시 프레임부(110)를 통한 노인이용시설 외부로 이송낭(200)의 비상탈출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고 이송낭(200)의 하강시 상층부로부터 위험물질이 이송낭(200)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험물 낙하방지용 루프도어부(120), 프레임부(110)로부터 루프도어부(12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프도어부(120)의 상향 회동 개방시 프레임부(110)로부터 노인이용시설 외벽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루프도어부(120)의 하측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박스부(130), 슬라이딩박스부(130)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슬라이딩박스부(130)의 하측부에 이송낭(200)이 결속되도록 한 후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낭완강부(140), 루프도어부(120)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구성된 상태에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고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는 것을 통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쉘프도어부(150), 쉘프도어부(150)의 내측면에 셀프도어부(1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쉘프도어부(150)의 개방시 이송낭(200)이 안착되도록 하여 이송낭완강부(140)와의 결속을 용이하게 한 후 쉘프도어부(150)의 하측부위를 벗어나 루프도어부(120) 하측부의 슬라이딩박스부(130)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안착 상태를 가지는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안착부(160),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루프도어부(120)의 개방 동작시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부(170) 및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침상 환자를 대피시킨 안전 요원이 별도로 설치되는 완강기(미부호)를 통하여 비상 탈출 가능하게 하는 보조완강부(18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100)는,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별도로 제공되는 공간부위에 구성되거나 종래의 창호 프레임 위치에 고정되는 박스형상의 케이스 구성을 가지고, 루프도어부(120)와 쉘프도어부(150)의 개폐 구성을 통해 소정의 비상탈출공간이 외부와 내부에 연통 개방 및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부(110)는,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별도로 구성되거나 종래의 창호 프레임 위치에 구성되는 사각틀 형상을 가지며, 공지의 기술에 의해 해당 위치에 설치 구성된다.
루프도어부(120)는, 프레임부(110) 외측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하게 회동되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개폐 동작되며 개방시 이송낭(200)의 하강시 상층부로부터 위험물질이 이송낭(200)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에 대응된 면적을 가지는 판넬 형상의 루프도어(121), 루프도어(121)의 내측면과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어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질 경우에만 루프도어(121)가 자동으로 상향 개방되고 소정의 힘 이상이 가해질 경우에만 자동으로 하향 개방되어 안전사고가 예방되도록 하는 완충용 실린더(122) 및 루프도어(121)의 내측면 소정 위치에 구성되어 루프도어(121)의 개폐 동작을 위한 소정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한다.
슬라이딩박스부(130)는,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으로부터 루프도어부(120)의 내측면 하측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프도어부(120)의 상향 회동 개방시 프레임부(110)로부터 노인이용시설 외벽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루프도어부(120)의 하측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루프도어(121)의 내측면 하측부에 타단부가 위치 가변 가능하게 고정되어 루프도어(121)의 개방시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으로부터 루프도어(121)를 향해 소정의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루프도어(121)의 개방시 후술된 이송낭완강부(140)가 가이드레일(131)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가이드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2)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어 가이드블록(132)에 결합 구성되는 후술된 이송낭완강부(140)의 구성부들을 보호하는 박스하우징(133) 등을 포함한다.
이송낭완강부(140)는, 슬라이딩박스부(130)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슬라이딩박스부(130)의 하측부에 이송낭(200)이 결속되도록 한 후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한 쌍의 가이드블록(132) 하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141), 한 쌍의 고정블록(141)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는 회전축(142), 회전축(142)의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로프(143)의 일부분이 가이드된 상태를 가지며 로프(143)의 일단부에 구성된 제1결속수단(143-1)에 이송낭(200)이 결속됨에 따라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루프도어부(120)가 개방된 후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던져진 로프(143)의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로프(143)의 타단부에 구성된 제2결속수단(143-2)이 상향 이동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다른 이송낭이 결속 및 하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142)이 회전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풀리(144), 회전풀리(144)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풀리(144)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145) 및 회전기어(145)에 맞물림 구성된 상태에서 회전기어(145)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142)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하여 이송낭(200)이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속도조절기(14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 쌍의 회전풀리(144)는, 일종의 로프 가이드 수단으로, 회전축(142)의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로프(143)의 일부분이 가이드된 상태를 가지며 로프(143)의 일단부에 구성된 제1결속수단(143-1)에 이송낭(200)이 결속됨에 따라 이송낭(200)의 하강시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던져진 로프(143)의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로프(143)의 타단부에 구성된 제2결속수단(143-2)이 상향 이동되도록 하여 연속적으로 다른 이송낭이 결속 및 하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142)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로프(143)의 경우, 한 쌍의 회전풀리(144)에 각각 가이드됨에 따라 제1 및 제2결속수단(143-1,143-2)에 각각 이송낭(200)의 결속부가 결속된 상태에서 이송낭(200)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벽으로 하강하는 경우 수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회전풀리(144)에 구성된 탄성을 가지는 밀착롤러 등과 같은 풀림방지수단(미부호)에 의해 로프(143)가 회전풀리(144)의 가이드홈에 밀착되도록 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무게에 의해 회전풀리(144)를 회전시키지 않고 가이드홈을 따라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하여, 이송낭(200)이 급강하되지 못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좋다.
또한,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권취롤러(143-3)에 의해 권취된 상태를 가지고, 이때, 권취롤러(143-3)는 프레임부(110)의 내측면 상측단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루프도어(121)의 개방시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던져져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지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로프(143)의 결속수단(143-1,143-2)은 박스하우징(133)의 해당 부위에 형성되는 출입공을 통하여 박스하우징(133)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도조절기(146)는, 일종의 완강 수단으로, 회전풀리(144)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풀리(144)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145)에 맞물림되어 회전되며 감속휠을 가지는 피동기어와, 상기 감속휠에 원심력이 작용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감속피스와, 상기 감속휠과 감속피스를 감싸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되는 감속커버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속도조절기(146)는, 한 쌍 또는 단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송낭(200)의 하강에 따라 회전되는 회전기어(145)의 속도에 따라 감속휠에 배치된 다수개의 감속피스에 원심력이 작용되는 경우 감속피스가 감속커버에 마찰을 발생시키게 되어 회전기어(145)의 속도가 감속되고 이에, 이송낭(200)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되도록 하여, 침상 환자의 피난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42)은, 이송낭(200)의 양측에 각각 로프(143) 결속수단(143-1 또는 143-2)이 결속된 채로 하강시, 이송낭(200)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한 쌍의 회전풀리(144)가 동일한 속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프도어부(150)는, 루프도어부(120)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구성된 상태에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고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는 것을 통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대응된 면적을 가지며 하측단(151)의 하측부위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하게 회동되어 개방 동작되는 판넬 형상의 쉘프도어(152),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 양측면 회동부위로부터 중간부위까지 소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프레임부(110)의 내측면 양측 하단부에 구성되는 가이드바(미도시)가 가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쉘프도어(152)의 중간부위가 프레임부(110)의 가이드바(미도시)에 걸림 지지될 때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미도시) 및 쉘프도어(152)의 외측면 소정 위치에 구성되어 쉘프도어(152)의 개폐 동작을 위한 소정의 힘이 가해지도록 하는 손잡이 등을 포함한다.
슬라이딩안착부(160)는, 쉘프도어부(150)의 내측면에 셀프도어부(1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쉘프도어부(150)의 개방시 이송낭(200)이 안착되도록 하여 이송낭완강부(140)와의 결속을 용이하게 한 후 쉘프도어부(150)의 하측부위를 벗어나 루프도어부(120) 하측부의 슬라이딩박스부(130)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안착 상태를 가지는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고정부(161)와 개방부(162)가 'ㄷ'자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쉘프도어(152)의 상측면에 고정부(161)가 고정되며 고정부(161)의 고정 해제시 고정부(161)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에 대응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 보다 더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 및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의 개방부(162)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전 상태에서는 이송낭(200)의 양측이 안착되도록 하여 로프(143)의 제1 및 제2결속수단(143-1,143-2) 중 어느 하나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벗어난 경우에는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되어 이송낭(200)이 하강되도록 하고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는 한 쌍의 안착판(164)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슬라이딩박스부(130), 쉘프도어부(150) 및 슬라이딩안착부(160)는, 노인이용시설의 외벽으로부터 이송낭(200)의 중심부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하강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외벽에 충돌되어 기울어지거나 하는 등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안정적인 하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락킹부(170)는,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루프도어부(120)의 개방 동작시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프레임부(110)의 상측단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탄성스프링을 통하여 회동 및 복원 가능하게 구성되는 걸림고리(171)와, 가이드레일(131)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루프도어(121)의 개방 동작시 걸림고리(171)에 걸림 지지되어 루프도어(121)가 낙하물 등과 충돌시 강제 폐쇄 동작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막대(172) 등을 포함한다.
보조완강부(180)는,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침상 환자를 대피시킨 안전 요원이 별도로 설치되는 완강기(미부호)를 통하여 비상 탈출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프레임부(110)의 상측단 내측면에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해 회동되는 'L'자 또는 'I'자 형상의 거치바(181)와, 거치바(181)에 거치되어 공지의 방식에 의해 완강 동작되는 완강기(미부호) 등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이송낭(200)은, 침상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이송용 들것으로, 보관과 운반이 용이한 접이식 구조와 이송 중 환자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완충 구조 및 친환경 난연성 소재를 가지는 공지의 들것, 들것의 중앙부위에 소정폭을 가지면서 구성되어 침상 환자의 가슴, 배 및 엉덩이 부위가 밴딩되도록 하여 들것으로부터 환자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벨크로 테이프 결착 구조를 가지는 이탈방지용 밴드 및 들것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수용공간의 개방부위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개방 또는 폐쇄되도록 하며 친환경 난연성 소재를 가지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개방부위 양측면부에 각각 대면되도록 형성되고 한 쌍의 제1결속수단(143-1) 또는 제2결속수단(143-2)이 각각 결속되도록 하는 두 쌍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주머니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송낭(200)에 의하면, 이탈방지용 밴드가 환자의 가슴, 배 및 엉덩이 부위를 한 번에 밴딩함으로써,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종래의 부분적 버클 결속 구조에 비해 환자의 신속한 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송주머니의 한 쌍의 손잡이에 각각 결속수단이 결속되도록 하여 종래의 고리와 고리가 결속되도록 하는 것에 비해 환자의 신속한 탈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이때 손잡이가 이송주머니의 무게 중심에 구성됨에 따라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이송낭(200)의 하강시 기울어지지 않고 밸런스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노인이용시설에 화재 등과 같은 비상탈출 상황이 발생하게 되어 침상 환자가 수용된 이송낭(200)이 비상탈출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송낭(200)의 들것에는 환자의 가슴, 배 및 엉덩이 부위가 밴드에 의해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주머니에 수납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비상탈출공간에 설치된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100)의 프레임(110)으로부터 루프도어부(120)와 쉘프도어부(150)가 개방되어 소정 크기의 이송낭 탈출을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여기서, 루프도어부(120)의 개방시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된 락킹부(170)에 의해 루프도어부(120)의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루프도어부(120)의 개방시, 슬라이딩박스부(130)의 가이드레일(131)이 루프도어(121)를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가지면서 설치됨에 따라 이송낭완강부(140)가 구성되는 가이드블록(132)과 박스하우징(133)의 경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루프도어(121)의 하측부에 위치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쉘프도어부(150)가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방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된다.
이후, 이송낭(200)이 쉘프도어부(150)의 상측부에 구성된 슬라이딩안착부(160)의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에 안착된다.
이후, 이송낭완강부(140)의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이 권취된 상태로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걸림 지지된 권취롤러(143-3)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던져져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피난층 또는 지면까지 늘어진 상태를 가지게 되고 로프(143)의 제1결속수단(143-1) 부분은 박스하우징(133)의 출입공에 노출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이송낭완강부(140)의 한 쌍의 회전풀리(144)에 밀착 권취된 로프(143)의 제1결속수단(143-1)이 잡아 당겨진 후 이송낭(200)의 결속부위인 손잡이에 결속된다.
여기서, 이송낭완강부(140)의 경우, 가이드레일(131)이 루프도어(121)에 하향 기울기를 가지면서 설치됨에 따라 루프도어(121)의 하측부에 위치된 상태이므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박스하우징(133)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에서 프레임부(110)의 내측면 상측단에 타단이 연장된 별도의 당김줄(134)에 의해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프레임부(110)의 내측면 즉, 슬라이딩안착부(160)의 상측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일시적으로 상향 이동되어, 결속수단(143-1,143-2)과 이송낭(200)의 결속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후,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의 고정부(161)가 쉘프도어(152)로부터 고정 해제된 후,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에 대응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어 고정부(161)에 연장 형성되고 이송낭(200)이 안착되는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지나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벗어나는 경우, 개방부(16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낭(200)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안착판(164)이 더 이상 쉘프도어(152)에 의해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되고, 이에, 이송낭(200)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 벽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강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이송낭(200)이 하강하게 되면,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피난층 또는 지면으로부터 회전풀리(144)를 향해 상향 이동되고 로프(143)의 제1결속수단(143-1) 부분은 피난층을 향해 하향 이동되면서 이송낭(200)은 피난층을 향해 하강하게 된 후, 제1결속수단(143-1)과 이송낭(200)의 결속이 해제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풀리(144)는 회전축(142)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풀리(144)와 동일축 상에 설치된 회전기어(145)도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기어(1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속도조절기(146)에 의해 한 쌍의 회전풀리(144)는 동일한 속도를 가지게 되어, 각 회전풀리(144)로부터 권취 또는 권해되는 로프(143)의 길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이에, 이송낭(200)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가지면서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속도조절기(146)는, 회전기어(145)의 회전에 따라 이에 치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는 피동기어의 감속휠에 배치된 다수개의 감속피스에 원심력이 작용되면, 감속피스가 감속휠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면서 감속커버와 마찰을 발생시키게 되어 회전기어(145)의 속도가 감속하게 되고 이에, 이송낭(200)이 항상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되도록 하여 침상 환자의 피난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후,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의 안착판(164)의 회동에 의해 이송낭(200)이 하강하게 된 후에는 즉시 안착판(164)은 탄성적으로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를 가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원위치로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에 대응된 위치로 복원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이송낭(200)이 피난층 또는 지면까지 안정하게 하강된 경우,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피난층 또는 지면으로부터 박스하우징(133)을 향해 상향 이동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후, 또 다른 침상 환자가 수용된 이송낭(200)이 쉘프도어부(150)의 상측부에 구성된 슬라이딩안착부(160)의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에 안착된다.
이후, 이송낭완강부(140)의 한 쌍의 회전풀리(144)에 밀착 권취된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이 잡아 당겨진 후 이송낭(200)의 결속부위인 손잡이에 결속된다.
이후,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에 대응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어 이송낭(200)이 안착되는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지나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벗어나는 경우, 개방부(16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이송낭(200)의 양측부를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안착판(164)이 더 이상 쉘프도어(152)에 의해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되고, 이에, 이송낭(200)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 벽면에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하강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이송낭(200)이 하강하게 되면,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로프(143)의 제1결속수단(143-1) 부분은 피난층 또는 지면으로부터 회전풀리(144)를 향해 상향 이동되고 로프(143)의 제2결속수단(143-2) 부분은 피난층을 향해 하향 이동되면서 이송낭(200)은 피난층을 향해 하강하게 된 후, 제2결속수단(143-2)과 이송낭(200)의 결속이 해제된다.
이때, 한 쌍의 회전풀리(144)는 회전축(142)에 의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풀리(144)와 동일축 상에 설치된 회전기어(145)도 동일하게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기어(145)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속도조절기(146)에 의해 한 쌍의 회전풀리(144)는 동일한 속도를 가지게 되어, 각 회전풀리(144)로부터 권취 또는 권해되는 로프(143)의 길이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되고, 이에, 이송낭(200)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를 가지면서 일정한 속도로 하강하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대피 과정이 침상 환자가 모두 안전하게 대피될 때까지 반복된다.
이후, 상기 대피 과정을 통하여 침상 환자가 모두 안전하게 대피된 후에는, 보조완강부(180)에 의하여, 상기 대피 과정을 수행한 안전 요원이 완강기를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신속하게 대피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대피상황 발생시 침상 환자가 수용된 이송낭이 아래층의 피난층으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하강 및 신속한 탈출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침상 환자 이송낭의 비상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가 건물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기 때문에, 환자의 숫자에 맞춰 구비되지 않아도 되어 제반 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탈출공간에 최소의 보호자가 위치된 상태에서 나머지 보호자들이 이송낭을 통해 연속적으로 침상 환자를 수용한 후 비상탈출공간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어, 비상탈출 상황 발생시 최소의 보호자가 많은 환자들을 신속하게 탈출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7)

  1. 노인이용시설의 비상탈출공간에 구성되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부(110);
    프레임부(110) 외측면에 구성된 상태에서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상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어 개방시 프레임부(110)를 통한 노인이용시설 외부로 이송낭(200)의 비상탈출을 위한 공간이 제공되도록 하고 이송낭(200)의 하강시 상층부로부터 위험물질이 이송낭(200)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험물 낙하방지용 루프도어부(120);
    프레임부(110)로부터 루프도어부(120)의 내측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고 루프도어부(120)의 상향 회동 개방시 프레임부(110)로부터 노인이용시설 외벽에 대해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가지는 루프도어부(120)의 하측부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박스부(130);
    슬라이딩박스부(130)의 내부 공간에 구성되어 슬라이딩박스부(130)의 하측부에 이송낭(200)이 결속되도록 한 후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일정한 속도를 가지면서 연속적으로 하강되도록 하는 이송낭완강부(140);
    루프도어부(120)에 대응되도록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구성된 상태에 비상탈출공간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하향 회동을 통해 개폐 동작되고 개방 상태에서 프레임부(110)의 외측면을 향하여 슬라이딩되어 하측부위가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는 것을 통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쉘프도어부(150); 및
    쉘프도어부(150)의 내측면에 셀프도어부(15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쉘프도어부(150)의 개방시 이송낭(200)이 안착되도록 한 후 쉘프도어부(150)의 하측부위를 벗어나 루프도어부(120) 하측부의 슬라이딩박스부(130)에 대응되는 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되어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슬라이딩안착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루프도어부(120)의 개방 동작시 개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락킹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부(110)의 상측단에 구성되어 침상 환자를 대피시킨 안전 요원이 완강기(미부호)를 통하여 비상 탈출 가능하게 하는 보조완강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딩박스부(130)는,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에 일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루프도어(121)의 내측면 하측부에 타단부가 위치 가변 가능하게 고정되어 루프도어(121)의 개방시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으로부터 루프도어(121)를 향해 소정의 하향 기울기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131);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루프도어(121)의 개방시 이송낭완강부(140)가 가이드레일(131)의 타단에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이송낭(200)의 하강시 이송낭(200)이 노인이용시설 외벽과 충돌되지 않도록 하는 이격 거리를 제공하는 가이드블록(132); 및
    가이드블록(132)의 외부에 설치 구성되어 가이드블록(132)에 결합 구성되는 이송낭완강부(140)를 보호하는 박스하우징(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이송낭완강부(140)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132) 하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블록(141);
    한 쌍의 고정블록(141)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구성되는 회전축(142);
    회전축(142)의 양측 가장자리부위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로프(143)의 일부분이 가이드된 상태를 가지며 로프(143)의 일단부에 구성된 제1결속수단(143-1)에 이송낭(200)이 결속됨에 따라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비상탈출공간 외부로 던져진 로프(143)의 나머지 부분이 가이드 이동되도록 하여 로프(143)의 타단부에 구성된 제2결속수단(143-2)이 상향 이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142)이 회전되도록 하는 한 쌍의 회전풀리(144);
    회전풀리(144)의 일측에 구성되어 회전풀리(144)와 함께 회전되는 회전기어(145); 및
    회전기어(145)에 맞물림 구성된 상태에서 회전기어(145)가 일정 속도 이상으로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142)의 회전이 감속되도록 하여 이송낭(200)이 일정한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는 속도조절기(1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쉘프도어부(150)는,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대응된 면적을 가지며 하측단(151)의 하측부위를 통해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하게 회동되어 개방 동작되는 판넬 형상의 쉘프도어(152)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 양측면 회동부위로부터 중간부위까지 소정 길이로 절개 형성되어 프레임부(110)의 내측면 양측 하단부에 구성되는 가이드바(미도시)가 가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쉘프도어(152)의 중간부위가 프레임부(110)의 가이드바(미도시)에 걸림 지지될 때까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여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이 비상탈출공간의 외부로 소정 거리 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슬라이딩안착부(160)는,
    고정부(161)와 개방부(162)가 'ㄷ'자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쉘프도어(152)의 상측면에 고정부(161)가 고정되며 고정부(161)의 고정 해제시 고정부(161)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에 대응된 위치까지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 및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의 개방부(162) 양측에 각각 구성되어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기 전 상태에서는 이송낭(200)의 양측이 안착되도록 하여 로프(143)의 제1 및 제2결속수단(143-1,143-2) 중 어느 하나의 결속을 용이하게 하고 슬라이딩안착프레임(163)이 쉘프도어(152)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개방부(162)가 쉘프도어(152)의 하측단(151)을 벗어난 경우에는 이송낭(20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향 회동되어 이송낭(200)이 하강되도록 하고 탄성에 의해 원위치되는 한 쌍의 안착판(1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KR1020160064003A 2016-05-25 2016-05-25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KR10182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03A KR101822627B1 (ko) 2016-05-25 2016-05-25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4003A KR101822627B1 (ko) 2016-05-25 2016-05-25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2A KR20170133052A (ko) 2017-12-05
KR101822627B1 true KR101822627B1 (ko) 2018-01-26

Family

ID=6092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4003A KR101822627B1 (ko) 2016-05-25 2016-05-25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1248B (zh) * 2020-12-16 2022-01-18 衢州市福杰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医院火灾避难逃生护理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84B1 (ko) 2010-05-19 2012-03-30 노석종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JP2015126848A (ja) 2013-12-27 2015-07-09 芳憲 吉岡 災害対応バッ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484B1 (ko) 2010-05-19 2012-03-30 노석종 긴급대피용 피난장치
JP2015126848A (ja) 2013-12-27 2015-07-09 芳憲 吉岡 災害対応バッ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3052A (ko) 201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897B2 (en) Emergency elevator
US4406349A (en) Escape apparatus
US4136888A (en) Transport device for invalids
KR101868409B1 (ko) 비상구난용 엘리베이터의 탑승카
KR102005895B1 (ko) 비상탈출 장치를 구비한 안전 대피 건물
US8051807B2 (en) Sow chute and hoist
US5253885A (en) Stairway descending patient carriage
US4251100A (en) Adjustable safety seat for ambulances and other emergency vehicles
KR101822627B1 (ko)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피난장치
US8286975B2 (en) Baby evacuation device
US20040118635A1 (en) Apparatus for evacuating people from a high building in emergency
KR101840434B1 (ko) 화재 대피용 난간
JP2011131795A (ja) 軌条車両に備えられる避難装置及びその避難装置の軌条車両への固定方法
US20080134436A1 (en) Stretcher with brake mechanism
KR101755602B1 (ko) 침상 환자 화재 대피용 이송낭 완강기 및 그 이송낭
JP2015182522A (ja) 避難用梯子
JP6471082B2 (ja) 新生児用の緊急搬送保育器
KR101801369B1 (ko) 와상 환자 이송낭 피난수단 및 이를 가지는 비상탈출장치
US7188705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US4024928A (en) Fire escape installation
JPH10192428A (ja) 階段設置型避難用滑り台
JP2006510404A (ja) 建築物用避難装置
JP5793097B2 (ja) 避難装置を備える軌条車両および避難装置の固定方法
JPH06169952A (ja) 救急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車両構造
KR102512299B1 (ko) 고층 건축물의 대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