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358B1 -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 Google Patents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358B1
KR101822358B1 KR1020160094032A KR20160094032A KR101822358B1 KR 101822358 B1 KR101822358 B1 KR 101822358B1 KR 1020160094032 A KR1020160094032 A KR 1020160094032A KR 20160094032 A KR20160094032 A KR 20160094032A KR 101822358 B1 KR101822358 B1 KR 101822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link arm
axis
arm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Original Assignee
정부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부환 filed Critical 정부환
Priority to KR102016009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358B1/ko
Priority to US16/318,367 priority patent/US20190240105A1/en
Priority to PCT/KR2017/007856 priority patent/WO2018021763A1/ko
Priority to EP17834705.0A priority patent/EP3488902A1/en
Priority to CN201780041483.1A priority patent/CN109414607B/zh
Priority to JP2019524104A priority patent/JP2019523117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9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wa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81Hanging
    • A61H2203/0487Hanging upr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85Hanging
    • A63B2208/029Hanging upr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다방향으로 사용자가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심 지지대, 중심 지지대와 결합하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링크부, 및 제1 링크부와 링크 결합되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사용자의 몸체 착용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를 현수하며, 제1 축 및 제2 축에 의해 사용자가 다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Multi direction suspension apparatus for gait training}
본 발명은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다방향으로 환자가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186에는 재활치료용 자가현수 보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과 같은 재활치료용 자가현수 보행장치는 레일을 벗어날 수 없기 때문에 레일을 따라 환자가 움직여야 하므로 그 움직임이 제한적이고 일률적일 수 밖에 없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6186(발명의 명칭 : 재활치료용 자가현수보행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전후, 좌우, 원, 대각선 방향 등 환자가 다방향으로 보행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발명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심 지지대, 중심 지지대와 결합하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링크부, 및 제1 링크부와 링크 결합되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환자의 몸체 착용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여 환자를 현수하며, 제1 축 및 제2 축에 의해 환자가 다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제1 축은 중심 지지대의 중심축이며, 제2 축은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의 결합축이다(도 1 참조).
또한, 제1 축은 중심 지지대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축이며, 제2 축은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의 결합축이다(도 9 참조).
또한, 제1 링크부는 중심 지지대상에 구비되어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 또는 상하구동시키는 제1 링크 암 구동부, 제1 링크 암 구동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 링크 암을 포함하며, 제2 링크부는 제1 링크 암과 타측에서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 및 링크 결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암을 포함하며,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결합된다(도 1 및 도 3 참조).
또한, 중심 지지대로부터 일정거리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외측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제1 링크부는 외측 지지대상에 구비되어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 또는 상하구동시키는 제1 링크 암 구동부, 제1 링크 암 구동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 링크 암을 포함하며, 제2 링크부는 제1 링크 암과 타측에서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 및 링크 결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암을 포함하며,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결합된다(도 9 및 도 15 참조).
또한, 제1 링크 암 또는 제2 링크 암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철 또는 펼침된다(도 2 참조).
또한, 제1 링크부는 제1 링크 암 구동부에 구비되어 제1 링크 암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제1 링크 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2 링크부는 링크 결합부에 구비되어 제2 링크 암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제2 링크 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제2 링크 암 스토퍼는 제1 링크 암과 제2 링크 암의 내각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한다(도 6 및 도 7 참조).
또한,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제1 링크 암을 상하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된다(도 3 및 도 13 참조).
또한,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의 곡선 중심축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형성된다(도 13 참조).
또한, 제1 링크부는 제1 링크 암에 가해지는 환자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는 상측지지대 및 하측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제2 링크부는 제2 링크 암에 가해지는 환자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는 상측지지대를 더 포함한다(도 9 참조).
또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포함하여 제1 방향에 구비되는 제1 현수장치, 및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제2 방향에 구비되는 제2 현수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환자가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중심 지지대는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도 17 내지 도 19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동시에 2명 이상의 환자가 보행 운동을 할 수 있으며, 환자의 보행 운동시 보행 경로가 정해져 있지 않아 환자가 다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보행 운동 가능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현수장치부(제1 링크 암 구동부가 회전 구동부로 구성됨)가 일방향에 하나만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2 링크 암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상하 구동부로 구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현수장치부(제1 축이 중심 지지대에 있으며,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회전 구동부로 구성됨)가 3방향에 걸쳐 구비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제1 링크 암 스토퍼 및 제2 링크 암 스토퍼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보행 가능 면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현수장치부(제1 링크 암 구동부가 회전 구동부로 구성됨)가 외측 지지대를 구비함으로써 제1 축이 외측 지지대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보행 가능 면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2 링크 암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상하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가 천장 및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는 전후, 좌우, 원, 대각선 방향 등 다방향으로 사용자의 보행을 돕도록 한 장치이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사용자를 환자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100)는 중심 지지대(110), 제1 링크부(120), 제2 링크부(130)를 구비하여 환자의 보행 운동을 돕도록 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장치용 안전벨트(10)와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20)가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현수장치용 안전벨트(10)는 환자의 몸에 착용 되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13363 또는 제10-2014-0157861에 기재된 내용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20)는 제2 링크 암(134)의 단부 및 벨트걸쇠(21)와 결합하며, 벨트걸쇠(21)는 연결부재(11)에 의해 현수장치용 안전벨트(10)와 결합한다. 이때,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20), 벨트걸쇠(21) 및 연결부재(11)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26838 또는 제10-2015-0030469에 기재된 내용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참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중심 지지대(110)가 제1 축을 이루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중심 지지대(110)는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또는 하부에 지지 고정될 수 있다. 중심 지지대(110)에는 제1 링크 암 회전부(121), 상부지지대 회전부(122), 하부지지대 회전부(123)가 결합 구비된다. 이때에는 중심 지지대(110)가 제1 축을 이룬다. 즉, 중심 지지대(110)를 제1 축으로 제1 링크 암(124)이 회전한다.
제1 링크부(120)는 제1 링크 암 회전부(121),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122),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123), 제1 링크 암(124), 제1 상부지지대(125), 및 제1 하부지지대(126)로 이루어진다. 제1 링크 암 회전부(121)는 중심 지지대(110)의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 암(124)을 회전 구동한다. 제1 링크 암 회전부(121)는 단면이 원 형상의 몸체(121)와 몸체 내측에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구체화될 수 있다.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122) 및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123)도 각각 몸체와 베어링으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각각 중심 지지대(110)의 축 상에 구비된다.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122)가 상측에 위치하고, 제1 링크 암 회전부(121) 및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123)가 중심 지지대(110)의 축 상에 순차적으로 하방에 구비된다. 제1 링크 암(124)은 제1 링크 암 회전부의 몸체(121) 및 후술하는 링크 결합부(131)와 결합하며, 대략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다. 제1 하부지지대(126)는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의 몸체(123) 및 제1 링크 암(124)의 하단 면과 결합하여 환자의 하중을 분산(또는 지지)하도록 한다. 제1 상부지지대(125)는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의 몸체(122)와 후술하는 링크 결합부(131)와 결합하거나 또는 제1 링크 암(124)과 결합할 수도 있다. 다만, 도 1에는 제1 상부지지대(125)가 링크 결합부(131)와 결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제1 링크 암(124)과도 결합할 수 있다. 제1 상부지지대(125) 및 제1 하부지지대(126)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서 환자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한다. 제1 상부지지대(125)는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122)에 의해 제1 링크 암(124)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동시에 같이 회전하도록 한다. 제1 하부지지대(126)도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123)에 의해 제1 링크 암(124)이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동시에 같이 회전하도록 한다.
제2 링크부(130)는 링크 결합부(131), 제2 링크 암(134), 및 제2 상부지지대(135)로 구성된다. 링크 결합부(131)는 제1 링크 암(124)과 제2 링크 암(134)을 서로 링크 결합한다. 또한, 링크 결합부(131)는 제2 링크 암(134)이 축 회전하도록 제2 링크 암(134)을 결합한다. 따라서 링크 결합부(131)는 제2 축으로서 기능 한다. 제2 링크 암(134)에 걸리는 하중을 분산(또는 지지)하기 위해 제2 상부지지대(135)는 링크 결합부(131)와 제2 링크 암(134)의 일측 단부와 각각 결합한다. 제2 링크 암(134)이 제2 축 상에서 축회전하기 위해 제2 상부지지대(135)가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131) 및 제2 링크 암(134)의 단부 중 어느 한 곳은 축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링크 암(134)이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 제2 상부지지대(135)도 동시에 따라서 축 회전된다. 제2 링크 암(134)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링크 결합부(13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2 링크 암(134)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20)가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암(134)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철되거나 펼쳐질 수 있다. 이렇게 제2 링크 암(134)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그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환자의 이동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다만,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링크 암(124)도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2 링크 암의 길이방향 슬라이딩 이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될 수도 있고, 환자의 힘에 의해 수동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지지대(110)의 축 상에는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141)가 구비된다. 즉, 도 1에는 중심 지지대(110)의 축 상에 제1 링크 암 회전부(121)가 구비되나 도 3에는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141)가 구비된다.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141)는 액추에이터로 동작되어 제1 링크 암(144)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리거나 내리도록 한다. 환자가 현수장치용 안전벨트(10)를 최초에 착용시에는 엉거주춤한 자세로 착용하게 되며, 착용 후 환자를 일으켜 세우기 위해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141)를 구동시켜 제1 링크 암(144)을 들어올린다. 또한, 환자마다 각자 키 높이가 다르므로 이러한 키 높이를 맞추기 위해서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141)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는 모터와 제1 링크 암(1440)을 상하 구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액추에이터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액추에이터가 필요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제1 링크 암(144)은 하중의 분산을 위해 병렬로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4는 중심 지지대(110)에 제1 축이 형성되나, 이와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축이 외측 지지대(311)의 축 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자의 이동반경 및 이동면적을 늘릴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2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현수장치(100)가 중심 지지대(210)를 중심으로 각기 3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동시에 3명의 환자가 보행 운동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현수장치의 구비 개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현수장치(200)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200)는 제1 방향의 제1 현수장치부(220), 제2 방향의 제2 현수장치부(230), 제3 방향의 제3 현수장치부(240)가 구비된다. 이때, 제1,2,3 방향은 중심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제1,2,3 현수장치부(220,230,240)의 서로 간의 내각이 120도가 되도록 이루어지는 방향이다. 다만, 현수장치부의 개수는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현수장치부의 개수에 따라 서로 간의 내각이 이루어지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즉 2개의 현수장치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서로 간의 내각이 180도가 되도록 제1,2 방향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는 제1 실시예에 비해 현수장치부가 복수개 설치되는 것 이외에는 그 기능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갈음하기로 하며, 제1 실시예와 다른 구성 위주로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현수장치부(220)는 제1 링크부, 제2 링크로 구성된다. 제1 링크부는 제1 링크 암 회전부(221),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223), 제1 링크 암(224), 제1 하부지지대(225)로 구성되며, 제2 링크부는 링크 결합부(226), 제2 링크 암(227), 제2 상부지지대(228)로 구성된다. 제1 현수장치부(220)와 동일하게 제2,3 현수장치부(230,240)도 설치 방향만 서로 다르고 제1,2 링크부를 구비한다. 3방향 현수장치부(220,230,240)를 구비하도록 하기 위해 중심 지지대(210)의 축 상에 제1 현수장치부의 제1 링크 암 회전부(221), 제2 현수장치부의 제1 링크 암 회전부(231), 및 제3 현수장치부의 제1 링크 암 회전부(241)가 순차적으로 하방에 구비되며(다만, 필요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제1 링크 암 회전부(221,231,241)의 하방에 제1 현수장치부의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223), 제2 현수장치부의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233), 제3 현수장치부의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243)가 순차적으로 하방에 구비된다(다만, 필요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 있다). 도 5에는 제1 링크부의 상부지지대 및 상부지지대 회전부가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도 1 참조) 환자의 하중을 분산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링크 암(224,234,244)이 이루는 내각(θ1)이 120도를 넘지 않도록(또는 서로 겹쳐지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제1 링크 암 스토퍼(도면 미도시)가 제1 링크 암 회전부(221,231,241)에 각각 구비된다. 제1 링크 암 스토퍼는 제1 링크 암(224,234,244)의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 이때, 2개의 현수장치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제1 링크 암의 내각(θ1)이 180도(또는 암이 서로 겹쳐지거나 부딪히지 않도록)를 넘지 않도록 제1 링크 암 스토퍼가 회전 반경을 제한한다.
또한, 제1 링크 암(224,234,244)과 제2 링크 암(227,237,247)이 이루는 내각(θ2)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제2 링크 암 스토퍼(도면 미도시)가 링크 결합부(226,236,246)에 각각 구비된다. 제3 현수장치부(240)의 일예로서 제2 링크 암 스토퍼는 제2 링크 암(247)이 180도의 내각을 넘어서서 도 7과 같이 반대편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만, 도 7과 같이 제2 링크 암(247)을 반대편으로 젖혀지게 하려면 제2 링크 암 스토퍼를 결합 링크부(246)로부터 결합해제하고, 제2 링크 암(247)을 반대편으로 젖힌 뒤 다시 결합 링크부(246)에 결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1,2 현수장치부(220,230)도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다. 상술한 제1,2 링크 암 스토퍼는 상술한 제1 실시에에서도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는 제1,2,3 현수장치부(220,230,24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8의 번호 1은 제1 현수장치부(22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며, 도 8의 번호 2는 제2 현수장치부(23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며, 도 8의 번호 3은 제3 현수장치부(24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다. 각각의 현수장치부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환자 간에 보행시 부딪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2,3 현수장치부(220,230,240)가 각각의 방향(제1,2,3 방향)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제1 현수장치부(220)의 회전부(221,223)가 중심 지지대(210)상에 구비되어 제1 링크 암(221)의 회전 축이 중심 지지대(210)상에 형성된다. 따라서 중심 지지대(210)가 제1 축을 이루고, 링크 결합부(226)는 제2 축을 이루어 제2 링크 암(227)을 축 회전하도록 한다. 제2,3 현수장치부(230,240)의 구성 및 기능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2 링크 암(227,237,247)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철되거나 펼침 됨으로써 환자의 보행 이동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제3 실시예와 같이 제2 실시예의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도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제3 실시예에 갈음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9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3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현수장치(100)가 중심 지지대(210)를 중심으로 각기 3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동시에 3명의 환자가 보행 운동을 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현수장치의 구비 개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현수장치부(320,330,340)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30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 외측 지지대(311,312,313)를 구비함으로써 제1 링크 암의 회전 축(제1 축)이 중심 지지대(310)에 있지 않고 외측 지지대(311,312,313)에 놓이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보행 면적을 도 11과 같이 제2 실시예(도 8 참조)에 비해 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2 실시예와 다른 점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내용은 제1,2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지지대(310)의 외측으로 일정 거리를 두고 제1,2,3 외측 지지대(311,312,313)가 구비된다. 제1,2,3 외측 지지대(311,312,313)는 대략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외측 지지대(311)의 일측은 중심 지지대(310)와 결합하며, 타측은 회전부(321,322,323)가 결합되어 회전 축을 형성한다. 제2,3 외측 지지대(312,313)도 동일한 구성을 이루며, 다만 방향만 120도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제1,2,3 외측 지지대(311,312,313)가 중심 지지대(310)로부터 이격된 거리만큼 환자의 보행 면적이 더 늘어난다.
도 11에는 제1,2,3 현수장치부(320,330,34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의 번호 1은 제1 현수장치부(32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며, 도 11의 번호 2는 제2 현수장치부(33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며, 도 11의 번호 3은 제3 현수장치부(340)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다. 각각의 현수장치부의 환자 보행 가능 면적이 동일한 면적을 가지면서 환자간에 보행시 부딪힘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2,3 현수장치부(320,330,340)가 각각의 방향(제1,2,3 방향)에 따라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8에 비해 환자간 부딪힐 가능성이 더 줄어든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도 제1,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 암(328,238,248)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철되거나 펼침 됨으로써 환자의 보행 이동 면적을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는 제1 링크 암 및 제2 링크 암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3 현수장치부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제1,2 현수장치부도 동일하게 설명될 수 있다. 제3 현수장치부의 제1,2 링크 암(344,348)은 곡선으로 형성된다. 도 5 및 도 9는 제1,2 링크 암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과 대비될 수 있다. 이렇게 제1,2 링크 암을 곡선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직선으로 구비하는 것에 비해 더 적은 힘으로 더 부드럽게 환자가 움직일 수 있다. 즉, 환자의 보행 운동시 제1 링크 암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제2 링크 암은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제1 축과 제2 축이 움직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제1,2 링크 암(244,248)을 곡선지게 형성하면 환자와 제1 축 간의 거리가 직선 링크 암에 비해 짧아지기 때문에 좀 더 적은 힘으로 더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1 링크 암(344)의 구부러진 방향과 제2 링크 암(248)의 구부러진 방향을 서로 반대로 할 수도 있다. 즉, 제1 링크 암(344)의 곡선 중심축이 왼쪽편에 위치하도록 하고, 제2 링크 암(248)의 곡선 중심축이 오른쪽편에 위치하도록 하여 서로 구부러진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2 링크 암에 비해 더욱 적은 힘으로 쉽게 움직일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15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40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현수장치(100)가 중심 지지대(410)를 중심으로 각기 3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동시에 3명의 환자가 보행 운동을 하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현수장치의 구비 개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의 현수장치부(420,430,440)가 동시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와 비교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 암 회전부가 구비되지 않고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421,431,441)가 구비되며, 동일한 설명은 제1,2,3 실시예의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제1 현수장치부(420)에 대해서 설명하나, 제2,3 현수장치부(430,440)도 설치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하다. 제1 현수장치부(420)는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구비하며, 제1 링크부는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421), 제2 링크 암(424)으로 구성되고, 제2 링크부는 링크 결합부(427), 제2 링크 암(428), 제2 상부지지대(429)로 구성된다.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421)는 제1 외측 지지대(411)에 결합되어 제1 링크 암(424)을 상하 구동시킴으로써 현수장치용 안전벨트(10)를 착용한 환자를 도 16과 같이 들어올리거나 내린다. 다만, 도 16에서는 제1,2,3 현수장치부의 각각의 제1 링크 암이 모두 들어올려 진 것을 도시한 것이나 각각의 제1 링크 암은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이 가능하다. 제1 링크 암(424)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병렬로 2개의 링크 암으로 구성된다. 다만, 구비 개수는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링크 암(424)은 링크 결합부(427)와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421)에 각각 결합 체결되며, 링크 결합부(427)와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421)에 결합 체결시 도 16과 같이 제1 링크 암(424)이 자유롭게 상하 구동되도록 축 회전 결합된다.
링크 결합부(427)의 상단부는 제1 링크 암(424)과 결합되고, 링크 결합부(427)의 하단부는 제2 링크 암(428)이 제2 축을 중심으로 축 회전하도록 제2 링크 암(428)과 결합된다. 제2 상부지지대(429)는 제2 링크 암(428)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링크 암(428)의 단부 및 링크 결합부(427)와 각각 결합한다, 제2 상부지지대(429)는 링크 결합부(427)에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또는 제2 링크 암(428)의 단부와 결합된 부분이 축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제3 실시예와 같이 제2 링크 암(428)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2,3,4 실시예에서 제1 링크 암 구동부는 필요에 따라 제1 링크 암 회전부로 구현되거나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링크 암 회전부의 몸체는 제1 링크 암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베어링 등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설치 방법)
도 17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100,200,300,400)는 중심 지지대(30)를 중심으로 천장이나 바닥에 고정된다. 즉, 도 17에는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100,200,300,400)가 상부 지지판(40)에 의해 천장에 고정되고, 하부 지지판(50)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8은 바닥에만 고정되고 천장에는 고정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19는 천장에만 고정되고 바닥에는 고정되지 않은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천장과 바닥에 고정함으로써 설치공간이 작고 설치가 간편하도록 할 수 있으며,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100,200,300,400)의 하부 공간에 불필요한 구조물이 없어서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11 : 연결부재
20 : 보행운동 보조장치용 현수장치
21 : 벨트걸쇠
30 : 중심 지지대
40 : 상부 지지판
50 : 하부 지지판
100 :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10 : 중심 지지대
120 : 제1 링크부
121 : 제1 링크 암 회전부
122 :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
12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124 : 제1 링크 암
125 : 제1 상부지지대
126 : 제1 하부지지대
130 : 제2 링크부
131 : 링크 결합부
134 : 제2 링크 암
135 : 제2 상부지지대
141 :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
144 : 제1 링크 암
151 : 링크 결합부
154 : 제2 링크 암
155 : 제2 상부지지대
200 :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210 : 중심 지지대
220 : 제1 현수장치부
22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22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224 : 제1 링크 암
225 : 제1 하부지지대
226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227 : 제2 링크 암
228 : 제2 상부지지대
230 : 제2 현수장치부
23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23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234 : 제1 링크 암
235 : 제1 하부지지대
236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237 : 제2 링크 암
238 : 제2 상부지지대
240 : 제3 현수장치부
24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24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244 : 제1 링크 암
245 : 제1 하부지지대
246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247 : 제2 링크 암
248 : 제2 상부지지대
300 :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310 : 중심 지지대
311 : 제1 외측 지지대
312 : 제2 외측 지지대
313 : 제3 외측 지지대
320 : 제1 현수장치부
32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322 :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
32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324 : 제1 링크 암
325 : 제1 상부지지대
326 : 제1 하부지지대
32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328 : 제2 링크 암
329 : 제2 상부지지대
330 : 제2 현수장치부
33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332 :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
33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334 : 제1 링크 암
335 : 제1 상부지지대
336 : 제1 하부지지대
33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338 : 제2 링크 암
339 : 제2 상부지지대
340 : 제3 현수장치부
341 : 제1 링크 암 회전부(제1 링크부)
342 : 제1 상부지지대 회전부
343 : 제1 하부지지대 회전부
344 : 제1 링크 암
345 : 제1 상부지지대
346 : 제1 하부지지대
34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348 : 제2 링크 암
349 : 제2 상부지지대
400 : 환자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410 : 중심 지지대
411 : 제1 외측 지지대
412 : 제2 외측 지지대
413 : 제3 외측 지지대
420 : 제1 현수장치부
421 :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제1 링크부)
424 : 제1 링크 암
42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428 : 제2 링크 암
429 : 제2 상부지지대
430 : 제2 현수장치부
431 :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제1 링크부)
434 : 제1 링크 암
43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438 : 제2 링크 암
439 : 제2 상부지지대
440 : 제3 현수장치부
441 : 제1 링크 암 상하 구동부(제1 링크부)
444 : 제1 링크 암
447 : 링크 결합부(제2 링크부)
448 : 제2 링크 암
449 : 제2 상부지지대

Claims (14)

  1. 중심 지지대,
    상기 중심 지지대와 결합하며, 제1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는 제1 링크부, 및
    상기 제1 링크부와 링크 결합되며,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사용자가 착용하는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일측에 결합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를 현수하며,
    상기 제1 축 및 제2 축에 의해 사용자가 다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중심축이며,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결합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은 상기 중심 지지대의 중심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축이며, 상기 제2 축은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의 결합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중심 지지대상에 구비되어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 또는 상하구동시키는 제1 링크 암 구동부,
    상기 제1 링크 암 구동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 링크 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 암과 타측에서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 및
    상기 링크 결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암을 포함하며,
    상기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상기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로부터 일정거리 둘레방향으로 이격되어 결합되는 외측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외측 지지대상에 구비되어 제1 축을 중심으로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 또는 상하구동시키는 제1 링크 암 구동부,
    상기 제1 링크 암 구동부와 일측에서 결합되는 제1 링크 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 암과 타측에서 결합되는 링크 결합부, 및
    상기 링크 결합부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 암을 포함하며,
    상기 현수장치용 안전벨트가 상기 제2 링크 암의 단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암 또는 상기 제2 링크 암은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접철 또는 펼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 암 구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링크 암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제1 링크 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8.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링크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링크 암의 회전 각을 제한하는 제2 링크 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암 스토퍼는,
    상기 제1 링크 암과 상기 제2 링크 암의 내각이 180도를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상기 제1 링크 암을 상하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링크 암 또는 상기 제2 링크 암이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 암 구동부가 상기 제1 링크 암을 회전구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링크 암 또는 상기 제2 링크 암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암 및 상기 제2 링크 암의 곡선 중심축이 서로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다른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2.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 암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는 상측지지대 또는 하측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링크 암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하도록 하는 상측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를 포함하여 제1 방향에 구비되는 제1 현수장치, 및
    상기 제1 방향과는 다른 방향의 제2 방향에 구비되는 제2 현수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동시에 다수의 사용자가 보행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지지대는,
    상부 지지판 및 하부 지지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KR1020160094032A 2016-07-25 2016-07-25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KR101822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32A KR101822358B1 (ko) 2016-07-25 2016-07-25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US16/318,367 US20190240105A1 (en) 2016-07-25 2017-07-20 Multidirectional suspension device for walking exercise
PCT/KR2017/007856 WO2018021763A1 (ko) 2016-07-25 2017-07-20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EP17834705.0A EP3488902A1 (en) 2016-07-25 2017-07-20 Multidirectional suspension device for walking exercise
CN201780041483.1A CN109414607B (zh) 2016-07-25 2017-07-20 步行运动用多向悬挂装置
JP2019524104A JP2019523117A (ja) 2016-07-25 2017-07-20 歩行運動用多方向懸垂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032A KR101822358B1 (ko) 2016-07-25 2016-07-25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358B1 true KR101822358B1 (ko) 2018-01-25

Family

ID=61017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032A KR101822358B1 (ko) 2016-07-25 2016-07-25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240105A1 (ko)
EP (1) EP3488902A1 (ko)
JP (1) JP2019523117A (ko)
KR (1) KR101822358B1 (ko)
CN (1) CN109414607B (ko)
WO (1) WO201802176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14A (ko) 2022-06-23 2024-01-02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8309B1 (ja) * 2019-12-25 2021-11-17 株式会社がまかつ 介助用装置
JP7057619B1 (ja) * 2021-01-22 2022-04-20 株式会社Teddy Works 懸垂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561A (en) 1994-02-15 1994-12-13 Lyntech Corp. Apparatus for suspension assisted ambulation
US7291097B1 (en) 2004-08-12 2007-11-06 Dace Les N Ambulatory patient support mechanism
EP2626051A1 (en) 2012-02-09 2013-08-14 Lutz Medical Engineering Apparatus for unloading a user's body weight during a physical activity of said user, particularly for gait training of said user
KR101502591B1 (ko) 2013-08-20 2015-03-16 대광전력(주) 재활치료용 보행보조 리프트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76347A (ja) * 1996-04-11 1997-10-28 Minato Iwasaki 患者歩行保助具
US8480602B1 (en) * 2010-02-22 2013-07-09 Gerry Cook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correcting ambulation
CN102068363B (zh) * 2011-01-25 2013-10-30 南京航空航天大学 绳驱动腰部康复机器人
CN202355552U (zh) * 2011-11-03 2012-08-01 黑龙江省小儿脑性瘫痪防治疗育中心 脑瘫步行训练康复器
KR20140090840A (ko) * 2013-01-10 2014-07-18 근로복지공단 재활훈련용 견인장치
KR101766760B1 (ko) * 2013-01-22 2017-08-23 고벨 인코포레이티드 수평력과 수직력 감지 기능 및 동작 제어 기능을 구비한 의료 재활 리프트 시스템 및 방법
RU2560511C2 (ru) * 2013-07-23 2015-08-20 Ильдар Фарвазович Рахматуллин Тренажер для обучения ходьбе
JP3194859U (ja) * 2014-09-30 2014-12-11 株式会社モリトー 免荷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訓練装置
CN204106961U (zh) * 2014-10-06 2015-01-21 郭艳丽 下肢康复训练装置
CN104856838B (zh) * 2015-04-30 2016-12-07 华东理工大学 一种行走助力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2561A (en) 1994-02-15 1994-12-13 Lyntech Corp. Apparatus for suspension assisted ambulation
US7291097B1 (en) 2004-08-12 2007-11-06 Dace Les N Ambulatory patient support mechanism
EP2626051A1 (en) 2012-02-09 2013-08-14 Lutz Medical Engineering Apparatus for unloading a user's body weight during a physical activity of said user, particularly for gait training of said user
KR101502591B1 (ko) 2013-08-20 2015-03-16 대광전력(주) 재활치료용 보행보조 리프트 이송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314A (ko) 2022-06-23 2024-01-02 (주)위니즈 걷기 훈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3117A (ja) 2019-08-22
US20190240105A1 (en) 2019-08-08
EP3488902A1 (en) 2019-05-29
CN109414607A (zh) 2019-03-01
CN109414607B (zh) 2020-06-16
WO2018021763A1 (ko) 201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358B1 (ko)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EP2762749B1 (en) Link actuating device
US8387726B2 (en) Legged mobile robot
CN103707282B (zh) 旋转轴以及具备该旋转轴的工业用机器人
JP5362018B2 (ja) ボディを移動させるための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装置の使用方法
KR101559551B1 (ko) 관절 운동 장치
JP2009274202A (ja) 人間型ロボットとその肩関節アセンブリー
KR101180872B1 (ko) 한 쌍의 진자를 가지는 구형로봇
ITMI20101769A1 (it) Dispositivo biomedico per la riabilitazione robotizzata dell'arto superiore umano, particolarmente per la riabilitazione neuromotoria dell'articolazione della spalla e del gomito.
JP2008264904A (ja) パラレルリンク型作業装置
US10881567B2 (en) Patient support apparatus
JP2008200813A (ja) 二足歩行ロボット
TWI603825B (zh) 機器人的旋轉驅動機構
KR20170062259A (ko) 2 자유도 회전의 모션 시뮬레이터
KR20190020676A (ko) 근력 보조 장치
KR101822367B1 (ko)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회전반경 제한 장치
KR20180095171A (ko) 직병렬 혼합형 매니퓰레이터
CN208246817U (zh) 机器人三杆驱动手臂及机器人
US20090318271A1 (en) Training Device for Building Up the Musculature of the Locomotor System
CN109928137B (zh) 可转向辊道系统
EP2957392A1 (en) Movement apparatus
CN207785915U (zh) 摆动机构、颈部动作机构和机器人
JP6071824B2 (ja) 膝関節動作支援装置
KR102453402B1 (ko) 어깨 재활 운동 보조 장치
CN107595556A (zh) 一种外骨骼机器人及其小腿挡板部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