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314A - 걷기 훈련 장치 - Google Patents

걷기 훈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314A
KR20240000314A KR1020220077178A KR20220077178A KR20240000314A KR 20240000314 A KR20240000314 A KR 20240000314A KR 1020220077178 A KR1020220077178 A KR 1020220077178A KR 20220077178 A KR20220077178 A KR 20220077178A KR 20240000314 A KR20240000314 A KR 20240000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evice
walking training
disposed
bracke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부환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주)위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니즈 filed Critical (주)위니즈
Priority to KR1020220077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314A/ko
Publication of KR20240000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31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08Using suspension devices for supporting the body in an upright walking or standing position, e.g.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55Both knee and hip of a patient, e.g. in supine or sitting position, the feet being moved in a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body-symmetrical-plane
    • A61H1/0262Walking movement; Appliances for aiding disabled persons to wal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7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secured to the patient, e.g. with bel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06Standing on the feet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건축물의 천장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 구조물(10); 상기 고정 구조물(10)에 설치되고, 회전자(24)가 고정자(22)의 바깥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 베어링(20); 상기 회전자(24)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 조립체(30); 상기 브래킷 조립체(30)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 직선 형태의 트랙(41)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40);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트랙(41)에서 직선으로 주행하는 드라이브 휠 조립체(50); 및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매달리도록 하는 슬링(14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걷기 훈련 장치{walking training device}
본 발명은 공중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 장치를 이동시키고, 주행 장치에 매달린 상태에서 걷기 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걷기 훈련 장치는 천장 또는 구조물에 레일을 설치하고, 레일에 주행 장치를 설치하여 이동할 수 있게 하며, 주행 장치에 멜빵(harness)이 매달리게 구성될 수 있다.
걷기 훈련 대상자는 멜빵을 착용하여 주행 장치에 매달린 상태에서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로써 환자가 걷기 훈련하는 동안에 다리에 힘이 풀리거나 힘없이 주저앉더라도 환자는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치지 않을 수 있고 걷기 훈련할 수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 알려진 기술로써 특허문헌 1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 장치', 특허문헌 2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 장치의 회전반경 제한 장치' 및 특허문헌 3 '보행 훈련 장치'가 있다.
특허문헌 1~3은 고정 구조물과 제1 암 구조물이 제1 축으로 연결되어 제1 암 구조물이 제1 축을 기준으로 수평 선회하고, 제1 암 구조물과 제2 암 구조물이 제2 축으로 연결되어 제2 암 구조물이 제2 축을 기준으로 수평 선회하며, 제2 암 구조물에 멜빵이 매달리는 구성이다.
사용자는 멜빵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 훈련을 하는데, 보행하는 방향에 따라 제1 암 구조물과 제2 암 구조물이 보행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따라 움직여야 한다.
그러나 보행자가 제2 암 구조물을 이끌고 움직이면 이론적으로는 제1축과 제2축이 관절처럼 꺾이면서 움직일 수 있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움직임이 부자연스럽고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움직이지 못하는 문제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암 구조물과 제2 암 구조물이 예각으로 이루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 구조물 쪽으로 움직이려고 할 때 어느 순간에 저항이 걸리면서 사용자가 목적한 방향을 비켜나가는 다른 방향으로 보행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으로, 관절 부분에 아무리 고정밀도로 고가 베어링을 사용하더라도 암 구조물에 2개 이상의 다관절로 구성하면 앞서 설명한 문제가 발생한다.
사용자의 이동 경로는 제1, 2 암 구조물의 길이와 관전 부분에 영향을 받고 종속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자신이 목적한 경로 이동하지 못하고, 이탈할 때 사용자는 균형을 잃고 주저앉을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균형을 잃고 주저앉을 때 두려움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감정은 걷기 훈련에 방해 요소가 된다.
한편으로, 복수의 암 구조물이 관절로 연결되어 연장된 구조이므로 고정 구조물로부터 멜빵이 위치한 곳까지의 거리가 멀고, 이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암 구조물에 실리면 복수의 암 구조물이 쉽게 무너져 내려 사용자 안전과 구조물 내구성에 문제가 있고, 안정을 강화하기 위하여 암 구조물의 규격을 크게 제공할 수 있지만 이러하면 구조물의 무게가 무겁고 제조 비용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사용자가 멜빵을 착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멜빵의 위치에 서서 멜빵을 착용하는데, 이때 제1 암 구조물 또는 제2 암 구조물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구조이므로 멜빵이 임의로 움직일 수 있어 멜빵 착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KR 10-1822358 B1 KR 10-1822367 B1 KR 10-2019-008883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물과 암 구조물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려고 마음먹은 대로 방향을 전환하여 보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 구조물의 끝부분에 사용자의 체중이 작용하더라도 암 구조물이 무너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멜빵을 착용하거나 멜빵을 벗을 때에 멜빵이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걷기 훈련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건축물의 천장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 구조물(10); 상기 고정 구조물(10)에 설치되고, 회전자(24)가 고정자(22)의 바깥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 베어링(20); 상기 회전자(24)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 조립체(30); 상기 브래킷 조립체(30)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 직선 형태의 트랙(41)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40);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트랙(41)에서 직선으로 주행하는 드라이브 휠 조립체(50); 및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매달리도록 하는 슬링(140); 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선회 베어링(2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다른 선회 베어링(20)이 배치되고, 상기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 되며, 상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리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측의 선회 베어링(20)과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와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가 간섭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셀 디스크(26);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고정 구조물(10)의 한쪽에 확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확장 구조물(12);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확장 구조물(12)에 상기 선회 베어링(20)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 되며, 상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리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고정 구조물(10) 또는 상기 고정자(22)에 고정 설치되고,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원호 구간을 가지고, 상기 원호 구간의 원호 중심이 상기 회전자(24)의 회전 중심과 같은 상부 구조물(60); 및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60)에 걸쳐져 상기 원호 구간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처짐을 방지하는 행거 휠 조립체(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플레이트(62);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걷어(64); 및 상기 플레이트(6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에지 프레임(65);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플레이트(62)에 가이드 웨이(66)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구조물(60);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바깥쪽의 플레이트(62)와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안쪽의 플레이트(62)를 연결하는 브래킷(67);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 브래킷(71)이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72)이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양쪽에서 상기 플레이트(62)를 따라 주행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62);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걷어(64); 및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더(64)에 의해 지지가 되며,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하도록 하는 링 구조물(68);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브래킷 조립체(30)는,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쳐져 고정되고, 반대쪽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된 제1 베어링 브래킷(32); 및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되고, 반대쪽은 상기 프레임(40)의 상면과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된 제2 베어링 브래킷(34);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의 주행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부딪힐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스토퍼 쿠션(44);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원호 구간의 한쪽에 복수의 스톱 홀(63)이 원호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구조물(60); 및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되고, 당김 줄(130)을 조작함에 따라 리프트(85)를 승강시키며, 상기 리프트(85)가 상승 위치이면 탑 핀(86)이 상기 복수의 스톱 홀(63) 중 어느 하나의 스톱 홀(63)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40)이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로커 디바이스(80);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로커 디바이스(8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되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영문자 'L'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81); 상기 케이스(81)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 운동하며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된 리프트(85);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90); 및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이는 레버(120);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로커 디바이스(8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되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81);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되고 중부분에 슬라이드 웨이(87)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리프트(85);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90); 캠 웨이(100)가 형성된 제1, 2 캠 플레이트(91, 92); 상기 슬라이드 웨이(87)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캠 웨이(1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캠 핀(110); 및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이는 레버(120);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캠 웨이(100)는, 상기 캠 핀(110)이 가장 높은 위치에 머물도록 하는 제1 포인트(101);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포인트(102);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캠 핀(110)이 머물도록 하는 제3 포인트(103); 및 상기 제3 포인트(10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포인트(104); 를 포함하고,
상기 캠 핀(110)이 상기 제1 포인트(101)에서 상기 제2 포인트(102)로, 상기 제2 포인트(102)에서 상기 제3 포인트(103)로, 상기 제3 포인트(103)에서 상기 제4 포인트(104)로, 상기 제4 포인트(104)에서 상기 제1 포인트(101)로 순환 이동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에 상기 제1, 2, 4 포인트(101, 102, 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에 상기 제3 포인트(103)의 구조물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와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리프트(8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스페이서(93);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가 상기 리프트(85)의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93)가 상기 리프트(85)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리프트(85)가 오르내릴 때 양쪽 제1 캠 플레이트(91)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행거 휠 조립체(7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하는 레벨 블록(46);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로커 디바이스(8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로커 디바이스(8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하는 레벨 블록(46);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설치되는 행거 휠 브래킷(71); 상기 행거 휠 브래킷(71)에 설치된 핀 샤프트(73); 상기 핀 샤프트(73)에 설치되어 롤링(Rolling) 되는 롤링 브래킷(74); 및 상기 롤링 브래킷(74)에서 상기 핀 샤프트(73)를 기준으로 상기 핀 샤프트(73)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행거 휠(72); 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구조물과 암 구조물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이동하려고 마음먹은 대로 방향을 전환하여 보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암 구조물의 끝부분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더라도 암 구조물이 무너지지 않고 처지지 않으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멜빵을 착용하거나 멜빵을 벗을 때에 멜빵이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4의 (a)는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에서 상부 구조물과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를 부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투시도로써, 로커 디바이스가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도 6에서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측면도로써, 로커 디바이스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로커 디바이스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0은 잠금 설정된 상태이고, 도 11은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에서 로커 디바이스의 다른 예를 보인 투시도면이다.
도 13과 도 14는 다른 예의 로커 디바이스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3은 잠금 설정된 상태이고, 도 14는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도 15는 도 13의 로커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분해 도면이다.
도 16은 도 13의 로커 디바이스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정면 단면도로써, 도 16의 (a)는 잠금 설정된 상태이고, 도 16의 (b)는 잠금 설정에서 잠금 해제로 전환되는 중간 단계이며, 도 16의 (c)는 잠금 해제된 상태이고, 도 16의 (d)는 잠금 해제에서 잠금 설정으로 전환되는 중간 단계이다.
도 17부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7은 투시도이고, 도 18은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서 선회 베어링과 브래킷 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1은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투시도이다.
도 22부터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2는 투시도이고, 도 23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4는 평면도이다.
도 25와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5는 투시도이고, 도 26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다.
도 27과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7은 투시도이고, 도 28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9는 측면도이고, 도 30은 선회 베어링과 브래킷 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도 31은 행거 휠 조립체(70)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하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사용하는 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4의 (a)는 평면도이고, 도 4의 (b)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에서 상부 구조물과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를 부가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투시도로써, 로커 디바이스가 잠금 설정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도 6에서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측면도로써, 로커 디바이스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로커 디바이스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0은 잠금 설정된 상태이고, 도 11은 잠금 해제된 상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고정 구조물(10), 선회 베어링(20), 브래킷 조립체(30), 레일 프레임(40), 드라이브 휠 조립체(50) 및 슬링(14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고정 구조물(10)은 건축물의 천장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고정 구조물(10)은 바닥에 고정되는 기둥 형태로 제시하였지만, H 빔 또는 I 빔 등의 형강으로 구성할 수 있고, 앵글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선회 베어링(20)은 상기 고정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선회 베어링(20)은 고정자(22)의 바깥쪽에 회전자(24)가 배치되고, 고정자(22)는 상기 고정 구조물(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회전자(24)가 고정자(22)의 바깥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성이다.
브래킷 조립체(30)는 상기 회전자(24)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레일 프레임(40)은 상기 브래킷 조립체(30)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 직선 형태의 트랙(41)이 형성된다.
드라이브 휠 조립체(50)는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트랙(41)에서 직선으로 주행한다. 드라이브 휠 조립체(50)는 휠 브래킷(51)에 휠(52)이 설치되고, 휠(52)은 트랙(41)을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슬링(140)은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매달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링(14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빵(harness)이 매달리게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즉, 걷기 훈련 대상자는 멜빵을 착용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이 크게 선회 축(S)과 선형 축(L)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선회 축(S)은 레일 프레임(40)이 선회 베어링(20)을 중심으로 선회하는 구성이다.
선형 축(L)은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상기 레일 프레임(40)을 따라 직선 운동하는 구성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고자 할 때, 선회 축(S)과 선형 축(L)의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고정 구조물(10)의 옆을 지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선회 축(S)의 영향을 받고 레일 프레임(40)이 선회 베어링(2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회 베어링(20)을 중심으로 방사선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선형 축(L)을 영향을 받고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직선 운동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는 선회 축(S)과 선형 축(L)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고, 레일 프레임(40)이 회전함과 아울러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고정 구조물(10)과 레일 프레임(40)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운동 축이 선회 축(S)과 선형 축(L)으로 단순화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가 이동하려고 마음먹은 대로 방향을 전환하여 보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보행 이동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종래에 알려진 보행 훈련 장치에서 암 구조물이 다관절 구조로 구성되는 것에 비교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중간 관절이 생략된 구성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종래에 다관절 구조의 보행 훈련 장치에서 사용자가 보행할 때 특정한 관절에서 꺾일 때 해당 관절에 연결 설치된 암 구조물이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진로 방향이 변경되거나 밀리는 문제가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어느 위치에서나 사용자가 목적하는 진로 방향으로 아무런 방해를 받지 않고 안전하고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 프레임(40)은,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 쿠션(44)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스토퍼 쿠션(44)은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의 주행 범위를 한정할 수 있고,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부딪힐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할 수 있다.
브래킷 조립체(30)는 도 4의 (b)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브래킷 조립체(30)는, 제1 베어링 브래킷(32)과 제2 베어링 브래킷(3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제1 베어링 브래킷(32)은,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쳐져 고정되고, 반대쪽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2 베어링 브래킷(34)은,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되고, 반대쪽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면과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일 프레임(40)은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레일 프레임(40)은 하부에 트랙(41)이 형성되고, 상부에 제1 T홈(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양쪽 측면에 제2 T홈(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면과 양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볼트는 일반 소켓 볼트 또는 육각 볼트일 수 있고, 너트는 T 너트로 제공될 수 있으며, T 너트는 상기 제1 T홈(42) 또는 제2 T홈(43)에 끼워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 브래킷(34)은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써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을 고정하기 위한 볼트가 상기 제2 베어링 브래킷(34)을 한꺼번에 고정할 수 있다.
레일 프레임(40)의 바깥쪽 끝부분에 하중이 실리면 레일 프레임(40)과 선회 베어링(20)을 연결하는 브래킷 조립체(30)에 응력이 집중될 수 있고, 응력이 집중되는 부분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을 수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제1 베어링 브래킷(32)과 제2 베어링 브래킷(34)을 겹쳐서 배치하여 고정함으로써 강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고, 브래킷 조립체(30)가 변형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하나의 선회 축(S)에 2개의 선형 축(L)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는 도 17부터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부터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17은 투시도이고, 도 18은 측면도이며, 도 19는 도 18에서 선회 베어링과 브래킷 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고, 도 20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1은 행거 휠과 로커 디바이스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상세 투시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선회 베어링(2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다른 선회 베어링(20)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할 수 있으며, 상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릴 수 있다.
도 17부터 도 2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하나의 선회 축(S)에 2개의 선형 축(L)이 구성한 예를 보인 것으로써, 2개의 선형 측(L)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레일 프레임(40)과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와 슬링(140)이 갖춰지는 것으로써 2명이 보행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하나의 고정 구조물에 2개의 선회 축(S)을 구성할 수 있고, 이는 도 22부터 도 2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부터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2는 투시도이고, 도 23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4는 평면도이다. 도 25와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5는 투시도이고, 도 26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다.
고정 구조물(10)의 한쪽에 확장되어 형성된 확장 구조물(12)을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22부터 도 23은 확장 구조물(12)이 2개로 형성된 예를 보인 것이고, 도 25 및 도 26은 확장 구조물(12)이 3개로 형성된 예를 보인 것이다.
상기 복수의 확장 구조물(12)에 상기 선회 베어링(20)이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할 수 있다.
상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확장 구조물(12)을 복수로 구성하여 더 많은 인원이 한꺼번에 보행 훈련에 참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하나의 선회 축(S)에 복수의 선회 베어링(20)이 배치될 수 있고, 이는 도 19 및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은 선회 베어링과 브래킷 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복수의 선회 베어링(20)이 하나의 선회 축(S)으로 회전 중심이 같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측의 선회 베어링(20)과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사이에 셀 디스크(26)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선회 베어링(20)은 브래킷 조립체(30)와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 예컨대 볼트와 너트 등이 돌출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셀 디스크(26)는 상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와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가 간섭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상부 구조물(60)과 행거 휠 조립체(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부 구조물(60)은 상기 고정 구조물(10) 또는 상기 고정자(22)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원호 구간을 가진다.
또한, 상부 구조물(60)은 상기 원호 구간의 원호 중심이 상기 회전자(24)의 회전 중심과 같을 수 있다.
회전자(24)의 상측에는 브래킷(61)이 고정 설치될 수 있고, 브래킷(61)의 상부에 상기 상부 구조물(60)이 배치될 수 있다.
행거 휠 조립체(7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60)에 걸쳐져 상기 원호 구간을 따라 주행한다.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처짐을 방지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레일 프레임(40)의 끝부분에 사용자의 체중이 실리더라도 레일 프레임(40)이 무너지지 않고 처지지 않으며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으로,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플레이트(62), 거더(64) 및 에지 프레임(6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62)는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하도록 하고 레일 프레임(40)에 작용하는 무게를 분담한다.
상기 거더(64)는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인다. 즉, 거더(64)는 플레이트(6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인다.
상기 에지 프레임(65)은 상기 플레이트(6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지 프레임(65)은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인다. 즉, 에지 프레임(65)은 플레이트(62)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인다.
또한, 상부 구조물(60)은 도 17,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62)에 가이드 웨이(66)가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바깥쪽의 플레이트(62)와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안쪽의 플레이트(62)를 브래킷(67)으로 연결할 수 있다.
브래킷(67)은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바깥쪽의 플레이트(62)가 낙하하지 않도록 지탱한다.
행거 휠 조립체(70)는 행거 휠 브래킷(71)이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72)이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양쪽에서 상기 플레이트(62)를 따라 주행할 수 있다.
즉,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는 양쪽의 행거 휠(72)에서 무게를 분담할 수 있고, 이로써 편하중이 제거되어 행거 휠 조립체(70)의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거 휠 브래킷(71), 핀 샤프트(73), 롤링 브래킷(74) 및 복수의 행거 휠(72)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31은 행거 휠 조립체(70)의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상기 행거 휠 브래킷(71)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설치될 수 있고, 레벨 블록(4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핀 샤프트(73)는 상기 행거 휠 브래킷(71)에 설치된다.
롤링 브래킷(74)은 상기 핀 샤프트(73)에 설치되어 롤링(Rolling) 될 수 있다. 즉, 롤링 브래킷(74)은 핀 샤프트(73)를 중심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복수의 행거 휠(72)은 상기 롤링 브래킷(74)에서 상기 핀 샤프트(73)를 기준으로 상기 핀 샤프트(73)의 양쪽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보행 훈련 장치는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상부 구조물(60)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어느 한 구간에서 뒤틀리는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롤링 브래킷(74)이 핀 샤프트(73)를 중심으로 롤링(Rolling) 되도록 함으로써 플레이트(62) 일부가 변형되더라도 복수의 행거 휠(72)이 상부 구조물(60)의 플레이트(62)에 접촉할 수 있고 이로써 행거 휠 조립체(70)의 주행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도 18, 도 19, 도 29 및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벨 블록(46)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레벨 블록(46)은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행거 휠 조립체(7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레벨 블록(46)은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로커 디바이스(8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로커 디바이스(8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할 수 있다.
즉, 레일 프레임(40)이 하나의 선회 축(S)에 배치되더라도 상기 레벨 블록(46)을 이용하여 각 행거 휠 조립체(70) 또는 각 로커 디바이스(80)의 높이를 같게 구성할 수 있고, 이로써 각 행거 휠 조립체(70) 또는 각 로커 디바이스(80)는 같은 높이에 배치된 상부 구조물(6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한 종류 규격으로 각 행거 휠 조립체(70)를 제작할 수 있고, 한 종류 규격의 로커 디바이스(80)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걷기 훈련 장치를 제조할 때 구성요소 관리가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부 구조물(60)은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하도록 하는 레일 구간을 링 구조물(6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는 도 27부터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7과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써, 도 27은 투시도이고, 도 28은 아래 방향에서 보인 투시도이며, 도 29는 측면도이고, 도 30은 선회 베어링과 브래킷 조립체를 확대하여 보인 측면도이다.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플레이트(62), 거더(64) 및 링 구조물(68)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플레이트(62)는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앞서 설명된 다른 실시예의 플레이트(62)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무게와 부피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고, 이로써 구성품의 제작, 운반 및 설치에 있어서 노동력이 감소하여 노동자의 부담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거더(64)는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인다.
링 구조물(68)은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거더(64)에 의해 지지가 될 수 있다.
특히, 링 구조물(68)은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72)은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링 구조물(68)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으며, 행거 휠(72)이 링 구조물(68)에 주행할 때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거더(64)는 도 27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고, 행거 휠 조립체(70)가 거더(64)를 건너지 못하고 주행이 가로막힐 수 있으며, 이로써 특정 위치의 레일 프레임(40)이 선회 축(S)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회전 범위를 한정할 수 있으며, 이웃한 다른 사용자와 부딪히거나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레일 프레임(40)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로커 디바이스(8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부 구조물(60)은 원호 구간의 한쪽에 복수의 스톱 홀(63)이 원호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6, 도 17 및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조물(60)의 플레이트(62)가 원형으로 제공되고, 레일 프레임(40)이 완전하게 한 바퀴를 돌 수 있도록 제공되면 상기 스톱 홀(63)은 360도 전 구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2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조물(60)이 2개의 원을 붙여 놓은 형상, 위에서 내려다보면 대략 땅콩 모양으로 형성되면 각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한정하여 스톱 홀(63)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구조물(60)이 3개의 원을 붙여 놓은 형상, 위에서 내려다보면 대략 클로버 모양으로 형성되면 각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할 수 있는 범위에 한정하여 스톱 홀(63)이 배열될 수 있다.
로커 디바이스(80)는 도 7 내지 도 9, 도 12, 도 18, 도 21, 도 23, 도 26 및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는 레벨 블록(46)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로커 디바이스(80)는 당김 줄(130)이 묶여 있을 수 있고, 당김 줄(130)을 조작함에 따라 리프트(85)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프트(85)가 도 8, 도 12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승 위치이면 탑 핀(86)이 상기 복수의 스톱 홀(63) 중 어느 하나의 스톱 홀(63)에 삽입되고, 이로써 상기 레일 프레임(40)이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잠근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멜빵을 착용하거나 멜빵을 벗을 때에 멜빵이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반대로, 상기 리프트(85)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강 위치이면 탑 핀(86)이 상기 복수의 스톱 홀(63)에서 빠져나와 간섭되지 않고, 이로써 상기 레일 프레임(40)이 선형 축(S)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다.
로커 디바이스(80)의 실시예는 도 8부터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커 디바이스(80)는 케이스(81), 리프트(85), 스프링(90) 및 레버(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81)는 상기 레일 프레임(40) 또는 레벨 블록(46)에 고정될 수 있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영문자 'L'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홀(82)은 수평부(83)와 수직부(84)로 형성될 수 있고, 레버(120)가 수평부(83)에 위치하면 리프트(85)는 하강 위치로 전환되고, 레버(120)가 수직부(84)에 위치하면 리프트(85)는 상승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83)는 수직부(84)와 연결된 반대쪽 끝부분이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레버(120)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임의로 수직부(84)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프트(85)는 상기 케이스(81)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 운동할 수 있고,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90)은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한다.
레버(120)는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일 수 있다.
사용자는 당김 줄(130)을 어느 한쪽으로 비스듬하게 당기거나 반대쪽으로 비스듬하게 당길 수 있다.
사용자가 당김 줄(130)을 어느 방향으로 당긴 후에 놓는지에 따라 리프트(85)의 상승 위치 또는 하강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당김 줄(130)을 오른쪽으로 당긴 후에 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로써 레버(120)는 가이드 홀(82)의 수직부(84)를 따라 이동하고, 스프링(90)의 복원력으로 리프트(85)가 상승할 수 있으며 이로써, 리프트(85)는 상승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당김 줄(130)을 아래쪽으로 잡아당긴 후에 왼쪽으로 당기고 놓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이로써 레버(120)는 가이드 홀(82)의 수평부(83)를 따라 이동하고, 레버(120)가 하강함에 따라 스프링(90)은 압축되며, 리프트(85)는 하강하여 하한 위치로 전환된다.
상기 리프트(85)가 상승하더라도 리프트(85)의 탑 핀(86)이 플레이트(62)의 저면에 밀착되어 활주할 수 있고, 레일 프레임(40)이 선회함에 따라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순간에 탑 핀(86)이 스톱 홀(63)에 삽입될 수 있다.
탑 핀(86)이 스톱 홀(63)에 삽입되면 레일 프레임(40)은 선회 축(S)이 잠기어 선회할 수 없게 고정된다. 이후, 탑 핀(86)을 스톱 홀(63)에서 이탈시키면 레일 프레임(40)의 선회 운동이 자유로워진다.
로커 디바이스(80)의 다른 실시예는 도 12부터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로커 디바이스(80)는 케이스(81), 리프트(85), 스프링(90), 제1, 2 캠 플레이트(91, 92), 캠 핀(110) 및 레버(12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케이스(81)는 상기 레일 프레임(40) 또는 레벨 블록(46)에 고정될 수 있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리프트(85)는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되고 중부분에 슬라이드 웨이(87)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90)은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제1, 2 캠 플레이트(91, 92)는 캠 웨이(100)가 형성될 수 있다.
캠 핀(110)은 상기 슬라이드 웨이(87)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캠 웨이(1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레버(120)는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일 수 있다.
상기 캠 웨이(100)는, 제1~4 포인트(101~104)를 포함하여 순환 경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포인트(101)는 상기 캠 핀(110)이 가장 높은 위치에 머물도록 하는 지점이다. 상기 캠 핀(110)이 제1 포인트(101)에 머물면 리프트(85)가 상승 위치가 된다.
제2 포인트(102)는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지점이다.
제3 포인트(103)는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캠 핀(110)이 머물도록 하는 지점이다. 상기 캠 핀(110)이 제3 포인트(103)에 머물면 리프트(85)가 하강 위치가 된다.
제4 포인트(104)는 상기 제3 포인트(10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제1~4 포인트(101~104)는 순환 경로를 이루고, 캠 핀(110)은 순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오르내린다.
즉, 상기 캠 핀(110)은 상기 제1 포인트(101)에서 상기 제2 포인트(102)로, 상기 제2 포인트(102)에서 상기 제3 포인트(103)로, 상기 제3 포인트(103)에서 상기 제4 포인트(104)로, 상기 제4 포인트(104)에서 상기 제1 포인트(101)로 순환 이동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당김 줄(130)을 한번 당겼다가 놓으면 도 16의 (a)(b)(c)를 차례대로 구현하는 것으로써, 상기 캠 핀(110)은 제1 포인트(101)에서 출발하여 제2 포인트(102)를 거쳐서 제3 포인트(103)에 도착하여 멈춘다.
사용자가 당김 줄(130)을 다시 한번 당겼다가 놓으면 도 16의 (c)(d)(a)를 차례대로 구현하는 것으로써, 상기 캠 핀(110)은 제3 포인트(103)에서 출발하여 제4 포인트(104)를 거쳐서 제1 포인트(101)에 도착하여 멈춘다.
즉, 사용자는 당김 줄(130)을 잡아당겼다가 놓는 동작을 반복하면 리프트(85)를 상한 위치에서 하한 위치로 전환하거나 하한 위치에서 상한 위치로 전환할 수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웨이(100)는 제1 캠 플레이트(91)와 제2 캠 플레이트(92)에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1, 2, 4 포인트(101, 102, 104)가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에 형성될 수 있고, 제3 포인트(103)의 구조물이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캠 웨이(100)를 형성할 때, 제1 캠 플레이트(91)의 가공이 편리한 이점이 있고, 예컨대 프레스 가공으로 쉽게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와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한 몸체의 제1, 2 캠 플레이트(91, 92)에 엔드밀 등의 절삭 가공하여 캠 웨이(10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커 디바이스(80)는 스페이서(93)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고, 스페이서(93)는 상기 리프트(8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가 상기 리프트(85)의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93)가 상기 리프트(85)의 양쪽 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하면 상기 리프트(85)가 오르내릴 때 양쪽 제1 캠 플레이트(91)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여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스페이서(93)를 구성함으로써 로커 디바이스(80)의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해당 업계 종사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따라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걷기 훈련 장치는, 사용자가 걷기 훈련을 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고정 구조물 12: 확장 구조물
20: 선회 베어링 22: 고정자
24: 회전자 26: 셀 디스크
30: 브래킷 조립체 32, 34: 제1, 2 베어링 브래킷
40: 레일 프레임 41: 트랙
42, 43: 제1, 2 T홈 44: 스토퍼 쿠션
45: 엔드 플레이트 46: 레벨 블록
50: 드라이브 휠 조립체 51: 휠 브래킷
52: 휠
60: 상부 구조물 61: 브래킷
62: 플레이트 63: 스톱 홀
64: 거더 65: 에지 프레임
66: 가이드 웨이 67: 브래킷
68: 링 구조물
70: 행거 휠 조립체
71: 행거 휠 브래킷 72: 행거 휠
73: 핀 샤프트 74: 롤링 브래킷
80: 로커 디바이스 81: 케이스
82: 가이드 홀 83: 수평부
84: 수직부 85: 리프트
86: 탑 핀 87: 슬라이드 웨이
90: 스프링 91, 92: 제1, 2 캠 플레이트
93: 스페이서
100: 캠 웨이 101~104: 제1~4 포인트
110: 캠 핀 120: 레버
130: 당김 줄 140: 슬링
L: 선형 축 S: 선회 축

Claims (19)

  1. 건축물의 천장 또는 건축물의 바닥에 고정된 고정 구조물(10);
    상기 고정 구조물(10)에 설치되고, 회전자(24)가 고정자(22)의 바깥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회 베어링(20);
    상기 회전자(24)에 고정 설치된 브래킷 조립체(30);
    상기 브래킷 조립체(30)에 고정 설치되고 저면에 직선 형태의 트랙(41)이 형성된 레일 프레임(40);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트랙(41)에서 직선으로 주행하는 드라이브 휠 조립체(50); 및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매달리도록 하는 슬링(140);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베어링(20)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 다른 선회 베어링(20)이 배치되고,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되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되고,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 되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리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측의 선회 베어링(20)과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와 하측의 선회 베어링(20)의 구성요소가 간섭되지 않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셀 디스크(26);
    를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10)의 한쪽에 확장되어 형성된 복수의 확장 구조물(12);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확장 구조물(12)에 상기 선회 베어링(20)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선회 베어링(20)의 회전자(24)에 브래킷 조립체(3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브래킷 조립체(30)에 레일 프레임(40)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레일 프레임(40)에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각각 주행 되며,
    상기 각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에 슬링(140)이 각각 매달리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조물(10) 또는 상기 고정자(22)에 고정 설치되고, 측면 방향에서 볼 때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부에서 내려다볼 때 원호 구간을 가지고, 상기 원호 구간의 원호 중심이 상기 회전자(24)의 회전 중심과 같은 상부 구조물(60); 및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상부 구조물(60)에 걸쳐져 상기 원호 구간을 따라 주행하며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처짐을 방지하는 행거 휠 조립체(70);
    를 더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플레이트(62);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거더(64); 및
    상기 플레이트(62)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에지 프레임(65);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62)에 가이드 웨이(66)가 관통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구조물(60);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기준으로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바깥쪽의 플레이트(62)와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안쪽의 플레이트(62)를 연결하는 브래킷(67);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 브래킷(71)이 상기 가이드 웨이(66)를 관통하여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행거 휠(72)이 상기 가이드 웨이(66)의 양쪽에서 상기 플레이트(62)를 따라 주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구조물(60)은,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플레이트(62);
    상기 플레이트(62)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플레이트(62)의 강성을 높이는 거더(64); 및
    상기 선회 베어링(20)과 중심이 같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거더(64)에 의해 지지가 되며,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가 주행하도록 하는 링 구조물(68);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조립체(30)는,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쳐져 고정되고, 반대쪽은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면과 양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되어 고정된 제1 베어링 브래킷(32); 및
    한쪽은 상기 회전자(24)에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되고, 반대쪽은 상기 프레임(40)의 상면과 겹치도록 상기 제1 베어링 브래킷(32)의 위에 배치된 제2 베어링 브래킷(34);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41)에 배치되어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의 주행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드라이브 휠 조립체(50)가 부딪힐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스토퍼 쿠션(44);
    을 더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1. 제5항 내지 제8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 구간의 한쪽에 복수의 스톱 홀(63)이 원호 형상으로 배열되어 형성된 상기 상부 구조물(60); 및
    상기 레일 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되고, 당김 줄(130)을 조작함에 따라 리프트(85)를 승강시키며, 상기 리프트(85)가 상승 위치이면 탑 핀(86)이 상기 복수의 스톱 홀(63) 중 어느 하나의 스톱 홀(63)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 프레임(40)이 회전 운동을 하지 못하도록 잠그는 로커 디바이스(80);
    를 더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디바이스(8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되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영문자 'L'자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81);
    상기 케이스(81)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승강 운동하며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된 리프트(85);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90); 및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이는 레버(120);
    를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 디바이스(8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고정되고 한쪽 측면에 가이드 홀(82)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케이스(81);
    상부에 상기 탑 핀(86)이 형성되고 중부분에 슬라이드 웨이(87)가 수평 방향으로 길게 직선 형태로 관통되어 형성된 리프트(85);
    상기 케이스(81)와 상기 리프트(85)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리프트(85)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작용하는 스프링(90);
    캠 웨이(100)가 형성된 제1, 2 캠 플레이트(91, 92);
    상기 슬라이드 웨이(87)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캠 웨이(1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는 캠 핀(110); 및
    한쪽이 상기 리프트(85)에 설치되고 중간 일부가 상기 가이드 홀(82)을 따라 이동되며 다른 한쪽에 상기 당김 줄(130)이 묶이는 레버(120); 를 포함하고,
    상기 캠 웨이(100)는,
    상기 캠 핀(110)이 가장 높은 위치에 머물도록 하는 제1 포인트(101);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2 포인트(102);
    상기 제1 포인트(101)보다 낮은 위치에서 상기 캠 핀(110)이 머물도록 하는 제3 포인트(103);
    및 상기 제3 포인트(10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는 제4 포인트(104); 를 포함하고,
    상기 캠 핀(110)이 상기 제1 포인트(101)에서 상기 제2 포인트(102)로, 상기 제2 포인트(102)에서 상기 제3 포인트(103)로, 상기 제3 포인트(103)에서 상기 제4 포인트(104)로, 상기 제4 포인트(104)에서 상기 제1 포인트(101)로 순환 이동하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에 상기 제1, 2, 4 포인트(101, 102, 104)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에 상기 제3 포인트(103)의 구조물이 돌출되어 형성된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와 상기 제2 캠 플레이트(92)가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85)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된 스페이서(93);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캠 플레이트(91)가 상기 리프트(85)의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페이서(93)가 상기 리프트(85)의 양쪽 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리프트(85)가 오르내릴 때 양쪽 제1 캠 플레이트(91)의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여유 공간이 확보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7.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행거 휠 조립체(7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하는 레벨 블록(46);
    을 더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프레임(40)과 상기 로커 디바이스(80)의 사이에 배치되어 복수의 로커 디바이스(80)의 높이가 모두 갖도록 하는 레벨 블록(46);
    을 더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 휠 조립체(70)는,
    상기 레일 프레임(40)에 설치되는 행거 휠 브래킷(71);
    상기 행거 휠 브래킷(71)에 설치된 핀 샤프트(73);
    상기 핀 샤프트(73)에 설치되어 롤링(Rolling) 되는 롤링 브래킷(74); 및
    상기 롤링 브래킷(74)에서 상기 핀 샤프트(73)를 기준으로 상기 핀 샤프트(73)의 양쪽에 각각 배치된 복수의 행거 휠(72);
    을 포함하는 걷기 훈련 장치.
KR1020220077178A 2022-06-23 2022-06-23 걷기 훈련 장치 KR20240000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78A KR20240000314A (ko) 2022-06-23 2022-06-23 걷기 훈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178A KR20240000314A (ko) 2022-06-23 2022-06-23 걷기 훈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314A true KR20240000314A (ko) 2024-01-02

Family

ID=89512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178A KR20240000314A (ko) 2022-06-23 2022-06-23 걷기 훈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3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67B1 (ko) 2016-11-18 2018-01-25 정부환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회전반경 제한 장치
KR101822358B1 (ko) 2016-07-25 2018-01-25 정부환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KR20190088839A (ko)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58B1 (ko) 2016-07-25 2018-01-25 정부환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
KR101822367B1 (ko) 2016-11-18 2018-01-25 정부환 보행 운동용 다방향 현수장치의 회전반경 제한 장치
KR20190088839A (ko) 2018-01-19 2019-07-29 정부환 보행 훈련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8737B2 (en) Zip track and system
CN106917499B (zh) 一种自驱式全自动机器人爬架
CN101596906A (zh) 用于将人员从山上站运送到山谷站的设备
JP2016539061A (ja) 構造物に人搬送装置を支持するための支持体
JP5229932B2 (ja) 機械式激震対応免震構造装置
KR20240000314A (ko) 걷기 훈련 장치
KR100622395B1 (ko) 자기부상열차 선로에 설치되는 추락방지용 안전 난간구조물
KR102020658B1 (ko) 보행 훈련 장치
JP4391872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3780493B2 (ja) 免震床への渡り床
CN214913013U (zh) 一种用于步态训练的减重浮动装置
JP4377006B2 (ja) エレベータの構造
KR102484613B1 (ko) 익스트림 라이더
CN210446342U (zh) 一种不锈钢护栏床
JP4481071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5096975A (ja) 免震建物のエレベータ
CN211772834U (zh) 一种外防撞墙施工防护台
CN210313053U (zh) 施工升降机的减震安全装置
JP4606933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乗場装置
KR200270311Y1 (ko)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승용물 가이드장치
JP4619687B2 (ja) 免震建物用エレベータの可動乗場装置
JP2004331268A (ja) 中間階免震建造物
CN207412605U (zh) 一种用于体能训练的固定装置
CN113058201A (zh) 一种用于步态训练的减重浮动装置
KR200257182Y1 (ko) 고공낙하 놀이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