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7182Y1 - 고공낙하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고공낙하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7182Y1
KR200257182Y1 KR2020010025081U KR20010025081U KR200257182Y1 KR 200257182 Y1 KR200257182 Y1 KR 200257182Y1 KR 2020010025081 U KR2020010025081 U KR 2020010025081U KR 20010025081 U KR20010025081 U KR 20010025081U KR 200257182 Y1 KR200257182 Y1 KR 2002571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pulley
vehicle
fixed
lifting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5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충렬
이성진
이석
홍일
박원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손시
이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손시, 이성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손시
Priority to KR2020010025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71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71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7182Y1/ko

Links

Landscapes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을 트러스 상의 고공으로 리프팅 한 후, 급격히 낙하시켜 탑승자로 하여금을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대한 승용물의 이동거리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승용물의 리프팅시 승강실린더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 제작의 용이성 확보와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고공의 트러스(1)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1) 내부 중앙 하부측 승강실린더(3)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2)이 트러스(1)를 따라 상승한 뒤, 고공 낙하되는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1)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4)(4A)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3)의 상부측 실린더 로드(3A) 상에는 다수의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를 갖는 웨이트(5)가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5)와 제1고정도르래A,B(4)(4A) 사이의 트러스(1) 상에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A,B(6)(6A)가 설치되고; 상기 승용물(2)의 일측부와 제1고정도르래A(4), 움직도르래A(53) 및 제2고정도르래A(6)와 움직도리래B(53A)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 상부측 제1고정점(71)에 고정된 제1구동로프(7)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되며; 상기 승용물(2)의 타측부와 제1고정도르래B(4A), 움직도르래D(53C) 및 제2고정도르래B(6A)와 움직도리래C(53B)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상부측 제2고정점(72)에 고정된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됨으로써 기존에 승용물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스트로크를 갖는 승강실린더의 제작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승강실린더 제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공낙하 놀이기구{The play structure for dropping a high sky}
본 고안은 승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을 트러스 상의고공으로 리프팅 한 후, 급격히 낙하시켜 탑승자로 하여금을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승강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대한 승용물의 이동거리를 확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승용물의 리프팅시 승강실린더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 제작의 용이성 확보와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공낙하 놀이기구는 트러스를 고공으로 설치하고, 그 트러스에 승용물을 로프로 매달아 끌어 올리고 내리는 식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되, 하강속도를 급격히 하여 승용물의 탑승자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의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타워식으로 지상에서 고공으로 트러스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의 외측에는 트러스를 따라 승강되는 승용물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용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트러스의 최상부에 도르래가 설치되어 있고, 이의 하부측 트러스 내부 중앙에는 구동원으로써 승강실린더가 입설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승용물과 도르래 그리고 승강실린더를 로프로 연결하여 상기 승강실린더의 작동에 의한 로프의 전동에 의해서 승용물을 트러스 상에서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공낙하 놀이기구는 승강실린더의 직접적인 로프 전동에 의해서 트러스 상에서 승용물을 승강구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승용물의 상승 높이에 비례해 승강실린더의 스트로크 범위도 길어질 수 밖에 없고, 이로인해 상기 승강실린더의 길이도 길어질 수 밖에 없어 이의 제작에 따른 어려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승용물의 무게에 상응하게 승강실린더의 승강구동력이 요구되므로 부하에 따른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이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승강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대해 승용물의 이동거리가 확대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승용물의 리프팅시 승강실린더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승강실린더 제작의 용이성 확보와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승용물이 정해진 최상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그 범위를 제한하면서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공의 트러스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 내부 중앙 하부측 승강실린더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이 트러스를 따라 상승한 뒤, 고공 낙하되는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상부측 로드 상에는 다수의 움직도르래A,B,C,D를 갖는 웨이트가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와 제1고정도르래A,B 사이의 트러스 상에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A,B가 설치되고; 상기 승용물의 일측부와 제1고정도르래A, 움직도르래A 및 제2고정도르래A와 움직도르래B는 일단이 승용물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의 상부측 제1고정점에 고정된 제1구동로프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되며; 상기 승용물의 타측부와 제1고정도르래B, 움직도르래D 및 제2고정도르래B와 움직도르래C는 일단이 승용물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의 상부측 제2고정점에 고정된 제2구동로프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트러스는 상부 양측에 하향 입설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완충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a,도 2b,도 2c는 본 고안의 도르래 설치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2a는 제1고정도르래의 평면도.
도 2b는 제2고정도르래의 평면도.
도 2c는 움직도르래의 평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승용물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3a는 정면도.
도 3b는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웨이트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평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5a는 정면도.
도 5b는 평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트러스
11:기대 12:트러스 프레임
13:지주
2:승용물
21:승용물 프레임 22:좌석
23:안전바 24:가이드롤러
3:승강실린더 3A:로드
4,4A:제1고정도르래A,B
5:웨이트
51:무게추 52:지지대
53,53A,53B,53C:움직도르래 54:회전축
55:가이드롤러
6,6A:제2고정도르래A,B
7,7A:제1,2구동로프
71:제1고정점 72:제2고정점
8:완충부 8A:유압실린더
8B:고정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상에 일정 높이의 고공으로 트러스(1)가 설치되고, 이의 외측에는 다수의 사람이 탑승하는 승용물(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트러스(1)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4)(4A)가 설치되고, 트러스(1)의 내부 중앙 하부측에는 상부측으로 실린더 로드(3A)가 위치되게 승강실린더(3)가 입설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 로드(3A)에는 다수의 무게추(51)로 구성되고 상부측에 다수의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를 갖는 웨이트(5)가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5)와 제1고정도르래A,B(4)(4A) 사이의 트러스(1) 내부에는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A,B(6)(6A)가 횡방향으로 축설된다.
이와함께 상기 승용물(2) 및 제1고정도르래A(4) 그리고 움직도르래A,B(53)(53A)와 제2고정도르래A(6)는 제1구동로프(7)에 의해서 상호 연동될 수 있게 연결되고, 승용물(2) 및 제1고정도르래B(4A) 그리고움직도르래C,D(53B)(53C)와 제2고정도르래B(6A)는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상호 연동될 수 있게 연결된 것으로, 결국 상기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에 의한 그들 상호 간의 연동은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제1구동로프(7)는 승용물(2)에 일단이 고정되고, 이의 타측은 트러스(1)의 최상부측에 설치된 제1고정도르래A(4)를 거쳐 웨이트(5)의 움직도르래A(53)에 걸어지는 식으로 연결된 후, 다시 이의 상부측 제2고정도르래A(6)를 거쳐 움직도리래B(53A)를 통해 트러스(1)의 상부측 트러스 프레임(12)의 제1고정점(71)에 고정된다.
그리고 제2구동로프(7A)는 승용물(2)에 일단이 고정되고, 이의 타측은 트러스(1)의 최상부측에 설치된 제1고정도르래B(4A)를 거쳐 웨이트(5)의 움직도르래D(53C)에 걸어지는 식으로 연결된 후, 다시 이의 상부측 제2고정도르래B(6A)를 거쳐 움직도리래C(53B)를 통해 트러스(1)의 상부측 트러스 프레임(12)의 제2고정점(72)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도 1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 로드(3A)에 연결된 웨이트(5)는 W1에 위치하고, 승용물(2)은 C1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3)가 실린더 로드(3A)를 하방으로 후진시키게 되면, 상기 실린더 로드(3A)에 연결된 웨이트(5)가 하강하면서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에 걸어진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에 하방의 당김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구동로프(7)는 움직도리래B(53A)와, 제2고정도르래A(6), 움직도르래A(53)를 따라 승용물(2)의 일측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2구동로프(7A)도 움직도리래C(53B)와 제2고정도르래A(6), 움직도르래D(53C)를 따라 승용물(2)의 타측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승용물(2)을 C1에서 C2의 위치까지 고공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웨이트(5)는 W1에서 W2의 위치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용물(2)의 이동거리는 기중기에 적용되는 도르래 원리에 따라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가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 및 제2고정도르래A,B(6)(6A)를 각각 거치는 동안 승강실린더(3)의 스트로크에 대해서 4배로 확대된 거리로 나타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실린더(3)에 의한 승용물(2)의 승강구동력도 4배로 줄어든 힘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실린더(3)의 작동에 의한 당김력을 해제하게 되면, 승강실린더(3)의 실린더 로드(3A)가 상부측으로 다시 순간 전진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W2에서 W1의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트러스(1)의 C2 위치에 매달려진 승용물(2)은 자유낙하 식으로 순간 급격히 고공낙하가 이루어지면서 C1의 위치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승용물(2)의 탑승자로 하여금 스릴을 만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a,도 2b,도 2c는 본 고안의 도르래 설치상태를 보인 것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고정도르래A,B(4)(4A)는 사각을 이루는 트러스(1)의 4개 지주(13) 사이를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트러스 프레임(12) 상에 서로 평행하게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고정도르래A,B(6)(6A)는 지주(13)와 이들 사이를 상호 연결 및 지지하는 트러스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트러스(1) 중앙부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축에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된다. 또한, 웨이트(5)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주(13)와 트러스 프레임(12)으로 구성된 트러스(1) 내부에 제2고정도르래A,B(6)(6A)와 대칭되게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된 축에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가 설치되고, 상기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의 하부측에는 무게추(51)가 구비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승용물 구조를 보인 것이다.
상기 승용물(2)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1)의 각 면을 따라 외측에 사각 형태의 승용물 프레임(21)으로 구성되고, 상기 승용물 프레임(21)에는 다수의 좌석(2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용물 프레임(21)의 각 모서리 부분에는 트러스 프레임(12)으로 지지되는 트러스(1)의 지주(13)와 구름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24)가 구비되어 트러스(1)에 대한 승용물(2)의 승강구동을 안내해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물(2)의 좌석(22) 상부측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바(23)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안전바(23)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로 작동하면서 좌석(22)의 탑승자를 잡아주거나 이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승용물(2)의 상부측은 제1구동로프(7) 및 제2구동로프(7A)로 연결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웨이트 구조를 보인 것으로서, 도 4a는 웨이트의 정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웨이트(5)는 하부측에 다수의 무게추(51)가 적층식으로 구비되고, 이의 상부측에는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가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는 횡방향의 회전축(54) 상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4)은 무게추(51)의 상방으로 입설된 다수의 지지대(5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웨이트(5)가 지주(13)를 따라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웨이트(5)의 상.하부 외측에는 지주(13)에 구름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55)가 구비된다.
도 4b는 웨이트의 평면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웨이트(5)는 대각선 방향의 회전축(54) 상에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4)은 지지대(5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의 하부측에는 무게추(51)가 구비된다. 또한 외측에 트러스(1)의 지주(13)에 구름접촉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55)가 구비되어 웨이트(5)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3)와 트러스 프레임(12)으로 구성되는 트러스(1)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4)(4A)가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축설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트러스(1)의 외부 양측부에는 승용물(2)의 상승범위를 제한하면서 완충기능을 갖는 완충부(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8)는 하방으로 입설된 유압실린더(8A)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실린더(8A)는 고정바(8B)에 의해서 트러스(1)에 고정 및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르래의 원리에 따라 승강실린더의 스트로크에 대해서 승용물의 이동거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승용물의 리프팅시 승강실린더에 걸리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승용물의 이동거리에 상응하는 스트로크를 갖는 승강실린더의 제작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어 승강실린더 제작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놀이기구의 안전성 및 신뢰성 향상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트러스의 상부측에 설치된 완충장치로 인해 승용물이 정해진 최상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도 있다.

Claims (2)

  1. 고공의 트러스(1)가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1) 내부 중앙 하부측 승강실린더(3)의 구동력에 의한 로프전동으로 승용물(2)이 트러스(1)를 따라 상승한 뒤, 고공 낙하되는 놀이기구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1)의 최상부에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A,B(4)(4A)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실린더(3)의 상부측 실린더 로드(3A) 상에는 다수의 움직도르래A,B,C,D(53)(53A)(53B)(53C)를 갖는 웨이트(5)가 연결되며, 상기 웨이트(5)와 제1고정도르래A,B(4)(4A) 사이의 트러스(1) 상에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A,B(6)(6A)가 설치되고;
    상기 승용물(2)의 일측부와 제1고정도르래A(4), 움직도르래A(53) 및 제2고정도르래A(6)와 움직도리래B(53A)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 상부측 제1고정점(71)에 고정된 제1구동로프(7)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되며;
    상기 승용물(2)의 타측부와 제1고정도르래B(4A), 움직도르래D(53C) 및 제2고정도르래B(6A)와 움직도리래C(53B)는 일단이 승용물(2)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트러스(1)의 상부측 제2고정점(72)에 고정된 제2구동로프(7A)에 의해서 상호 연동되게 걸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1)는 상부 양측에 하향 입설된 유압실린더(8A)로 구성된 완충부(8)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고공낙하 놀이기구.
KR2020010025081U 2001-08-18 2001-08-18 고공낙하 놀이기구 KR2002571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1U KR200257182Y1 (ko) 2001-08-18 2001-08-18 고공낙하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5081U KR200257182Y1 (ko) 2001-08-18 2001-08-18 고공낙하 놀이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830A Division KR20030015962A (ko) 2001-08-18 2001-08-18 고공낙하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7182Y1 true KR200257182Y1 (ko) 2001-12-24

Family

ID=73107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5081U KR200257182Y1 (ko) 2001-08-18 2001-08-18 고공낙하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718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597B1 (ko) 타워형 놀이기구
CN100335394C (zh) 具有建立保护区的缓冲器的电梯设备和建立保护区的方法
JP2007501756A5 (ko)
CN102459053A (zh) 方法和电梯装置
KR100351275B1 (ko) 머신룸 레스 엘리베이터
AU2004209538A1 (en) Triangulated support structure for an elevator system
JP427064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200257182Y1 (ko) 고공낙하 놀이기구
CN116654798A (zh) 一种建筑工程用物料提升机
US20150184407A1 (en) Equipment for lifting and lowering an object of large dimensions and mass
KR20030015962A (ko) 고공낙하 놀이기구
US6085872A (en) Roped hydraulic elevator
CN113911886A (zh) 高层建筑消防和救援机械平台
JPH06263369A (ja) 昇降機
EP1016616A1 (en) Lift cage guidance system
US185276A (en) Improvement in hoisting apparatus
CN217148200U (zh) 电梯坠落时轿厢安全防撞机构
KR200270312Y1 (ko) 고공낙하 놀이기구의 로프 연결장치
CN220877711U (zh) 一种拉探险网兜桥
JP3240208U (ja) 移動玩具体用立体走行装置
US3018903A (en) Vehicle parking system
WO2012127682A1 (ja) マルチデッキエレベータ
CN209258985U (zh) 一种双立柱升降机
RU2243805C1 (ru) Аттракцион
KR200218105Y1 (ko) 타워크레인의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