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273B1 -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273B1
KR101822273B1 KR1020160047045A KR20160047045A KR101822273B1 KR 101822273 B1 KR101822273 B1 KR 101822273B1 KR 1020160047045 A KR1020160047045 A KR 1020160047045A KR 20160047045 A KR20160047045 A KR 20160047045A KR 101822273 B1 KR101822273 B1 KR 101822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housing
hole
tir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9359A (ko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273B1/ko
Priority to US15/257,705 priority patent/US9802445B1/en
Priority to CN201610970787.3A priority patent/CN107303783A/zh
Publication of KR20170119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7/0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 B60B7/20Wheel cover discs, rings, or the like, for ornamenting, protecting, venting, or obscuring, wholly or in part, the wheel body, rim, hub, or tyre sidewall, e.g. wheel cover discs, wheel cover discs with cooling fins having an element mounted for rotation independently of wheel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310/00Manufacturing methods
    • B60B2310/30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 B60B2310/305Manufacturing methods joining by screw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1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33Nois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주행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저감하되, 특히 공명 진동수의 튜닝이 가능함에 따라 타이어 사양에 맞추어 소음 저감이 최적화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APPARATUS FOR NOISE DIMINUTION OF TIRE}
본 발명은 주행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에는 고유 진동 소음 및 로드 노이즈가 발생됨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는데, 타이터의 공명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 타이어 내부에 소음 저감을 위한 흡음재를 장착하거나, 휠 림부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휠 표면에 흡음재나 모피 등의 재질을 부착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타이어 안쪽 면에 흡음재 등을 장착 또는 부착하는 방법의 경우 주행시 타이어의 트레드 변형에 의해 접착면에 응력이 집중되어 흡음재가 박리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휠 림부를 변형시킬 경우 타이어에 작용되는 응력에 의해 추가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종래의 타이어 소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구조를 대폭 변경하지 않는 한 큰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특정 진동수 대역에서 발생되는 소음 문제를 해소하는데 제한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0-0033233 A (2000.06.15)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행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공명 진동수의 튜닝이 가능함에 따라 타이어 사양에 맞추어 소음 저감이 최적화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는 타이어가 구비되는 휠 림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명홀이 형성됨으로써 공명홀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통해 맥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명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휠 림에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설치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휠 림의 설치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부는 설치부에 대응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 커버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명 커버는,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에 결합되되 하판에서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 상기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부에 노출된 볼트부와, 상판의 관통홀에서 볼트부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부로 구성되며, 슬라이더부가 볼트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부의 회전시 상판과 하판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볼트부는 하판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된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측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몸통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머리부를 감싸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된 위치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둘레에 슬릿홈이 형성되고, 슬릿홈은 둘레를 따라 다각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부의 접촉시 상판과 하판이 볼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부는 하판에서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에는 관통홀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가이드홀에 마련되어 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더부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띠가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감긴 태엽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탄성띠는 볼트부에 연결되어 볼트부의 회전시 직경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엽 스프링은 탄성띠의 일단이 볼트부에 연결되고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직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감기되 최외측의 궤도에 인접한 내측의 궤도에서 직경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감김에 따라 타단이 최외측 궤도의 시작점에 위치됨으로써 직경이 증가된 상태에서 탄성띠의 최외측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엽 스프링은 표면에 씰링 러버가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과 하판에는 각각 공명홀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르면, 주행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공명 진동수의 튜닝이 가능함에 따라 타이어 사양에 맞추어 소음 저감이 최적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른 휠 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11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른 휠 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11은 도 1에 도시된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가 구비되는 휠 림(1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 하우징(100); 및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명홀(202)이 형성됨으로써 공명홀(202)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통해 맥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명 커버(200);를 포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타이어 내부의 휠 림(10)에서 하우징(100)과 공명 커버(200)로 구성되어 소음 저감을 위한 공명 장치가 마련된다. 여기서,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데, 상부에 공명 커버(200)가 마련되어 개방된 부분을 폐쇄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소정 체적을 가지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데, 특히 공명 커버(200)에는 공명홀(202)이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 공간이 연통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내의 공기와 타이어의 내부 공간 내의 공기가 공명홀(202)을 통해 출입됨에 따라 흡음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는 헬름홀츠 공명기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따른 실내 체적에 의해 공명 주파수가 결정된다.
단,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공명 커버(200)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내부 공간 내의 체적이 변화되어 공명 주파수의 튜닝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차량에 최적화된 공명 주파수로 소음 저감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발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휠 림(10)에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12)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00)은 설치부(12)에 배치되며, 하부에 설치부(12)가 체결되는 체결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휠 림(10)의 설치부(12)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100)의 체결부(120)는 설치부(12)에 대응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휠 림(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12)가 구비됨에 따라 하우징(100) 및 공명 커버(200)도 설치부(12)의 개수에 따라 다수개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소음 저감을 위한 최적 공명 주파수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휠 림(10)의 설치부(12)에는 하우징(100)이 체결 고정되는데, 설치부(12)는 휠 림(10)에서 돌출된 수나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100)의 체결부(120)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설치부(12)에 대응되는 암나사로 함몰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이 휠 림(1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휠 림(10)의 설치부(12)를 함몰된 암나사로 구성하고, 하우징(100)의 체결부(120)를 돌출된 수나사로 구성하여 상호 나사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따른 체적을 변화시키기 위해 공명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나사산(140)이 형성되고, 상기 공명 커버(20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나사산(140)에 대응되는 대응 나사산(204)이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공명 커버(200)의 외주면이 상호 나사 연결됨에 따라, 공명 커버(200)의 회전시 대응 나사산(204)이 가이드 나사산(140)을 타고 공명 커버(200)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공명 커버(200)의 회전에 따른 상하 이동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명 커버(200)는,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판(220);과 상기 하판(220)에 결합되되 하판(220)에서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관통홀(242)이 형성된 상판(240);과 상기 하판(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판(240)의 관통홀(242)을 통해 상부에 노출된 볼트부(260)와, 상판(240)의 관통홀(242)에서 볼트부(260)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부(280)로 구성되며, 슬라이더부(280)가 볼트부(260)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부(260)의 회전시 상판(240)과 하판(220)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290);가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공명 커버(200)는 하판(220), 상판(240), 볼트부(260), 슬라이더부(280)로 구성되며, 하판(220)에는 볼트부(2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판(240)의 관통홀(242)을 통해 볼트부(260)가 노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상판(240)과 하판(220)에는 각각 공명홀(202)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됨으로써 공기 이동에 의한 소음 저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더불어, 상판(240)에는 슬라이더부(280)가 마련되는데, 슬라이더부(280)가 볼트부(260)에 미접촉되는 경우 볼트부(260)는 하판(220)에서 공회전됨에 따라 볼트부(260)가 회전되더라도 상판(240)과 하판(220)에 간섭되지 않고, 슬라이더부(280)가 볼트부(260)를 향해 이동되어 슬라이더부(280)에 접촉되는 경우 볼트부(260)의 회전시 슬라이더부(280)가 상판(240) 및 하판(220)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공명 커버(200)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나사산을 타고 상하 이동되는 것이다.
상세하게, 상기 높이조절기구(290)의 볼트부(260)는 하판(220)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된 몸통부(262)와, 몸통부(262)의 상측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머리부(264)와, 몸통부(262)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머리부(264)를 감싸는 결합홈(266a)이 함몰 형성된 위치고정부(266)로 구성된다.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부(260)는 몸통부(262)와 몸통부(262)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 머리부(264)로 구성됨에 따라 단면이 'T' 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 몸통부(262)에는 위치고정부(266)가 몸통부(26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266)는 몸통부(262)의 상측 또는 하측에 위치됨에 따라 머리부(264)와 연결되거나, 슬라이더부(28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즉, 위치고정부(266)의 상단에는 머리부(264)를 감싸는 결합홈(266a)이 함몰 형성됨으로써 위치고정부(266)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머리부(264)에 연결시 결합홈(266a)이 머리부(264)를 감싸도록 연결됨에 따라 위치고정부(266)의 회전시 머리부(264)와 함께 몸통부(262)가 회전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266)는 둘레에 슬릿홈(266b)이 형성되고, 슬릿홈(266b)은 둘레를 따라 다각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부(280)의 접촉시 상판(240)과 하판(220)이 볼트부(26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위치고정부(266)는 하판(220)에서 탄성 스프링(266c)에 의해 탄발 지지된다.
이에 따라, 위치고정부(266)를 몸통부(262)에서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켜, 머리부(264) 또는 슬라이더부(280)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하기 설명할 공명 커버(200)의 상하 높이 조절 및 공명 커버(200)와 하우징(100) 간에 기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266)가 머리부(264) 또는 슬라이더부(280)의 연결 관계에 대해서는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상판(240)에는 관통홀(242)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으로 가이드홀(244)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280)는 가이드홀(244)에 마련되어 관통홀(242)의 중심을 향해 가이드홀(244)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렇게, 상판(240)에는 관통홀(242)을 중심으로 직경 방향에 대해 가이드홀(244)이 연장 형성되고, 이 가이드홀(244)에 슬라이더가 가이드홀(244)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홀(242)의 중심을 향해 슬라이딩됨으로써 슬라이더부(280)가 위치고정부(266)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부(280)는 위치고정부(266)가 몸통부(262)의 하측에 위치시 위치고정부(266)에 접촉되고, 위치고정부(266)가 몸통부(262)의 상측에 위치시 위치고정부(26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위치고정부(266)의 상하 높이와 몸통부(262)의 길이가 설정되어, 위치고정부(266)의 위치에 따라 슬라이더부(280)가 위치고정부(266)에 접촉되거나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부(280)는 상판(240)의 가이드홀(244)에서 별도의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되어 관통홀(242)을 중심을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슬라이더부(280)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282)가 형성되어 슬라이더부(280)의 이동을 사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 및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220)과 상판(240)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띠(320)가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감긴 태엽 스프링(300)을 더 포함하고, 탄성띠(320)는 볼트부(260)에 연결되어 볼트부(260)의 회전시 직경이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태엽 스프링(300)은 하판(220)과 상판(240)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띠(320)의 일단이 볼트부(260)의 몸통부(262)에 연결될 수 있고, 직경이 점차 증대되도록 궤도를 이루면서 연속적으로 감기도록 구성되어 최외측단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상기 태엽 스프링(300)은 탄성띠(320)의 일단이 볼트부(260)에 연결되고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직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감기되 최외측의 궤도(320a)에 인접한 내측의 궤도(320b)에서 직경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감김에 따라 타단이 최외측 궤도(320a)의 시작점에 위치됨으로써 직경이 증가된 상태에서 탄성띠(320)의 최외측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10에서 볼 수 있듯이, 태엽 스프링(300)은 탄성띠(320)의 일단이 볼트부(260)의 몸통부(262)에 연결되고 최외측의 궤도(320a)에 인접한 내측의 궤도(320b)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김기어 타단이 최외측 궤도(320a)의 시작점(S)에 위치된다. 즉, 탄성띠(320)는 최외측의 궤도(320a)의 인접한 내측의 궤도(320b)에서 절곡되어 다시 감겨지는 부분을 시작점(S)으로 다시 한바퀴 감김으로써 타단이 시작점에 위치됨에 따라 탄성띠(320)의 최외측의 궤도(320a)가 원을 그림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태엽 스프링(300)은 표면에 씰링 러버(340)가 감싸짐으로써 탄성띠(320)의 최외측이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밀착시 씰링 러버(340)에 의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이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하기에는 상술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공명 커버(200)의 상하 높이 조절에 관련하여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 커버(200)에 구비된 높이조절기구(290)에서 슬라이더부(280)를 관통홀(24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위치고정부(266)의 이동 반경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후, 위치고정부(266)를 몸통부(262)의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슬라이더부(280)를 관통홀(242)의 중심을 향해 이동시키면, 슬라이더부(280)가 위치고정부(266)의 슬릿홈(266b)에 삽입된다. 여기서, 위치고정부(266)의 슬릿홈(266b)은 둘레를 따라 다각면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위치고정부(266)의 회전시 슬라이더부(280)가 걸리어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판(240)과 하판(220)이 함께 회전된다. 이렇게, 상판(240)과 하판(220)이 회전되면 외주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산(204)이 하우징(100)의 가이드 나사산(140)을 타고 이동됨에 따라, 공명 커버(200)가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되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따른 체적이 변화된다. 이로 인해, 공명 진동수의 튜닝이 가능함에 따라 타이어 사양에 맞추어 소음 저감을 최적화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씰링에 관련하여 설명하면, 공명 커버(20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 슬라이더부(280)를 관통홀(242)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더부(280)가 위치고정부(266)의 슬릿홈(266b)에서 탈거되도록 한다. 이렇게, 슬라이더부(280)가 위치고정부(266)의 슬릿홈(266b)에서 탈거되면, 탄성 스프링(266c)에 의해 탄발 지지되는 위치고정부(266)가 상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되어 위치고정부(266)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266a)에 머리부(264)가 삽입되고, 슬라이더부(280)를 위치고정부(266)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위치고정부(266)가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위치고정부(266)는 머리부(264) 및 몸통부(262)와 함께 회전되되 상판(240) 및 하판(220)과 별개로 공회전됨에 따라 위치고정부(266)의 회전시 상판(240)과 하판(220)의 위치는 유지되고 볼트부(260)에 연결된 태엽 스프링(300)이 감기어 직경의 변화된다. 즉, 도 10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고정부(266)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태엽 스프링(300)의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높이 조절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태엽 스프링(300)의 전체 직경이 축소되도록 조절하고,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 실링이 필요한 경우 태엽 스프링(300)의 전체 직경이 증가되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특히, 태엽 스프링(300)을 이루는 탄성띠(320)에는 표면에 씰링 러버(340)가 감싸짐에 따라, 탄성띠(320)가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접촉시 밀착되어 공기의 유출을 차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에 따르면, 주행중 타이어에서 발생하는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저감된다. 특히, 하우징(100)에 구비된 공명 커버(200)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서 이동되어 체적 변화를 통해 공명 진동수의 튜닝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휠 림 12:설치부
100:하우징 120:체결부
140:가이드 나사산 200:공명 커버
202:공명홀 204:대응 나사산
220:하판 240:상판
242:관통홀 244:가이드홀
260:볼트부 262:몸통부
264:머리부 266:위치고정부
266a:결합홈 266b:슬릿홈
266c:탄성 스프링 280:슬라이더부
282:파지부 290:높이조절기구
300:태엽 스프링 320:탄성띠
340:씰링 러버

Claims (14)

  1. 타이어가 구비되는 휠 림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내부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되며 내주면에 가이드 나사산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가이드 나사산에 대응되는 대응 사산이 형성되어 하우징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되도록 공명홀이 형성됨으로써 공명홀을 통한 공기의 출입을 통해 맥동이 조절되도록 하는 공명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공명 커버는,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판 형상으로 형성된 하판;
    상기 하판에 결합되되 하판에서 상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된 상판; 및
    상기 하판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부에 노출된 볼트부와, 상판의 관통홀에서 볼트부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슬라이더부로 구성되며, 슬라이더부가 볼트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볼트부의 회전시 상판과 하판이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높이조절기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림에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설치부에 배치되며, 하부에 설치부가 체결되는 체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휠 림의 설치부는 수나사 또는 암나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체결부는 설치부에 대응되는 암나사 또는 수나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기구의 볼트부는 하판의 중앙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직 설치된 몸통부와, 몸통부의 상측에 다각형으로 형성된 머리부와, 몸통부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머리부를 감싸는 결합홈이 함몰 형성된 위치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둘레에 슬릿홈이 형성되고, 슬릿홈은 둘레를 따라 다각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더부의 접촉시 상판과 하판이 볼트부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하판에서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발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에는 관통홀의 중심에서 직경 방향으로 가이드홀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부는 가이드홀에 마련되어 관통홀의 중심을 향해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판과 상판 사이에 마련되며, 탄성띠가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감긴 태엽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탄성띠는 볼트부에 연결되어 볼트부의 회전시 직경이 증가되거나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태엽 스프링은 탄성띠의 일단이 볼트부에 연결되고 연속적인 궤도를 이루면서 직경이 점차 증가되도록 감기되 최외측의 궤도에 인접한 내측의 궤도에서 직경방향으로 절곡된 후 다시 감김에 따라 타단이 최외측 궤도의 시작점에 위치됨으로써 직경이 증가된 상태에서 탄성띠의 최외측이 하우징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태엽 스프링은 표면에 씰링 러버가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과 하판에는 각각 공명홀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과 타이어의 내부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KR1020160047045A 2016-04-18 2016-04-18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KR101822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45A KR101822273B1 (ko) 2016-04-18 2016-04-18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US15/257,705 US9802445B1 (en) 2016-04-18 2016-09-06 Apparatus for noise reduction of tire of vehicle
CN201610970787.3A CN107303783A (zh) 2016-04-18 2016-09-30 用于降低汽车胎噪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045A KR101822273B1 (ko) 2016-04-18 2016-04-18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359A KR20170119359A (ko) 2017-10-27
KR101822273B1 true KR101822273B1 (ko) 2018-03-09

Family

ID=60039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045A KR101822273B1 (ko) 2016-04-18 2016-04-18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02445B1 (ko)
KR (1) KR101822273B1 (ko)
CN (1) CN1073037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15B1 (ko) * 2016-04-29 2018-02-12 주식회사 팔 차량용 휠
KR102507233B1 (ko) * 2018-01-10 2023-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소음 저감장치
KR102552509B1 (ko) 2018-12-03 2023-07-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JP2020128105A (ja) * 2019-02-07 2020-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CN116215137B (zh) * 2023-04-04 2023-09-26 江苏安路驰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耐刺扎降噪功能的智能轮胎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09A (ja) 1999-09-29 2003-03-18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車両ホイール用騒音減衰器を備えた安全支持体
JP2004306653A (ja) 2003-04-02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輪
JP2008120306A (ja) 2006-11-14 200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および車両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JP2008183932A (ja) * 2007-01-26 2008-08-14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5361056B2 (ja) 2009-06-24 2013-12-0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JP5566187B2 (ja) 2010-05-27 2014-08-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JP2014201205A (ja) 2013-04-04 2014-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輪構造
JP2015171875A (ja) 2014-03-12 2015-10-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16561C3 (de) * 1978-04-17 1981-10-15 Krupp Stahl Ag, 4630 Bochum System aus Schienenrad und Gleis für Schienenfahrzeuge
KR930019434A (ko) 1992-03-18 1993-10-18 윤양중 타이어 소음을 감소시킨 공명기형 타이어 림
US5891278A (en) * 1997-01-07 1999-04-06 Rivin; Evgeny I. Pneumatic wheels
KR20000033233A (ko) 1998-11-20 2000-06-15 조충환 타이어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흙받이 하우징
EP1428686A4 (en) * 2001-09-18 2006-12-27 Bridgestone Corp WHEEL WHEEL AND PULLEY ASSEMBLY
JP2004330862A (ja) 2003-05-07 2004-11-25 Fuji Heavy Ind Ltd タイヤ組立体
US7140412B2 (en) * 2004-03-23 2006-11-28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and tire cavity resonance suppression device
JP2007216914A (ja) 2006-02-20 2007-08-30 Bridgestone Corp リムホイール、及びタイヤ・リムホイール組立体
JP4834711B2 (ja) * 2008-10-15 2011-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2014084039A (ja) 2012-10-25 2014-05-12 Nippon Plast Co Ltd ホイール用レゾネータ
JP5844000B2 (ja) * 2013-02-28 2016-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EP2962866B1 (en) * 2013-02-28 2019-07-17 Honda Motor Co., Ltd. Vehicle wheel
CA2912660C (en) * 2013-05-21 2017-10-24 Honda Motor Co., Ltd. Wheel for vehicle
US9302537B2 (en) * 2013-08-16 2016-04-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oise suppression device for a wheel assembly
US9090128B2 (en) * 2013-08-16 2015-07-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heel assembly
US10131184B2 (en) * 2014-08-28 2018-11-20 Ford Global Technologies,Llc Resonator device and vehicle wheel assembly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0209A (ja) 1999-09-29 2003-03-18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車両ホイール用騒音減衰器を備えた安全支持体
JP2004306653A (ja) 2003-04-02 2004-11-04 Honda Motor Co Ltd 車両用車輪
JP2008120306A (ja) 2006-11-14 2008-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ホイールおよび車両用ホイールの製造方法
JP2008183932A (ja) * 2007-01-26 2008-08-14 Asahi Tec Corp 車両用ホイール
JP5361056B2 (ja) 2009-06-24 2013-12-04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JP5566187B2 (ja) 2010-05-27 2014-08-0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JP2014201205A (ja) 2013-04-04 2014-10-2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輪構造
JP2015171875A (ja) 2014-03-12 2015-10-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レゾネ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3783A (zh) 2017-10-31
KR20170119359A (ko) 2017-10-27
US9802445B1 (en) 2017-10-31
US20170297384A1 (en)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273B1 (ko) 타이어의 소음 저감 장치
EP3546242B1 (en) Resonator wheel
EP2614998A1 (en) Steering wheel structure with airbag module
US9053685B2 (en) One touch drum tuning components
US9347516B2 (en) Liquid sea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
JP2016199183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570093B2 (en) Harness slack absorbing apparatus
KR102002607B1 (ko) 쇽업소버의 밸브구조
US20130140117A1 (en) Valve structure of shock absorber
US9574636B2 (en) Electronic semi active control engine mount having variable air chamber
JP5143536B2 (ja) 騒音性能を向上させるタイヤの成型方法
KR20120068950A (ko) 전기 밸브 및 그의 정지 장치
GB2536034A (en) A noise-reducing device for a vehicle
US20110146027A1 (en) Castor Assembly Having Adjustable Height
US4364427A (en) Tire valves for tubeless and tube tires
US20080315472A1 (en) Liquid sealed vibration isolating device
KR101988641B1 (ko) 타이어소음 저감장치
KR20190081494A (ko) 타이어소음 저감장치 체결구조
KR101845421B1 (ko) 엔진마운트
US8496265B2 (en) Assembly and airbag module
US10850558B2 (en) Apparatus for reducing tire noise
CN206984132U (zh) 前罩盖缓冲垫及汽车
KR101886385B1 (ko) 차량용 컵홀더
CN106429622A (zh) 一种绕线机
KR101763512B1 (ko) 벨트 텐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