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958B1 -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958B1
KR101818958B1 KR1020160010007A KR20160010007A KR101818958B1 KR 101818958 B1 KR101818958 B1 KR 101818958B1 KR 1020160010007 A KR1020160010007 A KR 1020160010007A KR 20160010007 A KR20160010007 A KR 20160010007A KR 101818958 B1 KR101818958 B1 KR 101818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baseball
arcade
monito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0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9601A (ko
Inventor
윤태수
윤창옥
전봉대
이현태
황기현
윤태원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봉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봉대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0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9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9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9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8Ball games; Shoo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에 포함된 게임 시작 영상으로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을 번갈아서 제공하는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부터 코인 또는 지폐에 대한 투입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 시작 영상에 표시된 코인 숫자에 투입 금액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코인/지폐 인식 모듈(222); 및 대전 시작 후, 포수를 중심으로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표시하고,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중심으로 UI 화면을 확대한 줌인 특수 효과 정보를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며,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플레이어)에 의해 모니터(110) 상에 표시된 스트라이크 존의 위치를 적극 공략하면서 모니터(110) 전단의 야구공 완충장치(132)로 야구공 배출구(160)로 배출된 야구공을 이용해 투수 플레이를 진행하도록 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대전 상대 선택 UI 화면을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표현한 뒤,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선택된 대전 상대와의 야구 게임 UI 화면을 제공하여,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에 의한 야구 플레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의 투수 모드 및 타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야구 플레이 수행 결과 승리이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승리인 경우,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투수와 타자 모드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좁은 공간에서도 진행할 수 있으며, 투수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에서 공을 피칭하는 경우, 모니터로의 직접적인 야구공 터치가 아닌 야구공 완충장치의 센스로의 터치를 간접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2D와 3D가 복합적으로 접목된 영상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센서에 의해 인식된 실제 투수의 구속을 제공하여 현장감을 부각시켜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가 2개 이상 설치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경우, 각각 투수와 타자로 대전이 가능하여 친목을 좁은 공간에서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providing game contents of baseball arcade ga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극장가 로비, 또는 체험관에서 대형기기와 조합 형태로 다양한 놀이문화시설로 제공되어 좁은 공간에서도 실감나는 야구 게임을 타자 또는 투수 입장에서 복합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게임 시장은 주로 PC(personal computer) 기반의 온라인 게임의 활성화로 인해 타 플랫폼에 대한 기술 개발과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며 특히 성인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면의 부각으로 전체 아케이드 게임에 대한 관심과 기술개발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한편, 실내 또는 실외에서 야구 타격 또는 피칭(pitching)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에서 기계가 공을 던지고 사람이 타측에서 사람이 직접 야구공을 타격하여 실제적으로 공이 날아가는 것으로 이러한 방식은 넓은 공간이 있어야 하고 또한 스트라이크인지 볼인지 쉽게 구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239527호 "LED 광 센서가 구비된 야구 타격 및 피칭 연습시스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109614호 "적외선센서바를 이용한 투수용 스크린 야구게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01-0008367호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 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 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46008호 "가상현실투구시스템"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등록번호 제10-1170147호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제10-2013-0025278호 "야구 게임 장치 및 야구 게임 제공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투수와 타자 모드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좁은 공간에서도 진행할 수 있으며, 투수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에서 공을 피칭하는 경우,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 콘텐츠를 2D와 3D가 복합적으로 접목된 영상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실제 투수의 구속을 제공하고, 현장감을 부각시켜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에 포함된 게임 시작 영상으로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을 번갈아서 제공하는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부터 코인 또는 지폐에 대한 투입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 시작 영상에 표시된 코인 숫자에 투입 금액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코인/지폐 인식 모듈(222); 및 대전 시작 후, 포수를 중심으로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표시하고,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중심으로 UI 화면을 확대한 줌인 특수 효과 정보를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며,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플레이어)에 의해 모니터(110) 상에 표시된 스트라이크 존의 위치를 적극 공략하면서 모니터(110) 전단의 야구공 완충장치(132)로 야구공 배출구(160)로 배출된 야구공을 이용해 투수 플레이를 진행하도록 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 을 포함한다.
이때,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삼진 아웃 또는 대전 상대가 타격시 분기하는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삼진 아웃(strike out)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를 위한 게임 승리 영상 및 보너스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표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삼진 아웃으로 2연속 이기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보너스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며, 디폴트 값으로 1회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며, 설정정보 변경에 따라 0 내지 9회로 조정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은,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대전 상대 선택 UI 화면을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표현한 뒤,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선택된 대전 상대와의 야구 게임 UI 화면을 제공하여,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에 의한 야구 플레이가 수행되도록 하는 제 2 단계;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의 투수 모드 및 타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야구 플레이 수행 결과 승리이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승리인 경우,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투수와 타자 모드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좁은 공간에서도 진행할 수 있으며, 투수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에서 공을 피칭하는 경우, 모니터로의 직접적인 야구공 터치가 아닌 야구공 완충장치의 센스로의 터치를 간접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으로 투수가 던진 공이 스트라이크와 볼을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게임 콘텐츠를 2D와 3D가 복합적으로 접목된 영상을 활용할 뿐만 아니라, 적외선 카메라센서에 의해 인식된 실제 투수의 구속을 제공하여 현장감을 부각시켜 체감형 스포츠 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가 2개 이상 설치되거나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경우, 각각 투수와 타자로 대전이 가능하여 친목을 좁은 공간에서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 중 야구공 배출 통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중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의 모니터에 표현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실제로 제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중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의 제어부에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의 모니터로 제공한 관리자 모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 중 야구공 배출 통로(150a)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는 모니터(110), 적외선 카메라센서(120), 상단 안전펜스(131), 야구공 완충장치(132), 접이식 탈부착형 안전펜스(140), 야구공 배출장치(150), 야구공 배출구(160), 우퍼 스피커(170), 코인/지폐인식기(180), 그리고 조작버튼(190)을 포함한다.
모니터(110)는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로부터 제공되는 게임 콘텐츠 영상을 출력한다.
적외선 카메라센서(120)는 야구공의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여 측정 정보를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로 제공한다.
상단 안전펜스(131)는 사용자의 실제 야구공 투구에 따른 야구공의 이탈을 방지하고 사고위험을 줄이기 위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메인 프레임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상부 펜스로 형성된다.
야구공 완충장치(132)는 모니터(110)의 전단에 형성되며,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 소재로 모니터(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이 외부로 투사되도록 격자의 판막으로 형성한 뒤, 상하 및 좌우에 스프링을 걸어 공의 완충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모니터(110)로 야구공의 직접 터치가 아닌 야구공 완충장치(132) 전단에 좌표별로 형성된 압력 인식 센서에 의한 야구공의 간접 터치 인식시, 마치 직접적 터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접이식 탈부착형 안전펜스(140)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메인 프레임의 좌, 우측면 이동 설치가 용이하도록 접이식으로 제작된다.
야구공 배출장치(150)는 기구물에 각도를 주어 야구공의 자연낙하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2개로 야구공의 배출을 컨트롤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2와 같이 야구공 배출장치(150)의 기구물 내부에는 야구공 배출 통로(150a)가 형성된다.
야구공 배출구(160)는 야구공 배출장치(150)를 통해 나오는 야구공 출구를 형성한다.
우퍼 스피커(170)는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른 게임 콘텐츠의 음향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코인/지폐인식기(180)는 코인(주화)과 지폐의 투입을 인식시 제어판에 해당하는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로 인식 정보(투입 금액 정보)를 전달한다.
조작버튼(190)은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모니터(110)에 표현된 게임 콘텐츠 영상에 반응하여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플레이어)에 의한 야구 아케이드 게임 조작을 위해 형성된다.
도 3은 도 1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중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의 제어에 따라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에 표현된 유저인터페이스 화면(이하,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I/O 인터페이스(210), 제어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 코인/지폐 인식 모듈(222), 대전 상대 선택 모듈(223) 및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도 3의 제어부(220)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은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에 포함된 게임 시작 영상을 도 4a와 같은 UI 화면으로 제공한다. 이때,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은 게임 시작 영상으로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을 번갈아서 제공할 수 있다.
코인/지폐 인식 모듈(222)은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부터 코인 또는 지폐에 대한 투입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도 4a의 게임 시작 영상 하단에 표시된 코인 숫자에 투입 금액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한다.
대전 상대 선택 모듈(223)은 저장부(230) 상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로부터 야구 게임 대전 상대 정보를 추출한 뒤,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도 4b와 같은 UI 화면으로 제공한다. 이에 따라, 대전 상대 선택 모듈(223)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조작버튼(190)에 의한 대전 상대 선택 신호를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대전 상대 선택 신호에 매칭되는 대전 상대의 능력치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뒤,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로 제공한다. 여기서 대전 상대 선택 모듈(223)은 도 4b에서 오른쪽 하단으로 갈수록 대전 상대의 능력치가 높아져 야구 게임의 난이도가 상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에 포함된 대전 시작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도 5a와 같은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이때, 모니터(110) 상에는 대전 상대의 도발 메시지가 표현될 수 있다.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시작 후, 포수를 중심으로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표시하고,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중심으로 UI 화면을 확대한 줌인 특수 효과 정보를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도 5b와 같은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플레이어)는 모니터(110) 상에 표시된 스트라이크 존의 위치를 적극 공략하면서 모니터(110) 전단의 야구공 완충장치(132)로 야구공 배출구(160)로 배출된 야구공을 이용해 투수 플레이를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삼진 아웃 또는 대전 상대가 타격시 분기하는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도 6a 및 도 6과 같은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이때,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타격 성공시 타격 성공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도 6a와 같은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반대로,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타격 실패시 타격 실패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도 6b와 같은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한편,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도 6b와 같은 삼진 아웃(strike out)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를 위한 게임 승리 영상(도 7b) 및 보너스 게임 영상(도 9)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게임 승리 UI 화면 및 보너스 게임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대조적으로,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도 6a와 같은 타격 성공시(crash)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를 위한 홈런 연출 후 게임 오버 영상(도 7a)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함으로써, 홈런 연출 및 게임 오버 UI 화면이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즉 도 7은 대전 패배 및 승리시의 모니터(110) 상에 구현된 팝업 UI 화면으로,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결과에 따른 점수를 표시하고, 하단에는 대전 상대의 말풍선을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에 의해 모니터(110)로 제공된 대전 상대별(캐릭터별) 홈런 연출 영상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타자 모드에서 삼진 아웃으로 2연속 이기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도 9와 같은 보너스 게임 영상을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한다. 이때, 디폴트(default) 값으로 1회 보너스 게임만 가능하나,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 관리자에 의해 보너스 게임의 횟수 설정 변경이 가능하며, 일 예로, 0 내지 9회로 조정할 수 있다.
도 10a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적외선 카메라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야구공의 속도 측정 정보가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제어부(220)로 제공된 뒤, 제어부(220)의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에 의한 제어에 따라,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 중 속도 측정 정보 영상이 추출된 뒤,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표현된 속도 측정 정보 UI 화면을 나타낸다.
여기서 속도 정보 제공 영역(1)에서는 90㎞/h와 같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가 투수 모드로 적용시, 현재의 야구공의 실제 구속을 제공한다. 즉,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적외선 카메라센서(120)를 이용하여 야구 게임에서의 볼 판정과 스트라이크 판정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던진 야구공의 속도를 측정하여 게임화면에 표기함으로써, 현실감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b를 참조하면,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야구 게임에서의 스트라이크 판정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스트라이크 존(Z2)에 정확히 던진 것으로 인식한 경우, 가산점과 야구공의 속도를 합산하여 점수를 연산하며, 야구공을 상하단 여백볼 존(Z1, Z3)에 던지는 것으로 인식한 경우, 점수에 미리 설정된 마이너스 값을 연산한다.
예컨대,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스트라이크 판정에 1을 추가하고, 야구공의 속도가 50인 경우 51점을 연산할 수 있으며, 하나의 볼 판정에 1을 빼고, 야구공의 속도가 50인 경우 49점을 연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c을 참조하여,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저장부에 연산된 점수를 저장함으로써, 기존의 야구 시스템에는 없는 랭킹제를 도입하여 점수에 따른 개인의 이니셜로 랭킹모드를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투수 모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타자 모드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피칭과 타격을 결합한 게임 모드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피칭한 후에 피칭한 타이밍을 맞춰서 다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타격(타이밍 게임)을 하는 게임 모드로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실제로 제공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는 타자 모드로 야구 게임 참여시 조작버튼(190)으로 조작을 하여 타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b 및 도 11c는 모니터(110)의 야구 게임 UI 화면에서 캐릭터 타격 모습이 실제로 연출된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도루 모드와, 도루 모드와 연관된 견제구 모드도 제공할 수 있다. 즉,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타자 모드로 야구 게임을 수행하는 투수 입장에서 출루자에게 견제를 하는 모드로, 야구공을 던져서 2, 3루에 대한 도루를 견제하도록 하는 견제구 영상을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로부터 추출한 뒤,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에 표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는 2, 3루 수비수에게 정확한 투구를 통해 견제하도록 조작버튼(190)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중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20)에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제공한 관리자 모드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관리자는 캐릭터 한 명을 선택해서 하는 게임 모드와 두 명을 선택해서 하는 게임 모드에 대한 선택 기능 설정을 수행하는 게임 모드 설정을 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는 코인 설정 기능, 게임 타임 설정 기능, 센서 작동 여부 체크 기능, 랭킹 리셋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현한다(S10).
단계(S10) 이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부터 코인 및 지폐 투입 여부를 제공받는다(S20).
단계(S20)에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 코인 및 지폐를 투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단계(S10)으로 회귀한다. 반대로, 단계(S20)에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 코인 및 지폐를 투입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대전 상대 선택 UI 화면을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표현한 뒤,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30).
단계(S30) 이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단계(S30)에서 선택된 대전 상대와의 야구 게임 UI 화면을 제공함으로써,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에 의한 야구 플레이가 수행되도록 한다(S40).
단계(S40) 이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의 투수 모드 및 타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야구 플레이 수행 결과, 승리 여부를 판단한다(S50).
단계(S50)의 판단 결과 패배인 경우,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게임을 종료한다. 반대로, 단계(S50)의 판단 결과 승리인 경우,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2연속 승리인지를 판단한다(S60).
단계(S60)의 판단 결과 2연속 승리가 아닌 경우,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야구 게임을 종료하며, 반대로 2연속 승리인 경우,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단계(S40)로 회귀한다(S70).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 110 : 모니터
120 : 적외선 카메라센서 131 : 상단 안전펜스
132 : 야구공 완충장치 140 : 접이식 탈부착형 안전펜스
150 : 야구공 배출장치 160 : 야구공 배출구
170 : 우퍼 스피커 180 : 코인/지폐인식기
190 : 조작버튼 200 :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
210 : I/O 인터페이스 220 : 제어부
221 : 초기 영상 제공 모듈 222 : 코인/지폐 인식 모듈
223 : 대전 상태 선택 모듈 224 :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
230 : 저장부

Claims (5)

  1.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는,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저장부(230)에 저장된 게임 콘텐츠에 포함된 게임 시작 영상으로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을 번갈아서 제공하는 초기 영상 제공 모듈(221);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코인/지폐인식기(180)로부터 코인 또는 지폐에 대한 투입 금액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게임 시작 영상에 표시된 코인 숫자에 투입 금액 정보를 반영하여 표시하는 코인/지폐 인식 모듈(222); 및
    대전 시작 후, 포수를 중심으로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표시하고, 스트라이크 존 이미지를 중심으로 UI 화면을 확대한 줌인 특수 효과 정보를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고, 적외선 카메라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야구공의 속도 측정 정보가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제어부(220)로 제공되며,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플레이어)에 의해 모니터(110) 상에 표시된 스트라이크 존의 위치를 적극 공략하면서 모니터(110) 전단의 야구공 완충장치(132)로 야구공 배출구(160)로 배출된 야구공을 이용해 투수 플레이를 진행하도록 하고,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피칭한 후에 피칭한 타이밍을 맞춰서 다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타격(타이밍 게임)을 하는 게임 모드를 제공하는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 을 포함하되,
    상기 게임 콘텐츠 제공 모듈(224)은,
    대전 상대의 삼진 아웃 또는 대전 상대가 타격시 분기하는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고,
    그리고 대전 상대의 삼진 아웃(strike out)시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를 위한 게임 승리 영상 및 보너스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표현되도록 하며,
    또한, 삼진 아웃으로 2연속 이기면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기 보너스 게임 영상을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전송하여, 모니터(110) 상에 표현되도록 하며, 디폴트 값으로 1회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며, 설정정보 변경에 따라 0 내지 9회로 조정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의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초기 영상인 오프닝 영상, 타이틀 영상, 데모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표현하는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를 이용한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대전 상대 선택 UI 화면을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모니터(110)로 표현한 뒤,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제 1 단계;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의 적외선 카메라센서(120)에 의해 측정된 야구공의 속도 측정 정보가 I/O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모니터(110)로 선택된 대전 상대와의 야구 게임 UI 화면을 제공하여,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에 의한 야구 플레이가 수행되도록 하되,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피칭한 후에 피칭한 타이밍을 맞춰서 다른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가 타격(타이밍 게임)을 하는 게임 모드로도 제공함으로써, 피칭과 타격을 결합한 게임 모드를 제공하는 제 2 단계; 및
    게임 콘텐츠 적용 제어장치(200)가 야구 아케이드 게임기(100)를 이용한 게임 참여자의 투수 모드 및 타자 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야구 플레이 수행 결과 승리이고 미리 설정된 횟수의 승리인 경우, 보너스 게임을 제공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방법.
KR1020160010007A 2016-01-27 2016-01-27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18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07A KR101818958B1 (ko) 2016-01-27 2016-01-27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0007A KR101818958B1 (ko) 2016-01-27 2016-01-27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01A KR20170089601A (ko) 2017-08-04
KR101818958B1 true KR101818958B1 (ko) 2018-01-16

Family

ID=59654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0007A KR101818958B1 (ko) 2016-01-27 2016-01-27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9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281B1 (ko) * 2003-09-04 2005-03-09 김종욱 멀티미디어 비디오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1472355B1 (ko) * 2014-07-14 2014-12-26 주식회사 트래킹 아이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281B1 (ko) * 2003-09-04 2005-03-09 김종욱 멀티미디어 비디오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장치
KR101472355B1 (ko) * 2014-07-14 2014-12-26 주식회사 트래킹 아이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9601A (ko) 2017-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TWI295579B (ko)
JP3149788U (ja)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
JP6206657B2 (ja) ゲーム機
US20200206597A1 (en) Virtual sports simulation device
TWI681797B (zh) 投球機及其控制方法
KR100785707B1 (ko) 네트워크에 의해 제어되는 골프 시뮬레이터 장치
KR102002006B1 (ko) 하이브리드 에어하키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3044170B2 (ja) シューティングゲーム装置
KR101818958B1 (ko)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983899B1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20210039084A (ko)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KR20000055834A (ko) 야구 연습용 투구게임장치 및 그 게임 방법을 기록한 매체
KR102234942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JP5217206B2 (ja) ゲーム装置
KR102234947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90051930A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102273581B1 (ko)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실력 검증 방법
KR20190133327A (ko) 공수 조작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KR102025397B1 (ko) 사용된 아이템에 따라 작전이 제어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1922660B1 (ko) 사용자 체형에 따라 가상의 선수 능력치를 변경시키는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방법
TW201728362A (zh) 體驗型虛擬棒球比賽裝置及其虛擬棒球比賽控制方法
KR19990046008A (ko) 가상현실투구시스템
KR101992021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20170018183A (ko)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