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2355B1 -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2355B1
KR101472355B1 KR1020140088206A KR20140088206A KR101472355B1 KR 101472355 B1 KR101472355 B1 KR 101472355B1 KR 1020140088206 A KR1020140088206 A KR 1020140088206A KR 20140088206 A KR20140088206 A KR 20140088206A KR 101472355 B1 KR101472355 B1 KR 101472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screen
button
pitcher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래킹 아이
김진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래킹 아이, 김진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래킹 아이
Priority to KR1020140088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23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5Enforcing rules, e.g. detecting foul play or generating lists of cheating p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11B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는, 연습 게임 모드, 및 대전 게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게임 모드 선택 화면, 난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난이도 선택 화면, 및 경기장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는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및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연습 게임 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상기 플레이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플레이어를 확인하는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 및 상기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대전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루키 모드가 선택되는 루키 버튼, 동호회 모드가 선택되는 동호회 버튼, 아마추어 모드가 선택되는 아마추어 버튼, 및 프로 모드가 선택되는 프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이도 선택 버튼, 및 상기 난이도 선택 버튼 클릭시 해당 난이도를 설명하는 설명창을 포함하되, 상기 루키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1.5 내지 2.0할대 정도이며, 동호회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0 내지 2.5할대 정도이고, 아마추어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5 내지 3.0할대 정도이며, 프로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3.0 내지 3.5할대 정도를 유지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는 리얼리티를 겸비하면서 플레이어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User interface design apparatus for screen baseball pitcher game}
본 발명은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얼리티(reality)를 겸비하며, 플레이어(player)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프로 야구 열기에 힘입어 일반인도 실제 야구 경기와 같은 체험을 희망하는 경우가 많은데, 종래 야구 연습장은 사방이 그물망(net)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타석이 위치하며, 사용자가 동전을 투입하면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이 볼을 투척하고, 타석에 선 타자가 볼을 타격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플레이어가 타자(batter)가 되어 배트를 휘둘러 볼을 맞추는 데에만 한정되는 타격 연습만이 가능하여 타자 외의 다른 포지션 연습을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 다양한 정보와 재미를 주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실제 사용자가 투수(pithcer)가 되어 볼을 던진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도록 리얼리티와 재미까지 겸비한 실내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필요성이 요청되며, 나아가 플레이어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새로운 스크린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얼리티를 겸비하면서 플레이어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위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는,
연습 게임 모드, 및 대전 게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게임 모드 선택 화면, 난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난이도 선택 화면, 및 경기장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는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및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연습 게임 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상기 플레이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플레이어를 확인하는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 및 상기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대전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루키 모드가 선택되는 루키 버튼, 동호회 모드가 선택되는 동호회 버튼, 아마추어 모드가 선택되는 아마추어 버튼, 및 프로 모드가 선택되는 프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이도 선택 버튼, 및 상기 난이도 선택 버튼 클릭 시 해당 난이도를 설명하는 설명창을 포함하되, 상기 루키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1.5 내지 2.0할대 정도이며, 동호회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0 내지 2.5할대 정도이고, 아마추어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5 내지 3.0할대 정도이며, 프로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3.0 내지 3.5할대 정도일 수 있다.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대전 게임 버튼, 상기 연습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연습 게임 버튼, 상기 각 게임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해당 게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 창, 및 텍스트 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어 입력 화면에는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팀이 제시되고 팀별로 차례대로 플레이어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풋박스(input box) 및 좌우 투구를 선택할 수 있는 좌우 선택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포지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포지션 선택 화면을 더 생성하되, 상기 포지션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투수 모드가 선택되는 투수 모드 버튼, 및 상기 투수 모드 선택시 투수 모드를 설명하는 설명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은 게임 경기가 진행될 운동장의 이미지 및 정보가 표시되는 운동장 정보 창, 경기 마지막 이닝(inning)이 선택되는 이닝 선택 창, 및 볼 무빙 카메라의 이동/고정, 볼 이동 경로의 표시 켜기/끄기, 게임 중 모션 카메라 보기 켜기/끄기, 모션 카메라의 위치를 좌타석/우타석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본 옵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기 로딩 화면이 생성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투수 입장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투수 입장 화면은 투수가 마운드에 들어서기 전의 동작이 동영상 형태로 표시되는 투수 영상, 해당 투수의 소속 팀 마크가 표시되는 팀 마크 이미지 창, 해당 투수의 이름이 표시되는 투수 이름 창, 해당 투수의 얼굴이 표시되는 투수 이미지 창, 및 방어율·삼진수·투구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투수 통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 영상은 복수의 패턴 중 랜덤으로 한 가지가 선택되서 표시될 수 있다.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 팀별 스코어, 경기 이닝의 초/말 및 진행 중인 카운트(스트라이크·볼·아웃)가 표시되는 스코어/이닝/아웃카운트 표시 창, 투수의 모든 투구의 위치가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투구 히스토리맵, 투수가 던진 볼의 좌우 궤도 및 상하 궤도가 각각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 및 제2미니맵, 주자가 있을 때 움직임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3미니맵, 진행 중인 게임 시간이 표시되는 게임 시간 표시 창,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타자 정보 창, 이닝 교체 시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 및 볼 카운트가 표시되는 볼 카운터,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 및 플레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선수 교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 회수별로 스트라이크/볼 판정, 볼의 회전수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테이블 형태의 전광판, 볼의 좌우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미니맵, 볼의 상하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2미니맵, 각 볼의 위치가 표시되는 스트라이크존 매트릭스, 및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플레이어에 의해 전송된 시작 명령을 통해 가상의 포수가 플레이어에게 볼을 송구하는 화면을 포함하며 포수의 송구는 시작 명령 후 일정 대기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중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팝업 창 형태의 투구 결과 창을 생성하되, 상기 연습 게임 모드 및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의 투구 결과 창은 투구 내용(스트라이크·볼·아웃·파울·페어 등)이 표시되는 투구 내용 창을 포함하고,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의 투구 결과 창은 투구 후 모션 다시 보기 화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하되, 상기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스코어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스코어 보기 버튼, 버튼 클릭 시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모션 다시 보기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을 새로 시작하는 게임 다시 하기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이 종료되는 게임 종료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 버튼 클릭 시 연습 게임이 종료되는 연습 게임 종료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결과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 각 이닝별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 점수 및 승패자가 표시되는 결과판 이미지, 승리 세레모니가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 이닝·타자·타수·안타허용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삼진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세 결과 보기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혹은 일정 시간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결과 화면은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 전체 볼 수에 대한 스트라이크/볼 판정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전광판, 스트라이크/볼 각각에 대한 합계를 나타내는 합계판, 평균/최고/최저 스피드가 표시되는 스피드 표시 창, 각 구질의 개수와 평균 스피드가 표시되는 구질 분석 창, 하이라이트 장면이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 플레이어가 다시 처음부터 연습할 수 있는 계속하기 버튼, 연습을 종료하고 입력된 순서대로 다음 플레이어의 연습 게임이 시작되는 순서 넘기기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혹은 일정 시간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는 리얼리티를 겸비하면서 플레이어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개발사 로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게임 타이틀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플레이어 입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포지션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난이도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제1게임 경기 로딩 화면, 제2게임 경기 로딩 화면 및 제3게임 경기 로딩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투수 입장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게임 경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게임 경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게임 경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투구 결과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선수 교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이 선택될 때 팝업되는 메뉴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이 선택될 때 팝업되는 메뉴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게임 종료 팝업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코어 보기 팝업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전 게임 모드의 게임 결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대전 게임 모드의 게임 결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세부 결과 보기 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연습 게임 모드의 게임 결과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 야구 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례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례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몇 가지 대체 실행례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2 내지 도 28은 도 1의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에서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는 스크린(100),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 및 제어부(104)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은 스크린(100)에 투사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하여 리얼리티를 구현한 것으로, 플레이어가 스크린(100)을 향해 투구하는 게임이다.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최초 실행 시 개발사 로고 화면(도 2 참조)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게임 타이틀(110), 버전, 및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가 로딩 중임을 표시하는 로딩 바(112)를 포함하는 게임 타이틀 화면(도 3 참조)을 생성한다.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4의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은 대전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대전 게임 버튼(116), 연습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연습 게임 버튼(118), 상기 각 게임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해당 게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 창(120), 및 텍스트 창(12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대전 게임 모드는 플레이어가 투수가 되어 대전 상대와 야구 게임을 플레이하는 모드이고, 연습 게임 모드는 플레이어가 투수가 되어 투구를 연습할 수 있는 모드이다. 한편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다음 버튼(124)을 클릭하면 다음 설정 창으로 이동하며, 이전 버튼(126)을 클릭하면 프로그램 종료 여부를 묻는 팝업 창이 뜰 수 있다.
도 4에서 다음 버튼(124)이 클릭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다음 설정 창으로 도 5의 플레이어 입력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플레이어 입력 화면에는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2개의 팀이 제시되되, 팀을 구분하기 위한 이미지 형태의 팀 로고(128)가 표시된다. 플레이어 입력 화면은 팀별로 클릭하여 차례대로 플레이어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풋박스(input box, 130), 및 좌우 투구를 선택할 수 있는 토글 방식의 좌우 선택 버튼(131)을 포함한다. 플레이어 이름 입력이나 좌우 투구 선택이 없으면 디폴트값이 설정된다. 도 5는 플레이할 팀으로 LG 트윈스 팀과 두산 베어스 팀이 제시되어 있고, 한 팀에서 최대 9명의 플레이어까지 게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한편 도 5에서 다음 버튼(132)을 클릭하면, 다음 설정 창으로 이동하며, 이전 버튼(134)을 클릭하면, 이전 설정 창인 도 4의 게임 모드 선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에서는 선택될 팀으로 2개의 팀이 제시되었으나, 2개 이상의 팀이 제시되고, 그 중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팀 선택이나 플레이어 입력이 완료된 후, 포지션을 선택하는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6은 대전 게임 모드, 및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포지션 선택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버튼 클릭 시 투수 모드가 선택되는 투수 모드 버튼(232), 및 투수 모드 선택 시 투수 모드를 설명하는 설명창(234), 및 버튼 클릭시 이전 설정 창 및 다음 설정 창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전 버튼(238) 및 다음 버튼(236)을 포함한다. 대전 게임 모드에서 투수 모드는 플레이어가 투수가 되어 스크린(100) 상의 포수에게 투구하여 대전 상대와 야구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이고, 연습 게임 모드에서 투수 모드는 플레이어가 투수가 되어 스크린(100) 상의 포수에게 투구하여 투구를 연습하는 것이다. 물론 투수 모드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6의 포지션 선택 화면은 생략이 가능하다.
포지션 선택 후,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팀별 플레이어 이름 및 포지션이 입력된 도 7과 같은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을 더 생성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LG 트윈스 팀의 투수 플레이어는 '김진범', '정대운'이고, 두산 베어스 팀의 투수 플레이어는 '김상균', '이귀돈'임을 보여준다. 그리고 도 7의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은 클릭할 때마다 선공과 후공이 번갈아 표시되며, 하나의 팀이 선공을 선택하면, 나머지 팀은 후공이 선택되며, 하나의 팀이 후공을 선택하면 나머지 팀은 선공이 선택되는 공격 순서 버튼(23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LG 트윈스 팀이 선공, 두산 베어스 팀이 후공으로 미리 설정된 상태이나, 플레이어가 공격 순서 버튼(239)을 클릭함으로써 변경이 가능하다. 미설명된 부호 235, 237은 각각 이전 버튼 및 다음 버튼을 나타낸다. 이러한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은 연습 게임 모드 시에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8의 난이도 선택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난이도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루키 모드가 선택되는 루키 버튼(240), 동호회 모드가 선택되는 동호회 버튼(242), 아마추어 모드가 선택되는 아마츄어 버튼(244), 및 프로 모드가 선택되는 프로 버튼(24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이도 선택 버튼, 및 난이도 선택 버튼 클릭 시 해당 난이도를 설명하는 설명창(248)을 포함한다. 여기서 루키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1.5 내지 2.0할대 정도이며, 동호회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0 내지 2.5할대 정도이고, 아마추어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5 내지 3.0할대 정도이며, 프로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3.0 내지 3.5할대 정도일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다음 버튼(250)을 클릭하면, 다음 설정 창으로 이동하며, 이전 버튼(252)을 클릭하면, 이전 설정 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난이도 선택 화면은 대전 게임 모드, 및 연습 게임 모드 선택 시에 모두 동일한 화면일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9의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은 대전 게임 모드 시에 생성될 수 있으며, 연습 게임 모드 시에는 생략될 수 있다.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은 게임 경기가 진행될 운동장의 이미지 및 정보가 표시되는 운동장 정보 창(262), 경기 마지막 이닝(inning)이 선택되는 이닝 선택 창(264), 및 볼 무빙 카메라의 이동/고정, 볼 이동 경로의 표시 켜기/끄기, 게임 중 모션 카메라 보기 켜기/끄기, 모션 카메라의 위치를 좌타석/우타석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본 옵션 메뉴(26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9에서 다음 버튼(270)을 클릭하면, 다음 설정 창으로 이동하며, 이전 버튼(272)을 클릭하면, 이전 설정 창인 도 8의 난이도 선택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설정이 완료되어 게임 경기가 시작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제1게임 경기 로딩 화면(도 10 참조), 제2게임 경기 로딩 화면(도 11 참조) 및 제3게임 경기 로딩 화면(도 12 참조)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제1게임 경기 로딩 화면은 공지 사항을 표시하는 공지 사항 창(274), 로딩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로딩 배경 이미지 창(276), 및 로딩 상태에 따라 길이가 변하는 로딩 바(27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게임 경기 로딩 화면은 구장이 회전되면서 수 초(예를 들면, 4초) 표시되는 구장 화면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3게임 경기 로딩 화면은 경기할 팀이 표시되는 경기 팀 표시 창(280)을 포함한다.
제3게임 경기 로딩 화면이 생성된 후,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13의 투수 입장 화면을 생성한다.
투수 입장 화면은 투수가 마운드에 들어서기 전의 동작이 동영상 형태로 표시되는 투수 영상(284), 해당 투수의 소속 팀 마크가 표시되는 팀 마크 이미지 창(286), 해당 투수의 이름이 표시되는 투수 이름 창(290), 및 해당 투수의 얼굴이 표시되는 투수 이미지 창(292), 및 방어율·삼진수·투구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투수 통계(29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투수 영상은 복수의 패턴 중 랜덤으로 한 가지가 선택되서 표시되며, 2~6초 후 다음 화면으로 이동된다.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14의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게임 경기 화면은 공지 사항을 표시하는 횡스크롤 타입의 공지 사항 창(294), 경기를 진행 중인 팀의 이름과 스코어가 표시되는 팀별 스코어 창(296), 공격 중인 팀이 표시되는 공격 중 표시 이미지(298), 진행 중인 카운트(스트라이크·볼·아웃)가 표시되는 카운트 이미지(300), 경기 진행 중인 회의 초/말이 표시되는 진행 초/말 표시 창(302), 진행 중인 게임 시간이 표시되는 게임 시간 표시 창(304), 주루 미니맵(306),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타자 정보 창(308), 버튼 클릭 시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310), 및 플레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선수 교체 버튼(31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례로서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각 게임 모드에 따라 도 15 및 도 16의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
도 15는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팀별 스코어, 경기 이닝의 초/말 및 진행 중인 카운트(스트라이크·볼·아웃)가 표시되는 스코어/이닝/아웃카운트 표시 창(312), 투수의 모든 투구의 위치가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투구 히스토리맵(313), 투수가 던진 볼의 좌우 궤도 및 상하 궤도가 각각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 및 제2미니맵(314, 315), 주자가 있을 때 움직임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3미니맵(316), 진행 중인 게임 시간이 표시되는 게임 시간 표시 창(317),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타자 정보 창(319), 이닝 교체 시가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318), 및 볼 카운트가 표시되는 볼 카운터(320),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322), 및 플레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선수 교체 버튼(3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 것으로서, 횟수별로 스트라이크/볼 판정, 볼의 회전수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테이블 형태의 전광판(324), 볼의 좌우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미니맵(325), 볼의 상하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2미니맵(326), 각 볼의 위치가 표시되는 스트라이크존 매트릭스(327), 및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3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4, 도 15, 및 도 16의 게임 경기 화면은 플레이어에 의해 전송된 시작 명령을 통해 가상의 포수가 플레이어에게 볼을 송구하는 화면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투수가 투구하기 전 볼이 필요하므로 먼저 가상의 포수가 플레이어에게 송구하는 화면을 생성하는 것이다. 포수의 송구는 시작 명령 후 일정 대기 시간이 지나면 시작되며, 상기 일정 대기 시간은 미리 선택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대전 게임 모드에서 경기 중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도 17과 같은 팝업 창 형태의 투구 결과 창을 생성한다.
도 17의 투구 결과 창은 투구 내용(스트라이크·볼·아웃·파울 등)이 표시되는 투구 내용 창(332)을 포함한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연습 게임 모드에서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도 17에서와 같은 투구 내용 창(332)과 함께, 투구 후 모션 다시보기 화면(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게임 경기 중에 선수 교체 버튼(311, 323)이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18과 같은 선수 교체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선수 교체 화면에도 교체된 투수가 마운드에 들어서기 전의 동작이 동영상 형태로 표시되는 투수 영상(484), 해당 투수의 소속 팀 마크가 표시되는 팀 마크 이미지 창(486), 해당 투수의 이름이 표시되는 투수 이름 창(490), 및 해당 투수의 얼굴이 표시되는 투수 이미지 창(492), 및 방어율·삼진수·투구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투수 통계(49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메뉴 버튼(310, 322, 328)이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한다.
도 15 및 도 16의 게임 경기 화면에서 각각 메뉴 버튼(322, 328)이 선택된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5의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322)이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19와 같은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한다.
도 19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스코어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스코어 보기 버튼(334), 버튼 클릭 시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모션 다시 보기 버튼(338),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340), 버튼 클릭 시 게임이 종료되는 게임 종료 버튼(344),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34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16의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328)이 선택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20과 같은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한다.
도 20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350), 버튼 클릭 시 연습 게임이 종료되는 연습 게임 종료 버튼(354),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35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무빙 카메라의 이동/고정, 볼 이동 경로의 표시 켜기/끄기, 게임 중 모션 카메라 보기 켜기/끄기, 모션 카메라의 위치를 좌타석/우타석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본 옵션 메뉴(360), 및 버튼 클릭 시 설정이 저장되고 팝업 창이 닫히거나, 설정이 저장되지 않고 팝업 창이 닫히는 확인/취소 버튼(364)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상기 게임 종료 버튼이 선택되면, 게임 경기 화면을 일시 정지시키고, 게임 종료 의사를 묻는 게임 종료 팝업 창을 더 생성할 수도 있다. 게임 종료 팝업 창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료 의사 확인 메시지(370), 및 버튼 클릭 시 게임이 종료되어 메뉴 창으로 이동되거나, 다시 게임 화면으로 복귀되는 확인/취소 버튼(372)을 포함한다.
상기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가 출력되는 광고 배너(374), 피칭 모습이 동영상으로 다시 출력되는 피칭 모습 영상(376), 버튼 클릭 시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378), 버튼 클릭 시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재생 버튼(380), 버튼 클릭 시 동영상이 일시 정지되도록 하는 일시 정지 버튼(382), 버튼 클릭 시 동영상이 정지되도록 하는 정지 버튼(384), 및 버튼 클릭 시 동영상의 재생 속도가 컨트롤되는 재생 속도 버튼(386)을 포함한다.
상기 스코어 보기 팝업 창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팀과 어웨이팀이 구분되는 홈/어웨이 창(388), 회(回)마다의 각 팀의 스코어가 기록되는 각 회별 점수 창(390), 안타·홈런·에러 등 경기 내용이 기록되는 경기 내용 창(392), 현재 공격 중인 팀이 다른 색으로 표시되는 공격팀 이미지(394),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확인 버튼(39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경기가 종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한다.
도 25의 게임 결과 화면은 대전 게임 모드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며, 홈팀과 어웨이팀이 구분되는 홈/어웨이 창(398), 각 회마다의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 창(400), 및 안타·홈런·에러 등 경기 내용이 기록되는 경기 내용 창(40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대전 게임 모드의 결과 화면은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이닝별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408), 점수 및 승패자가 표시되는 결과판 이미지(410), 및 승리 세레모니가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412), 버튼 클릭 시 혹은 10초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413), 및 이닝·타자·타수·안타허용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삼진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세부 결과 보기 버튼(42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세부 결과 보기 버튼(421)이 선택되면 도 27과 같은 세부 결과 보기 창이 팝업될 수 있다.
연습 게임 모드의 결과 화면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볼 수에 대한 스트라이크/볼 판정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전광판(414), 스트라이크/볼 각각에 대한 합계를 나타내는 합계판(415), 평균/최고/최저 스피드가 표시되는 스피드 표시 창(416), 각 구질의 개수와 평균 스피드가 표시되는 구질 분석 창(417), 하이라이트 장면이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418), 플레이어가 다시 처음부터 연습할 수 있는 계속하기 버튼(419), 연습을 종료하고 입력된 순서대로 다음 플레이어의 연습 게임이 시작되는 순서 넘기기 버튼(423), 및 버튼 클릭 시 혹은 10초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4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4)는 게임 프로그램의 실행 및 로딩 완료 여부, 유저 인터페이스의 선택이나 설정, 플레이어의 투구 등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해당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도록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4)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스크린(100)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크린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방법을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각 화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스크린 투수 게임의 최초 실행 시 개발사 로고 화면(도 2 참조)을 생성하고(S100, S102), 그 후 게임 타이틀버전 및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가 로딩 중임을 표시하는 로딩 바를 포함하는 게임 타이틀 화면(도 3 참조)을 생성한다(S104).
게임 프로그램 데이터의 로딩이 완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도 4의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생성한다(S106, S108).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대전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S110), 플레이어 입력 화면, 포지션 선택 화면,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 난이도 선택 화면,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114, S116, S118, S120, S122)
화면을 통해 설정이 완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제1, 2, 3게임 경기 로딩 화면, 투수 입장 화면, 게임 경기 화면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124, S126, S128).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경기 중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도 17과 같은 팝업 창 형태의 투구 결과 창을 생성한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도 19와 같은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메뉴 창의 각 버튼 선택 시 해당 팝업 창을 생성할 수 있다.
경기가 종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한다(S130, S132).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을 통해 연습 게임 모드가 선택되면(S112),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포지션 선택 화면, 난이도 선택 화면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138, S140, S142).
화면을 통해 설정이 완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제1, 2, 3게임 경기 로딩 화면, 타자 입장 화면, 게임 경기 화면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S144, S146, S148).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경기 중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연습 게임 모드 시의 투구 결과 창을 생성한다.
한편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경기 화면에서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도 20과 같은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한다.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메뉴 창의 각 버튼 선택 시 해당 팝업 창을 생성할 수 있다.
경기가 종료되면,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102)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한다(S150, S152).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례들을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CD-ROM·DVD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례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례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 구현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리얼리티를 겸비하면서 플레이어의 취향에 따른 설정이나 다양한 정보 표시가 가능하다.
100: 스크린 102: UI(User Interface) 생성부
104: 제어부

Claims (14)

  1. 스크린에 투사되는 시뮬레이션 영상을 이용한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습 게임 모드, 및 대전 게임 모드 중 어느 하나의 게임 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게임 모드 선택 화면, 난이도를 선택하도록 하는 난이도 선택 화면, 및 경기장 환경을 설정하도록 하는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및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연습 게임 화면을 생성하며,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에서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선택 시 팀별로 플레이어를 입력하고 좌우 타석을 선택하도록 하는 플레이어 입력 화면, 상기 플레이어 입력 화면을 통해 입력된 플레이어를 확인하는 플레이어 명단 확인 화면,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 및 상기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에서 설정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입력받은 설정값에 따라 대전 게임 화면을 생성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 및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기 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난이도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루키 모드가 선택되는 루키 버튼, 동호회 모드가 선택되는 동호회 버튼, 아마추어 모드가 선택되는 아마추어 버튼, 및 프로 모드가 선택되는 프로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난이도 선택 버튼, 및 상기 난이도 선택 버튼 클릭시 해당 난이도를 설명하는 설명창을 포함하되, 상기 루키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1.5 내지 2.0할대 정도이며, 동호회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0 내지 2.5할대 정도이고, 아마추어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2.5 내지 3.0할대 정도이며, 프로 모드는 가상의 타자의 타율이 3.0 내지 3.5할대 정도인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모드 선택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대전 게임 버튼, 상기 연습 게임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연습 게임 버튼, 상기 각 게임 버튼을 클릭할 때마다 해당 게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표시되는 아이콘 형태의 이미지 창, 및 텍스트 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 입력 화면에는 플레이어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팀이 제시되고 팀별로 차례대로 플레이어 이름을 입력할 수 있는 인풋박스 및 좌우 투구를 선택할 수 있는 좌우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포지션을 선택하도록 하는 포지션 선택 화면을 더 생성하되, 상기 포지션 선택 화면은 버튼 클릭 시 투수 모드가 선택되는 투수 모드 버튼, 및 상기 투수 모드 선택 시 투수 모드를 설명하는 설명창을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기장 환경 설정 화면은 게임 경기가 진행될 운동장의 이미지 및 정보가 표시되는 운동장 정보 창, 경기 마지막 이닝(inning)이 선택되는 이닝 선택 창, 및 볼 무빙 카메라의 이동/고정, 볼 이동 경로의 표시 켜기/끄기, 게임 중 모션 카메라 보기 켜기/끄기, 모션 카메라의 위치를 좌타석/우타석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본 옵션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경기 로딩 화면이 생성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투수 입장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투수 입장 화면은 투수가 마운드에 들어서기 전의 동작이 동영상 형태로 표시되는 투수 영상, 해당 투수의 소속 팀 마크가 표시되는 팀 마크 이미지 창, 해당 투수의 이름이 표시되는 투수 이름 창, 해당 투수의 얼굴이 표시되는 투수 이미지 창, 및 방어율·삼진수·투구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투수 통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투수 영상은 복수의 패턴 중 랜덤으로 한 가지가 선택되서 표시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 팀별 스코어, 경기 이닝의 초/말 및 진행 중인 카운트(스트라이크·볼·아웃)가 표시되는 스코어/이닝/아웃카운트 표시 창, 투수의 모든 투구의 위치가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투구 히스토리맵, 투수가 던진 볼의 좌우 궤도 및 상하 궤도가 각각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 및 제2미니맵, 주자가 있을 때 움직임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3미니맵, 진행 중인 게임 시간이 표시되는 게임 시간 표시 창, 타석에 들어선 타자의 정보가 표시되는 타자 정보 창, 이닝 교체 시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 및 볼 카운트가 표시되는 볼 카운터,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 및 플레이어를 교체할 수 있는 선수 교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 횟수별로 스트라이크/볼 판정, 볼의 회전수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테이블 형태의 전광판, 볼의 좌우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1미니맵, 볼의 상하 궤적이 표시되는 동영상 형태의 제2미니맵, 각 볼의 위치가 표시되는 스트라이크존 매트릭스, 및 메뉴 창이 호출되는 메뉴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투수 입장이 완료된 후,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경기 화면은 플레이어에 의해 전송된 시작 명령을 통해 가상의 포수가 플레이어에게 볼을 송구하는 화면을 포함하며 포수의 송구는 시작 명령 후 일정 대기 시간을 선택할 수 있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경기 중 플레이어가 투구하면, 팝업 창 형태의 투구 결과 창을 생성하되, 상기 연습 게임 모드 및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의 투구 결과 창은 투구 내용(스트라이크·볼·아웃·파울·페어 등)이 표시되는 투구 내용 창을 포함하고,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의 투구 결과 창은 투구 후 모션 다시보기 화면을 더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팝업 창 형태의 메뉴 창을 생성하되, 상기 대전 게임 모드에서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스코어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스코어 보기 버튼, 버튼 클릭 시 피칭 모습 다시 보기 팝업 창이 실행되는 모션 다시 보기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을 새로 시작하는 게임 다시하기 버튼, 버튼 클릭 시 게임이 종료되는 게임 종료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연습 게임 모드에서의 메뉴 창은 버튼 클릭 시 게임 환경 설정 팝업 창이 실행되는 옵션 버튼, 버튼 클릭 시 연습 게임이 종료되는 연습 게임 종료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해당 팝업 창이 닫히는 닫기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결과 화면은 상기 대전 게임 모드 시 각 이닝별 스코어가 표시되는 스코어 보드, 점수 및 승패자가 표시되는 결과판 이미지, 승리 세레모니가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 이닝·타자·타수·안타허용수·사사구수·홈런허용수·삼진수·실점·자책점·평균자책점 등의 결과 데이터가 표시되는 상세 결과 보기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혹은 일정 시간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경기가 종료되면,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생성부는 게임 결과 화면을 생성하되, 상기 게임 결과 화면은 상기 연습 게임 모드 시 전체 볼 수에 대한 스트라이크/볼 판정 및 스피드가 표시되는 전광판, 스트라이크/볼 각각에 대한 합계를 나타내는 합계판, 평균/최고/최저 스피드가 표시되는 스피드 표시 창, 각 구질의 개수와 평균 스피드가 표시되는 구질 분석 창, 하이라이트 장면이 표시되는 백그라운드 동영상, 플레이어가 다시 처음부터 연습할 수 있는 계속하기 버튼, 연습을 종료하고 입력된 순서대로 다음 플레이어의 연습 게임이 시작되는 순서 넘기기 버튼 및 버튼 클릭 시 혹은 일정 시간 후 첫 화면으로 이동되는 확인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KR1020140088206A 2014-07-14 2014-07-14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KR101472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06A KR101472355B1 (ko) 2014-07-14 2014-07-14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206A KR101472355B1 (ko) 2014-07-14 2014-07-14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2355B1 true KR101472355B1 (ko) 2014-12-26

Family

ID=5267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206A KR101472355B1 (ko) 2014-07-14 2014-07-14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23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58B1 (ko) * 2016-01-27 2018-01-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544A (ko) * 2005-03-31 2007-11-1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대전 게임 시스템 및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0544A (ko) * 2005-03-31 2007-11-19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대전 게임 시스템 및 게임 장치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블로그 *
블로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958B1 (ko) * 2016-01-27 2018-01-16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야구 아케이드 게임을 위한 게임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9091B2 (en) Baseball videogame having pitching meter, hero mode and user customization features
KR101494204B1 (ko)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타자 모드, 투수 모드, 포수 모드, 야수 모드 구현 방법
US20090258708A1 (en) Game movie maker
US20110053688A1 (en) Entertainment system providing dynamically augmented game surfaces for interactive fun and learning
CN1192013A (zh) 视频游戏系统和在视频游戏系统中存储程序的存储媒体
TW201641143A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JP2001137556A (ja) スポーツ予想ゲーム装置、方法、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US8973083B2 (en) Phantom gaming in broadcast media system and method
JP2017134811A (ja) スポーツ競技記録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これを実行するサーバ
US20060052147A1 (en) Athletic game learning tool, capture system, and simulator
US9399170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bjective fantasy sporting contests
KR101472345B1 (ko) 스크린 야구 타자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KR101472360B1 (ko) 스크린 야구 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KR101472355B1 (ko) 스크린 야구 투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Adams Fundamentals of Sports Game Design
TWI631856B (zh) 非暫態電腦可讀儲存媒體及顯示控制裝置
US20090029753A1 (en) Game apparatus, game control method, game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recording the same
KR101472361B1 (ko) 스크린 야구 야수 게임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장치
JP2017170018A (ja) 電子スコアブック作成装置、電子スコアブック作成方法及び電子スコアブック作成プログラム
JP7032948B2 (ja) 戦術分析装置
JP6281073B2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660785B2 (ja) 表示制御プログラム、方法、及び表示制御装置
JP2018034052A (ja) ゲーム制御装置、ゲーム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WO202405343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7246649B2 (ja) 戦術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