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8183A -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8183A
KR20170018183A KR1020150111124A KR20150111124A KR20170018183A KR 20170018183 A KR20170018183 A KR 20170018183A KR 1020150111124 A KR1020150111124 A KR 1020150111124A KR 20150111124 A KR20150111124 A KR 20150111124A KR 20170018183 A KR20170018183 A KR 20170018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screen
baseball
fou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란
송정훈
김주택
황현영
Original Assignee
김미란
김주택
황현영
송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란, 김주택, 황현영, 송정훈 filed Critical 김미란
Priority to KR1020150111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8183A/ko
Publication of KR20170018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81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05Decision makers and devices using detection means facilitating arbit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A63F13/795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for finding other players; for building a team; for providing a buddy lis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2Ball games, e.g. soccer 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6Athletics, e.g. track-and-field 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 A63B2069/00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 A63B2069/0008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seball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raining aspects for bat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8Baseball, rounders or similar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플레이트센서부, 포수센서부, 타격인식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부들을 이용하여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게임과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하며, 삼진 처리에 따른 다른 팀들과 대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홈플레이트센서부, 포수센서부, 타격인식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부들을 이용하여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게임과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Indoor screen Baseball system possible Foul detected}
본 발명은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홈플레이트센서부, 포수센서부, 타격인식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부들을 이용하여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게임과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하며, 삼진 처리에 따른 다른 팀들과 대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는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야구는 세계적으로 인기가 있는 스포츠 중의 하나로서, 투수, 야수, 심판, 타자가 모여 경기를 수행한다.
즉, 야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각 팀별로 9명의 인원과 스트라이크, 볼, 아웃 등을 판정하는 최소한 1명의 심판이 필요하다.
또한, 야구 경기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과 글러브, 배트 등의 야구 용품 등이 필요하며, 야구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실외에서 진행되므로 기후도 적당해야 한다.
이렇게 야구는 기후, 인원, 적절한 야구용품 등과 같은 제약 조건으로 인하여, 동호회 수가 축구보다 적은 실정이다.
한편, 피칭 머신(pitching machine)을 구비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연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야구 연습 시스템이 등장하였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야구 연습 시스템은 피칭 머신에서 투척되는 야구공이 사용자에 의해 타격되더라도, 상기 타격된 야구공의 궤적을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인지시키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타구가 아웃 또는 안타인지 여부를 판단하지 못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스크린상에 가상 야구 시뮬레이션 영상을 구현하고, 이를 동기화시켜 야구 배팅 또는 피칭 훈련이나 게임을 구현하는 시스템이 제안되어지고 있다.
종래의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대형 LED화면이나 스크린화면에 투수 모션이 나오고 이것에 동기를 맞추어서 피칭 머신에서 볼을 발사시키면 이용자가 볼을 치는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타격 연습을 위해 화면상의 투수 모션과 동기를 맞추어서 볼을 쏘아주는 장점이 있지만 센서가 없어서 타격된 공의 방향과 속도를 타자에게 보여주거나 게임으로 연동해서 동작하지 않는다.
한편, 종래에 구현되고 있는 스크린야구는 연속된 안타등으로 점수를 획득하는 시스템이 되어있지 않다.
코인을 넣고 지정된 갯수의 볼을 치면서 타구의 방향과 강도를 인식하여 수비가 동작을 하지만, 1루타 후에 다음 볼을 칠경우 다시 주자가 없는 상황으로 초기화 되어 연속된 게임을 진행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사람 대 컴퓨터, 사람 대 사람으로 게임이 된다면 훨씬 재미있는 타격시스템이 됨에도 불구하고 실행하지 못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즉, 실내 스크린 야구의 특성상 한정된 공간에서 이루어지는데, 파울의 정의는 타자가 타격을 하였지만 1,3루 사이가 아닌 타자 머리 위 타자 뒤 관중석등 불특정한 곳으로 공이 날아갔을때 선언되어지는 것으로서 스트라이크로 인정되지만 투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은 아웃이 아니어야 한다.
이와 같이, 파울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모든 공간을 탐지해야만 하는 문제로 기존 스크린 야구장에서는 센서에 읽히는 범위에서만 파울을 인식하고 읽을 수 없는 타구에 대해서는 그냥 스트라이크 아웃을 선언하고 있다.
투 스트라이크 상황에서 파울을 쳤지만 삼진 아웃을 당하니 정상적인 게임을 할 수가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스크린 야구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현실감있는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구분하고, 이를 통해 대전 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16868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홈플레이트센서부, 포수센서부, 타격인식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부들을 이용하여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게임과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삼진 처리에 따른 다른 팀들과 대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영상을 투영할 수 있는 스크린(100)과;
상기 스크린에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기 위한 영상투사부(200)와;
타석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며, 스크린에 투영된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에서 나타나는 투수의 투구 모션에 동기화되되,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 신호 획득시, 타석부로 볼을 투척하기 위한 볼투입수단(300)과;
상기 볼투입수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가 볼의 투척 시점을 선택하여 타격할 수 있는 좌측타석부 및 우측타석부(400)와;
상기 좌측타석부와 우측타석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석부에 위치한 타자가 소지한 매트를 이용하여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플레이트센서부(500)와;
상기 홈플레이트센서부의 후방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볼투입수단으로부터 투척된 볼이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포수센서부(600)와;
상기 볼투입수단과 홈플레이트센서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자가 타격한 볼을 인식하여 볼의 궤적, 속도, 각도를 계산한 타격 정보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타격인식센서부(700)와;
상기 홈플레이트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볼투입수단으로 볼 투척 신호를 제공하며, 포수센서부에 의해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스트라이크로 카운팅하며, 타격인식센서부에 의해 타격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파울 혹은 안타 혹은 홈런인지를 판단하며, 볼투입수단으로부터 볼 투척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상기 포수센서부로부터 접촉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으며, 타격인식센서부로부터 타격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파울로 판단하는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홈플레이트센서부, 포수센서부, 타격인식센서부를 구성하여 상기 센서부들을 이용하여 파울과 스트라이크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실제 게임과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즉, 정확한 파울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실제 야구 시합과 동일한 룰이 적용될 수 있어 실제 게임이 가능하게 되므로 삼진 처리에 따른 다른 팀들과 대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타석부 주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볼투입수단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스크린에 투영된 화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스크린야구제어수단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대전게임실행서버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대전 게임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은 스크린(100)과; 영상투사부(200)와; 볼투입수단(300)과; 좌측타석부 및 우측타석부(400)와; 홈플레이트센서부(500)와; 포수센서부(600)와; 타격인식센서부(700)와;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스크린(100)은 영상을 투영할 수 있도록 타석부의 전면에 형성시키게 되며, 영상투사부(200)를 통해 상기 스크린에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게 된다.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에 의해 스크린(100)에 투사되는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생성하는 야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제어하게 되며, 이는 일반적인 야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이므로 구체적인 동작 원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투입수단(300)은 타석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며, 스크린에 투영된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에서 나타나는 투수의 투구 모션에 동기화되되,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 신호 획득시, 타석부로 볼을 투척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볼투입수단은 볼을 안착시키는 볼안착부가 형성된 회전레일부와, 속도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속도/각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되며, 속도와 각도를 조절하는 원리는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볼투입수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좌측타석부 및 우측타석부(400)를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가 볼의 투척 시점을 선택하여 타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홈플레이트센서부(500)는 좌측타석부와 우측타석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석부에 위치한 타자가 소지한 매트를 이용하여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게 된다.
즉, 타자가 매트로 홈플레이트센서부를 두드리게 되면 준비가 끝난 상태이니 볼을 공급해달라는 신호로 인식하여 스크린야구제어수단에서 볼투입수단으로 동작 신호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포수센서부(600)는 홈플레이트센서부의 후방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볼투입수단으로부터 투척된 볼이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게 된다.
즉, 볼이 접촉했다는 것은 타자가 헛스윙을 하거나, 스윙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여 이를 스트라이크로 처리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타격인식센서부(700)는 볼투입수단과 홈플레이트센서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자가 타격한 볼을 인식하여 볼의 궤적, 속도, 각도를 계산한 타격 정보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인식센서부로는 카메라 인식센서부와 레이저 인식센서, 충격 인식센서가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게 된다.
예를 들어, 타격인식센서부에서 볼의 궤적과 속도 및 각도를 계산해 낼 수가 있으며, 이를 참조하여 타격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인식된 볼의 속도와 궤적을 알고 있고, 이를 통해 타격 정보를 계산해 낼 수 있는 것은 당업자들에게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타자가 타석부에 위치하고, 볼이 투척되어 포수센서부에 접촉되게 되면 타자가 헛스윙한 것으로 인식하여 스트라이크로 처리하게 된다.
반면에 타자가 타격하여 타격인식센서부를 지나서 파울 구간을 향하여 볼이 이동하게 되면 파울로 인식 처리하게 되는데, 파울 구간을 향하여 볼이 이동하는 것은 볼의 궤적, 속도, 각도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스크린 야구 게임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기술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타격인식센서부를 통과하지 않고, 포수센서부에도 인식되지 않을 경우에 파울로 인식 처리하도록 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모두 스트라이크로 처리하게 되어 정확도가 떨어졌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고 있는 파울이 되는 경우의 수는 두가지이다.
즉, 타격인식센서부를 통과하여 파울이 되는 경우와, 타격인식센서부를 통과하지 않을 경우에 상단, 하단, 뒤, 옆 등과 같이 사방으로 공이 날아갔을 경우이다.
상기와 같이, 파울을 정확하게 감지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삼진 처리가 가능하며, 삼진 처리가 가능하여 대전 게임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삼진 처리를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여 대전 게임이 불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파울을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은 포수센서부에 의해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스트라이크로 카운팅하게 된다.
또한, 타격인식센서부에 의해 타격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파울 혹은 안타 혹은 홈런인지를 판단하게 되며, 볼투입수단으로부터 볼 투척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상기 포수센서부로부터 접촉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거나, 타격인식센서부로부터 타격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파울로 판단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타석부 주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석부 주위에는 홈플레이트센서부(500)와; 포수센서부(600)와; 타격인식센서부(700)를 구성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볼투입수단 예시도이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투입수단에는 회전레일이 구성되고, 자동으로 볼투입을 수행하게 되며,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의 제어에 의해 원격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에는 스크린야구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스트라이크일 경우에 화면에 스트라이크라는 문구를, 삼진아웃일 경우에는 삼진아웃이라는 문구 등을 표시하여 타자로 하여금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스크린야구제어수단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은 게임영상제공부(810)와, 볼투입동작처리부(820)와, 스트라이크카운팅부(830)와, 타격정보판단부(840)와, 파울판단부(850)와, 타격후결과값표출처리부(86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게임영상제공부(810)는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 정보를 영상투사부에 제공하게 되며, 이를 위하여 게임 정보를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볼투입동작처리부(820)는 홈플레이트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볼투입수단으로 볼 투척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즉, 타자가 매트를 이용하여 홈플레이트센서부를 두드리게 되면 볼을 투척하라는 신호이므로 즉시 접촉 신호를 생성하여 불투입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스트라이크카운팅부(830)는 포수센서부에 의해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스트라이크로 카운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타격정보판단부(840)는 타격인식센서부에 의해 타격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타격 정보에 포함된 볼의 궤적, 속도, 각도를 참조하여 파울인지, 1루타, 2루타, 3루타인지, 홈런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울판단부(850)는 볼투입수단으로부터 볼 투척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포수센서부로부터 접촉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으며, 타격인식센서부로부터도 타격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파울로 판단하게 된다.
즉, 포수센서부에 접촉되지 않았으며, 타격인식센서부를 통과하지 않았다는 것은 상단, 하단, 뒤, 옆 등 사방의 어느 한 곳으로 공이 날라간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타격후결과값표출처리부(860)는 스트라이크카운팅부, 타격정보판단부, 파울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결과값을 획득하여 상기 게임영상제공부로 제공하여 영상투사부에 결과값을 표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스트라이크면 스트라이크라는 문구의 화면을, 파울이면 파울이라는 문구의 화면 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대전게임실행서버 블록도이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대전게임실행서버(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이 다수 존재할 경우에, 스크린야구제어수단 간을 매칭시켜 대전 게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전국에 존재하는 실내 야구장 내에 존재하는 스크린야구제어수단과 통신하고 있는 대전게임실행서버를 구성하게 되며, 이를 통해 대전 게임을 원하는 팀이 타격을 수행하고 있는 스크린야구제어수단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호 간 매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대전 게임 요청 정보를 송출한 스크린야구제어수단들을 추출하여 대전 게임을 진행할 스크린야구제어수단들을 매칭시키기 위한 대전게임매칭부(910)와,
삼진 아웃될때까지 획득한 점수 혹은 설정 갯수의 공을 타격하여 획득한 평균 비거리값을 가지고 승리팀을 판단하기 위한 승리팀판단부(92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대전게임매칭부(910)를 통해 대전 게임 요청 정보를 송출한 스크린야구제어수단들을 추출하여 대전 게임을 진행할 스크린야구제어수단들을 매칭시키며, 승리팀판단부(920)를 통해 삼진 아웃될때까지 획득한 점수 혹은 설정 갯수의 공을 타격하여 획득한 평균 비거리값을 가지고 승리팀을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기를 부여시키기 위하여 경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팀대팀끼리 대전 게임을 위하여 1,3,5,9 회별 게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화면을 제공하며, 투구별 속도 선택모드를 제공하여 실력별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스크린
200 : 영상투사부
300 : 볼투입수단
400 : 좌측타석부 및 우측타석부
500 : 홈플레이트센서부
600 : 포수센서부
700 : 타격인식센서부
800 : 스크린야구제어수단
900 : 대전게임실행서버

Claims (3)

  1.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투영할 수 있는 스크린(100)과;
    상기 스크린에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을 투사시키기 위한 영상투사부(200)와;
    타석부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되며, 스크린에 투영된 야구 시뮬레이션 게임의 영상에서 나타나는 투수의 투구 모션에 동기화되되,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부터 동작 신호 획득시, 타석부로 볼을 투척하기 위한 볼투입수단(300)과;
    상기 볼투입수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 구성하여, 사용자가 볼의 투척 시점을 선택하여 타격할 수 있는 좌측타석부 및 우측타석부(400)와;
    상기 좌측타석부와 우측타석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석부에 위치한 타자가 소지한 매트를 이용하여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홈플레이트센서부(500)와;
    상기 홈플레이트센서부의 후방 부위에 설치 구성되어, 볼투입수단으로부터 투척된 볼이 접촉할 경우에 접촉 신호를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포수센서부(600)와;
    상기 볼투입수단과 홈플레이트센서부의 사이에 설치 구성되어, 타자가 타격한 볼을 인식하여 볼의 궤적, 속도, 각도를 계산한 타격 정보를 스크린야구제어수단으로 제공하기 위한 타격인식센서부(700)와;
    상기 홈플레이트센서부에 의해 제공된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볼투입수단으로 볼 투척 신호를 제공하며, 포수센서부에 의해 접촉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스트라이크로 카운팅하며, 타격인식센서부에 의해 타격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파울 혹은 안타 혹은 홈런인지를 판단하며, 볼투입수단으로부터 볼 투척 완료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상기 포수센서부로부터 접촉 신호를 획득하지 못하였으며, 타격인식센서부로부터 타격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였을 경우에 파울로 판단하는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이 다수 존재할 경우에, 스크린야구제어수단 간을 매칭시켜 대전 게임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대전게임실행서버(9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야구제어수단(800)에 의해,
    영상투사부(200)에 제공되는 결과값은 스트라이크, 파울, 1루타, 2루타, 3루타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20150111124A 2015-08-06 2015-08-06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20170018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24A KR20170018183A (ko) 2015-08-06 2015-08-06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1124A KR20170018183A (ko) 2015-08-06 2015-08-06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8183A true KR20170018183A (ko) 2017-02-16

Family

ID=5826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1124A KR20170018183A (ko) 2015-08-06 2015-08-06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81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480A (ko) * 2019-12-17 2021-06-25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야구공 궤적 분석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868A (ko) 2010-08-17 2012-02-27 박성우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868A (ko) 2010-08-17 2012-02-27 박성우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7480A (ko) * 2019-12-17 2021-06-25 서울올림픽기념국민체육진흥공단 야구공 궤적 분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5505B (zh) 不受時間和空間限制模擬棒球比賽裝置
US84089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game simulations using motion capture
US202101660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reduced player performance in sporting events
JP5965089B1 (ja) スクリーン野球システム競技方法
US10994187B2 (en) Swing alert system and method
KR101494204B1 (ko) 스크린 야구 게임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타자 모드, 투수 모드, 포수 모드, 야수 모드 구현 방법
KR101170147B1 (ko) 가상 현실 스크린 야구 시스템
US11040287B2 (en) Experience-oriented virtual baseball game apparatus and virtual baseball game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TW201843650A (zh) 用於棒球練習裝置的感測裝置及感測方法、利用該感測裝置及感測方法的棒球練習裝置及其控制方法
CN112969513B (zh) 用于确定体育赛事中降低的运动员表现的系统和方法
CN108495691B (zh) 在棒球练习装置中使用的传感装置及传感方法、利用其的棒球练习装置及其控制方法
KR101633246B1 (ko) 빔 프로젝터 기반의 오프라인 당구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0358A (ko) 심판 기능이 포함된 스크린 야구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TWI664007B (zh) 使用投球模式玩屏幕虛擬棒球的方法
KR20130025278A (ko) 야구 게임 장치 및 야구 게임 제공 방법
KR20170018183A (ko) 파울 감지가 가능한 실내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1983899B1 (ko) 향상된 리얼리티를 나타내는 가상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JP2020000430A (ja) 動作分析装置、動作分析方法及び動作分析プログラム
KR100883260B1 (ko) 퍼팅 게임기
US20220314098A1 (en) Game device
JP7392739B2 (ja) 運動学習システム
US11141645B2 (en) Athletic ball game using smart glasses
EP4325448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EP4325443A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728362A (zh) 體驗型虛擬棒球比賽裝置及其虛擬棒球比賽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