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9084A -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9084A
KR20210039084A KR1020190121445A KR20190121445A KR20210039084A KR 20210039084 A KR20210039084 A KR 20210039084A KR 1020190121445 A KR1020190121445 A KR 1020190121445A KR 20190121445 A KR20190121445 A KR 20190121445A KR 20210039084 A KR20210039084 A KR 20210039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information
player
dart pin
d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7097B1 (ko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불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불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불스아이
Priority to KR1020190121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709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5Controlling the progress of the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028Board games simulating indoor or outdoor sporting games, e.g. bowling, basketball, boxing, croquet, athletics, jeu de boules, darts, snooker, rodeo
    • A63F3/00056Darts board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1/00Game accessories of general use, e.g. score counters, boxes
    • A63F11/0074Game concepts, rules or strategies
    • A63F2011/0086Rules
    • A63F2011/0088Rules with a variety of rules
    • A63F2011/009Rules with a variety of rules the rules being changed during pl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3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 A63F2300/638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the game in time according to the timing of operation or a time lim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점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는, 상기 점수 영역 중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다트핀 검출부;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턴(turn) 별로 상이한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운영부; 및 상기 히트 영역 및 상기 게임 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룰 정보는, 상기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와,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ELECTIONIC DART BOARD GAME DEVICE AND METHOD THAT CHANGES RULES BY TURNS}
본 발명은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다트 게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트(또는, 다트 게임)란 '작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숫자가 적힌 원심의 과녁에 화살 모양의 다트핀을 던져 점수를 내는 경기로서, 다트 게임은 화살촉 모양의 다트와 다트 보드(타겟)만 있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계절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다트 게임을 편리하게 즐길 수 있도록, 최근에는 전자 다트 게임 장치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특허문헌 1). 전자 다트 게임 장치는 센서를 구비한 다트 보드, 게임을 조작하는 버튼부, 게임 상황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오디오부 등으로 구성되는데, 종래 코르크 재질의 다트 보드에 스틸 재질의 화살을 던지는 방식에 비해, 점수 계산이 자동으로 수행되고 정확성이 높은 점과, 게임자가 안전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점이 장점이 된다.
이러한 전자 다트 게임 장치는 실생활에서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다트 게임의 저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전자 다트 게임 장치는 센서에 의한 다트 점수 계산과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장치를 이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다트 게임 외에도 다양한 룰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KR 10-2019-0079584 A (2019.07.05. 공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자 다트 보드를 기반으로 하여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게 턴 별로 적중시킬 목표가 되는 영역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게임 컨텐츠를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자 다트 보드에 다트핀을 투척할 플레이어의 동작 또는 위치에 관한 게임 룰을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신체 활동 및 난이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전자 다트 보드 상의 목표가 되는 영역의 넓이를 가변하여 제공함으로써, 게임자들에게 폭넓은 난이도의 게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는, 복수의 점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점수 영역 중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다트핀 검출부;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턴(turn) 별로 상이한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운영부; 및 상기 히트 영역 및 상기 게임 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룰 정보는, 상기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와,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에서, 상기 게임 룰 정보는 턴 제한 시간,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에서,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점수 영역 중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복수의 점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는 전자 다트 보드에 다트핀을 던지는 턴 별로 게임 룰 정보를 생성 및 변경하고 게임 룰 정보에 따라 다트핀을 적중시켰는지 판단하여 결과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트 게임에 대한 흥미를 유발할 수 있고, 다양한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는 게임 룰 정보에 플레이어의 동작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하여 플레이어가 동작 또는 위치를 변화시켜 게임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난이도를 제공함은 물론, 신체 활동에 따른 체력 증진 및 재활 운동 등을 위한 게임이 실시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는 전자 다트 보드 상의 목표 영역의 넓이를 가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게임자들에게 다양한 난이도의 게임이 제공될 수 있고, 게임 진행 과정에서 플레이어의 실력 간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의 출력부에서의 게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목표 영역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상기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일측에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포함하는 전자 다트 보드(10)에 연결되어 동작될 수 있다. 전자 다트 보드(10)는 본 발명의 다트 게임 장치(100)에 포함되는 일 구성요소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다트 보드(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트핀이 히트되는 과녁에 복수의 점수 영역을 포함한다. 점수 영역은 최외곽에 표시된 숫자의 점수가 할당된 영역인 싱글, 싱글의 최외곽에 위치되는 링 영역으로서 표시된 숫자의 2배수에 해당하는 점수가 할당된 더블링(11), 싱글의 대략 중간에 위치되는 링 영역으로서 표시된 숫자의 3배수에 해당하는 점수가 할당된 트리플링(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수 영역에는, 다트 보드(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는 25점이 할당된 싱글불(불) 및 50점이 할당된 더블불(불스아이)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영상 및 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표출하는 출력부(130)와, 게임자가 다트 게임 장치(10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150)와, 카메라, 적외선 센서 등에 의해 플레이어(게임자)의 존재 여부 및 플레이어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동작 감지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전자 다트 보드(10), 출력부(130), 조작부(150) 및 동작 감지부(170)를 플레이어와의 인터페이스 장치로 이용하여, 게임을 제공하는 연산 및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다트핀 검출부(111), 게임 운영부(112) 및 스코어 산출부(113)를 포함한다.
다트핀 검출부(111)는 전자 다트 보드(10)와 연결되어 다트핀이 투척된 결과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트핀 검출부(111)는 전자 다트 보드(10)의 점수 영역 중에서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다트핀 검출부(111)는 점수 영역 중 어느 영역에 다트핀이 히트되는 경우 해당 영역 내에 흐르는 전류 또는 해당 영역 내의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해당 영역을 히트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게임 운영부(112)는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한다. 게임 룰 정보는 전자 다트 보드(10)를 이용한 게임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하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차례인 턴(turn)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턴 별로 상이할 수 있다. 그리고, 스코어 산출부(113)는 히트 영역 및 게임 룰 정보에 기초하여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 예를 들면, 스코어를 산출한다. 스코어 산출부(113)에서는, 히트 영역과 목표 영역이 서로 일치하는지 여부가 판단됨으로써, 다트핀이 목표 영역에 적중되었는지 판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게임 운영부(112)에서 생성되는 게임 룰 정보에는,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인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와,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턴마다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와 투척할 목표가 되는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가 게임 룰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게임 룰 정보에는 턴 제한 시간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턴 제한 시간은 해당 턴에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던질 수 있는 제한 시간으로, 진행되는 게임의 종류 및 난이도에 따라 생성 또는 변경되는 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의 출력부(130)에서의 게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도 3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게임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해 야구 게임을 제공하는 실시예의 출력부(130)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출력부(130)에는 야구 게임을 위한 화면이 제공되며, 구체적으로, 현재 턴에 다트핀을 투척할 목표 영역(TA)이 야구공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목표 영역의 번호 게임 운영부(112)에 의해 턴마다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P)는, 플레이어가 선택한 캐릭터가 타석에 위치되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아울러, 현재 진행 상황, 회(inning) 및 스코어 등이 출력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a)의 상태에서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전자 다트 보드(10)에 히트시키면, 다트핀의 위치에 따라 게임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12의 목표 영역 중 싱글에 히트되는 경우 1루타, 더블링(11)에 히트되는 경우 2루타, 트리플링(13)에 히트되는 경우 3루타 또는 홈런으로 처리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목표 영역에 다트핀이 히트되지 않을 때마다 스트라이크 카운트가 누적되고, 그 결과에 따라 턴이 종료될 수 있다.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해, 먼저 목적지에 도달하는 게임을 제공하는 실시예의 출력부(130)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출력부(130)에는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P1)가 캐릭터에 의해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캐릭터의 전진을 위한 목표 영역(TA1: 14, 7, 16, 10, 1, 5 영역)과, 캐릭터로 표시되는 상대방 플레이어(P2)를 후퇴시키기 위한 목표 영역(TA2: 15, 9, 11, 20, 3, 6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트핀을 투척할 수 있는 총 횟수 중 현재 횟수(라운드)가 표시될 수 있다.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는 자기 캐릭터를 출력부(130) 화면 상에서 위로 이동(전진)할 수 있는 목표 영역(TA1)에 다트핀을 히트시키거나, 상대방 캐릭터를 아래로 이동(후퇴)시킬 수 있는 목표 영역(TA2)에 다트핀을 히트시킬 수 있다. 총 횟수가 모두 경과한 뒤, 더 높이 위치하는 플레이어가 승리한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
도 3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해 클레이 사격 게임을 제공하는 실시예의 출력부(130)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출력부(130)에는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P)가 캐릭터로 표시되고, 현재 턴 상태(라운드)가 표시될 수 있고, 목표 영역(TA: 싱글 불)은 화면 상에서 이동하는 과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턴 제한 시간 동안에만 과녁이 화면에 표시 및 이동됨으로써, 플레이어에게 턴 제한 시간 동안 다트핀을 던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가 과녁에 표시된 숫자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에 다트핀을 히트시키면, 플레이어의 스코어가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하면, 일반적인 다트 게임과는 다른 방식으로 승부 혹은 스코어를 겨루는 다양한 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어는 전자 다트 보드(10)에 다트핀을 던지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게임을 진행하여 스코어 또는 승패가 결정되는 과정에서, 종래 다트 게임과는 다른 흥미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게임을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다트핀을 던지는 훈련이 가능하므로, 다트 게임 실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서, 게임 운영부(112)에 의해 생성되는 게임 룰 정보는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는 플레이어 별로, 플레이어의 턴 별로 생성될 수 있으며, 이전에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 또는 스코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 한 플레이어 혹은 복수의 플레이어에게 핸디캡 또는 보상이 부여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위치는 전자 다트 보드(10)를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전자 다트 보드(10)로부터 먼 거리에서 다트핀을 투척하도록 게임 룰 정보가 생성됨으로써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에 의해서도 특정 플레이어의 게임 난이도가 조정될 수 있다. 다트핀을 투척하는 동작에는, 예를 들면, 다트를 던지는 손을 바꿔 던질 것, 제자리에서 회전 후 다트를 던질 것, 한쪽 발로 서서 다트를 던질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설명한 동작 감지부(170)는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동작 또는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영상 판별부(114)를 더 포함하여,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동작 및 위치에 따라 다트핀을 투척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영상 판별부(114)는 동작 감지부(170)에서 감지된 플레이어의 다트핀을 투척한 동작 또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아, 게임 운영부(112)에서 생성된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 또는 일치하는 정도를 판별할 수 있다. 영상 판별부(114)에서 판별된 결과에 따라, 플레이어가 게임 룰에 따라 다트핀을 투척하였는지 여부가 판별될 수 있고, 게임 운영부(112) 또는 스코어 산출부(113)는 그에 따른 보상 또는 보상 점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목표 영역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 의해,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를 가변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게임 종류, 룰 및 난이도에 따라, 동일 점수의 싱글, 더블링, 트리플링이 통합되어 하나의 목표 영역(T1)이 될 수 있다. 즉, 목표 영역은 원형의 전자 다트 보드(10)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복수의 점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의 (b)의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점수에 해당하는 싱글, 더블링, 트리플링 중 어느 하나에 다트핀이 적중되는 경우 하나의 점수에 해당하는 목표 영역에 다트핀을 히트시킨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도 4의 (a)보다 더 목표 영역을 넓게 설정한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목표 영역(T2)은 점수 영역 중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복수의 점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됨으로써, 어느 한 숫자에 대응되는 목표 영역이 더 확대될 수 있다. 도 4의 (b)와 같은 목표 영역 생성에 의해, 다트 게임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를 게임에 흥미를 가지고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나아가, 도 4의 (c) 및 (d)를 더 참조하면, 다트핀의 적중 목표에 대한 난이도가 더욱 높아진 실시예를 확인할 수 있다. 도 4의 (c)와 같이 싱글 영역 하나와 트리플링을 합친 영역을 목표 영역(T3)으로 생성하거나, 도 4의 (d)와 같이 하나의 숫자에 대응되는 트리플링 하나만을 목표 영역(T4)으로 하여, 게임의 난이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의 도 4의 (a) 내지 (d)와 같은 목표 영역(T1 내지 T4)의 가변은, 플레이어 자신이 이전 턴에서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 또는 상대방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기초하여 턴마다 가변될 수 있다. 목표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점수 영역의 수가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해당 플레이어의 난이도가 낮게 또는 높게 조절될 수 있다. 이러한 난이도 조절에 의해, 플레이어의 수준 별로 다트 게임 실력 향상을 단계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앞서 설명한 출력부(130)는 플레이어에게 게임 진행 및 스코어 등에 대한 정보를 안내하고, 조작부(150)는 플레이어가 게임의 개시 또는 게임의 종류, 난이도 선택 등을 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출력부(130)는 게임 룰 정보 및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시각 또는 청각으로 플레이어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조작부(150)는 출력부(13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플레이어가 게임 종류, 게임 난이도 및 플레이어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조작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는 게임 운영부(112)에서 게임 룰 정보의 생성 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는 플레이어의 스마트 기기 등의 외부 단말기와의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5)는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게임 종류, 게임 난이도 및 플레이어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게임 운영부(112)로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5)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장치(100)에서 생성 또는 산출되는 게임 룰 정보 또는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플레이어는 외부 단말기를 통해 게임 룰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게임 결과에 대한 기록 등을 전송받아 개별적으로 소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10)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10)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복수의 점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다트 보드(10)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방법은,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와,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220)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30)를 포함하며, 이러한 단계들은 플레이어 별로 다트를 던지는 턴(turn)마다 반복될 수 있다.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S210)에서는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개별 턴에 대한 게임 룰 정보가 생성된다. 여기서, 게임 룰 정보는 전자 다트 보드(10)의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영역과,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나아가, 게임 룰 정보는 턴 제한 시간을 더 포함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게임 룰 정보에 따라 부여되는 턴에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던지면,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S220)에서, 점수 영역 중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이 검출된다.
또한,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S230)에서는, 게임 룰 정보 및 히트 영역에 기초하여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가 산출된다. 히트 영역과 목표 영역이 일치하는지가 판단될 수 있고, 다트핀이 목표 영역에 적중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플레이어의 스코어가 산출 또는 갱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다트 보드(10)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의하면, 목표 영역과 플레이어가 개별 턴마다 설정되면서, 다트핀이 목표 영역에 히트되었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투척 결과에 대한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다트 게임 방식 외에 다양한 컨텐츠를 이용한 게임이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전자 다트 보드
100: 게임 장치
111: 다트핀 검출부
112: 게임 운영부
113: 스코어 산출부
114: 영상 판별부
115: 통신부
130: 출력부
150: 조작부
170: 동작 감지부

Claims (10)

  1. 복수의 점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수 영역 중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다트핀 검출부;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턴(turn) 별로 상이한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게임 운영부; 및
    상기 히트 영역 및 상기 게임 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스코어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룰 정보는, 상기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와,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룰 정보는, 턴 제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룰 정보는,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동작 또는 위치를 감지하는 동작 감지부; 및
    상기 동작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플레이어의 동작 또는 위치가, 상기 게임 룰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할 동작 또는 위치에 관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 또는 일치하는 정도를 판별하는 영상 판별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점수 영역 중 반경 방향 또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웃한 복수의 점수 영역을 포함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영역은,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서로 이웃한 복수의 점수 영역의 수가 가변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룰 정보 및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플레이어에게 시각 및 청각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로 제공하는 출력부; 및
    상기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게임 종류, 게임 난이도 및 플레이어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플레이어로부터 입력받도록 구성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게임 종류, 게임 난이도 및 플레이어의 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부터 상기 게임 운영부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게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게임 룰 정보 또는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외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장치.
  10. 복수의 점수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전자 다트 보드를 이용하는 게임 방법에 있어서,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하는 개별 턴(turn) 별로 상이한 게임 룰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점수 영역 중 다트핀이 히트되는 히트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게임 룰 정보 및 상기 히트 영역에 기초하여 상기 플레이어가 다트핀을 투척한 결과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게임 룰 정보는, 상기 점수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목표 영역에 관한 정보와, 다트핀을 던질 플레이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방법.
KR1020190121445A 2019-10-01 2019-10-01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KR10230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445A KR102307097B1 (ko) 2019-10-01 2019-10-01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445A KR102307097B1 (ko) 2019-10-01 2019-10-01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084A true KR20210039084A (ko) 2021-04-09
KR102307097B1 KR102307097B1 (ko) 2021-10-05

Family

ID=75444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445A KR102307097B1 (ko) 2019-10-01 2019-10-01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7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018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WO2023055019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335A (ja) * 1996-03-27 1997-09-30 Taito Corp ビデオゲーム機
KR20070062658A (ko) * 2005-12-13 2007-06-18 홍상욱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다트게임 장치
KR20110125459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지닌 다트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7372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가변 다트 표적을 제공하기 위한 다트 게임 시스템
KR101612348B1 (ko) * 2015-01-28 2016-04-14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핀의 위치에 기초한 타격 면적에 따른 다트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27261B1 (ko) * 2015-09-08 2016-06-1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레슨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8923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9584A (ko) 2019-06-03 2019-07-05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3335A (ja) * 1996-03-27 1997-09-30 Taito Corp ビデオゲーム機
KR20070062658A (ko) * 2005-12-13 2007-06-18 홍상욱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한 전자 다트게임 장치
KR20110125459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지닌 다트 게임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27372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가변 다트 표적을 제공하기 위한 다트 게임 시스템
KR101612348B1 (ko) * 2015-01-28 2016-04-14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핀의 위치에 기초한 타격 면적에 따른 다트 게임을 제공하는 서버, 다트 게임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27261B1 (ko) * 2015-09-08 2016-06-13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레슨 모드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8923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9584A (ko) 2019-06-03 2019-07-05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다트 게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5018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WO2023055019A1 (ko) * 2021-09-28 2023-04-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7097B1 (ko) 2021-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5384A (en) Player adaptive sports training system
US9339710B2 (en) Sport performance system with ball sensing
US6702292B2 (en) Game ball system incorporating means for position sensing
US20140135956A1 (en) Sport performance system with ball sensing
JPH10127851A (ja) インターアクティブテニス練習方法及び装置
JP2018535705A (ja) ダーツゲームのレッスンモード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CN101312771A (zh) 游戏桌的虚拟球门
US6605011B1 (en) Game machine
JP2018531678A (ja) ダーツゲームにおいて、仮想プレーヤーを提供する方法、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ー読み取り可能な媒体に保存された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2307097B1 (ko)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TWI321058B (ko)
US20180126257A1 (en) Method for playing screen baseball using a pitching mode
US20230119793A1 (en) Basketball launching system for recording shooting statistics at locations other than passing locations
KR102521041B1 (ko) 조립식 축구장을 이용한 축구 게임 진행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50238835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ively measuring a player's ability
KR200240118Y1 (ko) 골프 연습장용 점수 표시 장치
KR101050065B1 (ko) 마이크를 이용한 다트게임장치 및 다트게임제어방법
JP6974261B2 (ja) ゲームプログラム、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845902B1 (ko) 온라인 당구 게임 장치 및 그 방법
KR102559614B1 (ko) 스마트 펀이볼 게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3747B1 (ko) 동작 안내를 제공하는 다트 게임 장치 및 방법
JP3114138U (ja) 得点獲得球技用装置
KR20040010886A (ko) 축구 게임 장치
KR102025397B1 (ko) 사용된 아이템에 따라 작전이 제어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20240063088A (ko) 사용자 개인환경을 설정하는 가상 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