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232A -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232A
KR20180089232A KR1020170014089A KR20170014089A KR20180089232A KR 20180089232 A KR20180089232 A KR 20180089232A KR 1020170014089 A KR1020170014089 A KR 1020170014089A KR 20170014089 A KR20170014089 A KR 20170014089A KR 20180089232 A KR20180089232 A KR 20180089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rt
image
dart pin
pi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4771B1 (ko
Inventor
문형두
나태형
남병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루엣미디어그룹아시아
Priority to KR1020170014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47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9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4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4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37Shooting of targe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5/00Implements for throwing  ; Mechanical projectors, e.g. using spring force
    • A63B65/02Spears or the like ; Javeli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2Shooting or hurling g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3/00Targets for arrows or darts, e.g. for sporting or amusement purposes
    • F41J3/0009Dart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30/00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 A63B2230/62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of the user pos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트 보드에 메뉴 영상, 이벤트 영상, 및 과녁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다트 보드의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및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된 메뉴 영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INTERACTIVE DART GAME APPARATUS AND THE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트 게임 장치가 다트 핀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고 사용자가 다트 핀의 투척 자세를 학습할 수도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트란 '작은 화살'이라는 뜻으로 숫자가 적힌 원심의 과녁을 화살 모양의 다트 핀을 던져 점수를 내는 경기이다. 이러한 다트 게임은 화살촉 모양의 다트 핀과, 다트 타겟(또는 다트 보드, 다트 판)만 있으면 누구든지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경기방식의 개발과 채점방식의 정리로 세계적인 레저로 발전하면서 남녀노소 할 것이 없이 간편하게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전자식 다트 게임 장치가 출시되고 있기도 하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의 다트 게임 장치에 존재하는 다트 보드들은 일단 설치된 이후에는 과녁(또는 표적)의 형태나 위치를 변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기에 출전하는 사용자들의 연습이나 경기 중 다트 게임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 모드를 제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다트 핀 투척 연습 중 사용자가 다트 핀 투척과 수거를 반복해야 하므로 투입된 연습 시간 대비 연습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75120호(2014.12.15. 등록, 빔 프로젝트를 구비한 다트 게임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다트 보드를 스크린으로 사용하여 과녁 및 다트 게임의 실행에 관련된 영상과 점수를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트 경기에 출전하는 사용자들의 연습이나 경기 중 학습 모드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다트 게임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혼자서 다트 핀 투척 연습을 수행하는 중 다트 핀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는, 다트 보드에 메뉴 영상, 이벤트 영상, 및 과녁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다트 보드의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및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된 메뉴 영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상,전,후,좌, 및 우에서 동시에 다트 핀을 투척하는 사용자의 자세와 동작을 촬영하는 모션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학습 모드에서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투척 전과 투척 후의 기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다트 핀 투척 영상에 대응하는 투척 결과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를 합성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이면 상기 재생할 원본 영상을 골격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가 아니면 원본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되, 상기 골격 영상은 팔과 다리의 관절 부분을 기준으로 각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선의 막대 형상으로 변환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좌표 검출부는, 상기 다트 보드 프레임의 상,하,좌,우 4군데에 바(BAR) 형태의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바 형태는 상기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의 송신수와 수신부가 각기 지정된 특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일렬 배열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트 핀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킬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트 핀 수거부는, 원통형 형상의 표면에 지정된 특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탄성력 있는 재질의 브러쉬가 일렬로 배열되어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라인 형태는 원통의 축을 기준으로 평행한 라인 형태이거나 특정 각도가 있는 라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을 수동 입력할 때마다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작동하거나,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다트 보드에 꽂히면 자동으로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영상 투사부에 의해 메뉴 영상, 이벤트 영상, 및 과녁 영상을 다트 보드에 투사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좌표 검출부가 다트 보드의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된 메뉴 영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트 게임 경기나 연습 중 모션 촬영부가 사용자의 상,전,후,좌, 및 우에서 동시에 다트 핀을 투척하는 사용자의 자세와 동작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학습 모드에서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투척 전과 투척 후의 기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재생할 원본 영상을 골격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원본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골격 영상은 팔과 다리의 관절 부분을 기준으로 각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선의 막대 형상으로 변환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을 수동 입력하거나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다트 보드에 꽂힐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킬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게임 실력에 따라 과녁(또는 표적)의 형태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다트 게임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트 게임의 연습이나 경기 중 학습 모드를 통해 사용자들의 게임 습관을 학습하고 이 사용자의 습관을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다트 게임 실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혼자서 다트 핀 투척 연습을 수행하는 중 다트 핀을 자동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일한 시간에 더 많은 투척 연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예시적인 외관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다트 게임에서 사용하는 다트 핀의 부분별 명칭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다트 보드에 투사되는 영상의 구성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에서 다트 보드에 투사하는 상황별 영상을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예시적인 외관 형상을 보인 예시도이며, 도 3은 일반적인 다트 게임에서 사용하는 다트 핀의 부분별 명칭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110), 모션 촬영부(120), 사운드 출력부(130), 영상 투사부(140), 좌표 검출부(150), 제어부(160), 액추에이터 구동부(170), 액추에이터(180, 181, 182), 및 다트 핀 수거부(190)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투척한 다트 핀이 꽂히는 다트 보드, 및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를 통해 수거된 다트 핀을 모으는 다트 핀 수거박스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도면 부호를 부가하지 않고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를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키보드(미도시), 마우스(미도시), 마이크(미도시), 스마트폰(미도시) 및 터치 모니터(미도시) 등의 별도의 유무선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유무선 입력 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다트 보트에 투사된 영상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부(110)를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는 상기 다트 보드(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버튼이나 메뉴)가 포함된 영상이 투사된 다트 보드)를 입력 수단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다트 보드에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특정 물리적인 수단(예 : 다트 핀)을 이용하여 명령할 수 있게 구현할 수 있다. 예컨대 다트 보드에 투사된 버튼이나 메뉴를 손가락으로 선택하거나, 다트 핀을 다트 보드에 투사된 버튼이나 메뉴에 투척하여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좌표 검출부(150)가 상기 버튼이나 메뉴를 선택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특정 물리적인 수단(예 : 다트 핀)으로 선택한 버튼이나 메뉴의 좌표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하여 다트 게임의 시작, 게임 옵션(예 : 플레이어 수, 게임 대전 방식, 게임 레벨, 게임 배경 등), 모드(예 : 경기, 연습, 학습 등), 다트 핀 수거 지시, 종료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모션 촬영부(1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21, 122)를 이용하여 사용자(즉, 플레이어)의 상/전/후/좌/우부에서 다트 핀을 투척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동시에 촬영한다.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하는 순간(예 : 상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다트 핀이 손에서 떨어지는 순간)을 기준으로 투척 전과 투척 후의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며, 이때 상기 저장된 다트 핀 투척 영상에 대응하는 과녁 정보(즉, 다트 핀이 꽂힌 과녁 영상 정보)(또는 투척 결과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를 합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과녁 정보(즉, 다트 핀이 꽂힌 과녁 정보)가 합성된 다트 핀 투척 영상을 저장할 때, 날짜, 시간, 및 점수 등의 정보를 인덱스 정보(또는 메타 태그 정보)로서 합성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사용자가 좋은 점수를 기록했을 때의 자세나 나쁜 점수를 기록했을 때의 자세를 빠르게 찾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자세 분석 시, 상기 제어부(160)는 자세 분석을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된 영상에서 사용자의 자세를 골격 영상(예 : 팔, 다리의 관절 부분을 기준으로 각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선의 막대 형상으로 변환한 영상)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영상 표시 선택에 따라 원본 영상과 골격 영상이 스위칭 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다트 핀 투척 영상의 저장은 게임(플레이) 중이거나 연습 중에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학습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모션 촬영부(120)는 사용자의 상/전/후/좌/우 위치에서 동시에 촬영된 영상을 동기화시켜 다트 핀 모션 분석에 필요한 구간만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한다는 점에서 단순히 사용자의 투척 영상을 촬영하는 것과 차이가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30)는, 게임 수행 중 효과음이나 게임 방법에 대한 설명이나 안내를 음성이나 사운드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130)를 통해 출력할 효과음이나 안내 음성 데이터 등은 미리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해 둘 수 있으며, 또는 네트워크(또는 유무선 통신)으로 연결된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받아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영상 투사부(140)는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를 위한 정보, 과녁(타겟) 정보, 사용자별 점수 정보, 게임의 연습과 학습에 관련된 영상, 및 광고 영상이나 게임 상황에 관련된 영상 등을 다트 보드에 투사한다.
상기 영상 투사부(140)는 빔 프로젝터를 이용해 상기 다트 보드의 전방에서 다트 보드를 향하여 투사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 테이블(플레이어가 다트 게임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수단들의 설치, 또는 플레이어가 다트 핀을 투척할 수 있는 기준 위치가 지정된 보조 테이블)의 하단부 내측에 배치되어 전방 또는 전상방을 향하여 상기 정보들을 다트 보드에 투사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예 : 모니터)이 필요하지 않으며 다트 보드를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다트 보드의 4군데(상,하,좌,우) 프레임에 내장된 좌표 검출부(150)를 이용해 별도의 유무선 입력 수단(예 : 키보드나 마우스 등)이 필요하지도 않으므로, 다트 게임 장치의 설치를 위한 공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좌표 검출부(150)는 다트 보드의 4군데(상,하,좌,우)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예 : IR 센서, 레이저 센서 등)에 의해 다트 핀이 꽂힌 좌표(위치)를 검출한다. 예컨대 상기 센서(예 : IR 센서, 레이저 센서 등)는 일종의 바(Bar) 형태(송신수와 수신부가 각기 특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일렬 배열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좌표 검출부(150)는 다트 핀에 의해 적외선(IR)이나 레이저 신호가 차단되어 수신할 수 없는 위치(좌표)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170)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180, 181, 182)를 구동한다. 예컨대 상기 액추에이터 구동부(170)는 상기 액추에이터(180, 181, 182)를 회전시키거나 이동시키기 위하여 모터나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180, 181, 182)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구동력이 전달되는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기어나 기구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는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예 : 상에서 하로 이동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반대로 하에서 상으로 이동시킬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예컨대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의 표면에 지정된 특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탄성력 있는 재질의 브러쉬가 일렬로 배열되어 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라인 형태는 원통의 축을 기준으로 평행한 라인 형태이거나 특정 각도가 있는 라인 형태일 수 있다. 물론 라인 형태가 아니라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나, 다트 핀이 브러쉬 사이에 끼여서 빠지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복수의 라인 형태로 브러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가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트 핀의 플라이트 부분이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의 브러쉬에 걸려 다트 보드에서 뽑히게 되고, 상기 다트 보드에서 뽑힌 다트 핀은 배럴(BARREL)부와 팁(TIP)부의 무게에 의해 낙하된다.
상기 낙하되는 다트 핀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트 보드의 하단부에 형성된 다트 핀 수거박스에 모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연습 모드에서 반복해서 다트 핀을 다트 보드에 투척할 때 다트 핀을 뽑으려고 이동하지 않더라도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가 자동으로 뽑아 내 상기 다트 핀 수거박스에 모여진 다트 핀을 가져와 계속해서 투척 연습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을 입력하지 않더라도, 상기 제어부(160)가 자동으로(예 :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다트 보드에 꽂히면 자동으로) 다트 핀 수거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다트 게임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컨대 상기 좌표 검출부(150)를 통해 감지된 점수를 각 사용자(플레이어)별로 집계하고, 집계 결과에 따른 게임 승/패와 전적 및 점수를 기록하며, 이벤트 발생(예 : 게임 승, 최고 점수 획득, 게임 종료, 사용자 전환 등) 시 미리 지정된 영상(예 : 광고나 홍보 영상, 안내 영상 등)을 출력한다(도 4 및 도 5의 영상 참조). 여기서 상기 영상은 동영상, 애니메이션, 및 그래픽 영상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다트 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 형태를 가지는 소프트 팁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선단부가 뭉툭한 형태를 가지는 소프트 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자성을 가진 물질이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다트 보드는 상기 다트 핀이 쉽게 꽂힐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거나, 상기 다트 핀이 꽂힐 수 있는 사이즈의 구멍들이 전체적으로 형성된 패널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다트 핀이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는 자성체나 금속성 재질의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투사부(14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가능한 한 용이하게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영상 투사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다트 보드 상에 과녁(또는 표적)의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단순히 과녁만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과녁의 배경(예 : 우주), 게임 액세서리(예 : 다트 핀), 사용자들의 점수판, 및 현재 다트 핀을 투척할 사용자 정보 등을 표시한다(도 4 참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다트 보드에 투사되는 영상의 구성과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정적인 과녁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과녁(또는 표적)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움직이는 과녁(또는 표적)은 상기 배경에 적합한 항공기나 우주선일 수 있다(도 5의 (d) 참조).
상기 제어부(160)는 다트 게임의 진행 상황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리 지정된 각 상황(또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영상(예 : 과녁이 포함된 영상, 과녁 대신 사용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가 포함된 영상 등)을 다트 보드에 투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에서 다트 보드에 투사하는 상황별 영상을 보인 예시도로서, (a)는 다트 게임을 시작할 때의 인트로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고, (b)는 게임이 진행되지 않거나 투척할 사용자가 바뀔 때의 홍보 동영상을 보인 예시도이며, (c)는 게임에 승리한 사용자를 축하하는 승리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고, (d)는 과녁이 움직이는 이동 타겟 영상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때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하는 상황별 영상은, 그래픽 영상, 애니메이션 영상, 및 동영상 등을 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함에 따라, 다트 핀이 꽂힌 위치(좌표)와 그 시점에 다트 보드에 투사되는 영상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다트 핀이 꽂힌 위치에 대응하는 점수 영상이나 상황(예 : 승리, 플레이어 전환, 휴식, 다른 팀의 게임 상황 등)별 영상을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가 지정한 거리(투척 지점에서 다트 보드 까지의 거리)에 대응하여 투사되는 과녁(또는 타겟)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다트 핀을 실제로 투척하는 위치(예 : 게임 테이블 내측)는 동일하지만(즉, 실제적인 게임 거리는 조절되지 않지만) 과녁(또는 타겟)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거리(즉, 다트 핀을 투척하는 게임 거리)를 조절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서 도 6 및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예 : 다트 핀 수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다트 핀 수거 명령이 입력되는지 검출한다(S101).
상기 다트 핀 수거 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매뉴얼 방식(수동 방식)으로 입력되거나,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투척되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다트 핀 수거 명령이 입력되면(S101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S102).
즉,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가 다트 보드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아니면 다트 보드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지 체크한다. 참고로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는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사용자가 보이지 않는 위치에 숨겨져 있다가 필요(예 : 다트 핀 수거)시에만 움직여 보이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의 현재 위치가 상부이면(S103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액추에이터 구동부(170)를 통해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를 시계 방향(다트 핀을 다트 보드에서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다트 보드의 하부로 이동시킨다(S104).
반대로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의 현재 위치가 하부이면(S105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액추에이터 구동부(170)를 통해 상기 다트 핀 수거부(190)를 반시계 방향(다트 핀을 다트 보드에서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다트 보드의 상부로 이동시킨다(S106).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사용자(플레이어)가 다트 핀 투척 연습 중 다트 핀을 수거하러 이동하지 않더라도 다트 보드에서 다트 핀을 자동으로 수거해 주기 때문에 총 연습 시간 내에서 다트 핀 수거를 위해 이동하는 시간을 단축해 주므로 투입된 연습 시간 대비 연습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예 : 다트 투척 학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다트 투척 학습 모드가 설정되었는지 검출한다(S201).
예컨대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예 : 경기, 연습, 학습 등)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60)는 각 모드에 따른 영상 투사 방식 및 모션 촬영부(12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처리 방식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다양한 모드 중 학습 모드는 자세 분석을 위해 단독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경기 모드나 연습 모드 실행 시 병행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다트 투척 학습 모드가 설정되면(S201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게임 테이블 내측에 들어 선 사용자(플레이어)의 동작을 연속해서 녹화한다(S202).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와 같이 녹화한 영상을 분석하여 다트 핀이 투척 되는지 아닌지 검출하고, 다트 핀 투척이 검출되면(S203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다트 핀 투척 시점을 기준으로 전후의 지정된 시간(예 : 투척 전 10초, 투척 후 5초)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한다(S204).
아울러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추출 영상에 대응하는 투척 결과 영상(즉, 과녁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예 : 다트 핀이 꽂힌 위치 및 점수)를 합성하여 내부 메모리(미도시)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205).
예컨대 상기 추출 영상에 대항하는 투척 결과 영상(즉, 과녁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예 : 다트 핀이 꽂힌 위치 및 점수)를 저장할 때, 날짜, 시간, 및 점수 등의 정보를 인덱스 정보(또는 메타 태그 정보)로서 합성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이후에 사용자가 좋은 점수를 기록했을 때의 자세나 나쁜 점수를 기록했을 때의 자세를 빠르게 찾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다트 핀 투척 영상(예 : 다트 핀을 투척하는 영상), 투척 결과 영상(즉, 과녁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예 : 다트 핀이 꽂힌 위치 및 점수)가 저장된 후,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영상을 찾아 자세를 분석하기 위하여 표시(또는 재생)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제어부(160)는 현재 설정된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인지 체크한다(S206).
상기 현재 설정된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이면(S206의 예), 상기 제어부(160)는 재생할(즉,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영상을 골격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S207), 상기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가 아니면(S206의 아니오),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재생할(즉, 사용자가 선택한) 원본 영상을 그대로 표시한다(S208).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다트 게임의 연습이나 경기 중 학습 모드를 통해 사용자들의 게임 습관이나 자세를 학습하고 이 사용자의 습관이나 자세를 분석하여 사용자들의 다트 게임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게임 실력에 따라 과녁(또는 표적)의 형태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다트 게임의 재미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 사용자 입력부 120 : 모션 촬영부
121, 122 : 카메라 130 : 사운드 출력부
140 : 영상 투사부 150 : 좌표 검출부
160 : 제어부 170 : 액추에이터 구동부
180, 181 : 액추에이터 190 : 다트 핀 수거부

Claims (12)

  1. 다트 보드에 메뉴 영상, 이벤트 영상, 및 과녁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 투사부;
    상기 다트 보드의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 검출부; 및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된 메뉴 영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전,후,좌, 및 우에서 동시에 다트 핀을 투척하는 사용자의 자세와 동작을 촬영하는 모션 촬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학습 모드에서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투척 전과 투척 후의 기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다트 핀 투척 영상에 대응하는 투척 결과 영상, 및 투척 결과 정보를 합성하여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할 때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이면 상기 재생할 원본 영상을 골격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가 아니면 원본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되,
    상기 골격 영상은 팔과 다리의 관절 부분을 기준으로 각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선의 막대 형상으로 변환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검출부는,
    상기 다트 보드 프레임의 상,하,좌,우 4군데에 바(BAR) 형태의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가 내장되며,
    상기 바 형태는 상기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센서의 송신수와 수신부가 각기 지정된 특정 간격으로 촘촘하게 일렬 배열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이 입력되면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상기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트 핀 수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킬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다트 핀 수거부는,
    원통형 형상의 표면에 지정된 특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탄성력 있는 재질의 브러쉬가 일렬로 배열되어 라인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라인 형태는 원통의 축을 기준으로 평행한 라인 형태이거나 특정 각도가 있는 라인 형태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을 수동 입력할 때마다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작동하거나,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다트 보드에 꽂히면 자동으로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9. 영상 투사부에 의해 메뉴 영상, 이벤트 영상, 및 과녁 영상을 다트 보드에 투사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좌표 검출부가 다트 보드의 프레임에 내장된 센서에 의해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다트 보드에 투사된 메뉴 영상에서 손가락의 터치 지점이나 다트 핀이 투척된 지점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메뉴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다트 게임 경기나 연습 중 모션 촬영부가 사용자의 상,전,후,좌, 및 우에서 동시에 다트 핀을 투척하는 사용자의 자세와 동작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학습 모드에서 사용자가 다트 핀을 투척하는 순간을 기준으로 투척 전과 투척 후의 기 지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영상을 재생하기 위한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이면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재생할 원본 영상을 골격 영상으로 변환하여 표시하고, 상기 영상 표시 모드가 골격 영상 표시 모드가 아니면 상기 제어부가 원본 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골격 영상은 팔과 다리의 관절 부분을 기준으로 각 골격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직선의 막대 형상으로 변환한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다트 핀 수거 명령을 수동 입력하거나 지정된 개수의 다트 핀이 다트 보드에 꽂힐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다트 보드의 상부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키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다트 보드에 꽂힌 다트 핀을 뽑아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트 핀 수거부를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시킬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반대로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시킬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014089A 2017-01-31 2017-01-31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4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89A KR101894771B1 (ko) 2017-01-31 2017-01-31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089A KR101894771B1 (ko) 2017-01-31 2017-01-31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232A true KR20180089232A (ko) 2018-08-08
KR101894771B1 KR101894771B1 (ko) 2018-10-18

Family

ID=6323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089A KR101894771B1 (ko) 2017-01-31 2017-01-31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477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03B1 (ko) * 2019-10-29 2021-03-19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안내 영상을 제공하는 다트 게임 장치
KR20210039084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불스아이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CN113776390A (zh) * 2021-10-17 2021-12-10 神州凯业(佛山)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记录射击时间和命中情况的靶标报靶器
KR102416372B1 (ko) * 2021-09-28 2022-07-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2467718B1 (ko) * 2022-04-11 2022-11-1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58766C1 (ru) * 2021-02-17 2021-11-01 Сергей Николаевич Леонтьев Стрелковый комплек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069A (ko) * 2009-08-25 2011-03-04 홍상욱 게임 장치 및 게임 장치의 게임 데이터 인증 방법
KR20150127372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가변 다트 표적을 제공하기 위한 다트 게임 시스템
KR20160132643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이동부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1069A (ko) * 2009-08-25 2011-03-04 홍상욱 게임 장치 및 게임 장치의 게임 데이터 인증 방법
KR20150127372A (ko) * 2014-05-07 2015-11-17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가변 다트 표적을 제공하기 위한 다트 게임 시스템
KR20160132643A (ko) * 2015-05-11 2016-11-21 주식회사 홍인터내셔날 이동부를 포함하는 다트 게임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9084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불스아이 턴 별로 게임 룰이 변경되는 전자 다트 보드 게임 장치 및 방법
KR102230203B1 (ko) * 2019-10-29 2021-03-19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안내 영상을 제공하는 다트 게임 장치
KR102416372B1 (ko) * 2021-09-28 2022-07-0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JP2023048973A (ja) * 2021-09-28 2023-04-07 フェニックスダー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ダーツゲーム映像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
CN113776390A (zh) * 2021-10-17 2021-12-10 神州凯业(佛山)科技有限公司 一种连续记录射击时间和命中情况的靶标报靶器
KR102467718B1 (ko) * 2022-04-11 2022-11-16 주식회사 피닉스다트 다트 게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4771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4771B1 (ko) 인터랙티브 다트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821347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US11826628B2 (en) Virtual reality sports training systems and methods
WO2016000505A1 (zh) 投影式台球击球智能辅助系统和方法
JP5751594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及び方法
US20030083132A1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apturing a player's image for incorporation into a game
KR100970172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US20200038743A1 (en) Gam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operating a game
KR100972826B1 (ko) 서브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SE523448C2 (sv) Anordning vid bowlingspel
JPH10314357A (ja) プレー表示装置
WO2004078293A1 (en) Electronic dart game set and met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60052147A1 (en) Athletic game learning tool, capture system, and simulator
BG112225A (bg) Универсалнa електронна система за възстановяване позициите на топки при игри на маса като снукър, билярд, пул и други игри
KR102002006B1 (ko) 하이브리드 에어하키 게임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08367A (ko)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KR100972828B1 (ko) 사용자 히스토리 정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US9004998B2 (en) Social interaction during online gaming
KR20210093213A (ko) 골프공 포획유닛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JP2002263229A (ja) 遊技動作を記録する遊技装置、及び遊技動作記録方法
KR101348419B1 (ko) 영상컨텐츠를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Ball et al. Design and field study of motion-based informal learning games for a children’s museum
KR101059293B1 (ko) 사용자 조작을 감지하는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와,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JP2022035896A (ja) 弓術体験・練習用システム
US20190329112A1 (en) Hockey Partner-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