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062B1 -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 Google Patents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062B1
KR101816062B1 KR1020160156121A KR20160156121A KR101816062B1 KR 101816062 B1 KR101816062 B1 KR 101816062B1 KR 1020160156121 A KR1020160156121 A KR 1020160156121A KR 20160156121 A KR20160156121 A KR 20160156121A KR 101816062 B1 KR101816062 B1 KR 101816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dapter
packing
connection pipe
sprink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행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행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행기계
Priority to KR1020160156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5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two lips parallel to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5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a sleeve being movable axi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연결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어댑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 내에 그 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유패킹이 구비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공간부 내에 가두어 질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고 배관 측에 패킹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 홈 형성과정에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결배관과 어댑터에 확관부, 단턱부, 후크 및 벌징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어댑터가 수압에 의해 연결배관 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는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 내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스프링쿨러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주배관과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부위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배관과 연접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는 어댑터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 홈 내에 구비되고 그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기 주배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유패킹이 포함된다.

Description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Adopter unit for pipe of spring cooler having u-packing}
본 발명은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연결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어댑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 내에 그 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유패킹이 구비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공간부 내에 가두어 질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고 배관 측에 패킹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 홈 형성과정에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으며, 연결배관과 어댑터에 확관부, 단턱부, 후크 및 벌징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어댑터가 수압에 의해 연결배관 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쿨러(SPRINKLER)는 공급되는 물을 분산하여 뿌려주는 장치로, 건물의 옥내 등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물을 분무하여 화재가 진압되게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정원 등에 설치되어 잔디나 정원수에 대한 급수의 목적으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화재진압의 목적으로 설치되는 경우 스프링쿨러가 화염의 열기가 감지됨으로인해 자동으로 물이 분사되는데 보통 건물의 내부공간을 나누어 일정 위치마다 그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스프링쿨러는 천장의 내부로 용수 공급을 위한 주배관이 설치되고, 이 주배관에 다수의 연결배관을 설치되며, 이 연결배관의 단부에 스프링쿨러가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종래에는 주배관과 연결배관은 양 배관이 금속재질로 제조됨에 따라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하지만, 연결배관에 보통 얇은 주름관이 사용되기 때문에 용접 작업시 발생되는 스파크 등에 의해서 연결배관 일측이 파손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의해 주배관과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부분에 어댑터가 시공되고 있다. 이 어댑터는 주름관과 연결배관이 연결되게 하고, 그 사이에 패킹이 밀실하게 구비됨으로써 누수가 방지되게 하였다. 그런데 보통 패킹은 고무재질로 형성되는바 고무재질의 패킹이 배관 측에 닿는것 만으로 누수가 방지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연결배관 측에 직접 홈이 형성되게 하고 이 홈과 어댑터 사이에 패킹이 압착 구비되게 하여 누수가 방지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 경우 연결배관의 내압력에 변화가 발생되어 연결배관 내에서 유동되는 물의 유속과 유량에 차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연결배관은 보통 길이방향으로 용접되는데, 홈 형성시 용접부위가 벌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댑터가 금속재질이 아닌 CPVC(염화 피브이씨)로 제조될 경우 주배관과 본딩 형식으로 연결되는데, 이때 본딩 부위가 약해질 경우 어댑터가 연결배관 측으로 밀려나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어댑터가 연결배관 측에 지지될 수 있도록 연결배관 일부를 확장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 과정에서 역시 연결배관 용접부위가 벌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어 이를 통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1. 한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46722호(2013년12월24일) 2.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6-0044766호(2016년04월26일) 3.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10-1997-0070683호(1997년11월07일)
따라서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연결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어댑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 내에 그 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유패킹이 구비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공간부 내에 가두어 질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고 배관 측에 패킹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 홈 형성과정에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결배관과 어댑터에 확관부, 단턱부, 후크 및 벌징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어댑터가 수압에 의해 연결배관 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 내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스프링쿨러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주배관과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부위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배관과 연접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는 어댑터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 홈 내에 구비되고 그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기 주배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유패킹이 포함되는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배관의 일단 외주연에는 상기 주배관의 단부가 그 전방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확관부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패킹의 일측 단부는 누수 된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어 가두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되, 누수 된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배관과 연접되는 지점의 상부에 곡면 형태의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패킹의 타측에는 상기 유패킹이 상기 환형 홈 내에 삽입될 때 상기 환형 홈 내에 그 타측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누수 된 물에 의해 상기 유패킹이 상기 연결배관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공간부가 벌려져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돌기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부에는 상기 확관부의 후방이 지지 될 수 있도록 단턱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주연에는 상기 확관부의 전방이 지지되는 다수 개의 후크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후크는 상기 단턱부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크의 전방은 상기 어댑터가 상기 연결배관 내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될 때 상기 확관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어댑터의 내주연에는 벌징형성부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단턱부 및 환형 홈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벌징형성부 내에는 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배관에 상기 어댑터가 삽입된 뒤 상기 연결배관에 상기 벌징형성부 내에 지지되는 벌징부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는 첫째로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연결배관 사이에 구비되는 어댑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 내에 그 단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유패킹이 구비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공간부 내에 가두어 질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둘째로 배관 측에 패킹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 홈 형성과정에서 배관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셋째로 연결배관과 어댑터에 확관부, 단턱부, 후크 및 벌징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어댑터가 수압에 의해 연결배관 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가 주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유패킹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가 주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유패킹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다른 사용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배관 및 연결배관과 연결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는 스프링쿨러용 주배관과, 상기 주배관 내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스프링쿨러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과, 상기 주배관과 연결배관이 연결되는 부위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배관과 연접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다수 개의 환형 홈이 형성되는 어댑터와,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 홈 내에 구비되고 그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기 주배관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유패킹이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1)의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주배관(10)은 스프링쿨러(100)에 의해 분사되는 물이 공급되는 것으로 건물 천장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주배관(10)은 주로 금속재질로 제조되며 후술 될 어댑터(30)에 의해서 연결배관(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전술한 주배관(10)에는 연결배관(20)의 일단이 삽입 연결되는데, 이 연결배관(20)은 그 타단에 스프링쿨러(100)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연결배관(20)은 주로 금속재질의 주름관 형태로 제조된다. 그리고 연결배관(20)의 일단 외주연에는 확관부(21)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이 확관부(21)는 후술 될 어댑터(30)의 후크(33)가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는 연결배관(20)이 주배관(10) 내부로 삽입될 때 주배관(10)의 단부가 그 전방에 지지되게 하여 연결배관(20)이 주배관(10) 내부로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게 한다.
또한, 어댑터(30)의 후크(33)가 형성될 경우에는 후크(33)에 지지되어 연결배관(20)이 주배관(10) 내부로 삽입될 때 주배관(10)의 단부가 그 전방에 지지되게 하여 연결배관(20)이 주배관(10) 내부로 일정 깊이까지만 삽입되게 함과 동시에 후크(33)가 확관부(21)의 전방에 지지되게 함으로써 어댑터(30)가 전방으로 밀려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한편, 전술한 주배관(10)과 연결배관(20)이 연결되는 부위 상에는 어댑터(30)가 결합되는데, 이 어댑터(30)는 주배관(10)과 연결배관(20)이 연결되게 함과 동시에 누수가 방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어댑터(30)는 주배관(10)과는 본딩 접합되고, 연결배관(20)과는 연결배관(20)의 확관부(21) 후방이 지지되게 하는 단턱부(32)에 의해 고정 체결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후술 될 유패킹(40)과의 밀착력에 의해서도 고정 지지된다.
이와 같은 어댑터(30) 중에서 연결배관(20)과 연접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다수 개의 환형 홈(31)이 형성되는데, 이 환형 홈(31) 내에는 유패킹(40)이 삽입 구비된다.
그리고 전술한 어댑터(30)의 내주연에는 확관부(21)의 전방이 지지되는 다수 개의 후크(33)가 돌출 형성되되, 이 후크(33)는 단턱부(32)의 전방에 위치되고 후크(33)의 전방은 어댑터(30)가 연결배관(20) 내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될 때 확관부(21)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후크(33)가 형성될 경우 전술한 확관부(21)는 주배관(10)의 단부와 단턱부(32)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되고, 후크(33)가 형성될 경우 확관부(21)는 후크(33)와 단턱부(32) 사이에 위치된다.
전술한 어댑터(30)의 환형 홈(31) 내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 유패킹(40)이 구비되는데, 이 유패킹(40)은 주배관(10)으로부터 누수 된 물이 연결배관(20)과 어댑터(30) 사이 공간을 통해서 외부로 흘러나가지 못하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유패킹(40)은 그 단면 일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개방된 일측이 주배관(10)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유패킹(40) 일측으로 누수 된 물이 유입 및 차단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유패킹(40)의 일측 단부는 누수 된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어 가두어지는 공간부(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되, 누수 된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연결배관(20)과 연접되는 지점의 상부에 곡면 형태의 라운드부(42)가 형성된다. 따라서 누수 된 물은 연결배관(20)과 어댑터(30) 사이에서 라운드부(42)를 타고 공간부(41) 내로 유입되며, 공간부(41)는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두 갈래로 갈라진 부분이 점차적으로 벌어져 환형 홈(31) 내에 밀착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더 이상 누수되지 못하고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패킹(40)의 타측에는 가압돌기(43)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가압돌기(43)는 전술한 유패킹(40)이 환형 홈(31) 내에 삽입될 때 환형 홈(31) 내에 그 타측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누수 된 물에 의해 유패킹(40)이 연결배관(20) 방향으로 가압 되면서 공간부(41)가 벌려져 확장될 수 있게 한다.
이하에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1)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어댑터(30)에는 후크(33) 대신 벌징형성부(34), 패킹(35)이 구비되고 이에 따라 연결관부에는 벌징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댑터(30)의 내주연에는 벌징형성부(34)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되 단턱부(32) 및 환형 홈(31) 사이에 위치되고, 벌징형성부(34) 내에는 패킹(35)이 구비되어 연결배관(20)에 어댑터(30)가 삽입된 뒤 연결배관(20)에 상기 벌징형성부(34) 내에 지지되는 벌징부(22)가 외향 돌출 형성된다.
벌징형성부(34)는 연결배관(20)의 벌징부(22) 형성시 형성 크기가 제한되게 하고, 동시에 패킹(35)이 구비됨으로써 연결배관(20)에 벌징부(22)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용접부위가 파손되지 않게된다. 본 발명에서는 후크(33)와 벌징부(22)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두 가지가 모두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1)는 스프링쿨러(100)용 주배관(10)과 연결배관(20) 사이에 구비되는 어댑터(30)에 다수 개의 환형 홈(31)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31) 내에 그 단부에 공간부(41)가 형성된 유패킹(40)이 구비됨으로써 누수 된 물이 공간부(41) 내에 가두어 질 수 있어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배관(20) 측에 유패킹(40)이 위치되는 홈이 형성될 필요가 없어 홈 형성과정에서 연결배관(2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연결배관(20)과 어댑터(30)에 확관부(21), 단턱부(32), 후크(33) 및 벌징부(22)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어 어댑터(30)가 수압에 의해 연결배관(20) 측으로 밀려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 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10 : 주배관
20 : 연결배관
21 : 확관부
22 : 벌징부
30 : 어댑터
31 : 환형 홈
32 : 단턱부
33 : 후크
34 : 벌징형성부
35 : 패킹
40 : 유패킹
41 : 공간부
42 : 라운드부
43 : 가압돌기
100 : 스프링쿨러

Claims (7)

  1. 스프링쿨러(100)용 주배관(10);
    상기 주배관(10) 내에 그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에 스프링쿨러(100)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배관(20);
    상기 주배관(10)과 연결배관(20)이 연결되는 부위 상에 결합되되 상기 연결배관(20)과 연접되는 부위의 내주연에 다수 개의 환형 홈(31)이 형성되는 어댑터(30); 및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환형 홈(31) 내에 구비되고 그 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개방된 일측이 상기 주배관(1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유패킹(4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배관(20)의 일단 외주연에는 상기 주배관(10)의 단부가 그 전방에 지지 될 수 있도록 확관부(21)가 외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어댑터(30)의 내부에는 상기 확관부(21)의 후방이 지지 될 수 있도록 단턱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어댑터(30)의 내주연에는 상기 확관부(21)의 전방이 지지되는 다수 개의 후크(33)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후크(33)는 상기 단턱부(32)의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후크(33)의 전방은 상기 어댑터(30)가 상기 연결배관(20) 내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삽입될 때 상기 확관부(21)를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패킹(40)의 일측 단부는 누수 된 물이 그 내부로 유입되어 가두어지는 공간부(41)가 형성될 수 있도록 두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되, 누수 된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연결배관(20)과 연접되는 지점의 상부에 곡면 형태의 라운드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패킹(40)의 타측에는 상기 유패킹(40)이 상기 환형 홈(31) 내에 삽입될 때 상기 환형 홈(31) 내에 그 타측이 밀착되게 함으로써 누수 된 물에 의해 상기 유패킹(40)이 상기 연결배관(20)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공간부(41)가 벌려져 확장될 수 있도록 가압돌기(43)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30)의 내주연에는 벌징형성부(34)가 내향 오목하게 형성되되 상기 단턱부(32) 및 환형 홈(3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벌징형성부(34) 내에는 패킹(35)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배관(20)에 상기 어댑터(30)가 삽입된 뒤 상기 연결배관(20)에 상기 벌징형성부(34) 내에 지지되는 벌징부(22)가 외향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KR1020160156121A 2016-11-23 2016-11-23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KR101816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21A KR101816062B1 (ko) 2016-11-23 2016-11-23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121A KR101816062B1 (ko) 2016-11-23 2016-11-23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062B1 true KR101816062B1 (ko) 2018-01-08

Family

ID=6100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121A KR101816062B1 (ko) 2016-11-23 2016-11-23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06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79B1 (ko) * 2018-06-28 2019-12-05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200082704A (ko) * 2018-12-31 2020-07-08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261041B1 (ko) * 2020-01-17 2021-06-04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CN117515284A (zh) * 2024-01-03 2024-02-06 江苏道金智能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气力输送管路柔性对接系统及其工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74B1 (ko) 2012-02-23 2012-08-27 정휘동 정수라인의 튜브 접속구조
KR101340284B1 (ko)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7674B1 (ko) 2012-02-23 2012-08-27 정휘동 정수라인의 튜브 접속구조
KR101346722B1 (ko) * 2012-10-22 2014-01-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소방용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340284B1 (ko) 2013-01-29 2013-12-10 이에프코리아주식회사 다용도 신축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479B1 (ko) * 2018-06-28 2019-12-05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KR20200082704A (ko) * 2018-12-31 2020-07-08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333915B1 (ko) * 2018-12-31 2021-12-01 정운택 소방용 신축 배관
KR102261041B1 (ko) * 2020-01-17 2021-06-04 주식회사 코뿔소 금속재 주름파이프와 염소화 피브이씨 파이프의 연결장치
CN117515284A (zh) * 2024-01-03 2024-02-06 江苏道金智能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气力输送管路柔性对接系统及其工作方法
CN117515284B (zh) * 2024-01-03 2024-03-15 江苏道金智能制造科技股份有限公司 气力输送管路柔性对接系统及其工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062B1 (ko) 유패킹이 구비된 스프링쿨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US9416897B2 (en) Press fitting device, components and method
CN108980485A (zh) 沟槽联接器
US4693499A (en) Pipeline for gaseous fluids and method of assembling its components
JP3210602U (ja) 小径配管用継手
KR101997671B1 (ko) 배관 커플링 구조체
KR101367655B1 (ko) 무용접 플렉시블 조인트
JPH09144969A (ja) 管接続用差し込み継手
CN105637276A (zh) 压装装置、部件和方法
JP2002250204A (ja) 流体を移送するための継手を組み立てる方法及び装置
KR102117915B1 (ko) 신축배관과의 연결이 용이한 멀티관 구조
LT3292B (en)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US9702467B2 (en) Pressure activated seal
US20190145556A1 (en) Packing member for sealing a pipe
EP2848851A1 (en) Flange and flanged system for joining pipes
KR101856601B1 (ko) 스프링클러 배관용 어댑터유닛 및 그 체결방법
KR102275178B1 (ko) 파이프 분기용 커플링 어셈블리
EP3974035A1 (en) Sprinkler system
JP6980204B2 (ja) マンホール用下水バイパス装置
KR20180075841A (ko) 어댑터유닛을 이용한 스프링클러용 배관의 연결방법
KR20160029251A (ko) 관체용 연결구
JP3198006U (ja) ホースカプラ
KR20210000540U (ko) 배관용 고무링
KR20200137343A (ko) 무용접 플랜지 양 이음쇠 및 그 조립 방법
JP2007078069A (ja) 樹脂管継手構造及び樹脂管継手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