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540U - 배관용 고무링 - Google Patents

배관용 고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0540U
KR20210000540U KR2020190003547U KR20190003547U KR20210000540U KR 20210000540 U KR20210000540 U KR 20210000540U KR 2020190003547 U KR2020190003547 U KR 2020190003547U KR 20190003547 U KR20190003547 U KR 20190003547U KR 20210000540 U KR20210000540 U KR 202100005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ring
extended
rubber ring
pi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5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3485Y1 (ko
Inventor
조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기술
Priority to KR20201900035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48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5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5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4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48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배관용 고무링을 개시한다.
이러한 배관용 고무링은, 관체의 압착체결 이음부위의 시일 처리를 위한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부와, 상기 링 본체부의 둘레부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시일부, 그리고 상기 연장 시일부 내측에서 시일을 위한 밀착력 발생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시일 향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용 고무링{RUBBER RING FOR PIPING}
본 고안은 배관용 고무링에 관한 것이다.
배관 작업은 이미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관체들을 밴딩 및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거치면서 각종 유체가 흐르기 위한 소정의 관로 구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배관 작업시 만족할 만한 배관 시공 품질 및 시공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체가 관로를 따라 요구되는 방향으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는 관로 구조가 요구된다.
이러한 배관 시공 품질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관체들의 이음부위 둘레부 측을 조여서 압착 체결하는 방식으로 연결할 때, 이음부위 측의 시일이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상태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관체 이음부위의 안정적인 시일력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요건들 중에서, 특히 관체 이음부위 틈새 측에 설치되는 시일용 고무링의 형태나 구조를 개선함으로서 그 효과를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1375487호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관체의 압착체결 이음부위의 시일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링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배관용 고무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관체의 압착체결 이음부위의 시일 처리를 위한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부;
상기 링 본체부의 둘레부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시일부; 및
상기 연장 시일부 내측에서 시일을 위한 밀착력 발생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시일 향상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고무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관체 이음부위의 압착체결 조작시 링 본체부 측이 눌려지면서 이음부위의 관체 및 관 이음구 간의 접촉 틈새가 시일 처리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링 본체부 측에는 시일 향상부를 구비한 연장 시일부가 형성되어 압착체결 조작시 링 본체부 측과 함께 연장 시일부 측이 함께 눌려지면서 이음부위가 더욱 안정적으로 시일 처리될 수 있는 링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배관 시공시 관체 이음부위들의 시일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만족할 만한 배관 시공 품질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고무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고무링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고안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고무링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10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고무링은, 링 본체부(10), 연장 시일부(20), 및 시일 향상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링 본체부(10)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형의 링 둘레부를 갖는 통상의 유체 시일을 위한 고무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링 본체부(10)의 재질은 고무재이거나, 이외에도 유체 시일과 부합하는 특성을 갖는 재질 중에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링 본체부(10)는 도 2에서와 같이 관체(P) 이음부위를 시일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관 이음구(C)의 길이방향 양쪽 컬링부(C1) 내측에 고무링(R)이 배치될 때, 금속링(R1) 측과 이격 배치되는 상태로 셋팅된다.
즉,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내측에는 링 본체부(10)와 금속링(R1)이 서로 인접 배치되되, 링 본체부(10) 측은 안쪽에 위치되고, 금속링(R1) 측은 바깥쪽에 위치되는 상태로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내측에 셋팅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관 시공시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관체(P)들의 단부 측이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측에 감싸여진 끼움 상태에서 별도의 압착체결기(M)로 컬링부(C1) 둘레부 측을 조이는 상태로 압착하면, 금속링(R1)은 컬링부(C1)와 관체(P) 단부 측을 서로 연결 고정하는 상태로 잡아주고, 링 본체부(10)는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 사이를 메우는 상태로 눌려지면서 시일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연장 시일부(20) 및 시일 향상부(30)는 관체(P)의 이음부위의 시일성 확보 및 향상과 부합하는 구조를 갖는 상태로 링 본체부(10) 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 시일부(20)는 관체(P) 이음부위의 압착체결 조작과 연계하여 링 본체부(10) 측과 함께 눌려지면서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 측이 추가로 시일 처리될 수 있는 부피 및 면적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장 시일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링 본체부(10)의 좌,우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되면서 연장 시일면(22)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연장 시일면(22)은 링 본체부(10)의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돌출 연장되는 연장 시일부(20)의 내,외주면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된다.
연장 시일부(20)의 재질은 링 본체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선정하여 사용하고, 링 본체부(10)의 성형시 일체로 성형되는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 시일부(20)는 도 4에서와 같이 링 본체부(10)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될 때, 내주 둘레부 측의 직경이 점차 커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관 이음구(C)의 컬링부(C1) 내측에 고무링(R)을 셋팅한 상태에서 관체(P)를 끼워서 연결 셋팅할 때, 내주 측의 연장 시일면(22) 측과 관체(P) 외부면 간의 접촉(마찰)에 의해 연질의 고무링(R) 셋팅 위치가 비정상적으로 변화되거나, 링 형태가 변형(파손)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를 참조하면, 연장 시일부(20)는 시일 유도홈(24)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시일 유도홈(24)은 관체(P) 이음부위가 관 이음구(C)에 의해 압착 체결 상태로 연결된 후,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를 통해서 관체(P)의 관로(P1) 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홈부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즉, 시일 유도홈(24)은 도 5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의 둘레부 측에서 두 개의 연장 시일면(22)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홈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일 유도홈(24)은 홈부 내측에서 개방부 측을 향하여 연장될 때, 도 5에서와 같이 두 개의 연장 시일면(22) 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면서 개방부가 점차 커지는 홈부(예: "V자" 모양)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시일 유도홈(24)은 관체(P) 이음부위가 고무링(R)의 링 본체부(10) 및 연장 시일부(20)에 의해 시일 처리된 후, 관로(P1) 내부의 유체가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 측으로 유입되더라도 홈부 내측에 모이도록 유도하여 유실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시일 유도홈(24)은 홈부 내측으로 유입되는 유체 압력에 의해 개방부 측이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작동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두 개의 연장 시일면(22)들이 시일 처리와 더욱 부합하는 안정적인 밀착 상태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시일 유도홈(24)의 작용에 의하면, 관로(P1)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여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 측으로 과다한 유체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안정적인 시일 처리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시일 향상부(30)는 연장 시일부(20)의 시일력 향상과 부합하는 구조를 가지며 연장 시일부(20) 측에 내장(內藏) 타입으로 제공된다.
특히, 시일 향상부(30)는 관체(P) 이음부위의 압착 체결 조작과 연계하여 연장 시일부(20)의 내측에서 시일 밀폐력 향상과 부합하는 상태로 작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시일 향상부(30)는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 내측에 형성되는 팽창공간(32)과, 이 팽창공간(32) 측에 팽창력 발생이 가능하게 채워지는 팽창용 유체(34)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팽창공간(32)은 도 1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의 링 형태의 둘레부를 따라 내,외주 측의 연장 시일면(2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팽창용 유체(34)는 공기, 가스, 오일 중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압착 체결 조작에 의해 연장 시일부(20) 측이 눌려질 때, 연장 시일면(22)들의 시일 밀착력 확보와 부합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팽창력을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팽창공간(32) 측에 채워진다.
즉, 시일 향상부(30)는 상기와 같이 연장 시일부(20) 측에 물리적인 외부 압력이 작용할 때 팽창공간(32) 측에 팽창력이 발생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시일 향상부(30)는 관체(P) 이음부위의 압착 체결 조작시 이와 연계하여 도 6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 내측에서 탄력적인 팽창력을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연장 시일부(20)의 연장 시일면(22)들이 이음부위 둘레부 틈새의 내, 외주면 측에 더욱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안정적인 시일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이와 같은 시일 향상부(30)의 구조 및 작용에 의하면, 압착 체결 조작시 관체(P)의 이음부위 둘레부 중에서 일부가 다소 불균일한 압착 상태로 눌려지더라도 연장 시일부(20)에 의해 둘레부 틈새가 균일하게 메워지는 상태로 시일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일 향상부(30)는 압착 체결 조작 방식으로 관체(P) 이음부위를 체결 연결할 때, 연장 시일부(20)의 시일 안정성 및 시일 신뢰도가 한층 더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팽창공간(34)은 예를 들어, 도 7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 내측에서 별도의 포켓(36)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포켓(36)은 팽창용 유체(34)의 기밀 유지가 가능한 구조 및 재질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면, 팽창공간(32) 측에 채워진 팽창용 유체(34)가 예를 들어, 연장 시일부(20)의 변형이나 파손 등에 의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 및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일 향상부(30)의 형태 안정성 및 작동 안정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시일 향상부(30)는 도 8에서와 같이 밀착구(38)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밀착구(38)는 압착 체결 조작과 연계하여 연장 시일부(20)의 시일 밀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팽창공간(32) 측에 배치된다.
밀착구(38)는 도 8에서와 같이 연장 시일부(20)의 팽창공간(32) 둘레부 측과 대응하는 금속링 형태를 가지며, 팽창공간(32) 내측에서 이 공간의 내주면 둘레부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된다.
밀착구(38)는 고무링(R)의 성형시 예를 들어, 인서트 성형 방식에 의해 팽창공간(32) 내측에 배치되도록 셋팅 및 형성될 수 있다.
밀착구(38)의 재질은 금속을 사용하되, 특히 구리와 같이 연질이면서 형태 복원력이 낮은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밀착력 유지 및 확보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밀착구(38)는 관체(P) 이음부위의 압착 체결시 눌려지면서 특히 연장 시일부(20)의 내주면 측의 연장 시일면(22) 측이 관체(P) 외주면 측에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된 시일 상태를 이루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고무링은, 누수 유도부(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누수 유도부(40)는 관체(P) 이음부위의 압착 체결 여부에 따라 고무링(R)의 접촉 틈새를 통해서 누수(漏水)가 유도될 수 있는 홈부 구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누수 유도부(40)는 도 9에서와 같이 고무링(P)의 링 내주면 측에 형성되는 누수 유도홈(42)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누수 유도홈(42)은 고무링(R)의 내주면 측에서 외주면 측을 향하여 파여진 홈부 형태를 가지며, 링 내주면 둘레부를 따라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누수 유도부(40)는 배관 라인 시공시 관체(P) 이음부위들의 압착 체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로(P1) 내부에 일정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여 관로(P1) 내부 압력을 테스트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 비 압착 체결된 상태의 이음부위 측은 고무링(R) 내주면의 누수 유도홈(42)을 통해서 관로(P1) 외부로 누수가 유도될 수 있다.
그러므로, 누수 유도부(40)는 관로(P1) 압력 테스트 작업시, 관체(P) 이음부위들의 누수 상태에 따라 압착 또는 비 압착 여부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배관 작업 효율성 및 신뢰도가 한층 더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관체(P)들 간을 관 이음구(C)로 연결한 다음, 압착 체결하는 연결 방식으로 배관 라인을 시공할 때, 관체(P) 이음부위들의 시일 안정성 및 시일 신뢰도를 한층 더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만족할 만한 작업 효율성과 편의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10: 링 본체부 20: 연장 시일부
30: 시일 향상부 40: 누수 유도부
P: 관체 P1: 관로
C: 관 이음구 R: 고무링

Claims (10)

  1. 관체의 압착체결 이음부위의 시일 처리를 위한 고무링으로서,
    링 본체부;
    상기 링 본체부의 둘레부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 시일부; 및
    상기 연장 시일부 내측에서 시일을 위한 밀착력 발생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시일 향상부;
    를 포함하는 배관용 고무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 시일부는,
    연장 시일면을 구비하고, 상기 링 본체부의 좌,우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로 돌출 연장되면서 링 내,외주면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연장 시일면이 각각 형성되는 배관용 고무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 시일부는,
    상기 링 본체부 측에서 측방을 향하여 링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연장될 때, 상기 연장 시일면 중에서 내주 측의 시일면 둘레부 직경이 점차 커지는 상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고무링.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장 시일부는, 시일 유도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시일 유도홈은,
    상기 연장 시일부의 둘레부 측에서 상기 두 개의 연장 시일면을 사이에 두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파여진 홈부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용 고무링.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일 향상부는,
    상기 연장 시일부 내측에 형성되는 팽창공간과, 이 팽창공간 측에 팽창력 발생이 가능하게 채워지는 팽창용 유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배관용 고무링.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팽창공간은,
    상기 연장 시일부의 링 형태의 둘레부를 따라 링 모양을 이루는 상태로 형성되는 배관용 고무링.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팽창용 유체는,
    공기, 가스, 오일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정하여 사용하고, 상기 연장 시일부 측이 눌려질 때 팽창력 발생이 가능한 상태로 상기 팽창공간 측에 채워지는 배관용 고무링.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일 향상부는, 상기 팽창공간 측과 대응하는 포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포켓은,
    상기 팽창용 유체가 팽창 작용이 가능하게 담겨지며, 상기 팽창공간 내측에 배치되는 배관용 고무링.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일 향상부는, 상기 팽창공간 측과 대응하는 밀착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밀착구는,
    상기 팽창공간의 둘레부와 대응하는 금속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팽창공간 내측에서 이 공간의 내주면 측을 감싸는 상태로 배치되는 배관용 고무링.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관용 고무링은, 누수 유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누수 유도부는,
    누수 유도홈을 구비하고, 이 누수 유도홈은 상기 배관용 고무링의 내주 둘레면 측에서 외주 둘레면 측을 향하여 파여진 홈부 형태로 이루어지며, 링 둘레부를 따라 한 군데 이상의 지점에 형성되는 배관용 고무링.
KR2020190003547U 2019-08-27 2019-08-27 배관용 고무링 KR2004934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47U KR200493485Y1 (ko) 2019-08-27 2019-08-27 배관용 고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47U KR200493485Y1 (ko) 2019-08-27 2019-08-27 배관용 고무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540U true KR20210000540U (ko) 2021-03-09
KR200493485Y1 KR200493485Y1 (ko) 2021-04-07

Family

ID=7487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547U KR200493485Y1 (ko) 2019-08-27 2019-08-27 배관용 고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48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350A (ko) 2022-08-26 2024-03-05 임금재 절단장애인을 위한 라쳇식 치약짜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258Y2 (ja) * 1981-02-26 1985-10-03 日本シコ株式会社 折畳式ステ−ジ
JPH07238563A (ja) * 1994-03-01 1995-09-12 Haneda Fume Can Kk 管路とマンホールとの接合具
JPH10306876A (ja) * 1997-03-21 1998-11-17 Agrar Chem Ag 接続部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手段
KR20070105588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서원기술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KR101375487B1 (ko) 2013-10-08 2014-03-17 (주) 삼정디씨피 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배관용 고무링
KR101424965B1 (ko) * 2013-12-17 2014-08-01 주식회사 뉴보텍 수밀링 밀림 방지형 상하수도관
KR101628997B1 (ko) * 2015-03-20 2016-06-21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489731T3 (en) * 2007-07-26 2014-11-17 Amgen Inc Modified lecithin-cholesterol acyltransferase enzymes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258Y2 (ja) * 1981-02-26 1985-10-03 日本シコ株式会社 折畳式ステ−ジ
JPH07238563A (ja) * 1994-03-01 1995-09-12 Haneda Fume Can Kk 管路とマンホールとの接合具
JPH10306876A (ja) * 1997-03-21 1998-11-17 Agrar Chem Ag 接続部のシール方法及びシール手段
KR20070105588A (ko) * 2006-04-27 2007-10-31 주식회사 서원기술 금속링과 고무링을 이용한 스테인레스 관의 접속구조
KR101375487B1 (ko) 2013-10-08 2014-03-17 (주) 삼정디씨피 밀림방지 기능이 구비된 배관용 고무링
KR101424965B1 (ko) * 2013-12-17 2014-08-01 주식회사 뉴보텍 수밀링 밀림 방지형 상하수도관
KR101628997B1 (ko) * 2015-03-20 2016-06-21 주식회사 서원기술 배관용 연결구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9350A (ko) 2022-08-26 2024-03-05 임금재 절단장애인을 위한 라쳇식 치약짜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3485Y1 (ko)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38683A (en) Fluid seal
JP5777267B2 (ja) 整備不要な流体用継手
ES2276118T3 (es) Conduccion flexible tubular ondulada y procedimiento de enlace.
US10883636B2 (en) Fluid fitting
KR200493485Y1 (ko) 배관용 고무링
CN109477585B (zh) 利用弹力维持气密性的连接部件及设置有其的阀门
JP7045684B2 (ja) 管継手
KR102226048B1 (ko) 배관용 관이음구 어셈블리
AU2019283403B2 (en) Fitting for connection to at least one pipe
KR101344183B1 (ko) 이형질 가스배관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20100124916A (ko) 소형 배관의 연결방법 및 그 실링 구조
KR100945494B1 (ko) 금속관 연결구조
JP3938931B1 (ja) 配管用継手
KR200492249Y1 (ko) 관 이음구용 고무링
CN207729110U (zh) 一种全密封哈夫式管卡密封垫
WO2019204951A1 (zh) 一种管件连接结构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JP5184756B2 (ja) シール部材
WO2017130713A1 (ja) 配管
KR101555584B1 (ko) 리버스 배관 연결방법
KR20130075098A (ko) 나사조임식 이음관용 고무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관
KR101446425B1 (ko) 파이프 체결구
RU2418231C1 (ru) Эластичная оболочка для герметичного пере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494756Y1 (ko) 컨택트 플로우 링
US10801656B2 (en) Pressure reducing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