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204B1 -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 Google Patents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204B1
KR101815204B1 KR1020170068434A KR20170068434A KR101815204B1 KR 101815204 B1 KR101815204 B1 KR 101815204B1 KR 1020170068434 A KR1020170068434 A KR 1020170068434A KR 20170068434 A KR20170068434 A KR 20170068434A KR 101815204 B1 KR101815204 B1 KR 101815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freezing
main body
raw material
pack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Original Assignee
김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훈 filed Critical 김종훈
Priority to KR1020170068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32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9/34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1Carotene, caroteno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02Gums
    • A23V2250/5036Carragee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 복수의 배합액을 정제수에 각각 용해시키는 단계(S20);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에 혼합제제와 덱스트린을 첨가 후 교반하여 원재료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30); 각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 살균이 이루어진 각 원재료를 2℃~4℃로 예냉하는 단계(S50); 예냉된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 1회용 용기에 복수의 겔화원재료 중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를 용기에 충진 및 실링하여 패킹하는 단계(S70); 및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패킹된 겔화원재료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빙질이 개선되고 하나의 얼음에서 두 가지 이상의 맛과 색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량 만큼 개별포장되므로 위생적인 장점이 있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Process for producing multi-flavor ice and multi-flavor ice produced thereby}
본 발명은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겔화시키고 하나의 용기에 분할시킨 후 급속동결시킴으로써, 기존의 얼음에 비하여 다양한 맛과 색상이 구현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수에 제공되는 얼음을 제조하기 위해 프레온 가스 등의 냉매를 이용하여 냉동실의 온도를 강하시킨 상태에서 내용물을 냉동실에 넣어 일정기간 냉동시키는 공랭식 냉동방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이러한 방식은 냉동고 내에서 서서히 냉동되므로 빙점에 이르기까지 제품 내의 수분이 조직을 팽창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여 섭취시 얼음 결정이 느껴지게 되어 식감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갖게 된다.
또한, 기존에 빙수에 제공되는 얼음의 경우 물을 동결시켜 제조됨으로써, 얼음에 후첨되는 재료를 통해 빙수의 맛을 낼 수 있게 되는 것으로, 투입된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제품(빙수)을 희석시키게 되므로 이 역시 식감 저하의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랭식 냉동방법의 경우 냉매를 압축시키기 위한 압축기, 응축시키기 위한 응축기 및 증발기와 같은 제반 전기적 장치를 가동시켜야 하는 데, 이의 가동을 위하여 많은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갖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248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맛이 다른 배합액을 각각 겔화시킨 후 급속동결장치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급속동결시킴으로써 빙질이 개선되고 하나의 얼음에 두 가지 이상의 맛과 색이 구현되도록 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은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 복수의 배합액을 정제수에 각각 용해시키는 단계(S20);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에 혼합제제와 덱스트린을 첨가 후 교반하여 원재료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30); 각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 살균이 이루어진 각 원재료를 2℃~4℃로 예냉하는 단계(S50); 예냉된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 1회용 용기에 복수의 겔화원재료 중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를 용기에 충진 및 실링하여 패킹하는 단계(S70); 및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패킹된 겔화원재료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S70단계에서, 용기에 충진되는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는 상호 분할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혼합제제는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메밀추출물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베타카로틴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S80단계에서, 상기 급속동결장치는 내측의 공간부가 일측으로 길이가 긴 터널구조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동결 전의 포장얼음을 상기 본체에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본체의 공간부 바닥면에 안치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결수단;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받은 포장얼음을 상기 수조에 수용된 냉매에 침지시킨 상태로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 이송된 포장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에 대해서도 게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은 맛이 다른 배합액을 각각 겔화시킨 후 금속동결장치를 이용하여 단시간에 급속동결되어 빙질이 개선되고 하나의 얼음에서 두 가지 이상의 맛과 색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일정량 만큼 개별포장되므로 위생적인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동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의 사시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급속동결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수단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 멀티 플레이버 얼음이라 함은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겔화시킨 상태로 용기에 분할 배치시켜 급속동결하여 제조되는 얼음으로, 일반적인 얼음을 빙삭하여 각종 재료를 후첨하는 기존의 빙수용 얼음과 달리 다양한 맛과 색이 내포될 수 있으며 급속냉동 방식으로 동결시켜 빙질이 일정하여 섭취시 얼음 결정이 느껴지지 않아 빙질이 부드러우며, 빙삭시 얇은 껍질 모양이 유지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은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 복수의 배합액을 정제수에 각각 용해시키는 단계(S20);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에 혼합제제와 덱스트린을 첨가 후 교반하여 원재료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30); 각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 살균이 이루어진 각 원재료를 2℃~4℃로 예냉하는 단계(S50); 예냉된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 1회용 용기에 복수의 겔화원재료 중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를 용기에 충진 및 실링하여 패킹하는 단계(S70); 및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패킹된 겔상태 원재료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배합액은 커피, 과즙, 우유, 백설탕, 색소, 향료가 포함되는 재료가 하나 이상 혼합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배합액은 그 밖에도 상기에서 언급하지 않은 다양한 재료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그 다음으로 복수의 배합액을 정제수에 각각 용해시키는 단계(S20)를 갖는다. 즉, 복수의 정제수가 마련되고 복수의 배합액은 각각 별도의 정제수에 용해되는 것으로, 여기서 배합액이 잘 용해될 수 있도록 정제수의 온도를 60 내지 65℃로 유지시킴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에 혼합제제와 덱스트린을 첨가 후 교반하여 원재료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여기서,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해 혼합제제 1 내지 3중량부, 덱스트린 2 내지 5중량부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제제는 배합액이 용해된 정제수에 점성을 부여하여 동결 후 빙삭시 얇은 껍질 모양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인 바, 상기 혼합제제가 1중량부 미만으로 배합되는 경우 겔의 네트워크 형성이 약해 충분한 겔의 형성을 보이지 않을 수가 있고, 3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겔의 형성이 너무 강해 너무 단단한 겔을 형성하며 또한 너무 점성이 강해 본 발명의 제품을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으로 빙삭이 되지 않는 등 빙수제품용도로서 적당하지 않아 상기와 같은 배합범위로 한정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혼합제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강한 점성에 의해 제품을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으로 빙삭이 되지 않는 등 빙수제품용도로서 적당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상기 혼합제제는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메밀추출물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라기난은 홍조류를 뜨거운 물 또는 뜨거운 알칼리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정제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보수력이 우수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가 없어 젤리의 탄성이 유지됨에 따라 식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카라기난만을 첨가하는 경우 규칙적으로 반복된 겔네트워크가 형성됨에 따라 겔 강도가 너무 커져 덩어리가 형성됨에 따라 빙삭이 용이하지 않고 덩어리가 형성된 부분에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이 끈기는 문제가 있으며 덩어리가 형성된 만큼 균일한 증점이 이루어지지 못해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 자체가 형성 않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카라기난에 메밀추출물이 더 혼합되도록 하는 바, 카라기난에 의해 형성되는 겔네트워크에 메밀추출물이 첨가되어 겔네트워크 간에 점성약화 부분이 형성되도록 함에 따라 덩어리가 형성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메밀추출물이 상기 배합범위를 초과하여 배합되는 경우에는 겔네트워크의 점성을 너무 약화시켜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 자체가 형성 않되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와 같이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밀은 마디풀과의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흰색, 분홍색, 빨강색이 있으며 줄기는 초록색, 분홍색, 짙은 붉은색이 있으며 열매는 검정색, 흑색, 은색, 갈색이 있다. 잎은 삼각형의 심장형이다. 원산지는 중국 북부라는 설이 있었으나 1992년에 야생 조상종(F. esculentum ssp. ancestrale)이 발견되어, 중국 남부라는 설이 유력해졌다. 열매는 주로 식용에 이용한다. 황무지에서도 쉽게 살 수 있으며, 구황 작물로서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되고 있다. 메밀은 초가을에 흰 꽃이 피며,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먹고, 줄기는 가축의 먹이로 쓴다. 열매는 껍질을 뺀 부분을 가루(메밀가루)로 만들어 먹으며, 껍질을 벗긴 쌀은 소주의 원료로도 쓰인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이란 추출 대상을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콜,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렌, 아세톤, 헥산, 에테르,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N-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사이드(DMSO),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침출하여 얻어진 추출물, 이산화탄소, 펜탄 등 초임계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또는 그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을 의미하며, 추출 방법은 활성물질의 극성, 추출 정도, 보존 정도를 고려하여 냉침, 환류, 가온, 초음파 방사, 초임계 추출 등 임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분획된 추출물의 경우 상기 추출물을 특정 용매에 현탁시킨 후 극성이 다른 용매와 혼합·정치시켜 얻은 분획물, 상기 추출물을 실리카겔 등이 충진된 칼럼에 흡착시킨 후 소수성 용매, 친수성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이동상으로 하여 얻은 분획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한 상기 추출물의 의미에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등의 방식으로 추출 용매가 제거된 농축된 액상의 추출물 또는 고형상의 추출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 더 바람직하게는 추출용매로서 물과 에탄올의 혼합 용매를 사용하여 얻어진 추출물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메밀추출물은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정제수를 포함한 상기 재료들의 항균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항산화작용에 의해 향후 제품에 빛바램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혼합제제의 조성으로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베타카로틴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예도 제시하고 있다.
상기 카라기난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수력이 우수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른 점도 변화가 없어 혼합물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후 단계에서 고온살균 등의 과정, 여름철 등에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점성의 감소현상이 나타나 이 경우도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 자체가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혼합제제에는 베타카로틴이 첨가되도록 하는데 베타카로틴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온도가 올라가는 경우에도 겔네트워크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인 빙삭시 리본모양으로 얇은 껍질형상 자체가 형성않되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각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본 단계에서는 80℃ 내지 90℃로 3분간 고온살균을 거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30)에는 공지된 다양한 살균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그 다음으로 살균이 이루어진 원재료를 2℃~4℃로 예냉하는 단계(S50)를 갖는다.
본 단계는 상기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에서 살균 목적으로 고온으로 가열 처리된 원재료를 이하에서 초벌 냉동하여 겔화시키거나 또한 급속동결하기 전 예비 냉각을 실시하게 되는 것으로, 이렇게 예비 냉각을 실시함으로써, 겔화의 진행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고, 또한 이하의 급속동결장치에서 고온의 원재료에 대한 급속 동결 시 작용될 수 있는 부하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냉을 통해 단 시간에 혼합액에 대한 급속동결이 가능하여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완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예냉된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를 갖는다. 이때, 원재료를 냉동시켜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수단으로 프리저(freezer) 등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1회용 용기에 복수의 겔화원재료 중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를 용기에 충진 및 실링하여 패킹하는 단계(S70)를 갖는다. 이때, 용기에 충진되는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는 상호 분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시된 바는 없으나,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는 용기의 일측과 타측에서 서로 분할되거나 용기의 내측과 외측, 그리고 용기의 상측과 하측 등 다양한 형태로 분할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원재료가 겔상태이기 때문에 칸막이 등과 같은 특별한 도구가 없이도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가 서로 섞이지 않게 분할배치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예냉된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에서 겔화원재료를 다양한 형태로 성형시켜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가 용기 내에 분할된 상태로 가득 채워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패킹된 겔화원재료가 중량 및 금속검출기를 통과하도록 하여 하자품을 걸러내고 하자품이 걸러진 제품에 대해 이후 공정에 투입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패킹된 겔화원재료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S80)를 갖는다. 이때, 상기 급속동결장치에서는 패킹된 겔화원재료를 냉매에 침지시켜 급속 동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패킹된 겔화원재료가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동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킹된 겔화원재료가 단시간에 빙점에 이르게 되어 수분 조직의 팽창이 억제되어 해동 시에 얼음 입자가 느껴지지 않아 부드러운 맛이 구현되므로 빙수의 식감이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빙삭시에 일반 얼음과 달리 리본모양이 구현될 수 있어 미각적 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풍미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급속동결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급속동결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공급수단(200), 이송수단(400) 및 배출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케이싱 형태로 지면에서 이격되며, 그 내측에는 공간부(110)가 마련되되, 상기 공간부(110)는 일측으로 길이가 긴 터널구조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동결 전의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상기 본체(100)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수단(2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달장치(22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전달장치(220)는 도면에서와 같이 공급라인(210)을 통해 공급되는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흡착기(222)를 통해 파지한 후 본체(100)의 일단부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동결수단(300)은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 바닥면에 안치되는 수조(310) 및 상기 수조(310)에 수용되는 냉매(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이하의 이송수단(400)에 의해 액체상태인 냉매(320)에 침지된 상태로 이송하면서 동결되는 것인 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얼음의 급속 냉동시스템(1)은 침지식 동결법이 적용된다.
여기서, 침지식 동결법(immersion freezing)이란 냉각을 한 부동액, 즉 냉매액에 냉동 대상을 담가 급속동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염수를 브라인(brine)이라고 부르지만, 냉동분야에서는 넓은 의미로 상태 변화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다른 물질을 냉각하는 액상의 냉각매체를 브라인 또는 2차 냉매(secondary coolant)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냉동 대상을 침지액에 직접 담가 급속 동결시키는 것이므로, 이때 사용되는 냉매액은 낮은 온도에서도 얼지 않아야 하는 바,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 상기 냉매(320)로써 어는 점이 낮은 주정(酒精)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침지식 동결법에 의해 동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패킹된 겔화원재료(10)는 단시간에 빙점에 이르게 되어 수분 조직의 팽창이 억제되어 해동 시에 얼음 입자가 느껴지지 않아 부드러운 맛이 구현되므로 식감이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침지식 동결법의 경우 일반적인 공랭식 동결법에 비해 전력소모가 절감되고,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대폭 확대시킬 수 있어 에너지절감 및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이 도출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수조(310)와 열교환기(340)가 냉매순환관(330)에 연결되되, 냉매순환관(330)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과 연결되는 공지된 종래 냉동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급속동결장치(1)의 경우 냉매(320)가 서로 다른 경로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호 간 열교환을 통해 온도를 매우 낮은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원식 급속냉동 시스템이 적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기(340)로는 판형 열교환기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동결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수조(310)에 수용된 냉매(32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초저온 펌프를 가동하여 상기 냉매순환관(330)을 통해 냉매(320)가 판형 열교환기로 이송되고 판형 열교환기에서는 최소시간 동안 냉매(320)의 온도를 세팅된 값 이하로 냉각시킨 후 상기 수조(310)로 전달하는 순환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수조(310)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으나 도 5에서와 같이 상면이 개방되며 공간부(110)를 따라 길이가 긴 형태로 마련되어 이하의 이송수단(400)의 일부가 상기 수조(310)에 침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송수단(400)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에 구성되되, 상기 수조(310)의 일단에서 타단에 걸쳐 그 상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일단부에서 상기 공급수단(200)으로부터 공급받은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상기 수조(310)에 수용된 냉매(320)에 침지시킨 상태로 상기 본체(100)의 타단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500)은 상기 본체(100)의 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수단(400)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타단부로 이송되는 동결된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출수단(500)에는 상기 공급수단(200)에서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제2전달장치(52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제1전달장치(2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이송수단(400)의 타단부로 이송된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흡착기(522)로 파지하여 배출라인(510)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수단(500)에는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배출라인(510)을 통해 배출되기 전에 패킹된 겔화원재료(10) 표면에 잔존하는 극저온의 냉매(320)를 제거시키는 냉매제거부(530)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냉매제거부(53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에서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향해 배치되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는 복수의 블로워(532)를 마련하여 잔존하는 극저온의 냉매(320)를 완전히 제거시킬 수 있게 된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들의 유기적인 결합구조에 의해, 다수의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연속적으로 투입 및 배출되는 과정에서 냉매(320)를 수용하는 길이가 긴 수조(310)에 침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수의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동시에 수용할 수 있게 되므로 단위 시간당 포장얼음에 대한 동결량이 비약적으로 증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기존의 침지식 동결장치가 브라인 탱크에 일정량의 동결할 대상을 투입하였다가 배출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는 바, 기존의 침지식 동결장치의 경우에는 한 번씩 일정량만큼만 동결가능 하므로, 대기시간 없이 연속적인 동결이 가능한 본원 발명의 포장얼음의 급속 동결시스템(1)의 동결능력과는 비교불가하다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이송수단(40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이송수단(4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410), 체인부(420) 및 안착틀(43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스프로킷(410)은 상기 공간부(110)의 양단부에 각각 한 쌍씩 평행하게 마주본 상태로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스프로킷(410)에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별도의 구동수단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인부(420)는 한 쌍의 스프로킷(410)에 맞물린 상태로 연결되어 일측 또는 양측의 스프로킷(410)이 구동함에 체인이 연동하여 궤도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는, 구체적으로 도시한 바는 없으나 상기 체인부(420)는 작은 링크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길이방향의 등 간격으로 다수 개 이어질 수 있도록 핀결합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스프로킷(410)은 기어와 같이 치(齒)가 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것으로 체인의 핀과 핀 사이 공간에 스프로킷(410)의 치(齒)가 걸리는 방식으로 스프로킷(410)이 회전함에 따라 체인이 연동하여 궤도운동 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안착틀(430)은 양단부가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는 체인부(420)에 각각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인부(420)의 일정 간격마다 다수 배치되도록 하여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체인부(420)에 연동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틀(430)에는 상기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며, 안착틀(430)에서 패킹된 겔화원재료(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나 이상의 안착홀(432)을 형성시켜 상기 공급수단(200)의 제1전달장치(220)로부터 전달되는 패킹된 겔화원재료(10)의 하부가 상기 안착홀(432)에 삽입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된 겔화원재료(10)는 그 용기 형태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 구조로 구성되어 용기의 하측 일부가 상기 안착홀(432)에 삽입된 상태에서 낙하하거나 이탈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안착홀(432)은 상기 안착틀(430)에 형성되되,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110) 폭 등을 고려하여 그 개수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안착홀(432)은 안착틀(430)에 8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하였던 제1전달장치(220) 및 제2전달장치(520)의 흡착기(222,522)역시 8개의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동시에 흡착하여 파지하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공급수단(200)은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결 전의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상기 이송수단(400)의 좌측상단의 안착틀(430)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스프로킷(410)에 연동하는 체인부(420)에 일정간격마다 힌지결합되는 안착틀(43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하측에 배치되며, 냉매(320)가 수용된 수조(310)에 상기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침지시킨 상태로 도면상 우측으로 이송시키면서 패킹된 겔화원재료(10)를 급속 동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도면상 상기 안착틀(430)이 우측상단으로 이송하게 되면 상기 배출수단(500)을 통해 급속 동결된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 급속동결장치 10 : 패킹된 겔화원재료
100 : 본체 200 : 공급수단
300 : 동결수단 400 : 이송수단
500 : 배출수단

Claims (6)

  1. 맛이 다른 복수의 배합액을 각각 제조하는 단계(S10); 복수의 배합액을 정제수에 각각 용해시키는 단계(S20); 배합액이 용해된 각 정제수에 혼합제제와 덱스트린을 첨가 후 교반하여 원재료를 각각 제조하는 단계(S30); 각 원재료를 살균하는 단계(S40); 살균이 이루어진 각 원재료를 2℃~4℃로 예냉하는 단계(S50); 예냉된 각 원재료를 초벌 냉동하여 복수의 겔화원재료가 되도록 겔화시키는 단계(S60); 1회용 용기에 복수의 겔화원재료 중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를 용기에 충진 및 실링하여 패킹하는 단계(S70); 및 급속동결장치를 통해 패킹된 겔화원재료를 급속 동결시키는 단계(S80);를 포함하고,
    상기 S30단계에서, 상기 혼합제제는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메밀추출물 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70단계에서,
    용기에 충진되는 두 가지 이상의 겔화원재료는 상호 분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카라기난 100중량부에 대해 베타카로틴 1 내지 5중량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S80단계에서, 상기 급속동결장치는
    내측의 공간부가 일측으로 길이가 긴 터널구조로 구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며 동결 전의 포장얼음을 상기 본체에 공급하는 공급수단;
    상기 본체의 공간부 바닥면에 안치되는 수조 및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냉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결수단;
    상기 본체의 공간부에 구성되어 상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받은 포장얼음을 상기 수조에 수용된 냉매에 침지시킨 상태로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 이송시키는 이송수단;
    상기 본체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본체의 타단부로 이송된 포장얼음을 배출하는 배출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2항, 제 4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KR1020170068434A 2017-06-01 2017-06-01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KR10181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34A KR101815204B1 (ko) 2017-06-01 2017-06-01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434A KR101815204B1 (ko) 2017-06-01 2017-06-01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204B1 true KR101815204B1 (ko) 2018-01-09

Family

ID=6100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434A KR101815204B1 (ko) 2017-06-01 2017-06-01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2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1028B2 (ja) * 2008-12-10 2013-10-23 不二製油株式会社 食品用物性改良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21028B2 (ja) * 2008-12-10 2013-10-23 不二製油株式会社 食品用物性改良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31821T3 (es) Proceso para producir productos de fruta estables en almacenamiento mediante fragmentacion de celulas de fruta y productos obtenibles por el mismo.
JP2009148254A (ja) 凍結乾燥成型品の製造方法
CN102014642A (zh) 用于冷冻果蔬产品的方法
CN107279449A (zh) 一种冻干酸奶冰淇淋及其加工方法
PT90919B (pt) Processo de preparacao de produtos alimentares liofilizados, no estado solido, possuindo preferivelmente formas geometricas predeterminadas, com elevado valor nutricional e prontos a ser consumidos
CN103734827B (zh) 一种杨枝甘露饮料的制作方法
KR101815205B1 (ko)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플레이버 얼음
CN105475982B (zh) 香椿酱加工方法
CN107296270A (zh) 红稗桂圆粉及其制备方法
CN110623230A (zh) 一种超低温加工的全果肉型果蔬汁(块)生产方法
CN103535504B (zh) 一种胡萝卜冰激凌及其制备方法
KR101815204B1 (ko)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빙수용 멀티 플레이버 얼음
CN112314841A (zh) 一种含有抗冻肽复配抗冻剂的速冻南瓜泥及其制备方法
TWI618487B (zh) Frozen drink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WO2005063032A1 (en) Process for preparing shelf stable custard apple pulp and powder
CN105614775A (zh) 一种冻干杨梅含片的制作方法
CN106551360A (zh) 一种方便面调料块及其制备方法
CN108371213A (zh) 一种冻干果蔬奶的制备方法
CN108850135A (zh) 一种冬枣干的制作方法
US6610336B2 (en) Process for making ice pops
CN106472675A (zh) 一种果蔬风味乳糕加工工艺
KR101907680B1 (ko) 생대추를 이용한 대추과자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230016776A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KR20180053445A (ko) 동결 건조 인삼 다이스 제조방법
CN110313566A (zh) 一种果汁块载体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