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16776A -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16776A
KR20230016776A KR1020210098193A KR20210098193A KR20230016776A KR 20230016776 A KR20230016776 A KR 20230016776A KR 1020210098193 A KR1020210098193 A KR 1020210098193A KR 20210098193 A KR20210098193 A KR 20210098193A KR 20230016776 A KR20230016776 A KR 20230016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ioca
inner layer
raw material
weigh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풍
Original Assignee
조한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한풍 filed Critical 조한풍
Priority to KR1020210098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16776A/ko
Publication of KR20230016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 A23L29/244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from corms, tubers or roots, e.g. glucomanna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층용 추출물 제조시 발생하는 고형분을 이용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및 상기 홍삼원료를 균일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회전성형기 내에 상기 분쇄된 내층 원료를 투입한 다음, 회전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투입하여 내층 원료를 응집시키는 단계; 응집된 상기 내층 원료의 크기가 0.1~2mm에 도달하면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한 다음,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9~10mm에 도달하면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회전성형기를 20~30분동안 회전시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apioca pearl with multi layer}
본 발명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피오카 펄 제조시 다층구조를 형성하며, 내층에 맛을 첨가할 수 있는 성분을 추가하는 것으로 타피오카 펄의 맛과 향을 개선할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take-out 음료와 차(tea)문화가 발달하면서 음료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나오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한국에서도 점차 동남아 지역에서 즐겨 마시는, 각종 음료나 티에 버블이라 불리는 작은 알갱이 등을 넣어 씹는 맛을 살린 버블티(bubble-tea)에 대한 수요도 점차 많아지고 있다. 이 안에 들어가는 버블의 종류로는 과일부터 젤리까지 아주 다양한데 그 중 타피오카 펄(tapioca peal)은 원재료로 타피오카 전분을 사용하여 젤리처럼 만든 것이다
카사바(cassava)의 덩이뿌리에서 채취하는 녹말을 타피오카(tapioca)라고 하며 독성분은 주로 겉껍질에 분포하므로 박피하여 분쇄한 후 수침시켜 불순물을 제거하여 건조하면 백색의 타피오카 가루 전분이 얻어진다. 이것을 마르기 전에 베주머니에 넣고 흔들면 지름 3∼의 알갱이가 된다. 이 알갱이를 가열한 철판 위에 놓고 잘 섞으면 표면이 풀로 되어 반투명한 진주처럼 되는 것을 타피오카 펄(tapioca pearl)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타피오카 전분은 과자, 알코올발효, 풀 및 각종 요리의 원료로 사용한다.
버블티(bubble tea), 타피오카 밀크티(tapioca milk tea) 등과 같은 음료는 차갑게 해서 알갱이와 음료를 함께 맛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버블티는 음료의 음용과 함께 입 안에서 알갱이를 씹는 식감을 부여하기 위해 과일, 젤리 등의 알갱이 형태의 버블을 첨가한다.
이러한 젤리는 펙틴 또는 한천을 주원료로 하는데 차가운 음료와 혼합되면 동결되어 부드러운 자체 식감으로 인해 쫄깃하지 않고 오히려 입안에서 끈적이는 촉감을 제공하게 되는 반면에, 타피오카 전분을 주원료로 하는 타피오카 펄은 차가운 음료에 혼합되어도 쫄깃한 식감을 유지할 수 있어 디저트, 음료, 빙수 등에 사용된다.
그러나 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타피오카 펄은 전면 중국, 대만 등에서 대부분이 수입되고 있는 실정이고, 실제로 수입되는 제품을 살펴보면 그 유통기한이 2년 이상 되는 경우가 많으며 불필요한 화학약품처리가 되어있어 먹으려고 할 때 거부감이 드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조리후 끈적임에 정도에 따라 잘 들러붙거나 한 알씩 잘 떼어지지 않는 문제점도 더러 가지고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전분을 주성분으로 제조되는 타피오카 펄은 그 자체로는 아무런 맛이나 향을 가지고 있지 않아 설탕 또는 캬라멜에 침지되어 맛과 색상을 보충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급격히 혈당을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아무런 맛과 향이 없으므로 그 활용도에 한계를 가지고 있어 맛이 진한 음료에 포함되어 음료의 맛에 단순한 식감을 더해주는 용도로만 사용될 뿐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피오카 펄의 향이나 맛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0318호 (000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7609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내층에 맛을 추가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층용 추출물 제조시 발생하는 고형분을 이용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및 상기 홍삼원료를 균일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회전성형기 내에 상기 분쇄된 내층 원료를 투입한 다음, 회전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투입하여 내층 원료를 응집시키는 단계; 응집된 상기 내층 원료의 크기가 0.1~2mm에 도달하면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한 다음,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9~10mm에 도달하면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회전성형기를 20~30분동안 회전시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변성전분 50~100중량부, 색소 0.5~1중량부, 설탕 10~30중량부, 천일염 1~5중량부 및 증점제 5~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100중량부 대비 첨가용 분말 5~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성장이 완료된 타피오카 펄을 90~105℃로 가열된 물에 투입한 다음, 40~60분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이 완료된 이후 타피오카 펄을 세척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전분을 제거한 다음,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혼합된 시럽에 상기 타피오카 펄을 침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포함된 시럽은, 물 100중량부 대비 80~120중량부의 설탕 및 20~50중량부의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이 완료된 시럽원료를 9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시럽원료의 부피가 1/4~3/4로 줄어들면 가열을 중단하여 내층용 추출물이 포함된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내층용 원료를 1~5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내층용 원료를 수분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내층용 원료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 100중량부 대비 50~120중량부의 설탕과 혼합한 다음 추출 용기에 장입하고 5~20일간 보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내층용 원료는 홍삼, 딸기, 포도, 귤, 오랜지, 사과, 망고, 수박, 레몬, 자두, 옥수수, 토마토 및 멜론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5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고형분을 분쇄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을 제조함에 따라 타피오카 펄에 내층 성분이 조합되어 인체에 내층성분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피오카 펄을 다층구조로 제조하며, 내층에 과일을 비록한 다종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으로 단순히 식감만을 가지고 있던 타피오카 펄에 새로운 맛과 향을 추가하여 섭취시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층 추출물 제조시 발생하는 고형분을 타피오카 펄의 재료로 사용하는 것으로 제조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피오카 펄의 전체에서 균일한 맛과 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섭취시 기호도를 상승시킬 수 있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홍삼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층용 추출물 제조시 발생하는 고형분을 이용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및 상기 홍삼원료를 균일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회전성형기 내에 상기 분쇄된 내층 원료를 투입한 다음, 회전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투입하여 내층 원료를 응집시키는 단계; 응집된 상기 내층 원료의 크기가 0.1~2mm에 도달하면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한 다음,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9~10mm에 도달하면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회전성형기를 20~30분동안 회전시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가.
상기 내층 추출물은 홍삼 또는 과일 또는 채소류에서 액상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이를 추출하기 위하여 당분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당분의 경우 높은 삼투압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홍삼 또는 과일 또는 채소류에서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후과정에서 타피오카 펄의 제조에 사용되어 단맛을 보충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내층용 원료를 1~5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내층용 원료를 수분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내층용 원료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 100중량부 대비 50~120중량부의 설탕과 혼합한 다음 추출 용기에 장입하고 5~20일간 보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홍삼은 인삼을 증숙하고 말리는 과정을 반복하여 붉은 색이 나도록 가공한 인삼 가공품의 일종으로 인삼에 비하여 유효성분 특히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맛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홍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것으로 액상의 추출물을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홍삼이외에도 다양한 맛을 가지는 과일 또는 채소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딸기, 포도, 귤, 오랜지, 사과, 망고, 수박, 레몬, 자두, 옥수수, 토마토 및 멜론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홍삼을 비롯한 과일 또는 채소로 제조되는 추출물의 경우 폴리페널, 사포닌, 라이코펜등의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항산화효과 및 피로회복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유기산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상기 타피오카펄 섭취시 소화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홍삼, 과일 또는 채소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입된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은 1~5cm의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홍삼이 1cm미만의 크기로 절단되는 경우 절단시 효율이 떨어지며, 5cm이상의 크기를 가지도록 절단하는 경우 표면적이 줄어들어 추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절단된 홍삼, 과일 또는 채소는 그대로 팽화기에 투입할 수도 있지만, 과일이나 채소의 경우 많은 양의 수분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팽화기에 장입하는 경우 팽화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홍삼, 과일 또는 채소를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 건조된다음, 상기 팽화기에 장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조된 홍삼, 과일 또는 채소는 팽화기에 장입되어 팽화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팽화단계를 대상물을 고온 고압을 가열한 다음, 압력을 급격히 감소시켜 다공성을 가지도록 팽창시키는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대상물 내의 물이 고온, 고압으로 가열되다가 급격한 압력감소로 인하여 수증기로 변화하면서 대상물을 팽창시키게 된다. 이러한 팽화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절단된 홍삼은 다공성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의 표면적이 증가되어 추출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š 상기 팽화단계의 온도가 200℃미만으로 가열되는 경우 원활한 팽화가 어려울 수 있으며, 250℃를 초과하는 온도로 가열되는 경우 상기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의 유효성분이 열분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팽화된 홍삼, 과일 또는 채소는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 100중량부 대비 50~120중량부의 설탕과 혼합한 다음 추출 용기에 장입하고 5~20일간 보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탕은 초기에는 고체상태이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물을 생성하고 분해되어 액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높은 상투압을 가지고 있으므로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에 침투하여 유효성분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설탕이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 100중량부 대비 5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포화농도에 도달하여 유효성분의 추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1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유효성분의 함량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관기간이 5일 미만인 경우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되지 않을 수 있으며, 20일을 초과하여 보관하는 경우 미생물이 발생하거나 이취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 고형분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형분의 분리는 상기 고형분을 압착하거나 원심분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분리된 고형분에도 유효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고형분은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것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5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고형분을 분쇄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분리된 이후에도 상기 고형분에는 다량의 유효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설탕의 삼투압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는 유효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이러한 고형분을 폐기하였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고형분을 이용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여 상기 타피오카 펄에 포함시키는 것으로 제조원가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더욱 높은 유효성분 함량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고형분의 경우 상기 내층용 추출물과는 그 사용량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과부족시 여분의 고형분을 폐기하거나 부족한 고형분을 대신하여 추가적인 홍삼, 과일 또는 채소분말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형분은 분말화되기 위하여 건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는 5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건조에는 동결건조방법이 널리 사용되지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의 경우 추출이전 건조된 상태이므로 비용이 저렴한 열풍건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온의 열풍을 사용하는 경우 유효성분이 열분해될 수 있으므로 50~80℃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고형분은 수분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도록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중량%를 초과하는 수분함량을 가지는 경우 분말화가 어려울 수 있다.
상기 건조가 완료된 고형분은 분쇄되어 첨가용 분말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쇄는 회전식 분쇄기 또는 볼밀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내층용 추출물과 첨가용 분말은 후술할 과정에서 카피오카 펄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타피오카 전분은 열대작물인 카사바의 뿌리에서 채취한 전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타피오커 전분의 경우 호화된 이후 저온에서도 탄성을 잃지 않은 경향을 가지고 있어 밀크티와 같은 자온음료에 포함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변성전분은 전분을 산이나 염기처리를 하거나 열처리를 하며 보관성을 형상시킨 전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타피오카 전분의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투명도를 높이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변성전분은 상기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50~100중량부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변성전분이 50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 생성되는 타피오카 펄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타피오카 펄이 저온에서 딱딱하게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상기 타피오카 펄에 특정 색상을 추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홍삼을 사용하는 본 "u명의 특성상 적색 또는 갈색을 가지는 색소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색소는 상기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0.5~1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발색이 나빠질 수 있고 1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이취가 발생하거나 타피오카 펄의 투명도가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설탕은 산기 제조되는 타피오카 펄의 단맛을 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10~3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홍삼추출물을 통하여 당분의 일부가 공급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타피오카 펄과 같거나 작은 양의 설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설탕이 1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타피오카 펄의 기호도가 떨어질 수 있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타피오카 전분의 호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천일염은 상기 설탕의 단맛을 강화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1~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일염이 1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단맛의 강화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짠맛이 강해질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상기 타피오카 펄의 식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점제인 잔탄검, 구아검 또는 아라비아 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는 상기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5~20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증점제가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조되는 타피오카 펄의 탄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2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타피오카 펄의 강도가 높아져 식감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한 다음, 이를 타피오카 펄의 기본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타피오카 펄의 원료는 상기 첨가용 분말과 혼합되어 타피오카 펄의 중심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상태로 상기 타피오카 펄의 외곽부를 구성하는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용 분말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100중량부 대비 5~20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첨가용 분말이 5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첨가용 분말에 의한 향, 맛 및 영양성분 강화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첨가용분말로 인하여 타피오카 펄의 내층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내층용 추출물, 타피오카 펄 원료, 내층 원료는 각각의 순서대로 회전 혼합기에 공급되어 타피오카 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성형기는 회전하는 원추형 또는 원통형의 통의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형태의 성형기로 상기 성형기 내에 분말상의 원료를 투입한 다음, 회전과 동시에 수분을 공급하면 상기 성형기의 회전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의 구형입자로 성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회전성형기의 경우 원활한 성형을 위하여 가열수단 및 액체 공급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수분의 양, 온도 및 회전속도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구형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성형기에는 상기 내층 원료가 투입될 수 있다. 이때 투입되는 내층 원료는 상기 타피오카 펄의 중심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것으로 상기 분말상의 내층 원료를 투입한 다음, 수분을 공급하여 0.1~2mm에 도달할 때까지 성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수분은 정제수에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타피오카 펄의 경우 첨가제가 혼합된 타피오카 원료를 이용하여 타피오카 펄을 제조함에 따라 그 식감이 떨어지거나 맛이 변질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맛과 향을 개선할 수 있는 내층 원료를 이용하여 내층을 형성한 다음, 외층에 타피오카 원료를 코팅함에 따라 식감이 기존의 타피오카펄과 동일함과 동시에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의 향과 맛을 첨가할 수 있으며, 또한 내층과 외층의 색상을 달리하여 새로운 미감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층의 성장이 0.1mm미만인 경우 후술할 과정에서 타피오카 펄 원료의 부착이 어려울 수 있다. 2mm를 초과하는 크기로 성장된 경우 식감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성장이 완료된 이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성장시킬 수 있다.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중심부의 경우 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다량의 수분을 공급하게 되므로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경우 추가적인 수분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상기 내층 원료의 외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이때 수분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일부가 자체적으로 응집될 수 있으므로, 크기 및 식감이 상이한 타피오카 펄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층 원료를 이용하여 중심부의 형성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내층용 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한 다음,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펄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수분이 부족한 경우 정제수를 공급하여 수분을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는 한번에 전부 투입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펄의 성장에 따라 순차적으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생성되는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9~10mm에 도달하면 타피오카 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피오카 펄의 성장이 완료된 이후 상기 회전 성형기를 20~30분동안 회전시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성형이 완료된 직후에는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그 형상도 완전히 원형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타피오카 펄의 상품성을 형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회전성형기를 20~30분간 추가로 회전시켜 크기와 모양을 균일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회전성형기에 추가적인 타피오카 펄 원료가 공급되지 않고 성형을 하는 경우 각 타피오카 펄 상호간에 마찰이 발생하여 표면에 부착된 원료가 타피오카 펄 사이를 이동하여 부착될 수 있다. 즉 이러한 표면 원료의 이동을 장시간 지속하는 경우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균일해짐과 동시에 타피오카 펄의 형상이 구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타피오카 펄의 성형이 완료되면 이를 그대로 제품화하여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후가공을 통하여 맛을 보충하고 상품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성장이 완료된 타피오카 펄을 90~105℃로 가열된 물에 투입한 다음, 40~60분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이 완료된 이후 타피오카 펄을 세척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전분을 제거한 다음,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혼합된 시럽에 상기 타피오카 펄을 침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장이 완료된 타피오카 펄은 90~105℃로 가열된 물에 투입한 다음, 40~60분간 가열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타피오카 펄의 전분이 호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타피오카 펄의 색상이 투명하게 변성되어 타피오카 펄 본연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내층에 홍삼, 과일 또는 채소의 추출물을 포함하고 있으며, 외층에 타피오카 전분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외층이 투명하고 내층이 원료의 색상을 가지는 2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단색을 가지는 타피오카 펄에 비하여 새로운 미감을 가지는 타피오카 펄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열과정을 통하여 타피오카 펄의 탄성이 증가하고 식감이 개선됨과 더불어 전분이 호화되어 섭취가능하도록 변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시간 범위내에서는 상기 타피오카 펄의 전분이 정상적으로 호화될 수 있지만, 상기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층에 존재하는 유효성분이 열분해되거나 전분의 호화가 불완전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호화를 위한 가열이 완료된 이후 상기 타피오카 펄을 세척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전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타피오카 펄의 가열시 표면에는 여분의 전분이 용출될 수 있으며, 이는 타피오카 펄의 보관시 타피오카 펄을 응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간은 호화가 완료된 이후 타피오카 펄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전분을 세척하는 것으로 타피오카 펄 사이의 응집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세척된 타피오카 펄은 내층용 추출물이 혼합된 시럽에 상기 타피오카 펄을 침지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럽이 상기 타피오카 펄의 외부에 부착되며, 일부 내층용 추출물 및 시럽이 상기 타피오카 펄의 표면에 흡수되어 상기 타피오카 펄의 맛과 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내층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시럽은 물 100중량부 대비 80~120중량부의 설탕 및 20~50중량부의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이 완료된 시럽원료를 9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시럽원료의 부피가 1/4~3/4로 줄어들면 가열을 중단하여 내층용 추출물이 포함된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시럽은 설탕과 물을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설탕과 물에 추가적으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을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타피오카 펄의 맛과 향을 더욱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시럽은 물 100중량부 대비 80~120중량부의 설탕 및 20~50중량부의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원료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는 정상적인 시럽이 제조될 수 있지만,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내층의 풍미가 약해지거나 가열이후 액상의 시럽이 아닌 고체사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율로 설탕, 물 및 내층용 추출물을 포함한 다음 이를 가열하여 시럽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은 혼합이 완료된 시럽원료를 9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거열온도가 980℃미만인 경우 혼합이 완전하지 않아 시럽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120℃를 초과하는 경우 설탕이 탄화되어 쓴맛이 나거나 색상이 변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시에는 상기 시럽원료를 천천히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혼합의 경우 일정한 방향으로만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무작위적인 방향으로 혼합하거나 혼합방향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설탕이 결정화되어 시럽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럽원료는 부피가 1/4~3/4로 줄어들때까지 가열될 수 있다. 이‹š 상기 부피가 1/4미만으로 줄어드는 경우 상기 시럽이 탄화되거나 결정이 석출될 수 있으며, 3/4를 초과하는 부피로 줄어드는 경우 시럽의 점성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성기와 같이 시럽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제조된 타피오카 펄을 상기 시럽에 침지하여 제품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럽은 유통과정에서 일부가 상기 타피오카 펄에 흡수되어 맛과 향을 강화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타피오카 펄의 보존재 및 타피오카 펄 상호간의 부착을 방지하는 충진재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 1
홍삼을 3cm의 크기로 절단한 다음, 230℃로 가열된 팽화기에 장입하여 팽화시켰다. 상기 팽화된 홍삼 10kg과 설탕 8kg을 혼합한 다음 추출 용기에 장입하고 10일간 보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이 완료된 이후 고형분을 압착하고 망에 걸러 분리하는 것으로 홍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리된 고형분은 70℃의 열풍을 공급하여 수분함량이 4중량%가 되도록 건조하였으며, 건조가 완료된 이후 회전식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것으로 홍삼 분말을 제조하였다.
타피오카 전분 10kg, 변성전분 8kg, 색소 0.7kg, 설탕 2kg, 천일염 2kg 및 잔탄검 1kg의 비율로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였다.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10kg에 상기 홍삼분말 1kg의 비율로 혼합하여 홍삼원료를 제조하였다.
회전식 실린더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장치에 상기 홍삼 원료 10kg을 투입한 다음, 정제수와 10:1의 무게비로 혼합된 홍삼추출물을 분무하며 상기 회전식실린더를 회전시켜 홍삼 원료의 크기가 1mm가 되도록 성형하였다.
상기 홍삼 원료가 1mm가 되도록 응집된 후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홍삼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타피오카펄 원료를 100g씩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10mm가 될때까지 성장시켰다.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10mm에 도달하면 상기 타피오카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회전식 실린더를 30분간 추가적으로 회전시켜 생성된 타피오카 펄의 크기와 모양을 안정화하였다.
물 1kg에 대비 1kg 설탕 및 200g의 홍삼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 원료를 제조한 다음, 100℃의 온도에서 1/2의 양이 되도록 가열하여 홍삼시럽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타피오카 펄 1kg에 상기 홍삼시럽 500g을 혼합하여 홍삼 타피오카 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홍삼 대신 건조된 망고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홍삼대신 건조된 딸기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홍삼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타피오카 펄 제조시 홍삼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타피오카 펄 제조시 홍삼 추출물 및 홍삼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타피오카 펄 원료 대신 홍삼원료를 사용하여 타피오카 펄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홍삼시럽의 제조시 홍삼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예
상기 완성된 타피오카 펄의 맛과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관능검사 경험이 있는 25~35세의 20명의 패널 요원을 구성하여 색,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10점 만점의 채점법에 의해 평균치를 구하여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이 때 10점은 가장 우수하고, 1점은 가장 열악한 품질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모든 통계 분석은 SAS(Statistics Analytical System, USA, 1996) 패키지 프로그램(package program)의 ANOVA과정으로 통계처리를 실시하였으며, 던컨의 다중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처리구간의 유의성(p<0.05)을 검정하였다.
식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 1 9.59 9.14 9.58 9.34 9.31
실시예 2 9.61 9.54 9.46 9.54 9.55
실시예 3 9.65 9.15 9.52 9.16 9.42
실시예 4 6.81 8.13 8.44 9.12 7.95
실시예 5 5.49 8.29 8.16 9.22 7.14
실시예 6 4.19 7.98 7.16 9.10 7.08
실시예 7 9.11 8.56 8.15 7.54 7.66
실시예 8 6.34 5.48 8.84 8.45 7.68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및 3의 경우 높은 기호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카피오카펄 제조시 홍삼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4 및 홍삼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5, 홍삼추출물과 홍삼분말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6의 경우 그 맛과 향, 색에서 실시예 1보다 낮은 점수를 받아 기호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홍삼 분말만을 이용하여 타피오카 펄을 제조하는 경우(실시예 7) 식감이 감소하여 전체적인 기호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시럽 제조시 홈삼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은 실시예 7의 경우에도 낮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5)

  1.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내층용 추출물 제조시 발생하는 고형분을 이용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및 상기 홍삼원료를 균일한 크기로 분쇄하는 단계;
    회전성형기 내에 상기 분쇄된 내층 원료를 투입한 다음, 회전성형기를 회전시키면서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투입하여 내층 원료를 응집시키는 단계;
    응집된 상기 내층 원료의 크기가 0.1~2mm에 도달하면 상기 정제수와 혼합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의 공급을 중단한 다음,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를 투입하면서 상기 회전성형기를 회전시켜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성장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가 9~10mm에 도달하면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의 공급을 중단하고 상기 회전성형기를 20~30분동안 회전시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피오카 전분, 변성전분, 색소, 설탕, 천일염 및 증점제를 혼합하여 타피오카 펄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타피오카 전분 100중량부 대비, 변성전분 50~100중량부, 색소 0.5~1중량부, 설탕 10~30중량부, 천일염 1~5중량부 및 증점제 5~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에 상기 첨가용 분말을 혼합하여 내층 원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타피오카 펄 원료 100중량부 대비 첨가용 분말 5~20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피오카 펄의 크기를 균일하게 성형하는 단계 이후,
    상기 성장이 완료된 타피오카 펄을 90~105℃로 가열된 물에 투입한 다음, 40~60분간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이 완료된 이후 타피오카 펄을 세척하여 표면에 존재하는 여분의 전분을 제거한 다음,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혼합된 시럽에 상기 타피오카 펄을 침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내층용 추출물이 포함된 시럽은,
    물 100중량부 대비 80~120중량부의 설탕 및 20~50중량부의 내층용 추출물을 혼합하여 시럽원료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이 완료된 시럽원료를 90~120℃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및
    상기 시럽원료의 부피가 1/4~3/4로 줄어들면 가열을 중단하여 내층용 추출물이 포함된 시럽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내층용 원료를 1~5cm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내층용 원료를 수분함량이 5중량% 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내층용 원료를 팽화기를 이용하여 200~250℃의 온도에서 팽화시키는 단계;
    상기 팽화된 내층용 원료 100중량부 대비 50~120중량부의 설탕과 혼합한 다음 추출 용기에 장입하고 5~20일간 보관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효성분의 추출이 완료된 이후 고형분을 제거하여 추출물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내층용 원료는 홍삼, 딸기, 포도, 귤, 오랜지, 사과, 망고, 수박, 레몬, 자두, 옥수수, 토마토 및 멜론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분리된 고형분을 50~80℃의 온도에서 수분함량이 5중량%미만이 되도록 건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건조된 고형분을 분쇄하여 첨가용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는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KR1020210098193A 2021-07-26 2021-07-26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KR20230016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93A KR20230016776A (ko) 2021-07-26 2021-07-26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193A KR20230016776A (ko) 2021-07-26 2021-07-26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776A true KR20230016776A (ko) 2023-02-03

Family

ID=8522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193A KR20230016776A (ko) 2021-07-26 2021-07-26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1677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42B1 (ko) * 2023-04-20 2024-02-05 최한나 기호도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흑당버블 밀크티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093B1 (ko) 2013-05-09 2016-11-14 퐁 첸 프로즌 푸드 컴퍼니 리미티드 냉동 인스턴트 타피오카 펄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00318B1 (ko) 2014-10-27 2017-02-13 주식회사 빙그레 코코넛밀크와 타피오카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093B1 (ko) 2013-05-09 2016-11-14 퐁 첸 프로즌 푸드 컴퍼니 리미티드 냉동 인스턴트 타피오카 펄 및 이것을 제조하는 방법
KR101700318B1 (ko) 2014-10-27 2017-02-13 주식회사 빙그레 코코넛밀크와 타피오카펄을 주성분으로 하는 아이스크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342B1 (ko) * 2023-04-20 2024-02-05 최한나 기호도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흑당버블 밀크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audhary et al. Pineapple (Ananas cosmosus) product processing: A review
CN101171974B (zh) 一种多纤维魔芋八宝粥
KR101949141B1 (ko) 영양성분이 강화된 시리얼 바
KR101038559B1 (ko) 과일 및 야채분말을 함유한 시리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U2016278808A1 (en) Dry product consisting of fruit and/or vegetabl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2050666B1 (ko) 흰목이 버섯 알갱이를 함유하는 건강 음료 제조방법
CN103393187A (zh) 一种金桔果汁的加工方法
CN105747167A (zh) 一种果蔬脆性食品的创新制作方法
US3006773A (en) Fruit produc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101585188B1 (ko) 홍시를 함유한 곶감 떡의 제조방법
KR20230016776A (ko) 다층구조를 가지는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CN103734619A (zh) 咸鲜菇香米果及其制备方法
KR102391278B1 (ko) 홍삼 타피오카 펄 제조방법
CN101461552B (zh) 洋参花生奶制品的制作方法
KR101520291B1 (ko) 매실 정과 제조방법
CN103750284A (zh) 香甜菇香米果及其制备方法
CN109042883B (zh) 一种果蔬酸奶棒加工方法及果蔬酸奶棒
KR101932589B1 (ko) 슬라이스 과일 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슬라이스 과일 잼
US20090104319A1 (en) Fruit Product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the Fruit Product
KR20080050881A (ko) 유자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8108B1 (ko) 보리감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보리감주
KR102106681B1 (ko) 파프리카 김 스낵의 제조방법
CN102907547B (zh) 一种蜜柚软糖及其制作方法
KR101907680B1 (ko) 생대추를 이용한 대추과자 제조방법 및 그 물품
KR20210067060A (ko) 홍시생강 퓨레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홍시생강 퓨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