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135B1 -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135B1
KR101813135B1 KR1020160025649A KR20160025649A KR101813135B1 KR 101813135 B1 KR101813135 B1 KR 101813135B1 KR 1020160025649 A KR1020160025649 A KR 1020160025649A KR 20160025649 A KR20160025649 A KR 20160025649A KR 101813135 B1 KR101813135 B1 KR 101813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weight
parts
royal jell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196A (ko
Inventor
이부활
Original Assignee
이부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부활 filed Critical 이부활
Priority to KR102016002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1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1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2Cereal germ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1/00Marmalades, jams, jellies or the like; Products from apiculture;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1/20Products from apiculture, e.g. royal jelly or pollen; Substitutes therefor
    • A23L21/25Honey; Honey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5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0Vitamins
    • A23V2250/708Vitamin 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 로얄젤리 분말과, 영양강화 쌀눈분말을 제조하여 로얄젤리함유 쌀눈과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은, 선별한 쌀눈에 쌀눈 중량의 1~2배의 효소분해마늘액을 쌀눈이 완전히 잠기도록 첨가하여 5~10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효소분해마늘액에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15~30%가 되도록 1차 건조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거친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의 영양강화액을 분무하여 1~3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코팅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영양강화액으로 코팅된 쌀눈을 100~110℃에서 10~30분간 증숙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5~10%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쌀눈을 100 ~ 200메쉬로 분쇄하는 6단계; 상기 분쇄된 영양강화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로얄제리분말 10~50중량부, 유당 10~35중량부, 꿀분말 10~35중량부, 비타민C분말 1~7중량부 및 히얄우론산분말 0.1~4중량부를 스피드믹서 또는 U자형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7단계; 및 상기 7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99%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을 통해 로얄제리와 섬유질과 각종 영양물질이 풍부한 쌀눈을 이용하여 쌀눈의 이취를 없애고 맛을 좋게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면서 섭취하기 편한 로얄제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high nutrition food composition containg rice embryo and royal jelly}
본 발명은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 로얄젤리 분말과, 영양강화 쌀눈분말을 제조하여 로얄젤리함유 쌀눈과립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쌀의 유용한 영양성분은 쌀눈에 66% 집중되어 있고, 미강에 29%, 백미에 5%가 분포되어 있으며, 쌀의 영양분이 집중되어 있는 쌀눈은 백미로 도정될 때 대부분 제거되는데 이러한 쌀눈(배아)에는 비타민 B1, 식이섬유가 풍부하게 함유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옥타코사놀, 알파토코페롤, 감마오리자놀, 가바(GAVA)식이섬유, 리논레신, 베타시스테롤, 비타민, 미네랄, 칼슘 등 영양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고, 특히, 가바성분과 비타민 B1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지능향상과 혈당치 상승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예방해 주는 등 현대인의 건강식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쌀눈에 다량함유된 가바(GABA)성분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신경을 안정시켜 불안감을 해소하고 뇌에 산소 공급량을 증가시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바성분은 쌀눈을 포함한 현미를 물에 불려 호화시킬 경우 더욱 활성화되고 그 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쌀눈은 맛이 쌀겨와 같은 이취를 풍기며 유지성분이 많아 산패의 우려도 높아 식품으로 활용도가 떨어져 일반 대중이 널리 섭취할 수 있는 건강 식품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6-0021431호 “쌀눈에 홍삼액기스를 코팅하는방법”이 공개되었는데, 쌀눈에 홍삼액기스를 코팅하여 쌀눈과 홍삼액기스를 섭취하도록 하는데 기술의 특징이 있으나 맛과 영양이 단순하고 기호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로얄제리는 꿀벌 중에 일벌들이 유충들을 먹이기 위해 분비하는 물질로 여왕벌의 먹이로 알려져 있다. 로얄제리를 먹고자란 여왕벌은 보통 일벌들보타 약 20배 이상 장수하고 살아가면서 약 120만개의 알을 낳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로얄제라는 인체에 매우 유익한 건강식픔으로 애용되고 있다. 이러한 로얄제리는 비타민 B1, 비타민 B2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간의 활동을 도와주고 자율신경을 원활하게 하며, 항바이러스 단백질의 일종인 인터페론의 생성을 활성화 시켜 간염 치료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로얄제리에는 리파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몸속 지방을 분해하고 지방이 흡수되는 것을 느리게 함으로써 혈관에 각종 지방성 물질들이 쌓이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므로 혈관질환 예방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로열젤리는 생체 저항력 강화 및 성장촉진 작용, 항암 작용, 항균 작용, 내분비, 순환계통, 조혈기관 등에 영향을 준다. 또한 로열젤리는 노약자의 건강 유지, 고령자의 식욕 부진, 신경증 환자에 효과가 있으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때문에 동맥경화 예방에도 좋다. 신경장애 특히 우울증 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수술 후 회복기 환자에게도 좋다. 로열젤리에는 타액선 호르몬인 파로틴(parotin)과 유사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로열젤리에는 양질의 단백질과 지방산,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 40여 종의 생리활성 물질이 들어 있고, 항암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아직 밝혀지지 않은 R물질(R-factor)이라고 부르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로얄제리는 동물성이어서 쉽게 상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대로 섭취하기에는 맛과 향에 있어 기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점성물질이어서 달라붙는 성질이 있어 보관 및 유통이나 시식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 출원인은 액상의 로얄 젤리를 과립형으로 제조하는 로얄제리과립 제조 방법을 발명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406486로 특허받고, 로얄제리과립을 스틱형 포장에 충진한 제품을 성공적으로 시판해오고 있는데, 이러한 로얄젤리와 도정과정에서 버려지는 영양이 풍부한 쌀눈을 이용하여 보다 쌀눈의 이취를 없애고 로얄제리의 맛과 향에 소비자들의 거부감을 없애고 좀더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기호도가 높은 새로운 식품을 개발하고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에서는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로얄젤리와 섬유질과 각종 영양물질이 풍부한 쌀눈에 대한 이취와 맛을 좋게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면서 섭취하기 편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은, 선별한 쌀눈에 쌀눈 중량의 1~2배의 효소분해마늘액을 쌀눈이 완전히 잠기도록 첨가하여 5~10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효소분해마늘액에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15~30%가 되도록 1차 건조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거친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의 영양강화액을 분무하여 1~3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코팅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영양강화액으로 코팅된 쌀눈을 100~110℃에서 10~30분간 증숙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5~10%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쌀눈을 100 ~ 200메쉬로 분쇄하는 6단계; 상기 분쇄된 영양강화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로얄제리분말 10~50중량부, 유당 10~35중량부, 꿀분말 10~35중량부, 비타민C분말 1~7중량부 및 히얄우론산분말 0.1~4중량부를 스피드믹서 또는 U자형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7단계; 및 상기 7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99%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분해마늘액은 누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30배의 중량부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이를 여과하여 누룩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제조된 누룩물에 누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120~300메쉬로 마쇄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수득된 누룩물과 마늘의 마쇄혼합물을 실온에서 3~5시간 숙성시키는 c단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은 생열매 또는 생잎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3배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얄제리와 섬유질과 각종 영양물질이 풍부한 쌀눈을 이용하여 쌀눈의 이취를 없애고 맛을 좋게하여 영양적으로 우수하면서 섭취하기 편한 로얄제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쌀눈 식품의 제조를 통해, 버려지는 쌀눈을 활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공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의 로얄제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은, 선별한 쌀눈에 쌀눈 중량의 1~2배의 효소분해마늘액을 쌀눈이 완전히 잠기도록 첨가하여 5~10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효소분해마늘액에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15~30%가 되도록 1차 건조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거친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의 영양강화액을 분무하여 1~3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코팅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영양강화액으로 코팅된 쌀눈을 100~110℃에서 10~30분간 증숙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5~10%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쌀눈을 100 ~ 200메쉬로 분쇄하는 6단계; 상기 분쇄된 영양강화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로얄제리분말 10~50중량부, 유당 10~35중량부, 꿀분말 10~35중량부, 비타민C분말 1~7중량부, 히알루론산분말 0.1~4중량부를 스피드믹서 또는 U자형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7단계; 및 상기 7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99%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분해마늘액은 누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30배의 중량부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이를 여과하여 누룩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제조된 누룩물에 누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120~300메쉬로 마쇄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수득된 누룩물과 마늘의 마쇄혼합물을 실온에서 3~5시간 숙성시키는 c단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은 생열매 또는 생잎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3배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효소분해마늘액은 마늘에 함유된 알리신이 비타민 B1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을 생성함으로써 쌀눈에 다량함유된 비타민 B1 성분의 인체 내의 흡수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효소분해마늘액에 포함된 누룩물은 쌀눈과 마늘에 포함된 탄수화물을 당화시킴으로써 소화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당화 과정에서 마늘의 특유한 강한 냄새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단맛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효소분해마늘액은 쌀눈의 이취를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4단계의 증숙하는 과정에서 가열에 의해 마늘 특유의 강한 냄새가 변하여 단맛과 구수한 감칠맛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효소분해마늘액은 누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20~30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마늘의 독특한 냄새가 너무 강해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쌀눈의 이취 제거 및 구수한 맛이 나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은 생열매 또는 생잎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3배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중 두 가지 이상을 혼합하는 경우 각각 1~3배의 물에 희석된 추출물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가 되도록 분무하여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양강화액은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가 되도록 분무하여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영양강화액에 포함된 추출물 특유의 풍미가 강해져 바람직하지 않으며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영양강화기능이 떨어져 바람직하지 않다.
꾸지뽕은 꾸지뽕나무의 열매인데 취과는 둥글며 지름 2.5㎝로 9~10월에 적색으로 성숙하며 수과는 길이 5㎜정도이고 흑색이다. 과육은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핀다. 꾸지뽕은 플라보노이드계인 모린, 루틴, 모르찐을 함유하여 항암 효과에 탁월하고 아스파라긴산, 글루타민산, 리보플라빈 등의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비타민 B1, 비타민 B2를 함유해 노화 방지, 신경 안정, 장운동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C를 함유해 피로 회복과 동맥 경화에 좋고 모세 혈관을 강하게 해 주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모링가는 북부인도와 아프리카등 아열대 지방에서 자라는 식물로서 잎과 열매를 포함하여 나무 전체를 먹을 수 있다. 모링가는 생명의 나무, 기적의 나무, 신의 축복 등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사막에서도 잘자라며, 더러운물에 모링가를 담궈두면 깨끗한 물로 바꿔주는 자정작용이 있어 유엔과 세계보건기구에서 모링가나무를 심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모링가에는 46가지 항염증, 항산화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92가지 비타민과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는데 특히 칼슘은 우유의 4배, 비타민은 오렌지의 7배, 철분은 시금치의 25배 이상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또한 사람에게 필요한 5대 필수영양소 및 필수아미노산 9종, 오메가 3지방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링가의 효능은 비타민과 미네랄에 의해 신진대사가 활발해지며, 천연인슐린이 함유되어 있어 혈당을 떨어뜨리므로 당뇨병에 효과적이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고, 면역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구기자는 동의보감에서 '성질은 차고[寒](평(平)하다고도 한다), 맛은 쓰며[苦](달다[甘]고도 한다) 독이 없다. 내상으로 몹시 피로하고 숨쉬기도 힘든 것을 보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양기를 세게 하며 5로 7상을 낫게 한다. 정기를 보하며 얼굴빛을 젊어지게 하고 흰머리를 검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오래 살 수 있게 한다.' 라고 하였다. 또한 중국의 의서 본초강목에서는 ‘한 노인이 구기자를 먹었더니 나이가 백세가 넘도록 주행이 나는 듯 빠르며, 빠진 이가 다시 돋아나고 양사 즉 성생활까지 왕성했다’는 흥미로운 기록이 남아 있다. 구기자는 간기능이 허약하거나, 간세포 내의 지방 침착을 억제하여 간 세포의 신생을 촉진한다고 하며, 지방간, 간염 등과 같은 질환 등으로 늘 피곤하고 성욕이 일어나지 않을 때, 노화로 인해 정기가 쇠한 경우 등에 효능이 뛰어나다고 한다. 구기자에 들어 있는 베타인과 루틴이라는 성분은 당뇨병을 예방하며, 혈당을 강하시켜 준다고 한다. 베타인의 주요 기능으로는 항지간작용과 혈압강하, 항혈당작용, 시력회복, 해독작용, 세포복제 기능 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췌장의 랑게르한스섬을 자극하여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알코올로 인해 손상된 지방간을 치료하는 항지방간 작용 외에도 카르티닌을 생성하여 신장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은 쌀눈의 비타민 B 성분을 포함한 영양성분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영양강화액으로 코팅된 쌀눈은 증숙과정을 통해 호화되어 영양소가 소화되기 쉬운 상태로 변화하게 되며, 이 과정을 통해 미생물에 의한 변패 및 지방성분의 산패를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로얄제리분말은 -35℃ ~ -45℃에서 10-1 ~ 10-3 torr의 진공상태에서 동결건조된 로얄제리를 150~300메쉬의 분말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당과 꿀분말은 쌀눈과 로얄제리분말에 고소하고 달콤한 맛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며, 비타민 C는 영양보충 및 세균번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히알루론산분말은 과립을 코팅하듯이 감싸 저장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 후 포장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포장 공정은 스틱 포장기를 사용하여 스틱형상의 포장제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효소분해마늘액 제조>
상기 누룩 200g에 대하여 3ℓ의 물을 붓고 잘 섞어준 후, 면보에 걸러 누룩물 수득한 후, 상기 수득한 누룩물 1ℓ에 마늘 200g을 첨가하여 200메쉬로 곱게 마쇄한 후, 실온에서 5시간 숙성시켜 효소분해마늘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선별한 쌀눈 1kg에 1ℓ의 200g의 마늘이 포함된 효소분해마늘액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효소분해마늘액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꾸지뽕열매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선별한 쌀눈 1kg에 1ℓ의 200g의 마늘이 포함된 효소분해마늘액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효소분해마늘액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모링가잎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선별한 쌀눈 1kg에 1ℓ의 200g의 마늘이 포함된 효소분해마늘액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효소분해마늘액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선별한 쌀눈 1kg에 1ℓ의 200g의 마늘이 포함된 효소분해마늘액을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효소분해마늘액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2:1의 비율로 희석된 동량의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이 혼합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선별한 쌀눈 1kg에 물 1ℓ를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꾸지뽕열매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선별한 쌀눈 1kg에 물 1ℓ를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모링가잎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선별한 쌀눈 1kg에 물 1ℓ를 첨가하여 8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한 후, 상기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25%가 되도록 1차 건조하였다. 상기 1차 건조과장을 거친 쌀눈 1kg에 물과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의 비율이 2:1로 희석된 영양강화액 40g을 분무하여 2시간 실온에 방치하여 코팅한 후, 코팅된 쌀눈을 100~110℃의 온도에서 20분간 증숙하고, 상기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8%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 쌀눈은 150메쉬로 분쇄하고 제조된 영양강화쌀눈 1kg에 로얄제리분말 200g, 유당분말 150g, 꿀분말 150g, 비타민C분말 30g, 히얄우론산분말 15g을 U자형 혼합기에서 30분간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99% 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여 로얄제리가 포함된 쌀눈과립식품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 대하여 20대~60대의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맛, 색, 냄새,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관능테스트를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관능테스트(5점: 매우 좋다, 4점: 좋다, 3점: 보통, 2점: 좋지 않다, 1점: 매우 좋지않다)
구분 냄새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3.8 4.2 4.1 4.0
실시예2 3.7 3.9 4.0 3.8
실시예3 3.7 4.3 4.1 4.0
실시예4 3.7 3.4 3.9 3.8
비교예1 2.8 4.0 3.5 2.7
비교예2 2.6 3.3 3.1 2.7
비교예3 2.8 3.7 3.2 2.8
관능테스트 결과, 전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로얄제리를 포함한 쌀눈과립식품이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맛, 색, 냄새 및 전체적인 기호도 면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또한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을 각각 따로 코팅한 실시예 1 내지 3과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을 혼합한 영양강화액을 코팅한 실시예 4에 대해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로얄제리를 포함한 쌀눈과립식품은 쌀눈의 이취와 로얄제리의 거북한 맛을 없앰으로써 기호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영양적으로 우수하며 섭취가 간편하여 일반대중에게 널리 영양보충식품으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7)

  1. 선별한 쌀눈에 쌀눈 중량의 1~2배의 효소분해마늘액을 쌀눈이 완전히 잠기도록 첨가하여 5~10시간 동안 실온에서 침지하는 1단계;
    상기 1단계의 효소분해마늘액에 침지된 쌀눈을 수분함량 15~30%가 되도록 1차 건조는 2단계;
    상기 2단계를 거친 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4~15중량부의 영양강화액을 분무하여 1~3시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코팅하는 3단계;
    상기 3단계의 영양강화액으로 코팅된 쌀눈을 100~110℃에서 10~30분간 증숙하는 4단계;
    상기 4단계의 증숙된 쌀눈을 수분함량 5~10%로 2차 건조하여 영양강화쌀눈을 제조하는 5단계;
    상기 제조된 영양강화쌀눈을 100 ~ 200메쉬로 분쇄하는 6단계;
    상기 분쇄된 영양강화쌀눈 100중량부에 대하여 로얄제리분말 10~50중량부, 유당 10~35중량부, 꿀분말 10~35중량부, 비타민C분말 1~7중량부 및 히얄우론산분말 0.1~4중량부를 스피드믹서 또는 U자형 혼합기를 이용하여 혼합하는 7단계; 및
    상기 7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99%에탄올을 분무하여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효소분해마늘액은 누룩 100중량부에 대하여 15~30배의 중량부에 해당하는 물을 첨가하여 잘 섞어준 후, 이를 여과하여 누룩물을 제조하는 a단계;
    상기 제조된 누룩물에 누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마늘 20~30중량부를 혼합하여 120~300메쉬로 마쇄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에서 수득된 누룩물과 마늘의 마쇄혼합물을 실온에서 3~5시간 숙성시키는 c단계의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영양강화액은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꾸지뽕열매추출물, 모링가잎추출물 및 구기자생열매추출물은 생열매 또는 생잎 착즙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1~3배의 물을 첨가하여 희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로얄제리분말은 -35℃ ~ -45℃에서 10-1 ~ 10-3 torr의 진공상태에서 동결건조된 로얄제리를 150~300메쉬의 분말로 분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화하는 8단계의 공정 후 포장 공정을 더 포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한 포장공정은, 스틱 포장기를 사용하여 스틱형상의 포장제품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KR1020160025649A 2016-03-03 2016-03-03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KR101813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49A KR101813135B1 (ko) 2016-03-03 2016-03-03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5649A KR101813135B1 (ko) 2016-03-03 2016-03-03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96A KR20170103196A (ko) 2017-09-13
KR101813135B1 true KR101813135B1 (ko) 2017-12-28

Family

ID=5996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49A KR101813135B1 (ko) 2016-03-03 2016-03-03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13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196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0110B1 (ko) 스콘 및 그 제조방법
KR100871568B1 (ko) 식물성 건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606113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99113B1 (ko) 양파 자몽 음료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음료
KR20210090889A (ko) 간장게장을 만들기 위한 간장소스
KR102410710B1 (ko) 간장 찜닭 제조방법
KR101813135B1 (ko) 로얄젤리를 포함하는 쌀눈과립식품의 제조방법
KR101897029B1 (ko) 영양강화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101607441B1 (ko) 흑마늘 및 김가루를 이용한 고구마 머핀의 제조방법
KR20190006650A (ko) 양념 게장용 소스의 제조방법
KR20060090140A (ko) 과자모형의 청국장 제조방법
KR101491686B1 (ko) 기호성을 향상시킨 양파 혼합음료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양파 혼합음료
KR20170103199A (ko) 로얄젤리와 영양성분이 강화된 쌀눈식품의 제조방법
KR20170107176A (ko) 백하수오를 이용한 건강 기정떡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9427A (ko) 강황, 미강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의 제조방법
KR101813788B1 (ko) 순한맛을 내는 생강레몬액 제조방법
KR101644617B1 (ko) 육류용 포도 소스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소스 조성물
KR101662147B1 (ko)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KR102651530B1 (ko) 헴프씨드케이크를 이용한 헴프스테이크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헴프스테이크
KR102525203B1 (ko) 표고버섯과 능이버섯을 이용한 뻥튀기 쌀의 제조방법
KR102548063B1 (ko) 철갑상어 분말을 함유하는 항산화 기능성 조성물 제조방법
KR102147883B1 (ko) 일상의 식생활을 통해 아연 및 셀레늄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는 아연 및 셀레늄이 융합된 기능성 쌈장의 제조방법
KR102300693B1 (ko) 마늘빵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늘빵
KR102256307B1 (ko) 감 봉봉초콜릿의 제조방법
KR102347341B1 (ko) 황칠 성분이 포함된 어묵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