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668B1 -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668B1
KR101812668B1 KR1020157016941A KR20157016941A KR101812668B1 KR 101812668 B1 KR101812668 B1 KR 101812668B1 KR 1020157016941 A KR1020157016941 A KR 1020157016941A KR 20157016941 A KR20157016941 A KR 20157016941A KR 101812668 B1 KR101812668 B1 KR 10181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tor
target state
smart home
predetermined range
acqu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6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293A (ko
Inventor
펑페이 장
융펑 시아
이동 왕
티에준 리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60078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0Robotics, robotics mapping to robotics vision
    • G05B2219/40202Human robot coexist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5Nc applications
    • G05B2219/45098Vacuum cleaning rob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목표 상태를 획득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상황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METHO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SMART HOUSING DEVICE}
본 발명은 통신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마트 홈(smart home)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출원번호가 CN 2014107136322이고, 출원일자가 2014년 11월 28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반하여 제출하였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바,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 발명에 원용된다.
과학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이 보편화됨에 따라,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편리한 여러가지 스마트 홈 기기가 출시되는 바, 청소로봇을 예로 들면, 이는 인공 스마트 방식을 통하여 특정된 응용범위 내, 예를 들어, 가정범위 내 또는 사무범위 내 등에서 자유롭게 이동됨으로써, 자동적으로 청소를 끝낼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에서, 특정된 응용범위 내의 방문객이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시 청소로봇이 청소를 진행하면, 공간 내에서 방문객이 방해가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좋지 않게 되고, 작업 과정 중에서의 이동 및 소음때문에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준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서의 스마트 홈 기기의 작업 효율이 좋지 않아 방문객에게 쉽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상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상태인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set-up)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access)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상에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전달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member)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멤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멤버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상기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 또는 상기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단계;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범위를 상기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방문객 정보를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연결 구축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리스트 획득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기 위한 ID개수 비교 모듈;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1목표 상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기 위한 방문객수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상에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촬영장치 작동 서브 모듈;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제1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1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전달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기 위한 방문객수 비교 모듈;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2목표 상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멤버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은,
상기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하기 위한 호스트 기기 ID 취득 서브 모듈;
상기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은,
상기 멤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주인 이미지 취득 서브 모듈;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멤버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은,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목표 상태 획득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은,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 상기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 또는 상기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제1지시 명령 수신 모듈;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제2지시 명령 수신 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수행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한 후,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수행 서브 유닛;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한 후,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수행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수행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정보 취득 모듈;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범위를 상기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하기 위한 활동영역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수행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위치추적 정보 취득 모듈;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활동경로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획득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기 위한 ID개수 비교 서브 유닛;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1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이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기 위한 방문객수 비교 서브 유닛;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제2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방문객 정보를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2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6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7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을 실현하는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8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과제 해결 수단은 하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목표 상태를 획득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상황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자체적으로 획득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기설정된 범위 내의 기타 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기타 기기가 결정한 목표 상태를 획득할 수도 있으므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기기의 분포와 네트워크 상황을 충분히 이용하고, 상이한 방식을 융통성 있게 응용하여 목표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에 라우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스마트 홈 기기는 라우터가 유지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의 기기 ID수의 변화 상황을 통하여, 방문객의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기기에 근거하여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라우터의 통상적인 기능이기에,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방문객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 변화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방문객의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고; 기설정된 범위 내의 여러가지 기기 상에 모두 촬영기능을 집적화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방문객 방문 상황을 획득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자체적으로 집적화된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스마트 촬영기기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모든 스마트 기기가 모두 라우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경우, 라우터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으므로, 방문객 방문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고, 상이한 스마트 네트워크 환경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해낼 수 있고, 멤버 정보 중의 주인 정보를 방문객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스마트 홈 기기가 작업 상태하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할 경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의 활동영역 또는 방문객의 활동경로에 근거하여, 맞춤형 청소 조작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작업 방식을 확장시켰고, 스마트 홈 기기의 작업 융통성을 진일보로 향상시켰다.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과 후술되는 구체적인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고 해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아래의 도면은 명세서의 일부분으로서 명세서 전체를 구성하며 본 발명에 맞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3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3B는 3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4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4B는 도4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5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5B는 도5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6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6B는 도6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다.
도7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C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D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E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F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G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H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I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J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8K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9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9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0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0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0C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3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3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일 구조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 이를 첨부되는 도면에 예시적으로 나타냈다. 하기에서 첨부되는 도면에 대해 설명할 경우,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 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 실시예에서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형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이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와 일치한 장치와 방법에 대한 예일 뿐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고,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한 단수형식의 용어 "일종”, "상기” 및 "당해”는 상하문에서 기타 함의를 명확하기 표시하지 않은 한 복수형식도 포함한다. 본문에서 사용한 용어 "및/또는”는 하나 이상의 관련된 열거 항목을 포함하는 어떠한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의미함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제1, 제2, 제3 등을 사용하여 여러가지 정보를 설명할 지라도, 이러한 정보는 이러한 용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용어는 단지 동일한 유형의 정보를 서로 구별시키기 위한 것인 바,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1정보를 제2정보라고 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2정보를 제1정보라고 할 수도 있다. 언어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여기서 사용되는 단어 "만약”은 "...때” 또는 "...경우” 또는 "결정에 응답”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은 스마트 홈 기기 중에 사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설정된 범위는 구체적으로 가정장소, 사무장소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스마트 라우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라우터라고 약칭하며,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다수의 스마트 홈 기기, 스마트 촬영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는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스마트 청소기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청소로봇이다.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작업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가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데 하기와 같은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응용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스마트 홈 기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고,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 후,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라우터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할 수 있는데,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스마트 홈 기기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한다.
또는,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고,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는 스마트 홈 기기가 자체적으로 집적화된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될 수 있으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설치된 스마트 촬영기기에 의해 촬영되어 스마트 홈 기기에 전송될 수도 있고,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가 라우터에 의해 스마트 홈 기기에 전달될 수도 있으며,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고,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며,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한다.
또는, 스마트 홈 기기는 먼저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해낼 수 있다. 여기서,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할 수 있고,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며; 멤버 정보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할 수 있고,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멤버 이미지로부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상기 멤버 정보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획득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멤버 정보가 멤버 이미지일 경우, 상기 멤버 이미지는 스마트 홈 기기가 자체적으로 집적화된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되거나,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에 의해 촬영되어 스마트 홈 기기에 전송될 수도 있거나, 또는 스마트 홈 기기에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멤버 이미지가 라우터에 의해 전달될 수도 있는 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두번째 방식은, 스마트 홈 기기는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는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포함되거나, 또는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포함된다.
또는, 스마트 홈 기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할 수도 있는데,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포함된다.
단계102에서,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일 경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무음 상태일 경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무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가 정지 상태일 경우, 스마트 홈 기기는 작업을 정지한다.
스마트 홈 기기가 스마트 청소기기인 경우를 예를 들면, 스마트 청소기기가 획득한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일 경우, 상기 스마트 청소기기는 하기와 같은 상이한 방식에 따라 상기 작업 상태와 대응되는 청소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 스마트 청소기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한 후,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진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방문객이 휴대한 스마트 폰을 예로 들면, 스마트 폰 상에 집적화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모듈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폰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한 범위를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하는 바, 예를 들어, 매 하나의 방문객의 위치 정보 중의 위치좌표를 원심으로 하고, 기설정된 길이값을 반경으로 하여 상기 방문객의 원형 활동범위를 결정하며, 모든 방문객의 원형 활동범위로 구성된 영역을 결정된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한다.
두번째 방식: 스마트 청소기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한 후,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위치좌표 집합 중에서 위치좌표의 선후 취득순서에 따라, 위치좌표를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선을 방문객의 활동경로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목표 상태를 획득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unconventional)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2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은 라우터 중에 사용되며,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설정된 범위는 구체적으로 가정장소, 사무장소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기 위한 스마트 라우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기존의 라우터 기능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독립적인 운영체제와 디스크를 더 포함하고 라우터라고 약칭하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할 수 있는 다수의 스마트 홈 기기, 스마트 촬영기기 등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는 구체적으로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스마트 청소기기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청소로봇이다.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은 유동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라우터에 의해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음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작업 효과를 향상시킨다. 여기서, 라우터가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하기와 같은 방식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응용할 수 있다.
첫번째 방식은,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것인 바,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두번째 방식은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인 바,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이다.
단계202에서,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한다.
단계201에서 라우터가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데 응용되는 상이한 방식에 대응되게, 본 단계에서 라우터는 하기와 같은 상응한 방식을 응용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의 첫번째 방식에 대응되게, 라우터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1에서의 두번째 방식에 대응되게, 라우터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할 수 있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할 수 있고,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설명하므로,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3에서,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스마트 홈 기기가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에서, 라우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한 후,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정보를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스마트 홈 기기가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방문객 정보는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포함하거나,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상기 실시예에서, 라우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가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한 후,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아래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와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고, 여기서 스마트 홈 기기를 스마트 청소기기로 가정한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3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에 자체적으로 촬영장치가 집적화되어 있기에, 스마트 청소기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통하여,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로부터 방문객수의 변화 상황을 인식해낼 수 있음으로써, 상기 변화 상황에 기반하여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 또는 무음 상태로 결정한다.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3B는 3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킨다.
단계302에서, 스마트 청소기기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청소기기가 촬영장치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대한 촬영을 제어할 경우, 스마트 청소기기의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상기 촬영장치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시간주기는 5분이고, 촬영을 진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촬영장치가 휴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다.
단계303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계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인식과정은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304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단계305를 수행하고; 아닐 경우, 단계306을 수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시간주기, 예를 들어, 현재 시간주기와 상기 현재 시간주기의 이전 시간주기에 있어서, 단계303에서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1방문객수라고 가정하고,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2방문객수라고 가정할 경우,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방문객수와 제1방문객수의 크기를 비교하여,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적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305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청소 조작을 진행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단계306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지 상태로 결정하고, 스마트 청소기기가 무음 상태로 진입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스마트 청소기기는 자체적으로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키고; 스마트 청소기기 자체의 촬영장치를 통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여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방문객 방문 상황을 획득함으로써,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4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라우터에 액세스한 후, 라우터와 WiFi(Wireless Fidelity, 무선 충실도)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라우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로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진입한 어떠한 기기라도 공중망에 액세스하려면, 모두 상기 라우터에 먼저 액세스해야 하므로, 라우터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을 통하여 공중망에 액세스하는 현재 기기 상황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구체적으로 현재 공중망에 액세스하는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바, 예를 들어, 상기 기기 ID는 구체적으로 기기의 MAC(Media Access Control, 매체 접근 제어)주소일 수 있다. 여기서, 라우터는 구축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할 수 있고,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로부터 ID개수의 변화 상황을 결정하며, 상기 변화 상황에 기반하여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한다.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4B는 도4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401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402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라우터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 공중망에 액세스하는 기기의 변화 상황에 근거하여, 라우터에서 실시간으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의 기기 ID를 유지하여, 스마트 청소기기는 실시간으로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할 필요가 없는 것이 아니라, 방문객이 방문하는 일반적인 변화 상황에 근거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라우터로부터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바, 예를 들어, 상기 시간주기는 5분이다.
단계403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단계404를 수행하고; 아닐 경우, 단계405를 수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시간주기, 예를 들어, 현재 시간주기와 상기 현재 시간주기의 이전 시간주기에 있어서, 스마트 청소기기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서 결정해낸 ID개수를 제1ID개수라고 가정하고,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서 결정해낸 ID개수를 제2ID개수라고 가정할 경우,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ID개수와 제1ID개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데,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많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2ID개수가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404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청소 조작을 진행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단계405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지 상태로 결정하고, 스마트 청소기기가 정지 상태에 진입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도4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의 다른 실시예에서, 도4B에 도시된 단계와 상이하게, 라우터에 의해 각각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서 제1ID개수를 결정해내고,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서 제2ID개수를 결정해낼 수도 있으며, 상기 제1ID개수와 제2ID개수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한 다음,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하여, 스마트 청소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스마트 청소기기는 라우터가 유지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통하여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기기에 근거하여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라우터의 통상적인 기능이기에,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방문객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5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5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시나리오에 대해 촬영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블루투스 연결 등이다.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로부터 방문객수의 변화 상황을 인식함으로써, 상기 변화 상황에 기반하여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5B는 도5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501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502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전기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하여, 스마트 청소기기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시간주기는 5분이다.
단계503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계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인식과정은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504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단계505를 수행하고; 아닐 경우 단계506을 수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시간주기, 예를 들어, 현재 시간주기와 상기 현재 시간주기의 이전 시간주기에 있어서, 단계503에서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1방문객수라고 가정하고,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2방문객수라고 가정할 경우, 스마트 청소기기는 제2방문객수와 제1방문객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데,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자 적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505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청소 조작을 진행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단계506에서,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지 상태로 결정하고, 스마트 청소기기가 정지 상태에 진입하며, 현재 단계를 종료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도5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5B에 도시된 흐름과 상이하게, 스마트 촬영기기가 계산 기능을 구비할 경우,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는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도 있고, 현재 시간주기의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의 제2방문객수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하여, 스마트 청소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스마트 청소기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촬영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통하여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는 응용 시나리오 모식도이다.
도6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에서, 라우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네트워크 액세스 기기로서, 스마트 청소기기와 스마트 촬영기기는 각각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할 수 있고, 라우터와 WiFi통신 연결을 구축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 촬영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시나리오에 대해 촬영을 진행하는 것을 통하여,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스마트 촬영기기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구축된 WiFi통신 연결을 통하여 라우터에 송신할 수 있으며, 라우터에 의해 방문객 방문 이미지로부터 방문객수의 변화 상황을 인식해낼 수 있고, 상기 변화 상황에 기반하여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하여, 스마트 청소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작업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된 것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한다.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6B는 도6A와 결부하여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흐름도이고, 하기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601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는 스마트 청소기기와 스마트 촬영기기와 각각 통신 연결을 구축한다.
단계602에서, 라우터는 구축된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한다.
단계603에서, 라우터는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한다.
본 실시예에서, 라우터는 계산 기능을 구비할 수 있는데, 이는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 있는 바, 구체적인 인식과정은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단계604에서, 라우터는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은 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단계605를 수행하고; 아닐 경우, 단계607을 수행한다.
서로 인접하는 두개의 시간주기, 예를 들어, 현재 시간주기와 상기 현재 시간주기의 이전 시간주기에 있어서, 라우터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1방문객수라고 가정하고,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방문객수를 제2방문객수라고 가정할 경우, 라우터는 제2방문객수와 제1방문객수의 크기를 비교할 수 있는데,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다 많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제2방문객수가 제1방문객수보자 적으면, 현재 시간주기에 이전 시간주기와 비교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단계605에서, 라우터는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작업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한다.
단계606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여, 현재 흐름을 종료한다.
단계607에서, 라우터는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지 상태로 결정하고, 정지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스마트 청소기기에 송신한다.
단계608에서, 스마트 청소기기는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정지 상태로 되어, 현재 흐름을 종료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응용도6A에 도시된 응용 시나리오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도6B에 도시된 흐름과 상이하게, 만약 스마트 촬영기기 자체가 계산 기능을 구비하면, 이는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 있고, 현재 시간주기의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의 제2방문객수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목표 상태를 라우터에 송신하거나; 또는, 만약 스마트 청소기기 자체가 계산 기능을 구비하면, 라우터는 스마트 청소기기에 직접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전달할 수도 있고, 스마트 청소기기 자체가 관련 기술에서의 임의의 이미지 인식 알고리즘을 응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에 대하여 인식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현재 시간주기의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의 제2방문객수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자체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바,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 라우터를 기설정된 범위 내의 스마트 기기에 대하여 통일적인 관리를 진행하고,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스마트 청소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실시예와 대응되게, 본 발명은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및 이에 응용되는 스마트 홈 기기 및 라우터의 실시예를 더 제공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7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710);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수행 유닛(720)을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목표 상태를 획득하여,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스마트 홈 기기는 방문객 방문 정보에 근거하여 상이한 조작을 융통성 있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특히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방문객이 비교적 많을 경우, 자동적으로 비통상적인 작업 상태에 진입함으로써, 이동 및 소음이 방문객에게 불편함을 가져다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에, 스마트 홈 기기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킨다.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7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획득 유닛(710)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711);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7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주동적으로 획득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기기의 분포와 네트워크 상황을 충분히 이용하여, 상이한 방식을 융통성 있게 응용하여 목표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도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711)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연결 구축 모듈(7111);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도록 구성된 리스트 획득 모듈(71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C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B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712)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ID개수 비교 모듈(7121);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목표 상태 결정 모듈(7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기설정된 범위 내에 라우터가 설치되어 있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라우터가 유지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의 기기 ID수의 변화 상황을 통하여, 방문객의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기기에 근거하여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유지하는 것은 라우터의 통상적인 기능이기에,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이용하여 편리하고 신속하게 방문객 방문 상황을 판정함으로써,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D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711)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7113);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수 인식 모듈(71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E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D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7113)은,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상에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촬영장치 작동 서브 모듈(71131);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71132)을 포함할 수 있다.
도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F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D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7113)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도록 구성된 제1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71133);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1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711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8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G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D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7113)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도록 구성된 제2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71135);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전달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2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71136)을 포함할 수 있다.
도8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H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B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712)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방문객수 비교 모듈(7123);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목표 상태 결정 모듈(71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자체적으로 집적화된 촬영기능을 이용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고, 스마트 촬영기기와의 직접적인 연결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모든 스마트 기기가 모두 라우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경우, 라우터로부터 전달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할 수도 있으므로, 방문객 방문 이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획득될 수 있고, 상이한 스마트 네트워크 환경을 만족시킬 수 있다.
도8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I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711)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멤버 정보 획득 모듈(7115);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7116)을 포함할 수 있다.
도8J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J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I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7116)은,
상기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호스트 기기 ID 취득 서브 모듈(71161);
상기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방문객 기기 리스트 획득 서브 모듈(71162)을 포함할 수 있다.
도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8K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8I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7116)은,
상기 멤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주인 이미지 취득 서브 모듈(71163);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멤버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얻도록 구성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711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해낼 수 있고, 멤버 정보 중의 주인 정보를 방문객 정보와 비교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목표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도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9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7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획득 유닛(710)은,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713);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목표 상태 획득 서브 유닛(7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9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9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713)은 하기 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편리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도9B에서는 제1지시 명령 수신 모듈(7131)과 제2지시 명령 수신 모듈(7132)인 두개의 모듈을 동시에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지시 명령 수신 모듈(7131)은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 상기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 또는 상기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지시 명령 수신 모듈(7132)은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기타 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기타 기기가 결정한 목표 상태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기기의 분포와 네트워크 상황을 충분히 이용하고, 상이한 방식을 융통성 있게 응용하여 목표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도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0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7 내지 도9 중의 어느 하나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획득 유닛(710)이 획득한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수행 유닛(720)은 하기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편리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도10A에서 하기와 같은 두개의 모듈을 동시에 도시한다.
제1수행 서브 유닛(721)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제2수행 서브 유닛(722)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가 작업 상태하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할 경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의 활동영역 또는 방문객의 활동경로에 근거하여, 맞춤형 청소 조작을 진행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의 작업 방식을 확장시켰고, 진일보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의 작업 융통성을 향상시켰다.
도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0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0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제1수행 서브 유닛(721)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위치결정 정보 취득 모듈(7211);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범위를 상기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활동영역 결정 모듈(7212)을 포함할 수 있다.
도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0C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0A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제2수행 서브 유닛(722)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위치추적 정보 취득 모듈(7221);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활동경로 결정 모듈(7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7 내지 도10 중의 어느 하나에 도시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의 실시예는 스마트 홈 기기 중에 응용될 수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1은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1110);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1120);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제1송신 유닛(1130)을 포함한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2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획득 유닛(1110)은 하기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설명해야 할 점은, 편리하게 예시하기 위하여, 도12에서는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1111)과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1112)인 두개의 유닛을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1111)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를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1112)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도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3A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결정 유닛(1120)은,
상기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이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ID개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ID개수 비교 서브 유닛(1121);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ID개수가 상기 제1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1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1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3B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결정 유닛(1120)은,
상기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이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방문객수 비교 서브 유닛(1123);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2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1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4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또 다른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블록도이고, 상기 실시예가 상기 도11내지 도13 중의 어느 하나에 도시된 실시예의 기초상에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방문객 정보를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하도록 구성된 제2송신 유닛(11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방문객 정보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11 내지 도14 중의 어느 하나에서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의 실시예는 라우터 중에 응용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중의 각 유닛의 기능과 작용의 구체적인 실현과정은 상기 방법 중의 대응되는 단계의 실현과정을 참조하면 되고, 여기서 더 설명하지 않도록 한다.
장치 실시예에 있어서, 이는 기본상 방법 실시예와 대응되므로, 관련 내용은 방법 실시예 부분의 설명을 참조하면 된다. 앞에서 설명한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여기서 분리부재로 설명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된 것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닛으로 표시되는 부재는 물리적 유닛이거나 또는 아닐 수도 있는 바, 즉, 한 곳에 위치될 수 있거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도 있다. 실제적인 수요에 근거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모듈을 선택하여 본 발명 수단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상황하에서, 이를 이해 및 실시할 수 있다.
이와 상응하게, 본 발명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를 더 제공한다.
이와 상응하게, 본 발명은,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라우터를 제어하는 장치를 더 제공한다.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15는 본 발명이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시한 스마트 홈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의 일 구조 모식도이다. 예를 들어, 장치(1500)는 라우터 또는 스마트 홈 기기로 제공될 수 있다. 도15를 참조하면, 장치(1500)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522)를 포함하고, 이는 진일보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1522)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532)로 대표되는 메모리 자원, 예를 들어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메모리(1532) 중에 저장되는 응용 프로그램은 매 하나가 한 그룹의 인스트럭션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프로세싱 어셈블리(1522)는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장치(1500)는, 장치(1500)의 전원관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전원 어셈블리(1526), 장치(1500)를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50), 및 하나의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치(1500)는 메모리(1532)에 저장된 운영 체제, 예를 들어, Windows ServerTM, Mac OS XTM, UnixTM, LinuxTM, FreeBSDTM 또는 유사한 것에 기반하여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명세서를 고려하여 여기서 공개한 발명을 실시한 후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다. 본원 발명은 본 발명의 모든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따르며 본 발명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에서의 공지된 상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기술적 사상은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밝혀질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한 정확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 수정과 변경을 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Claims (47)

  1. 스마트 홈(smart home)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상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상태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router)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access)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2. 스마트 홈(smart home)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목표 상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상태이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상에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는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것인 단계;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전달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member)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멤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하는 단계;
    얼굴인식 알고리즘(algorithm)을 통하여 상기 멤버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상기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 또는 상기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단계;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5. 삭제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범위를 상기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7. 삭제
  18.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19.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20. 삭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방문객 정보를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22.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연결 구축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리스트 획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기 위한 ID개수 비교 모듈;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1목표 상태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23.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수행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기 위한 방문객수 인식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은,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기 위한 방문객수 비교 모듈;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2목표 상태 결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의 방문객수를 인식하기 위한 방문객수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스마트 홈 기기 상에 집적화된 촬영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촬영장치 작동 서브 모듈;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이동할 경우, 상기 촬영장치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스마트 촬영기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기 위한 제1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로부터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제1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29.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모듈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되, 상기 라우터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된 범위 내의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통신 연결 구축 서브 모듈;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상기 라우터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전달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수신하기 위한 제2방문객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0. 삭제
  31.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정보 획득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멤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멤버 정보 획득 모듈;
    상기 멤버 정보로부터 방문객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은,
    상기 멤버 정보가 라우터에 의해 유지되는 멤버 기기 리스트일 경우, 미리 저장된 호스트 기기의 호스트 기기 ID를 취득하기 위한 호스트 기기 ID 취득 서브 모듈;
    상기 멤버 기기 리스트 중에서 상기 호스트 기기 ID를 삭제하여, 방문객 기기의 방문객 기기 ID로 구성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취득하기 위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방문객 정보 인식 모듈은,
    상기 멤버 정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에서 촬영된 멤버 이미지일 경우, 미리 저장된 주인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주인 이미지 취득 서브 모듈;
    얼굴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멤버 이미지로부터 상기 주인 이미지를 제거하여,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획득 서브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
    상기 상태 지시 명령으로부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기 위한 목표 상태 획득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명령 수신 서브 유닛은,
    라우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을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 상기 라우터가 방문객 기기 리스트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 또는 상기 라우터가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제1지시 명령 수신 모듈;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송신한 상태 지시 명령를 수신하되, 상기 상태 지시 명령 중에는 촬영된 방문객 방문 이미지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촬영기기가 결정한 상기 목표 상태가 포함되는 제2지시 명령 수신 모듈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6. 제22항, 제23항, 제26항 내지 제2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이 획득한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수행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1수행 서브 유닛;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2수행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행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결정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정보 취득 모듈;
    상기 방문객의 위치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범위를 상기 방문객의 활동영역으로 하기 위한 활동영역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행 서브 유닛은,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위치추적 정보 취득 모듈;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활동경로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39.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기 위한 ID개수 비교 서브 유닛;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기 위한 제1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40.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획득 유닛;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기 위한 결정 유닛;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제1송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획득 유닛은,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리스트 획득 서브 유닛;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취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이미지 획득 서브 유닛이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1방문객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방문 이미지 중에서 인식된 제2방문객수를 비교하기 위한 방문객수 비교 서브 유닛;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난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상기 제2방문객수가 상기 제1방문객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방문객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제2목표 상태 결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41. 삭제
  42. 삭제
  43. 제39항 또는 제40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방문객 정보를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한 제2송신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는 방문객 기기 리스트; 또는,
    스마트 촬영기기가 촬영한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이미지인 방문객 방문 이미지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44.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결정된 상태인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획득할 때,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할 때,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라우터(router)와 통신 연결을 구축하고, 상기 통신 연결에 기반하여,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상기 라우터로부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상기 라우터에 액세스(access)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때,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45.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하며;
    상기 목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지시 명령을 상기 스마트 홈 기기에 송신하여, 상기 스마트 홈 기기가 상기 상태 지시 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의 방문객 정보를 획득할 때,
    기설정된 시간주기로 방문객 기기 리스트를 획득하되, 상기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는 라우터에 액세스하는 방문객 기기의 기기 ID가 포함되고,
    상기 방문객 정보에 근거하여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결정할 때,
    현재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1 ID개수와, 이전 시간주기에 획득한 방문객 기기 리스트 중에 포함된 기기 ID의 제2 ID개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작업 상태로 결정하고, 상기 제2 ID개수가 상기 제1 ID개수보다 적을 경우, 상기 스마트 홈 기기의 목표 상태를 무음 상태 또는 정지 상태로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상태가 작업 상태이고, 상기 목표 상태에 대응되는 조작이 청소 조작일 경우,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영역을 취득하고, 상기 활동영역 내에서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상기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취득하고, 상기 활동경로에 따라 청소 조작을 수행하는 방식 중의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목표 상태와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하고,
    여기서, 상기 스마트 홈 기기는 기설정된 범위 내 방문객이 휴대한 기기에 대한 위치추적을 통하여,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방문객의 위치변화 정보가 바로 방문객이 일정한 시간 내에 상이한 위치에서 활동할 때 나타난 위치좌표의 집합이며, 상기 위치변화 정보에 근거하여 방문객의 활동경로를 결정하는 스마트 홈 기기 제어장치.
  46.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을 통하여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8항, 제18항, 제19항, 제2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되는 프로그램.
  47. 청구항 46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7016941A 2014-11-28 2015-04-29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1018126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10713632.2A CN104333498B (zh) 2014-11-28 2014-11-28 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装置
CN201410713632.2 2014-11-28
PCT/CN2015/077884 WO2016082459A1 (zh) 2014-11-28 2015-04-29 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293A KR20160078293A (ko) 2016-07-04
KR101812668B1 true KR101812668B1 (ko) 2018-01-30

Family

ID=5240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6941A KR101812668B1 (ko) 2014-11-28 2015-04-29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03135B2 (ko)
EP (1) EP3026509B1 (ko)
JP (1) JP6229075B2 (ko)
KR (1) KR101812668B1 (ko)
CN (1) CN104333498B (ko)
BR (1) BR112015020822B1 (ko)
MX (1) MX353438B (ko)
RU (1) RU2622154C2 (ko)
WO (1) WO2016082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33498B (zh) * 2014-11-28 2018-10-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装置
CN105357277A (zh) * 2015-10-16 2016-02-24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无线路由器的智能设备场景控制方法及系统
US9942763B2 (en) * 2015-11-19 2018-04-10 Beijing Nanbao Technology Co., Ltd. Method and apparatus of triggering applications in a wireless environment
CN105787452B (zh) * 2016-02-29 2019-05-2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散热处理方法及装置
CN105759623B (zh) * 2016-03-01 2018-10-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噪音控制方法及装置
US10360744B1 (en) 2016-11-17 2019-07-23 Alarm.Com Incorporated Verified access to a monitored property
CN107703768A (zh) * 2017-11-09 2018-02-16 厦门盈趣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检测系统及方法
CN111045343B (zh) * 2019-12-30 2023-12-26 杭州鸿雁电器有限公司 对场所进行场景设置的方法和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7579A1 (en) 2005-06-13 2007-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obot and a mobile robot control method
US20130206177A1 (en) 2012-02-09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in robotic cleaner
US20140207282A1 (en) * 2013-01-18 2014-07-24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96754B2 (en) * 2000-11-17 2002-12-17 Samsung Kwangju Electronics Co., Ltd. Mobile robot and course adjusting method thereof
US7346428B1 (en) * 2002-11-22 2008-03-18 Bissell Homecare, Inc. Robotic sweeper cleaner with dusting pad
JP4497346B2 (ja) * 2003-11-20 2010-07-0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装置、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
JP3832593B2 (ja) * 2004-03-25 2006-10-11 船井電機株式会社 自走式掃除機
JP2005344952A (ja) * 2004-05-31 2005-12-15 Sanyo Electric Co Ltd 屋内環境制御装置
KR101268432B1 (ko) * 2006-01-09 2013-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커뮤니케이터를 이용한 지능형 출입 인증 시스템 및방법
CN101786272A (zh) * 2010-01-05 2010-07-28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用于家庭智能监控服务的多感知机器人
JP2011158186A (ja) * 2010-02-01 2011-08-18 Nec Corp 機器管理システム、ユーザ端末および機器の制御方法
JP2011247435A (ja) * 2010-05-21 2011-12-08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空調システム
CN101898354B (zh) * 2010-08-25 2013-03-13 江阴中科今朝科技有限公司 智能家政服务机器人
CN102490172B (zh) * 2011-12-05 2014-09-24 东北林业大学 室内智能清洁机器人
US9477239B2 (en) * 2012-07-26 2016-10-25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VAC controller with wireless network based occupancy detection and control
US9542832B1 (en) * 2013-03-14 2017-01-10 Kuna Systems Corporation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US20150120598A1 (en) * 2012-09-21 2015-04-30 Google Inc. Tracking of a package delivery to a smart-home
US9960929B2 (en) * 2012-09-21 2018-05-01 Google Llc Environmental sensing with a doorbell at a smart-home
PL401996A1 (pl) * 2012-12-11 2014-06-23 Robotics Inventions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Układ kontroli kolizji robota z przeszkodą, robot wyposażony w taki układ oraz sposób kontroli kolizji robota z przeszkodą
CN104885381B (zh) * 2012-12-27 2017-12-19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信息通信方法
GB201301578D0 (en) * 2013-01-29 2013-03-13 Dyson Technology Ltd Mobile robot
US9179185B2 (en) * 2013-03-14 2015-11-03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a number of people in an area
US9573277B2 (en) * 2013-04-15 2017-02-21 Alan Rosen Intelligent visual humanoid robot and computer vision system programmed to perform visual artificial intelligence processes
CN103284663A (zh) * 2013-06-28 2013-09-11 苏州市牛勿耳关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清洁机器人
CN103729585B (zh) * 2013-12-06 2019-01-01 王海燕 一种家庭自动化系统
CN103792944A (zh) * 2014-02-26 2014-05-14 曾光 物联网多媒体净化吸尘智能机器人
CN105446350B (zh) * 2014-09-26 2018-05-29 科沃斯机器人股份有限公司 自移动机器人移动界限划定方法
US9933177B2 (en) * 2014-11-04 2018-04-03 Google Llc Enhanced automated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scheduling using a preference function
CN104333498B (zh) * 2014-11-28 2018-10-0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控制智能家居设备的方法及装置
CN105809881A (zh) * 2016-05-10 2016-07-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报警方法及装置、控制设备及传感设备
CN105871671B (zh) * 2016-05-31 2020-03-0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控制、获取智能家居设备上传数据的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27579A1 (en) 2005-06-13 2007-02-01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obot and a mobile robot control method
US20130206177A1 (en) 2012-02-09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eaning in robotic cleaner
US20140207282A1 (en) * 2013-01-18 2014-07-24 Irobot Corporation Mobile Robot Providing Environmental Mapping for Household Environmental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08416A (ja) 2017-03-23
US10303135B2 (en) 2019-05-28
CN104333498A (zh) 2015-02-04
MX2015009125A (es) 2016-08-01
BR112015020822B1 (pt) 2024-03-12
EP3026509B1 (en) 2022-01-05
EP3026509A1 (en) 2016-06-01
JP6229075B2 (ja) 2017-11-08
WO2016082459A1 (zh) 2016-06-02
BR112015020822A2 (pt) 2017-07-18
RU2015137291A (ru) 2017-03-07
CN104333498B (zh) 2018-10-02
RU2622154C2 (ru) 2017-06-13
US20160154390A1 (en) 2016-06-02
KR20160078293A (ko) 2016-07-04
MX353438B (es)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668B1 (ko) 스마트 홈 기기 제어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81351C1 (ru) Способ и сред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домашн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для загрузки данных,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бора данных, загруженных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домашнего пользования
CN107995215B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云平台服务器
US9844091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CA2964418C (en) Beacon addressing
Al-Turjman Impact of user's habits on smartphones' sensors: An overview
TW201816423A (zh) 用於自動檢測和啟動行走的系統和方法
WO2015067187A1 (en) Determination of a communication object
CN105915416B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终端设备
CN107846696B (zh) ZigBee系统、终端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KR101523702B1 (ko) IoT 플랫폼 서버 및 IoT 단말과 애플리케이션을 매칭한 정보를 생성하는 방법
CN107466458B (zh) 一种语音控制方法、装置及系统
Bozdog et al. Swan-lake: Opportunistic distributed sensing for Android smartphones
EP3657732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JP7289096B2 (ja) 位置情報取得システム、受信機、管理システム、位置情報取得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80922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ホスト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制御方法
US20240134956A1 (en) Accessory setup using a setup code
Marchenkov et al. User presence detection in SmartRoom using Innorange Footfall sensor
CN103796153A (zh) 一种信息发送方法及电子设备
JP6766434B2 (ja) デバイス選択方法、デバイス選択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選択装置
JP2023048037A (ja) 携帯端末
CN112188593A (zh) 无线配置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KR101544563B1 (ko) 상호 간에 무선 통신이 가능한 복수의 마이크로 서버를 사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