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552B1 -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 Google Patents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552B1
KR101812552B1 KR1020167012296A KR20167012296A KR101812552B1 KR 101812552 B1 KR101812552 B1 KR 101812552B1 KR 1020167012296 A KR1020167012296 A KR 1020167012296A KR 20167012296 A KR20167012296 A KR 20167012296A KR 101812552 B1 KR101812552 B1 KR 101812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ed carbon
acid
carbon nanotube
carbon nanotubes
disp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2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172A (ko
Inventor
하이옌 하오
시량 차오
레이 다이
리페이 차이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광동 어글레이어 압토일렉트라닉 머티어리얼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어글레이어 테크놀러지 디벨롭먼트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62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4Electrically-conduct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4Derivatisation; Solubilisation; Dispersion in solv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0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01J19/122Incoherent waves
    • B01J19/123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15Nano-sized carbon materials
    • C01B32/158Carbon nanotubes
    • C01B32/168After-treatment
    • C01B32/17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01L51/44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30/81Electrodes
    • H10K30/82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 H10K30/821Transparent electrodes, e.g. indium tin oxide [ITO] electrodes comprising carbon nano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2/00Structure or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s
    • C01B2202/02Single-walled nanotub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1Carbon nano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10S977/75Single-wa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10S977/845Purification or separation of fullerenes or nanotub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저비점 알코올류 또는 물 또는 DMF에서 분산시키고, 자외선 기계에 넣어 자외선을 조사해 산화시키는 단계; (2) 자외선 기계 세척 후의 탄소나노튜브를 강산으로 산화 반응을 진행하고, 다시 원심세정하는 단계; (3) 강산으로 세정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2 내지 3회 에탄올 또는 물로 초음파 분산, 원심세정을 진행하고, 저비점 알코올 또는 물 또는 DMF 용액에 용해시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에 의하여 완전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기능화된 작용기를 그라프팅시킴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가용성을 구현할 수 있고, 고성능 탄소나노 복합 플렉시블 투명 전극 재료를 제조할 수 있고 투과성과 시트 저항이 작다.

Description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METHOD FOR UNIFORM DISPERSION OF SINGLE-WALL CARBON NANOTUBES}
본 발명은 탄소나노튜브의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소나노튜브는 전형적인 층상 중공 구조 특징을 가진 탄소 소재로서 탄소나노튜브의 관체는 육각형 흑연탄소 고리의 구조 유닛으로 구성된, 일종의 특수한 구조(방사방향 크기는 나노미터 단위, 축방향 크기는 마이크로미터 단위)를 가진 일차원 양자 소재이다. 관벽은 주로 몇 층에서 수십 층으로 이루어진 동일축 원형관이다. 층과 층 사이는 약 0.34nm의 고정된 간격을 유지하며 직경은 통상적으로 2 내지 20nm이다. 나노탄소튜브에서 탄소원자의 P전자는 큰 범위의 비편재화 π사슬을 형성하며 접합 효과가 현저하다. 탄소나노튜브의 구조는 흑연의 편층 구조와 같기 때문에 전기적 특성이 아주 우수하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소재는 높은 전자이동도, 낮은 전기저항 덕분에 과학연구 및 산업계에서 ITO를 대체할 투명 전극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사이의 아주 강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500cV/㎛)과 큰 종횡비(>1000) 때문에, 통상적으로 큰 관다발을 형성해 분산시키기가 어려워 그 탁월한 성능을 실제 산업에 활용하는 데 상당한 제약이 따른다.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서 분산시키는 종래의 주요 방법에는 비(非)공유기능화, 공유기능화 및 용매 스트리핑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의 공통점은 모두 고주파 초음파, 볼 밀링 등과 같은 비교적 큰 기계적 힘으로 탄소나노튜브의 분산을 촉진시킨 후 고속 원심분리를 이용해 큰 관다발을 제거하해야 한다는 것이다. 큰 기계적 힘은 탄소나노튜브를 불가피하게 훼손시킬 수 있으며 고속 원심분리로 큰 관다발을 분리할 때 탄소나노튜브를 훼손시킬 수 있다. 또한, 비공유기능화법에서는 완전히 제거하기 어려운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 등 탄소나노튜브 분산을 보조하는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탄소나노튜브 망 자체의 전기적, 열역학적 성능을 저하시킨다. 공유기능화법은 탄소나노튜브 기능화 위치의 sp2 구조를 파괴할 수 있고, 용매 스트리핑법의 경우에는 종래에 공지된 용매가 끓는점이 높고 독성이 크며 분산효율이 낮다. 따라서 탄소나노튜브 구조를 완전하게 유지하면서 어떠한 첨가제도 첨가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서, 탄소나노튜브를 통상적인 용매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연구와 응용 측면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로 남아있다.
탄소나노튜브에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전도성이 가장 높다. 그러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각종 용매에서 분산시키기가 가장 어렵다. 통상적으로 물, 저비점 알코올류(예를 들어 메탄올, 2-프로판올 등 알코올) 등을 분산 용매로 사용하나, 상기와 같은 용매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에 대한 습윤성과 분산성이 좋지 않다. 또한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등과 같은 유기용매는 물과 알코올류 용매보다 분산성이 약간 우수하다. 그러나 테트라히드로푸란은 독성이 강하다. 디메틸포름아미드는 끓는점이 상당히 높다. 단일한 용매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분산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농도는 아주 작다.
또한, 물 또는 알코올류 용매에 계면활성제 소듐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sodium dodecy lbenzene sulphonate), 옥틸페놀 폴리에틸렌 글리콜(octylphenol polyethylene glycol), 폴리비닐피로리돈(polyvinylpyrrolidone) 등을 첨가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을 보조하나, 대량의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며 일부 계면활성제는 농도가 10% 이상이나 분산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농도는 여전히 아주 낮다. 분산액 중 대량의 계면활성제로 인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막 전도성과 열 전달성이 비교적 좋지 않다.
본 기술 분야의 상기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계면활성 보조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는 동시에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고자 한다. 또한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에탄올 분산액을 원료로 PET 박막 표면에 탄소나노튜브 복합 투명 전극 박막 재료를 개발하고자 한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저비점 알코올류 또는 물 또는 DMF에서 분산시키고, 자외선 기계에 넣어 자외선을 조사해 산화시키는 단계;
(2) 자외선 기계 세척 후의 탄소나노튜브를 강산으로 산화 반응을 진행하고, 다시 원심세정하는 단계;
(3) 강산으로 세정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2 내지 3회 에탄올 또는 물로 초음파 분산, 원심세정을 진행하고, 저비점 알코올 또는 물 또는 DMF 용액에 용해시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외선 기계의 조사 출력은 250 내지 500W이고, 조사는 일정하게 30 내지 6O분간 진행한다.
상기 산화 반응은 강산화성 산 또는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진행한다.
상기 강산화성 산은 진한 질산, 진한 황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은 과산화물이 첨가된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질산이다.
상기 과산화물은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암모늄이다.
상기 강산화성 산이 진한 질산, 진한 황산이거나, 또는 상기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이 과산화물이 첨가된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질산인 경우, 반응 온도는 80 내지 120℃, 반응 시간은 30분 내지 5시간이거나; 또는 상기 강산화성 산이 TFA인 경우, 그 반응 조건은 상온에서 30 내지 120분 초음파 분산하고 다시 원심세정하며, 반복해 상온에서 2 내지 5회 산화시키는 것이다.
상기 단계 (1) 및/또는 단계 (2)를 1 내지 2회 반복한다.
상기 단계 (1)에서의 분산은 초음파 분산 또는 세포 분쇄기를 통한 분산이다.
상기 저비점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이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기계 산화의 공정 방법과 화학적 산화의 습식화학 공정 방법을 결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세정함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부착된 불순물을 감소 또는 제거했고, 이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기능화된 작용기를 그라프팅시킴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극성 용매에서 분산시켰다.
상기 발명의 원리는 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 또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사이에 통상적으로 화학적 활성이 높고 결정성이 낮은 무정형 탄소, 탄소질 나노입자 및 탄소 조각 등 탄소질 부산물과 금속 촉매가 함유된다는 것을 기반으로 하며, 자외선 조사 출력과 시간 조절 및 습식화학 산화 조건을 제어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선택적 기능화시킴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용매에서 균일하게 분산시켜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와 성능이 기본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한 공정 기술은 먼저 자외선 기계를 이용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부착된 소분자 물질, 분산되기 쉬운 유기물질 등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표면에서의 형태로 산화 분해 또는 전환하고, 그 후 강산성 물질을 조절해 탄소나노튜브를 기능화하고, 활성이 비교적 큰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부착된 탄소질 부산물 등을 카르복실화하고, 더 나아가 완전한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기능화된 작용기를 그라프팅시킴으로써,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가용성을 구현하는 동시에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자체의 구조적 완전성과 자체의 전기적 특성을 유지시켰다.
구체적인 공정 방법은 아래와 같다.
단계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저비점 알코올류 또는 수용액에 분산시키고, 초음파 분산 또는 세포 분쇄기를 통해 분산시키고, 분산액을 여과한 후 얻은 여과액을 자외선 기계에 넣고 일정 시간 조사한다. 자외선 기계의 출력은 250 내지 500W로, 조사 시간은 10 내지 60분으로 제어한다.
단계 2: 자외선 기계 조사 및 세척 후의 탄소나노튜브는 강산을 이용해 반응 조건을 제어하고 세척을 진행한다.
단계 3: 강산으로 세척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여러 차례 원심분리를 진행하고, 반복해서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여 균일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얻는다.
상기 공정의 단계는 여러 차례 반복 및 조절이 필요하다. 특히 공정 단계 3의 경우, 각기 다른 강산이 비(非)결정 조직 탄소에 대해 일으키는 작용은 각기 다르다.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가용성과 탄소나노튜브의 청정도 역시 상당한 차이가 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강산에는 TFA, 질산, 진한 염산, 과산화수소 등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무기염을 잔류시키지 않는 분해하기 쉬운 산이 있다. 상응하는 용매에는 메탄올, 에탄올과 같은 저비점 알코올류, 물, N, N-디메틸포름아미드(N,N-dimethylformamide, DMF) 등이 있다.
다른 산처리 공정은 이와 다르며, DMF와 TFA 혼산의 처리 온도는 상온이고, 처리 시간은 40 내지 12분이며, 나머지 산 또는 혼산의 처리 온도는 80 내지 120℃이고, 처리 시간은 30 내지 300분 이내로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소나노 복합 투명 전극 재료 개발을 응용 기반으로 분산 보조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하면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물 또는 알코올류 용매에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을 개발했다.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흡광도로 탄소나노튜브 농도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분산성이 우수한 탄소나노튜브의 흡광도는 약 16000 내지 17000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설계한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의 흡광도는 10배 줄인 1500 가량까지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에탄올 분산액을 원료로 PET 박막 표면에 탄소나노튜브 복합 투명 전극 박막 재료를 개발했다.
얻은 분산성이 우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도전 재료로서 도전성 고분자계에 첨가하며,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고성능 탄소나노 복합 플렉시블 투명 전극 재료를 제조할 수 있고 투과성과 시트 저항이 작다.
얻은 분산성이 우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나노 촉매 또는 기타 기능화 나노 재료의 캐리어로 삼아 특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SEM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0.05g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20ml 에탄올에서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형성한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UV광 세척기에 넣고 40분간 처리한다.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는 DMF와 TFA 혼합액(9:1/Vol) 20ml를 이용해 30 내지 60분간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7000rpm 회전 속도로 원심분리하고, 다시 초음파 세척을 하고, 총 5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이용해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 상황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측정한 그 흡광도는 1655이다.
실시예 2
0.05g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20ml 에탄올에서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형성한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UV광 세척기에 넣고 40분간 처리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20ml의 탈이온수를 1구 플라스크에 넣고 다시 10ml의 진한 HNO3(68wt%)를 첨가하고, 5wt% 과황산암모늄(APS) 수용액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정제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120℃에서 5시간 환류 반응시킨다. 탈이온수로 반복해 원심세정(7000rpm, 10분)을 3회 진행하고,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이용해 초음파 분산을 20분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 상황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측정한 그 흡광도는 1745이다.
실시예 3
0.05g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20ml 에탄올에서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형성한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UV광 세척기에 넣고 40분간 처리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는 DMF와 TFA 혼합액(9:1/Vol) 20ml를 이용해 30분간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원심분리 후 다시 초음파 세척을 하고, 총 5회 반복한다. 그런 다음 에탄올을 이용해 20분간 초음파 세척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배양기구에 붓고, UV광 세척기에 넣어 40분간 처리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20ml의 탈이온수를 1구 플라스크에 넣고 다시 10ml의 진한 HNO3(68wt%)를 첨가하고, 1.5g의 과황산암모늄(APS)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정제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85℃에서 5시간 환류 반응시킨다.
탈이온수로 반복해 원심세정(7000rpm, 10분)을 3회 진행하고,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이용해 초음파 분산을 20분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 상황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측정한 그 흡광도는 1544이다.
실시예 4
0.05g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20ml 에탄올에서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형성한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UV광 세척기에 넣고 40분간 처리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20ml의 진한 황산을 1구 플라스크에 넣고 정제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실온에서 12시간 팽윤시킨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혼합 진한 황산 용액은 10:1의 물로 희석시킨 후, 원심분리를 진행하고 4회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상기 분말체를 1구 플라스크에 넣고 20ml의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다시 10ml의 진한 HNO3(68wt%)를 첨가하고, 1.5g의 과황산암모늄(APS)을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85℃에서 5시간 환류 반응시킨다.
탈이온수로 반복해 원심세정(7000rpm, 10분)을 3회 진행하고,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이용해 초음파 분산을 20분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 상황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측정한 그 흡광도는 1487이다.
실시예 5
0.05g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20ml 에탄올에서 20분간 초음파 분산을 진행한 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형성한다. 상기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현탁액을 UV광 세척기에 넣고 40분간 처리하여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20ml의 진한 황산을 1구 플라스크에 넣고 정제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실온에서 12시간 팽윤시킨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의 혼합 진한 황산 용액은 10:1의 물로 희석시킨 후, 원심분리를 진행하고 4회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얻는다. 상기 분말체를 1구 플라스크에 넣고 20ml의 탈이온수를 첨가하고, 다시 10ml의 진한 HNO3(68wt%)를 첨가하고, 10ml의 H2O2을 첨가하고, 전자교반하고, 85℃에서 5시간 환류 반응시킨다.
탈이온수로 반복해 원심세정(7000rpm, 10분)을 3회 진행하고, 얻은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마지막으로 에탄올을 이용해 초음파 분산을 20분간 진행하고, 다시 원심분리하고, 2회 반복하고, 마지막으로 SWCNT의 에탄올 분산액을 얻는다.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 상황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다. 측정한 그 흡광도는 1766이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에 10ml PEDOT:PSS(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폴리(소듐-p-스티렌술폰산염)(poly(sodium-p-styrenesulfonate)) 시판, 1.8% PEDOT 함유)를 첨가하고, 초음파 분산 후 탄소나노튜브 잉크 수용액을 얻는다. 상기 잉크 수용액을 PET 박막 표면에서 스핀 코팅 공정으로 투명 전도 전극 박막을 제조한다. 균일막 공정은 3000rpm 40초로 제한한다.
제조한 투명 전극 박막은 광파 길이 550nm에서 투과율이 80% 이상이다. 시트 저항은 100 내지 150Ω/□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분산성이 우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도전 재료로서 도전성 고분자계에 첨가하며, 계면활성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 고성능 탄소나노 복합 플렉시블 투명 전극 재료를 제조할 수 있고 투과성과 시트 저항이 작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분산성이 우수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은 나노 촉매 또는 기타 기능화 나노 재료의 캐리어로 삼아 특수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A: 미처리 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B: 실시예 1 처리 후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C: 실시예 2 처리 후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D: 실시예 3 처리 후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E: 실시예 4 처리 후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F: 실시예 5 처리 후의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Claims (9)

  1. (1)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말체를 저비점 알코올류 또는 물 또는 DMF에서 분산시키고, 자외선 기계에 넣어 자외선을 조사해 산화시키는 단계;
    (2) 자외선 기계 세척 후의 탄소나노튜브를 강산으로 산화 반응을 진행하고, 다시 원심세정하는 단계;
    (3) 강산으로 세정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는 2 내지 3회 에탄올 또는 물로 초음파 분산, 원심세정을 진행하고, 저비점 알코올 또는 물 또는 DMF 용액에 용해시켜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기계의 조사 출력은 250 내지 500W이고, 조사는 일정하게 30 내지 6O분간 진행되고;
    상기 저비점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 반응은 강산화성 산 또는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화성 산은 진한 질산, 진한 황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trifluoroacetic acid, TFA) 중 하나 이상이고, 상기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은 과산화물이 첨가된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질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이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화암모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강산화성 산이 진한 질산, 진한 황산이거나, 또는 상기 강산과 산화제 혼합물이 과산화물이 첨가된 진한 황산 또는 진한 질산인 경우, 반응 온도는 80 내지 120℃, 반응 시간은 30분 내지 5시간이거나; 또는 상기 강산화성 산이 TFA인 경우, 그 반응 조건은 상온에서 30 내지 120분 초음파 분산하고 다시 원심세정하며, 반복해 상온에서 2 내지 5회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 및/또는 단계 (2)를 1 내지 2회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에서의 분산은 초음파 분산 또는 세포 분쇄기를 통한 분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9. 삭제
KR1020167012296A 2013-12-23 2014-11-28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KR101812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107170244 2013-12-23
CN201310717024.4A CN104724692B (zh) 2013-12-23 2013-12-23 单壁碳纳米管均匀分散的方法
PCT/CN2014/092467 WO2015096592A1 (zh) 2013-12-23 2014-11-28 单壁碳纳米管均匀分散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172A KR20160062172A (ko) 2016-06-01
KR101812552B1 true KR101812552B1 (ko) 2017-12-27

Family

ID=53449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2296A KR101812552B1 (ko) 2013-12-23 2014-11-28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745477B2 (ko)
JP (1) JP6152492B2 (ko)
KR (1) KR101812552B1 (ko)
CN (1) CN104724692B (ko)
HK (1) HK1206705A1 (ko)
TW (1) TWI529126B (ko)
WO (1) WO20150965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699B1 (ko) 2022-08-16 2023-10-17 한국전기연구원 기계적 함침을 이용한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
KR102590700B1 (ko) 2022-08-17 2023-10-17 한국전기연구원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고농도 슬러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 고농도 슬러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2278B2 (ja) * 2017-08-10 2022-09-27 デンカ株式会社 熱電変換材料の製造方法、熱電変換素子の製造方法及び熱電変換材料の改質方法
WO2019064504A1 (ja) * 2017-09-29 2019-04-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ナノカーボンイ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WO2020105968A1 (ko) * 2018-11-23 2020-05-28 한국기계연구원 단분자가 결합된 질화붕소 나노튜브와 이를 이용한 콜로이드 용액의 제조 방법
CN110130102A (zh) * 2019-05-09 2019-08-16 常州大学 一种纳米碳纤维表面修饰方法
CN111564632A (zh) * 2020-05-20 2020-08-21 苏州柔能纳米科技有限公司 用于柔性电池的电极浆料的制备方法
CN115228434B (zh) * 2022-07-21 2023-09-0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表面包裹γ-Al2O3:Dy3+颗粒的碳纳米管吸附剂及其制备方法
WO2024025084A1 (ko) * 2022-07-29 2024-02-01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다주파 분산을 이용한 탄소재 분산용액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양극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2818A1 (en) * 2009-01-06 2010-07-08 Tatung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carbon nanotube complexes
CN102583323A (zh) * 2008-03-20 2012-07-18 中国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一种高浓度稳定碳纳米管水溶液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83202B1 (en) * 2002-03-04 2012-12-12 William Marsh Rice University Method for separat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and compositions thereof
ITMI20021737A1 (it) * 2002-08-01 2004-02-02 Univ Degli Studi Trieste Processo di purificazione di nanotubi di carbonio.
EP1428793B1 (en) * 2002-12-12 2011-02-09 Sony Deutschland GmbH Soluble carbon nanotubes
JP4807817B2 (ja) * 2004-08-05 2011-11-02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導電性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導電性成形体
US20060188723A1 (en) * 2005-02-22 2006-08-24 Eastman Kodak Company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single wall carbon nanotubes
US7535462B2 (en) * 2005-06-02 2009-05-19 Eastman Kodak Company Touchscreen with one carbon nanotube conductive layer
US20070292622A1 (en) * 2005-08-04 2007-12-20 Rowley Lawrence A Solvent containing carbon nanotube aqueous dispersions
CN100491240C (zh) * 2006-11-30 2009-05-27 上海交通大学 光化学修饰碳纳米管的方法
US20080152573A1 (en) * 2006-12-20 2008-06-26 Noriyuki Juni Method for producing carbon nanotubes, method for producing liquid dispersion thereof and optical product
JP2010538422A (ja) * 2007-08-29 2010-12-09 ノースウェスタン ユニバーシティ 分類されたカーボンナノチューブから調整される透明導電体およびその調整方法
JP5266889B2 (ja) * 2008-06-04 2013-08-21 ソニー株式会社 光透過性導電体の製造方法
WO2010051102A2 (en) * 2008-09-09 2010-05-06 Sun Chemical Corporation Carbon nanotube dispersions
CA2770997C (en) * 2009-08-14 2018-07-03 Ramesh Sivarajan Solvent-based and water-based carbon nanotube inks with removable additives
JP5558935B2 (ja) * 2010-06-28 2014-07-23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炭素窒素含有繊維状集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5561729B2 (ja) * 2010-08-27 2014-07-30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カーボン材料の表面酸化方法
CN101941690A (zh) 2010-09-09 2011-01-12 同济大学 一种提高单壁碳纳米管在水溶液中分散性的方法
TWI553667B (zh) * 2010-10-29 2016-10-11 東麗股份有限公司 透明導電積層體及其製造方法
CN102424379B (zh) 2011-09-20 2013-11-20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高分散性碳纳米管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3323A (zh) * 2008-03-20 2012-07-18 中国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一种高浓度稳定碳纳米管水溶液
US20100172818A1 (en) * 2009-01-06 2010-07-08 Tatung University Method of preparing carbon nanotube complex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699B1 (ko) 2022-08-16 2023-10-17 한국전기연구원 기계적 함침을 이용한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
KR102590700B1 (ko) 2022-08-17 2023-10-17 한국전기연구원 비산화 탄소나노튜브 고농도 슬러리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 고농도 슬러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6705A1 (en) 2016-01-15
US9745477B2 (en) 2017-08-29
TWI529126B (zh) 2016-04-11
WO2015096592A1 (zh) 2015-07-02
CN104724692A (zh) 2015-06-24
KR20160062172A (ko) 2016-06-01
CN104724692B (zh) 2016-11-16
TW201527209A (zh) 2015-07-16
US20170029634A1 (en) 2017-02-02
JP6152492B2 (ja) 2017-06-21
JP2017502915A (ja) 2017-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552B1 (ko)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방법
KR101812551B1 (ko) 단일벽 탄소나노튜브 분산성 향상시키는 방법
CN105321592B (zh) 碳纳米管‑高分子层状复合透明柔性电极及其制备方法
Wan et al. Focusing on energy and optoelectronic applications: a journey for graphene and graphene oxide at large scale
JP5024312B2 (ja) 導電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Fei et al. Solubilization, purification and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using polyoxometalate
KR20170121504A (ko) 전계유도 습식 방사 공정을 이용한 그래핀산화물 섬유, 그래핀 섬유, 그래핀 또는 그래핀(산화물)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JP2016505649A (ja) グラフェン材料及び導電性ポリマーを含むフィルム形成組成物
WO2016101208A1 (zh) 单层石墨烯分散液及其制备方法
CN101899185A (zh) 一种碳纳米管/聚苯乙烯复合导电材料的制作方法
TW201525079A (zh) 高分散碳納米管複合導電墨水
CN107163686B (zh) 一种石墨烯复合导电油墨的制备方法及其应用
Xie et al. Dispersing and doping carbon nanotubes by poly (p-styrene-sulfonic acid) for high-performance and stable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KR101371289B1 (ko) 탄소 나노박막의 제조방법
KR20180019130A (ko) 전계유도 습식 방사 공정을 이용한 그래핀산화물 섬유, 그래핀 섬유, 그래핀 또는 그래핀(산화물) 복합 섬유의 제조방법
TWI578335B (zh) 高分散、黏度可控的碳奈米管透明電極墨水
KR20170107230A (ko) 비산화-환원 방식의 그래핀 잉크 제조방법
Huang et al. Strengthened graphene oxide/diazoresin multilayer composites from layer-by-layer assembly and cross-linking
KR20110050189A (ko) 초음파 분쇄기를 이용한 탄소 나노튜브의 수분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탄소 나노튜브 박막 필름의 제조
KR20160024245A (ko) 산화된 나노탄소 기반의 투명 전도성 필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