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16B1 -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2416B1
KR101812416B1 KR1020160065506A KR20160065506A KR101812416B1 KR 101812416 B1 KR101812416 B1 KR 101812416B1 KR 1020160065506 A KR1020160065506 A KR 1020160065506A KR 20160065506 A KR20160065506 A KR 20160065506A KR 101812416 B1 KR101812416 B1 KR 101812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rocessing machine
bar material
rod
convey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658A (ko
Inventor
기요시 히로사와
에이지 소네
고지 나카사토
Original Assignee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1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3/00Feeding wire in wire-working machines or apparatus
    • B21F23/005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 B21F23/007Feeding discrete lengths of wire or rod using pick-up means, e.g. for isolating a predefined number of wires from a bu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for turning-machines with a single working-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ning (AREA)

Abstract

극세의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에 있어서, 봉재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할 수 있는 봉재 공급기를 제공한다.
봉재(W)를 봉재 가공기(4)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2)는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핑거 척(12b)을 구비하는,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 화살(12)과, 이송 화살을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후로 구동하는 모터(16)와, 봉재 가공기에 의한 봉재의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이송 화살을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6)를 갖는다.

Description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ROD MATERIAL FEEDER AND METHOD OF FEEDING ROD MATERIAL}
본 발명은 선반 등의 봉재 가공기에 봉재를 급송하기 위한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봉재를 봉재 이송 부재(이송 화살)에 의해 전방으로 급송하는 봉재 공급기가 알려져 있다. 봉재 이송 부재는 일반적으로,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풀리에 감아 걸려진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어 있다. 봉재 이송 부재의 전단부에는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핑거 척이 설치되고, 핑거 척 안에 봉재의 후단부를 삽입하고, 봉재 이송 부재가 타이밍 벨트의 주행에 수반하여 전방으로 이동하여, 봉재를 봉재 가공기를 향해서 급송한다. 봉재의 선단이 봉재 가공기의 스토퍼, 또는 절단용 바이트 등에 접촉하면, 봉재는 봉재 가공기의 주축대의 척에 의해 파지되어, 주축대를 전후 이동시키거나(주축 이동형), 또는 칼날대를 전후 이동시키거나(주축 고정형) 함으로써 봉재가 가공된다.
종래의 봉재 공급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봉재를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전방으로 급송하고, 봉재 가공기의 스토퍼, 또는 절단용 바이트 등에 접촉시킬 때, 봉재의 선단을 스토퍼 등에 가압하기 위해서, 봉재를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스토퍼에 대하여 강하게 가압하므로, 그 가압력에 의해 봉재가 휘어 버린다. 이 상태에서 봉재를 가공하면, 봉재는 주축에 의해 고속 회전되고, 봉재가 그 내벽에 닿아서, 소음의 원인이 된다. 또한, 봉재가 흔들리면 정밀하게 가공할 수 없다.
따라서, 봉재 가공 중,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대와 연동해서 봉재 이송 부재를 이동시키는 봉재 공급기에 있어서,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보유 지지된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 봉재 이송 부재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를 향해서 가압하는 이송 부재용 무단 부재를, 봉재 가공 개시 시에 주축대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후퇴시키도록 움직이게 하여, 봉재 이송 부재와 주축대의 간격을 소정 거리만큼 확장시킴으로써, 봉재의 휨을 제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특허공개 제2001-246502호 공보
그런데, 최근에는, 예를 들어 반도체 재료의 계측용 프로브와 같은 미세한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직경 1㎜ 미만의 극세의 봉재를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으로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봉재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정밀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 중의 봉재의 휨에 의한 요동 회전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극세의 봉재는 강성이 낮아 특히 휨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상기 종래 기술과 같이, 이송 부재용 무단 부재를 봉재 가공 개시 시에 주축대에 대하여 소정 거리만큼 후퇴시키도록 움직이게 하여, 봉재 이송 부재와 주축대의 간격을 소정 거리만큼 넓혔다 하더라도, 봉재의 휨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봉재 가공 개시 시에 봉재의 휨을 제거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대와 연동해서 봉재 이송 부재를 이동시킬 때, 이송 부재용 무단 부재나 봉재 이송 부재의 관성 모멘트나 기계적인 유극에 의해, 봉재 이송 부재의 움직임을 주축대의 움직임에 완전히 추종시킬 수 없고, 그에 따라 봉재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극세의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에 있어서, 봉재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할 수 있는 봉재 공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봉재 공급기는,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봉재 이송 부재와,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후로 구동하는 구동 수단과, 봉재 가공기에 의한 봉재의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구동 수단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를 향해서 가압하는 종래의 봉재 공급기와는 달리, 구동 제어 수단은, 봉재의 가공 중,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구동 수단을 제어하므로, 봉재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봉재의 후단부가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봉재 가공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인장된다. 이에 의해, 봉재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봉재 가공기는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이며,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봉재 이송 부재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와,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 변환 수단과,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에 대한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한 회전 운동의 전달 및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봉재 가공 중,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전환 수단을 통해서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봉재 이송 부재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을 갖고, 구동 제어 수단은, 전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 변환 수단으로부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회전 운동이 전달되고 있을 때,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구동 수단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봉재 가공기의 주축과 연동해서 봉재 이송 부재를 이동시킬 때에,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 및/또는 연동 수단의 관성 모멘트나 기계적인 유극에 의해 봉재 이송 부재의 움직임이 주축의 움직임에 완전히 추종하지 않은 경우에도, 봉재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봉재의 후단부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인장함으로써, 봉재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봉재 가공기는 주축 고정형 봉재 가공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주축 고정형 봉재 가공기에 봉재를 공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봉재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파지 수단은, 봉재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갖는 핑거 척 케이스와,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파지 부재는, 봉재 이송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파지 부재의 외경은,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의 내경보다 작아서, 파지 부재의 외주면과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지 부재의 길이 방향 길이는,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있어서의 파지 부재의 길이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전단부와 후단부의 거리보다 짧아서,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서 파지 부재의 전후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지 부재의 외주면과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의 내주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파지 부재가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서 봉재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봉재를 고속 회전시킨 경우에 있어서도, 그 고속 회전에 충분히 추종해서 파지 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어, 봉재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지 부재의 전후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재가 봉재 가공기로부터 봉재 이송 부재를 향해서 되밀려졌다 하더라도,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한 파지 부재가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있어서 소정 간극의 분만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봉재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파지 수단은, 봉재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갖는 핑거 척 케이스와, 핑거 척 케이스의 중공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또한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원통형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핑거 척 케이스의 전단부에는, 봉재의 후단부를 중공부 안으로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파지 부재의 전단부에는, 봉재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파지 부재의 개구부의 전단부측 내경은, 핑거 척 케이스의 개구부의 후단부측 내경보다 크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파지 부재의 개구부의 전단부측 내경은, 핑거 척 케이스의 개구부의 후단부측 내경보다 크므로, 핑거 척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서 파지 부재의 개구부에 봉재를 삽입할 때에, 파지 부재의 전단부가 봉재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봉재 공급 방법은,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 방법이며, 봉재 이송 부재의 파지 수단에 의해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스텝과, 봉재를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전진시키고, 봉재 가공기에 설치된 스토퍼에 대하여 가압하는 스텝과, 봉재 가공기의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하는 스텝과,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한 후, 봉재 가공기에 의한 봉재의 가공 중,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하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봉재의 휨을 제거한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봉재 가공기는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이며, 봉재 공급기는, 구동 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봉재 이송 부재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와,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 변환 수단과,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에 대한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한 회전 운동의 전달 및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봉재 가공 중,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전환 수단을 통해서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봉재 이송 부재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을 갖고,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한 후, 전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 변환 수단으로부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회전 운동이 전달되고 있을 때에, 봉재 이송 부재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구동 수단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의한 봉재 공급기에 의하면, 극세의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에 있어서, 봉재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화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핑거 척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수단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가 행하는 봉재 공급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이송 화살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핑거 척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연동 수단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공급기(2)는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4)의 후방에 인접해서 설치된다. 봉재 가공기(4)는 봉재(W)의 가공 중, 전후로 이동하는 주축대(6)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주축대(6)의 전방에는, 봉재(W)를 가공하기 위한 바이트(8)와, 주축대(6)를 관통해서 전방으로 돌출된 봉재(W)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부시(11)를 갖는다. 바이트(8)는 봉재 급송 경로를 차단하는 스토퍼 위치와, 봉재(W)의 둘레면 근방 위치에 있는 가공 위치와, 퇴피 위치 사이에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바이트(8)는, 스토퍼 위치에 있을 때, 봉재(W)를 전방으로 급송할 때에 봉재(W)의 선단을 접촉시켜서 정지시켜, 스토퍼의 역할을 한다. 주축대(6)에는, 내부에 회전이 자유로운 주축(도시하지 않음)과, 주축의 선단에 설치된, 봉재(W)를 파지하기 위한 척(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봉재 공급기(2)는, 봉재 가공기(4)의 주축 안으로 봉재(W)를 급송하기 위한 이송 화살(12)(봉재 이송 부재)과, 이송 화살(12)을 봉재 가공기(4)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와,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16)(구동 수단)와, 봉재 가공 중, 이송 화살(12)을 주축대(6)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18)을 갖는다.
이송 화살(12)은, 봉재 공급기(2)의 봉재 급송축선 상에 배치된 로드 부분(12a)과, 로드 부분(12a)의 전단부에 설치되는 핑거 척(12b)을 구비한다. 이송 화살(12)의 후단부에 설치된 블레이드 부분(12c)은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핑거 척(12b)은, 로드 부분(12a)의 선단부에 나사 고정되는 척 조인트(20)와, 이 척 조인트(20)의 전단부(20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핑거 척 본체(22)와, 이들 척 조인트(20)와 핑거 척 본체(22)를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축(24)을 구비하고 있다.
척 조인트(20)는, 전단부(20c)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척 조인트(20)의 중공부(20a)에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강구(20b)가 중공부(20a)의 저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나란히 되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들 강구(20b)의 외경은 척 조인트(20)의 중공부(20a)의 내경보다 작아서, 강구(20b)가 중공부(20a)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척 조인트(20)의 전단부(20c)로부터 중공부(20a) 안으로 회전축(24)이 삽입되고, 이 회전축(24)의 후단부면이 최전방 강구(20b)의 전단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회전축(24)의 외경은 척 조인트(20)의 중공부(20a)의 내경보다 작아서, 회전축(24)이 중공부(20a)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축(24)이 척 조인트(20)의 중공부(20a)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척 조인트(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부(20d)가 회전축(24)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24a)에 끼어들어감으로써, 회전축(24)이 척 조인트(2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핑거 척 본체(22)는, 원통형의 핑거 척 케이스(26)와, 핑거 척 케이스(26)의 내부에 수용된 탄성 핑거 척(28)을 구비하고 있다.
척 조인트(20)의 전단부(20c)로부터 돌출된 회전축(24)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후단부(26a)로부터 중공부(26b) 안으로 삽입된다. 회전축(24)이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핑거 척 케이스(26)의 원통 벽면에 형성된 핀 구멍(26c)과, 회전축(24)의 전단부 근방에 형성된 핀 구멍(24b)을 관통하도록 고정 핀(30)을 삽입 관통함으로써, 핑거 척 케이스(26)가 회전축(24)에 고정된다.
또한,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에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강구(32)가 회전축(24)의 전단면으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직렬로 나란히 되도록 수용되어 있다. 이들 강구(32)의 외경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의 내경보다 작아서, 강구(32)가 중공부(26b) 안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핑거 척 케이스(26)의 전단부에는, 봉재(W)의 후단부를 중공부(26b) 안으로 수용하기 위한 전단부 개구부(26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단부 개구부(26d)는, 내경이 전방을 향해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핑거 척(28)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안에 있어서 강구(32)의 전방에 수용되어 있다. 탄성 핑거 척(28)은, 탄성 재료(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등)를 원통형으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3에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에는, 봉재(W)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전단부 개구부(2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단부 개구부(28a)는, 내경이 전방을 향해서 확대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28b)의 외경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전단부 개구부(26d)의 최소 내경[즉 전단부 개구부(26d)의 후단부의 내경]보다 크고, 이에 따라,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 있어서의 탄성 핑거 척(28)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 개구부(28a)의 전단부측 내경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전단부 개구부(26d)의 후단부측 내경보다 크다. 이에 의해, 핑거 척 케이스(26)의 전단부 개구부(26d)를 통해서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 개구부(28a)에 봉재(W)를 삽입할 때,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28b)가 봉재(W)에 간섭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핑거 척(28)의 길이 방향 길이 L1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 있어서의 강구(32)의 전단부와 전단부 개구부(26d)의 후단부의 거리 L2보다 짧아서, 탄성 핑거 척(28)의 전후에 간극(A)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봉재(W)의 가공 중, 봉재 가공기(4)의 주축대(6)가 봉재(W)를 향해서 급속하게 이동했을 때에,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나 연동 수단(18)의 관성 모멘트나 기계적인 유극에 의해 이송 화살(12)의 움직임이 주축대(6)의 움직임에 완전히 추종하지 않음으로써, 봉재(W)가 주축대(6)에 의해 이송 화살(12)을 향해서 되돌려졌다 하더라도, 봉재(W)의 후단부를 파지한 탄성 핑거 척(28)이 간극(A)의 분만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봉재(W)에 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탄성 핑거 척(28)의 외경 D1은,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의 내경 D2보다 작아서, 탄성 핑거 척(28)의 외주면과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의 내주면 사이에 간극 B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이 간극 B는 탄성 핑거 척(28)이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서 봉재(W)와 함께 회전 가능하고, 또한 봉재(W)의 중심축선이 봉재 가공기(4)의 주축대(6)의 급송축선(Z축)과 거의 일치하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극세(예를 들어 직경 1㎜ 미만)의 봉재(W)를 가공 중에 고속 회전(예를 들어 30000rpm)시킨 경우, 이 봉재(W)와 함께 핑거 척 본체(22) 전체가 회전하는 구조에서는, 핑거 척 본체(22)의 관성 모멘트에 의해, 봉재(W)의 회전에 대하여 핑거 척 본체(22)의 회전에 지연이 발생하여, 봉재(W)에 비틀림을 발생시켜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경량이며 관성 모멘트가 작은 탄성 핑거 척(28)이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서 봉재(W)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봉재(W)의 고속 회전으로 충분히 추종할 수 있어, 봉재(W)에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는, 한 쌍의 이송 부재용 풀리(34)와, 이송 부재용 풀리(34)에 감아 걸려진 이송 부재용 타이밍 벨트(36)를 갖는다. 이송 화살(12)의 후단부에 설치된 블레이드 부분(12c)이, 순환 주행 운동하는 이송 부재용 타이밍 벨트(36) 중, 봉재(W)의 급송 중에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직선 운동하는 하방 부분(36a)에 대하여 설치되어 있다.
연동 수단(18)은, 봉재 가공기(4)의 주축대(6)에 연결된, 주축대(6)의 이동에 동기해서 직선 운동을 행하는 직선 운동 전달 수단(40)과, 그 직선 운동 전달 수단(40)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이송 부재용 풀리(34)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과,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과 이송 부재용 풀리(34) 사이에 개재되어,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을 이송 부재용 풀리(34)에 대하여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하기 위한 전자 클러치(44)와, 봉재 공급기(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46)를 갖는다. 컨트롤러(46)는 봉재 가공기(4) 사이에서 각종 신호를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직선 운동 전달 수단(40)은, 일단부가 주축대(6)로부터 후방으로 봉재 공급기(2)를 향하여, 수평하게 연장되는 동기축(48)과, 봉재 공급기(2)의 베이스에 설치되어, 주축대(6)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50)와, 리니어 가이드(50)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또한 동기축(48)의 타단부에 대하여 고정된 미끄럼 이동 부재(52)를 갖는다. 동기축(48)은 리니어 가이드(50)의 상방에 또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 이동 부재(52)는 측면에서 볼 때 역 L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동기축(48)의 타단부로부터 리니어 가이드(50)를 향해서 하방으로 곧바로 연장되는 후방 플레이트 부분(52a)과, 후방 플레이트 부분(52a)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리니어 가이드(50) 위에서 미끄럼 이동하는 미끄럼 이동 부분(52b)을 갖는다.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은 변환용 전동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전후로 설치된 한 쌍의 변환용 풀리(54)와, 변환용 풀리(54)에 감아 걸려진 변환용 타이밍 벨트(56)를 갖는다. 전방의 변환용 풀리(54)는, 전자 클러치(44)를 통해서, 전방의 이송 부재용 풀리(34)의 구동축(58)에 대하여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구동축(58)의 일단부에는, 이송 화살(12)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16)가 연결되고, 이에 의해 구동축(58)이 회전 구동된다. 연동 수단(18)의 후방 플레이트 부분(52a)의 상단부는, 순환 주행 운동하는 변환용 타이밍 벨트(56)의, 직선상으로 주행하는 상방 부분과 하방 부분 중, 하방 부분(56a)에 연결되어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2)의 동작 및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2)가 행하는 봉재 공급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봉재 공급 처리는, 봉재 공급기(2)에 새로운 봉재(W)가 공급될 때마다 반복 실행된다.
먼저, 봉재 공급 처리의 개시 전에 있어서, 이송 화살(12)은, 봉재 공급기(2)의 후단부측에 대기하고 있다. 이때, 봉재(W)의 후단부가, 핑거 척 케이스(26)의 전단부 개구부(26d) 및 탄성 핑거 척(28)의 전단부 개구부(28a)를 통해서 탄성 핑거 척(28)의 중공부 내에 감입된다. 탄성 핑거 척(28)의 내벽면은, 약간 직경 확장되고,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봉재(W)의 후단부면을 탄력적으로 파지하고, 이에 의해, 봉재(W)의 후단부는 탄성 핑거 척(28)에 의해 탄력적이면서 또한 회전 가능하게 파지된다. 또한, 이 시점에서는, 전자 클러치(44)는 OFF로 되어 있어, 변환용 풀리(54)와 구동축(58)의 연결은 해제되어, 변환용 풀리(54)는 회전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봉재 가공기(4)의 바이트(8)가 스토퍼 위치로 돌출됨과 함께, 척(10)이 개방되었다는 취지의 신호가 봉재 가공기(4)로부터 컨트롤러(46)로 입력되면, 컨트롤러(46)는 봉재 공급 처리를 개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 공급 처리가 개시되면, 스텝 S1에 있어서, 컨트롤러(46)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를 개재시켜 이송 화살(12)을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전진시키는 회전 방향(정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봉재(W)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급송된다.
봉재(W)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압출되고, 봉재(W)의 선단이 봉재 가공기(4)의 바이트(8)에 접촉하면, 봉재 가공기(4)는, 척(10)을 폐쇄해서 봉재(W)를 파지함과 함께, 척(10)을 폐쇄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컨트롤러(46)에 출력한다.
컨트롤러(46)는, 이송 화살(12)을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전진시킬 때, 봉재(W)의 선단이 봉재 가공기(4)의 바이트(8)에 접촉했을 때에 봉재(W)의 선단이 바이트(8)로부터 이격되지 않을 정도의 약한 가압력으로 이송 화살(12)을 전진시키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봉재(W)의 선단이 봉재 가공기(4)의 바이트(8)에 접촉하고, 척(10)이 폐쇄되어 봉재(W)가 파지된 상태에서는, 봉재(W)에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스텝 S2에 있어서, 컨트롤러(46)는 봉재 가공기(4)로부터 척(10)을 폐쇄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척(10)을 폐쇄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S3으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전자 클러치(44)를 ON으로 하여, 변환용 풀리(54)를 구동축(58)으로 연결한다. 이에 의해, 주축대(6)와 이송 화살(12)이 연동 가능하게 된다.
이어서, 스텝 S4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를 개재시켜 이송 화살(12)을 봉재 가공기(4)로부터 후퇴시키는 회전 방향(역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봉재(W)의 후단부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인장되어, 봉재(W)의 휨이 제거된다.
이어서, 스텝 S5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봉재 가공기(4)가 봉재(W)의 가공을 종료한 후, 봉재 가공기(4)로부터 척(10)을 개방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봉재 가공기(4)는 주축대(6)를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바이트(8)에 의해 봉재(W)의 가공을 행한다. 그 동안, 연동 수단(18)에 의해, 이송 화살(12)이 주축대(6)의 움직임과 연동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축대(6)의 이동에 수반하여 동기축(48)이 이동하고, 그에 의해 미끄럼 이동 부재(52)가 리니어 가이드(50)를 따라 이동한다. 이에 의해 후방 플레이트 부분(52a)을 통해서 변환용 타이밍 벨트(56)가 움직이게 되고, 그 이동이 변환용 풀리(54), 구동축(58), 이송 부재용 풀리(34) 및 이송 부재용 타이밍 벨트(36)로 전달되어, 이송 화살(12)이 주축대(6)의 움직임과 연동한다.
봉재(W)의 가공이 종료되면, 봉재 가공기(4)는 척(10)을 개방해서 봉재(W)를 해방함과 함께, 척(10)을 개방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컨트롤러(46)에 출력한다.
이 봉재(W)의 가공 중, 컨트롤러(46)는,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계속해서 발생시킨다. 이에 의해, 봉재(W)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봉재(W)의 후단부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인장되므로,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나 연동 수단(18)의 관성 모멘트나 기계적인 유극에 의해 이송 화살(12)의 움직임이 주축대(6)의 움직임에 완전히 추종하지 않은 경우에도, 봉재(W)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이 행해진다.
스텝 S5에 있어서, 봉재 가공기(4)로부터 척(10)을 개방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되면, 스텝 S6으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잔재의 길이가 한번 더 가공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 결과, 잔재의 길이가 한번 더 가공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인 경우, 스텝 S7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정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
이어서, 스텝 S8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전자 클러치(44)를 OFF로 하고, 변환용 풀리(54)와 구동축(58)을 분리한다. 이에 의해, 봉재(W)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급송된다. 그 후, 스텝 S2로 되돌아가서, 컨트롤러(46)는, 봉재 가공기(4)로부터 척(10)을 폐쇄하였다는 취지의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대기한다. 이후, 스텝 S6에 있어서, 잔재의 길이가 한번 더 가공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길이 미만으로 될 때까지 스텝 S2 내지 S8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스텝 S6에 있어서, 잔재의 길이가 한번 더 가공을 행하는 데에 필요한 길이 이상이 아닌 경우, 스텝 S9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역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하고, 이송 화살(12)을 후퇴시켜서, 잔재의 처리를 행한다.
그 후, 스텝 S10으로 진행하여, 컨트롤러(46)는 모터(16)를 정지시켜서, 봉재 공급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새로운 봉재(W)가 봉재 공급기(2)에 공급될 때마다, 상기 봉재 공급 처리를 반복해서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컨트롤러(46)는, 봉재 가공기(4)에 공급된 봉재(W)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W)가 봉재 가공기(4)에 의해 보유 지지된 후, 그 봉재(W)의 가공 중, 이송 화살(12)을 봉재 가공기(4)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모터(16)를 제어하므로, 봉재(W)의 가공이 행해지고 있는 동안, 봉재(W)의 후단부가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인장된다. 이에 의해, 봉재(W)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봉재 가공기(4)가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이며, 봉재 가공기(4)의 주축대(6)와 연동해서 이송 화살(12)을 이동시킬 때에,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14)나 연동 수단(18)의 관성 모멘트나 기계적인 유극에 의해 이송 화살(12)의 움직임이 주축대(6)의 움직임에 완전히 추종하지 않은 경우에도, 봉재(W)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그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봉재(W)의 가공 중, 컨트롤러(46)는,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계속해서 발생시킨다고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모터(16)의 회전각에 기초해서 특정한 이송 화살(12)의 이동 거리에 따라서,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킬 때의 토크값을 변화시켜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봉재(W)의 가공이 진행되어 잔재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봉재(W)의 휨이 작아진다고 생각되므로, 이송 화살(12)의 전진 거리가 커질수록(즉 잔재의 길이가 짧아질수록),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킬 때의 토크값을 감소시켜도 된다. 또한, 이송 화살(12)의 전진 거리가 소정값 이상으로 된 경우,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봉재 공급 처리에 있어서, 전자 클러치(44)가 OFF이며 모터(16)에 의해 이송 화살(12)을 구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경우, 컨트롤러(46)가, 예를 들어 모터(16)의 회전각에 기초하여 이송 화살(12)의 이동 거리를 감시하고, 그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알람을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봉재(W)의 가공 개시 시(봉재 공급 처리의 스텝 S1)에 있어서, 봉재(W)를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급송하기 위해서, 정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했음에도 불구하고, 봉재(W)의 급송에 필요한 거리보다 이송 화살(12)의 이동 거리가 작은 경우, 이송 화살(12)의 이동 불량으로서 알람을 발생한다.
또는, 봉재(W)의 가공 중에 전자 클러치(44)가 OFF로 된 경우(봉재 공급 처리의 스텝 S8), 봉재(W)의 선단은 스토퍼 위치의 바이트(8)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통상이면 모터(16)에 의해 토크를 발생시켜도 이송 화살(12)은 이동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송 화살(12)이 소정의 역치 이상 이동한 경우에는, 이송 화살(12)의 이상[예를 들어 핑거 척(12b)으로부터의 봉재(W)의 탈락]이 발생했다고 생각되므로, 알람을 발생시킨다.
또한, 전자 클러치(44)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컨트롤러(46)가 이송 화살(12)의 이동 거리를 감시하고, 그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전자 클러치(44)의 미끄럼 등의 이상을 통지하는 알람을 발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술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핑거 척(12b)이 탄성 핑거 척(28)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탄성 핑거 척(28) 대신에, 봉재(W)의 외주면을 복수 방향(예를 들어 3 방향)으로부터 파지하는 갈고리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봉재 공급기(2)를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4)와의 조합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2)를 주축 고정형 봉재 가공기와의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 주축 고정형 봉재 가공기에 있어서도, 이송 화살(12)의 가압력에 의해 봉재(W)에 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봉재 공급기(2)에 의해, 봉재(W)의 가공 중, 모터(16)에 역회전 방향의 토크를 발생시켜,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W)의 후단부를 봉재 가공기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계속해서 인장함으로써, 봉재(W)의 휨을 항상 제거한 상태에서 가공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모터(16)에 의해 발생시키는 토크는, 봉재(W)의 후단부가 핑거 척으로부터 빠지지 않을 정도의 토크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연동 수단(18)이, 동기축(48), 리니어 가이드(50), 미끄럼 이동 부재(52), 한 쌍의 변환용 풀리(54) 및 변환용 타이밍 벨트(56)를 갖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과는 다른 구성을 가져도 된다. 예를 들어, 주축대(6)의 이동량을 봉재 가공기(4)나 로터리 인코더 등으로부터 취득하고, 그 이동량에 기초하여 이송 화살(12)을 주축대(6)의 움직임과 연동시키는 연동 모터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 강구(32)가 수용되어 있다고 설명했지만, 이 강구(32)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안에 강구(32)가 수용되어 있으므로, 이송 화살(12)에 의해 봉재(W)를 후방으로부터 누른 경우, 탄성 핑거 척(28)의 후단부가 강구(32)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봉재(W)를 봉재 가공기(4)를 향해서 누르면서 가공하는 경우에도, 탄성 핑거 척(28)이 핑거 척 케이스(26)의 중공부(26b) 내에서 봉재(W)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봉재 가공기(4)가 가이드 부시(11)를 갖는다고 설명했지만, 가이드 부시(11)를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봉재 공급 처리에서는, 스텝 S3에 있어서 전자 클러치(44)를 ON으로 한 후, 스텝 S4에 있어서 역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한다고 설명했지만, 이 스텝 S3과 S4의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또한, 스텝 S7에 있어서 정회전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모터(16)를 제어하고, 스텝 S8에 있어서 전자 클러치(44)를 OFF로 한다고 설명했지만, 이 스텝 S7과 S8의 순서를 바꾸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자 클러치(44)가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을 이송 부재용 풀리(34)에 대하여 결합 분리가 자유롭게 연결된다고 설명했지만, 이 전자 클러치(44) 대신에 에어 실린더를 사용해도 되고, 또는 모터(16)의 전기적인 제어에 의해 이송 부재용 풀리(34)에 대한 회전 운동 변환 수단(42)에 의한 회전 운동의 전달 및 차단을 전환해도 된다.
2 : 봉재 공급기
4 :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
6 : 주축대
8 : 바이트(스토퍼)
10 : 척
12 : 이송 화살(봉재 이송 부재)
12b : 핑거 척(파지 수단)
14 :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
16 : 모터(구동 수단)
18 : 연동 수단
22 : 핑거 척 본체
26 : 핑거 척 케이스
26b : 중공부
26d : 전단부 개구부
28 : 탄성 핑거 척(파지 부재)
28a : 전단부 개구부
28b : 전단부
34 : 이송 부재용 풀리
36 : 이송 부재용 타이밍 벨트
42 : 회전 운동 변환 수단
44 : 전자 클러치(전환 수단)
46 : 컨트롤러(구동 제어 수단)
W : 봉재

Claims (7)

  1.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기이며,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파지 수단을 구비하는, 봉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봉재 이송 부재와,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후로 구동하는 모터와,
    상기 봉재 가공기에 의한 봉재의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구동 제어 수단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 가공기는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이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와,
    상기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 변환 수단과,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에 대한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한 회전 운동의 전달 및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봉재 가공 중, 상기 주축의 이동을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서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을 갖고,
    상기 구동 제어 수단은,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회전 운동이 전달되고 있을 때에,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봉재 공급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 가공기는 주축 고정형 봉재 가공기인, 봉재 공급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 수단은, 봉재의 후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를 갖는 핑거 척 케이스와, 상기 핑거 척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 내에, 상기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기 위한 원통형의 파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파지 부재는, 상기 봉재 이송 부재의 길이 방향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고, 또한 상기 핑거 척 케이스의 상기 중공부 내에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봉재 공급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핑거 척 케이스의 전단부에는, 봉재의 후단부를 상기 중공부 안으로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 부재의 전단부에는, 봉재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파지 부재의 상기 개구부의 전단부측 내경은, 상기 핑거 척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의 후단부측 내경보다 큰, 봉재 공급기.
  6. 봉재 공급기에 의해 봉재를 봉재 가공기에 공급하는 봉재 공급 방법이며,
    상기 봉재 공급기의 봉재 이송 부재의 파지 수단에 의해 봉재의 후단부를 파지하는 스텝과,
    봉재를 상기 봉재 이송 부재에 의해 전진시키고, 상기 봉재 가공기에 설치된 스토퍼에 대하여 가압하는 스텝과,
    상기 봉재 가공기의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하는 스텝과,
    상기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한 후, 상기 봉재 가공기에 의한 봉재의 가공 중, 봉재의 휨을 제거하기 위해서, 봉재에 대하여 인장력을 부여하도록,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상기 봉재 이송 부재의 모터를 제어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재 공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재 가공기는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이며,
    상기 봉재 공급기는,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고, 그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에 대하여 전진 또는 후퇴시키는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와,
    상기 주축의 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 변환 수단과,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에 대한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한 회전 운동의 전달 및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봉재 가공 중, 상기 주축의 이동을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에 의해 회전 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전환 수단을 통해서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주축 이동형 봉재 가공기의 주축의 움직임과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 수단을 갖고,
    상기 척에 의해 봉재를 파지한 후,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 운동 변환 수단으로부터 상기 이송 부재용 전동 장치로 회전 운동이 전달되고 있을 때에, 상기 봉재 이송 부재를 상기 봉재 가공기로부터 후퇴시키는 방향으로 토크를 발생하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봉재 공급 방법.
KR1020160065506A 2015-06-01 2016-05-27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KR101812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11653A JP6365420B2 (ja) 2015-06-01 2015-06-01 棒材供給機及び棒材供給方法
JPJP-P-2015-111653 2015-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658A KR20160141658A (ko) 2016-12-09
KR101812416B1 true KR101812416B1 (ko) 2017-12-26

Family

ID=57574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506A KR101812416B1 (ko) 2015-06-01 2016-05-27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365420B2 (ko)
KR (1) KR101812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540B1 (ko) * 2019-04-25 2023-04-14 이쿠라 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봉재 급송 장치
JP2024076809A (ja) * 2022-11-25 2024-06-06 スター精密株式会社 工作機械システムおよび工作機械システムの制御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97Y2 (ja) * 1990-07-23 1996-06-19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棒材供給機の棒材覆い装置
JP2001246502A (ja) * 2000-02-29 2001-09-11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供給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705A (ja) * 1984-10-26 1986-05-22 Kiyoharu Hanno 小径軸の切削方法
JPS61184601U (ko) * 1985-05-10 1986-11-18
JPH07195203A (ja) * 1993-12-28 1995-08-01 Citizen Watch Co Ltd 自動旋盤用棒材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H10249668A (ja) * 1997-03-17 1998-09-22 Shimamoto Seiko:Kk 棒材供給装置の棒材送り出し機構及び送り出し方法
JP4098901B2 (ja) * 1998-05-15 2008-06-11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棒材供給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2197Y2 (ja) * 1990-07-23 1996-06-19 株式会社アルプスツール 棒材供給機の棒材覆い装置
JP2001246502A (ja) * 2000-02-29 2001-09-11 Ikura Seiki Seisakusho Co Ltd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供給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21639A (ja) 2016-12-28
JP6365420B2 (ja) 2018-08-01
KR20160141658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1457B1 (ko) 가이드부시를 구비한 수치제어선반 및 이 수치제어선반을 이용한 공작물의 가공방법
KR101812416B1 (ko) 봉재 공급기 및 봉재 공급 방법
JP5457126B2 (ja) 材料供給装置および加工システム
JP6270561B2 (ja) ワーク加工装置およびワーク加工方法
JP2011073117A5 (ko)
JP7312762B2 (ja) 工作機械
CN102259193A (zh) 利用双主轴全自动数控车床加工轴承滚子的方法
JP2003200304A (ja) 棒材供給・加工システムおよびその残材処理方法
JP6840082B2 (ja) 材料案内装置および材料案内装置を備えた工作機械
KR20170069538A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JP3723465B2 (ja) 棒材供給方法および棒材供給機
JP6365451B2 (ja) 棒材送り部材及び棒材供給機
EP3995239A1 (en)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JP2881541B2 (ja) 棒材加工装置
JP2001246502A (ja) 棒材供給機および棒材供給制御方法
JP4098901B2 (ja) 棒材供給機
JPH0141442B2 (ko)
JP2011255460A (ja) 工作機械
JP2957067B2 (ja) 棒材加工装置及び棒材加工方法
JP2006239723A (ja) 線状部材の定長切断方法及び装置
TW201532715A (zh) 棒材進給裝置
JPH0929505A (ja) 棒材加工装置及び棒材加工方法
JPH0537444U (ja) 棒材加工装置
JP4847386B2 (ja) 棒材移送装置及び工作機械
JP2622902B2 (ja) 自動棒材供給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