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63B1 - 여행가방 - Google Patents

여행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63B1
KR101808263B1 KR1020170034798A KR20170034798A KR101808263B1 KR 101808263 B1 KR101808263 B1 KR 101808263B1 KR 1020170034798 A KR1020170034798 A KR 1020170034798A KR 20170034798 A KR20170034798 A KR 20170034798A KR 101808263 B1 KR101808263 B1 KR 10180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ame
wheels
whee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완
Original Assignee
김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완 filed Critical 김도완
Priority to KR102017003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63B1/ko
Priority to PCT/KR2018/003225 priority patent/WO2018174519A1/ko
Priority to US16/564,025 priority patent/US1132429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3Suitcas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4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5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with immobilising means, e.g. means for blocking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2005/147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for climbing stai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2005/148Other arrangements of the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45C2013/267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the handle being slidable, extractable and lockable in one or more position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여행가방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여행가방은, 물품이 수납되는 케이스; 및 케이스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고, 지면을 구르는 한 쌍의 제1 바퀴 및 한 쌍의 제2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케이스와 프레임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케이스가 기울더라도 한 쌍의 제1 바퀴 및 한 쌍의 제2 바퀴는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부에 지면을 구르는 두 개의 제1 바퀴 및 두 개의 제2 바퀴가 고정된 사각형의 프레임을 통해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을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여행가방{SUIT CASE}
본 발명은 여행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보조 바퀴 없이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이 기울어진 각도에서도 바퀴의 회전축이 고정되지 않으며,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기울인 채 끌기 때에 측면에서의 장애물에 대해서도 마찰이 발생하지 않고, 전방으로 기울여 밀고 갈 때에는 직립 상태로 밀 때보다 바닥의 요철에 대해 좀 더 안정성을 가지고 빠른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향성이 향상되고, 아울러 가방이 통과하는 바닥에 장애물이 있거나 높이가 다른 층단 위로 올릴 때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해 쉽게 이동시킬 수 있는 여행가방에 관한 것이다.
여행가방은 여행용품을 보관하고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방으로서 바퀴와 손잡이가 설치된 형태가 많이 사용된다. 여행가방은 하단부에 지평면에 대해 360도 방향으로 움직임이 자유로운 4개의 바퀴가 달린 것과, 하단부에 축이 고정된 2개의 바퀴와 세웠을 때 지지되는 지지대가 1~2개 부착된 형태로 대별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가방(1)은 보통 그 형태에 있어서 수납의 최대화와 선적의 편의성을 위해 X, Y, Z축을 갖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다. 특히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내용 여행가방(1)의 경우 그 형태가 가로, 세로, 폭을 가진 직육면체의 모양을 갖도록 규정을 받는다. 그리고 그 형태는 사용자의 손의 높이를 고려해 가장 긴 축인 Z축이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또 그 하단부에 바퀴가 설치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이런 설계는 근본적으로 Z축이 지면에 수직인 채로 직립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미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간격이 없다보니 여행가방(1)이 발에 지속적으로 부딪쳐 보행에 지장을 주고, 더욱이 Z축이 가장 장축인 관계로 바닥의 턱이나 요철에 모멘트 불균형에 의해 진행방향으로 전복되기 쉽다. 특히 빠른 속도로 이동을 하다 보면 작은 턱이나 요철에도 전복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보통 사용자는 직립 상태에서 느린 속도로 이동하거나, 여행가방(1)에 부착된 접이식 손잡이를 연장하여 가방을 자신의 뒤로 한 채 기울여 끌어서 이동하는 것이 보통이다.
여행가방(1)을 기울여 끄는 경우 4개의 바퀴가 360도로 회전과 이동이 가능한 여행가방(1)의 경우에도 경사각에 의해 지면에 닿아 있는 2개의 바퀴 역시 Y축 방향으로 축고정이 발생하여 X축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할 때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어 마찰이 발생하고 조향이 제한된다. 처음부터 축이 고정된 2개의 바퀴를 가진 여행가방(1) 역시 마찬가지의 문제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좁은 기내의 통로를 이동하는 경우 축고정에 의해 조향성이 떨어져 진행방향으로 밀지 못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가방을 뒤에 놓고 기울여 이동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사용자는 전방을 주시하게 되므로 여행가방(1)은 수동적으로 끌려오기 때문에 조향하지 못하며, 흔히 여행가방(1)이 양쪽 좌석의 측면과 마찰을 일으켜, 결국 계속 끌지 못하고 무거운 가방을 들고 이동하는 불편함이 생기는 것이다.
또한, 인도와 차도 사이의 턱과 주차장과 보도 사이의 턱에서는 가방을 끌었다가는 여행가방(1)의 배면에 상처를 내기 쉽다. 이런 상황에서도 역시 가방을 끌지 못하고 직접 손으로 무거운 가방을 들어 올려야 하는 상황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777972호 (등록일: 2007.11.14)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을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기울인 상태에서도 바퀴의 축이 고정되지 않고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진행이 되도록 하여, 첫째로 끌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진행방향으로 밀고 이동할 때에 조향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둘째로 기울인 각도를 조절하여 턱을 넘을 때 지렛대의 원리로 쉽게 턱을 넘고, 층단이 있는 곳에서 무거운 여행가방을 직접 들지 않고서도 손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물품이 수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고, 지면을 구르는 한 쌍의 제1 바퀴 및 한 쌍의 제2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스가 기울더라도 상기 한 쌍의 제1 바퀴 및 상기 한 쌍의 제2 바퀴는 지면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바퀴의 위쪽에서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케이스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조절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된 간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간격부재 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삽입홀과 반대쪽으로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해제유닛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이 가압하는 방향과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홀과 반대쪽으로 밀리도록 상기 경사면을 미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을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과 멀어지도록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압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도록,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이 아래쪽으로 눌리면, 상기 제1 바퀴와 마찰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부에 지면을 구르는 두 개의 제1 바퀴 및 두 개의 제2 바퀴가 고정된 사각형의 프레임을 통해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을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울인 상태에서도 두 개의 제1 바퀴 및 두 개의 제2 바퀴의 축이 고정되지 않고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진행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기울인 상태에서 진행방향으로 밀거나 끌고 이동할 때 두 개의 제1 바퀴 및 두 개의 제2 바퀴의 축고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측면의 장애물에 대해서도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조향성이 향상되고, 진행방향으로 밀고 가면서 속도를 높였을 때에도 바닥의 턱과 장애물에 대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기울인 각도를 손잡이를 가지고 조절하여 프레임보다 낮은 턱을 넘을 때 지렛대의 원리로 쉽게 턱을 넘고, 프레임보다 높은 층단이 있는 곳에서도 무거운 여행가방을 직접 들지 않고 손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행가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여행가방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여행가방의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1의 여행가방의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여행가방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 여행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여행가방은,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을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기울인 상태에서도 바퀴의 축이 고정되지 않고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진행이 되도록 하여, 첫째로 끌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진행방향으로 밀고 이동할 때에 조향성과 안정성을 높이고, 둘째로 기울인 각도를 조절하여 턱을 넘을 때 지렛대의 원리로 쉽게 턱을 넘고, 층단이 있는 곳에서 무거운 여행가방을 직접 들지 않고서도 손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여행가방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여행가방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여행가방의 완충부재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1의 여행가방의 브레이크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여행가방의 사용상태도, 도 8은 종래 여행가방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행가방(10)은, 별도의 보조 바퀴 없이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10)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10)이 기울어진 각도에서도 바퀴의 회전축(A)이 고정되지 않도록 이루어지며, 케이스(100), 프레임(200), 조절유닛(300) 및 해제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하드 케이스 또는 소프트 케이스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100)는 대략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사용자가 케이스(100)를 끌고 다니는 손잡이(110)가 구비된다.
손잡이(110)는 케이스(100)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 인입/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110)는 평상시에는 케이스(10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손잡이(110)를 위로 당기면 손잡이(110)와 연결된 바(120)가 슬라이드 되면서 손잡이(110)의 위치가 높아질 수 있다. 상기한 손잡이(110)의 인입/인출 구조는 여행가방(10)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조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은 케이스(100)와의 상대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으로서, 프레임(200)의 하단부에는 지면을 구르는 한 쌍의 제1 바퀴(W1) 및 한 쌍의 제2 바퀴(W2)가 장착된다.
일반적으로 여행가방(10)의 손잡이(110)는 케이스(100)의 상단부 중앙에 설치되지 않고 상단부 테두리 부위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여행가방(10)의 손잡이(110)는 제2 바퀴(W2)의 위쪽에 설치된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00)는 프레임(200) 위에 안착되며, 케이스(100)의 하중은 프레임(200)에 장착된 제1 바퀴(W1) 및 제2 바퀴(W2)를 통해 지면에 전달된다. 케이스(100)와 프레임(200)은 제2 바퀴(W2)의 위쪽에 형성된 회전축(A)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는 제1 바퀴(W1)의 상측에 발판(F)이 결합될 수 있다. 발판(F)은 케이스(100)의 회전시 프레임(200)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사용자는 발판(F)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케이스(100)를 회전시켜 프레임(2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여행가방은 4개의 바퀴가 모두 지면에 닿은 상태에서 직립을 유지한다. 사용자는 손잡이를 통해 여행가방에 수평방향의 힘(이하 '견인력')을 전달하여 여행가방을 끌고 다니게 된다.
여행가방은 4개의 바퀴가 모두 지면에 닿은 상태(이하 '직립상태')에서도 손잡이를 통한 힘의 전달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나, 손잡이의 위치가 높아서 가방이 이동방향 전후로 흔들리기 쉽다. 이는 가방 하중과 견인력에 의해 생성되는 모멘트 불균형에 기인한다.
따라서 바닥이 고르지 않거나 빠른 이동이 필요한 경우 대부분의 사용자는 가방을 손잡이 쪽으로 기울여 손잡이 아래쪽 2개의 바퀴만 지면에 닿게 한 상태(이하 '경사상태')에서 여행가방을 끌고 다니게 된다. 경사상태에서 바퀴를 중심점으로 하는 모멘트는 대체로 크기만 변화할 뿐 방향은 유지되므로 가방이 이동방향 전후로 흔들리는 현상은 상당히 감소한다.
그러나 경사상태에서는 여행가방이 이동방향 좌우로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즉, 고르지 않은 바닥에서는 2개의 바퀴 간 높이차이에 기인하여 이동방향 좌우 모멘트 불균형이 발생하기 쉬우며, 빠른 이동 중에는 방향전환시 원심력에 의해 이동방향 좌우 모멘트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고르지 않은 바닥에서 빠른 이동 중에는 상기한 이동방향 좌우 모멘트 불균형에 의한 여행가방의 전도 가능성이 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여행가방(10)은 케이스(100)와 프레임(200)이 회전축(A)에 의해 결합되어, 케이스(100)를 기울이더라도 제1 바퀴(W1) 및 제2 바퀴(W2)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상기한 종래 여행가방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유닛(300)은 케이스(100)를 회전시킨 후 제1 바퀴(W1)와 케이스(100)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구성으로서, 돌출부재(310) 및 간격부재(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돌출부재(310)는 삽입홀(321)에 삽입되거나 이탈되는 구성으로서, 스프링(312)에 의해 간격부재(320) 쪽으로 가압된 상태로 케이스(100)에 설치된다. 돌출부재(310)에는 스프링(312)이 가압하는 방향과 경사진 경사면(311)이 형성된다.
간격부재(320)는 복수의 삽입홀(321)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제1 바퀴(W1)의 위쪽에서 프레임(200)에 결합된다. 간격부재(320)는 회전축(A)을 중심축으로 하는 호 형태를 형성하며, 삽입홀(321)은 간격부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다.
삽입홀(321)의 내면은 위쪽에 곡면을 형성하는 반원형을 이루고, 삽입홀(321)에 삽입되는 돌출부재(310)의 전단부는 삽입홀(321) 내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반원형으로 형성된다. 사용자가 조작부(420)를 누르지 않더라도 케이스(100)에 도 2의 상태에서 도 3의 상태로의 회전력을 인가하면, (돌출부재(310)가 반원형 곡면을 미끄러지며 삽입홀(321)로부터 빠질 수 있으므로) 케이스(100)를 도 3의 상태로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퀴(W1) 및 제2 바퀴(W2)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케이스(100)가 회전축(A)을 중심축으로 회전되면, 돌출부재(310)의 회전경로는 회전축(A)을 중심축으로 하는 호 형태를 형성한다. 즉, 돌출부재(310)는 간격부재(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이 과정에서 복수의 삽입홀(321)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유닛(400)은 돌출부재(310)를 삽입홀(321)과 반대쪽으로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으로서, 접촉부(410), 조작부(420), 연결부(430) 및 탄성부재(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접촉부(410)와 연결부(430)는 긴 바(bar)가 '∩' 또는 '┌┐' 형태로 절곡된 형태로 제작된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접촉부(410), 조작부(420), 연결부(430) 및 탄성부재(440)가 설치되는 장착부(130)가 형성된다. 장착부(130)는 접촉부(410) 및 연결부(430)가 내부에 삽입되도록 '∩' 또는 '┌┐' 형태로 절곡된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작부(420)는 접촉부(410)가 경사면(311)을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으로서, 케이스(100)의 위쪽으로 돌출된다. 조작부(420)의 하단부는 장착부(130) 내부에서 연결부(430)에 연결된다. 연결부(430)는 장착부(130) 내부에서 조작부(420)와 접촉부(410)를 연결한다.
탄성부재(440)는 접촉부(410)가 경사면(311)과 멀어지도록 조작부(420)를 가압하는 구성으로서, 장착부(130)의 내부에서 조작부(420) 하측에 설치된다. 탄성부재(440)는 압축스프링 등으로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420)를 아래를 밀면, 탄성부재(440)가 압축되면서 접촉부(410), 조작부(420) 및 연결부(430)는 탄성부재(440)가 압축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한다.
사용자가 조작부(420)를 민 후 놓으면, 탄성부재(440)가 다시 신장되면서 접촉부(410), 조작부(420) 및 연결부(430)는 탄성부재(440)가 신장된 길이만큼 위로 이동한다. 장착부(130) 내부는 접촉부(410), 조작부(420) 및 연결부(430)가 일정간격 상하이동 가능한 공간을 형성한다.
접촉부(410)는 돌출부재(310)가 삽입홀(321)과 반대쪽으로 밀리도록 경사면(311)을 미는 구성으로서, 경사면(311)의 바로 위에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부(420)를 아래로 밀면, 접촉부(410)는 탄성부재(440)가 압축된 길이만큼 아래로 이동하며 경사면(311)을 가압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돌출부재(310)는 삽입홀(321)과 반대쪽으로 밀리게 된다. 돌출부재(310)가 삽입홀(321)에서 빠져나오면, 케이스(100)와 프레임(200)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는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케이스(100)와 프레임(200)을 상대회전시킨 후 조작부(420)를 놓으면, 돌출부재(310)는 복수의 삽입홀(321) 중 하나에 다시 삽입되어 케이스(100)와 프레임(200) 간 각도가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과 케이스(100) 사이에는 완충부재(210)가 개재될 수 있다. 완충부재(210)는 제1 바퀴(W1)의 위에서 케이스(100)에 결합된 압축스프링(212)과, 압축스프링(212)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00)와 압축스프링(212)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접촉부재(211)로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재(210)는 케이스(100)가 도 3의 상태에서 도 2의 상태로 회전할 때 케이스(100)와 프레임(200) 간 과도한 충격을 방지한다. 또한, 완충부재(210)는 도 3의 상태에서 돌출부재(310)가 삽입홀(321)에서 빠져나올 때 케이스(100)가 회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회전력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에는 제1 바퀴(W1)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220)가 설치될 수 있다. 브레이크(220)는, 프레임(200)에 결합된 탄성수단(221)과, 탄성수단(221)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는 발판(222)과, 발판(222)이 아래쪽으로 눌릴 때 발판(222)과 함께 하강하여 제1 바퀴(W1)와 마찰하는 마찰패드(2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발판(222)을 밟으면, 제1 바퀴(W1)는 지면으로 눌린 상태에서 마찰패드(223)에 의해 회전이 차단됨에 따라, 사용자는 발판(222)을 발로 밟은 상태에서 케이스(100)를 회전시켜 프레임(200)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단부에 지면을 구르는 두 개의 제1 바퀴(W1) 및 두 개의 제2 바퀴(W2)가 고정된 사각형의 프레임(200)을 통해 이동 및 정지 시 동일한 바퀴로 여행가방(10)을 지속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여행가방(10)을 기울이는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인 상태에서도 두 개의 제1 바퀴(W1) 및 두 개의 제2 바퀴(W2)의 축이 고정되지 않고 360도로 자유롭게 회전 및 진행이 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기울인 상태에서 진행방향으로 밀거나 끌고 이동할 때 두 개의 제1 바퀴(W1) 및 두 개의 제2 바퀴(W2)의 축고정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측면의 장애물에 대해서도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조향성이 향상되고, 진행방향으로 밀고 가면서 속도를 높였을 때에도 바닥의 턱과 장애물에 대해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인 각도를 손잡이(110)를 가지고 조절하여 프레임(200)보다 낮은 턱을 넘을 때 지렛대의 원리로 쉽게 턱을 넘고, 프레임(200)보다 높은 층단이 있는 곳에서도 무거운 여행가방(10)을 직접 들지 않고 손쉽게 올리고 내릴 수 있도록 하는 여행가방(10)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여행가방
100 : 케이스 300 : 조절유닛
110 : 손잡이 310 : 돌출부재
120 : 바 311 : 경사면
130 : 장착부 312 : 스프링
A : 회전축 320 : 간격부재
200 : 프레임 321 : 삽입홀
W1 : 제1 바퀴 400 : 해제유닛
W2 : 제2 바퀴 410 : 접촉부
210 : 완충부재 420 : 조작부
211 : 접촉부재 430 : 연결부
212 : 압축스프링 440 : 탄성부재
220 : 브레이크
221 : 탄성수단
222 : 발판
223 : 마찰패드

Claims (7)

  1. 물품이 수납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되고, 지면을 구르는 한 쌍의 제1 바퀴 및 한 쌍의 제2 바퀴가 장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와 프레임을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스가 기울더라도 상기 한 쌍의 제1 바퀴 및 상기 한 쌍의 제2 바퀴는 지면에 접촉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2 바퀴의 위쪽에서 상기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킨 후 상기 제1 바퀴와 상기 케이스 간 간격을 유지시키는 조절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조절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된 돌출부재; 및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된 간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케이스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며,
    상기 돌출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상기 간격부재 쪽으로 가압되고,
    상기 돌출부재를 상기 삽입홀과 반대쪽으로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해제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이 가압하는 방향과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해제유닛은,
    상기 돌출부재가 상기 삽입홀과 반대쪽으로 밀리도록 상기 경사면을 미는 접촉부;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을 밀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 및
    상기 접촉부가 상기 경사면과 멀어지도록 상기 조작부를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상기 케이스 사이에는 완충부재가 개재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압축스프링; 및
    상기 케이스와 접촉하도록,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구비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바퀴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가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된 탄성수단;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위쪽으로 가압되는 발판; 및
    상기 발판이 아래쪽으로 눌리면, 상기 제1 바퀴와 마찰하는 마찰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가방.
KR1020170034798A 2017-03-20 2017-03-20 여행가방 KR10180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98A KR101808263B1 (ko) 2017-03-20 2017-03-20 여행가방
PCT/KR2018/003225 WO2018174519A1 (ko) 2017-03-20 2018-03-20 여행가방
US16/564,025 US11324293B2 (en) 2017-03-20 2019-09-09 Suit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98A KR101808263B1 (ko) 2017-03-20 2017-03-20 여행가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263B1 true KR101808263B1 (ko) 2017-12-12

Family

ID=60943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798A KR101808263B1 (ko) 2017-03-20 2017-03-20 여행가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24293B2 (ko)
KR (1) KR101808263B1 (ko)
WO (1) WO20181745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0348160A1 (en) * 2019-09-18 2022-03-17 Phil And Teds Design Limited Multi-mode luggage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5435A (ja) * 2010-12-27 2012-07-19 T & S Co Ltd バッグ類の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12139A (en) * 1916-05-23 1917-01-09 Seward Trunk And Bag Company Wardrobe-trunk.
US5779251A (en) * 1994-01-10 1998-07-14 Meier; James W. Brake and retractable rear stabilizer apparatus for a hand dolly
JP2938818B2 (ja) * 1996-10-21 1999-08-25 株式会社スワニー
US5862572A (en) * 1996-11-12 1999-01-26 Chaw Khong Company, Ltd. Lockable handle system for wheeled luggage
US5875520A (en) * 1997-10-15 1999-03-02 Chang; Wen-Chen Extensible handle device
US6470529B1 (en) * 2001-06-28 2002-10-29 Wen-Chen Chang Retractable handle assembly
US6604615B2 (en) * 2001-11-07 2003-08-12 Yi-Ming Wu Roller device of luggage case
KR100827209B1 (ko) * 2005-08-12 2008-05-07 정동원 바퀴가 장착된 가방
US7546908B2 (en) * 2005-11-28 2009-06-16 Chin-Lin Chang Wheel assembly
KR20100003275U (ko) * 2008-09-16 2010-03-25 백정희 바퀴의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가방
JP2010188861A (ja) * 2009-02-18 2010-09-02 Zero One Design:Kk キャスターのロック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鞄
US20150245694A1 (en) * 2012-09-20 2015-09-03 Benjamin Banoun Suitcase and Set of Suitcases
US9849723B2 (en) * 2013-06-06 2017-12-26 Rene LAFEVER Adjustable height platform
WO2015077695A1 (en) * 2013-11-23 2015-05-28 Matthew Gregory Extendable sled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5435A (ja) * 2010-12-27 2012-07-19 T & S Co Ltd バッグ類のキャスターロ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519A1 (ko) 2018-09-27
US11324293B2 (en) 2022-05-10
US20200000192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061049A (en) Braking system
JP5789464B2 (ja) 車椅子
CN111615481B (zh) 台车及其机械制动系统
US20110023268A1 (en) Multi-wheel caster
AU2017371384B2 (en) Luggage case and wheel set therefor
KR101808263B1 (ko) 여행가방
JP2521138Y2 (ja) うば車の操舵機構
KR20150029142A (ko) 운반용 카트
JP6067165B1 (ja) 運搬用車両
JP5812792B2 (ja) リフトアップキャスター
KR101485300B1 (ko) 전동 카트
KR20100013891A (ko) 경사면 및 계단의 주행이 용이한 유모차
KR101701590B1 (ko) 계단용 카트의 브레이크 장치
JP2016022836A (ja) 手押し車
JP2007283082A (ja) 車椅子用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付き車椅子
WO2002074592A1 (en) Brake for a vehicle
EP1057709A2 (en) Stroller
WO2018021208A1 (ja) 台車
KR200460814Y1 (ko) 회전 캐스터용 제동장치
JP3203591U (ja) ショッピングカート
JP6101731B2 (ja) 台車連結装置及び台車
JP6369908B2 (ja) カート
JP6393358B1 (ja) 手押車
JP4552084B2 (ja) 転輪付き鞄
JP6343545B2 (ja) 牽引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