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211B1 -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211B1
KR101808211B1 KR1020170030790A KR20170030790A KR101808211B1 KR 101808211 B1 KR101808211 B1 KR 101808211B1 KR 1020170030790 A KR1020170030790 A KR 1020170030790A KR 20170030790 A KR20170030790 A KR 20170030790A KR 101808211 B1 KR101808211 B1 KR 101808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yolk
yolk
egg
freezing
ult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영우
Original Assignee
아이피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피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피엠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0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2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5/00Egg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5/00Preservation of eggs or egg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5/00Preservation of eggs or egg products
    • A23B5/02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5/03Freeze-drying, i.e. cryodessication, lyophilisation;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01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 A23L3/0155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treatment with pressure variation, shock, acceleration or shear stress or cavitation using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s, or pressure variations transmitted by a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4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free-flowing powder or instant powder, i.e. powder which is reconstituted rapidly when liquid is added

Abstract

본 발명은 난황의 영양 보존성, 관능 보존성, 무균 저장성 및 가공식품이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시의 취급성과 가공성을 개선하여, 난황의 산업상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난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는 난황 분리 단계와, 분리된 난황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난황 여과 단계와, 여과된 난황을 가요성 봉투에 충전하는 난황 충전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에서 공기를 제거하고 봉투를 밀봉하는 난황 밀폐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내에 투입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기 투입 단계와,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압력을 초고압(4,000bar ~ 7,000bar)까지 승압한 후 초고압을 일정시간 유지하면서 난황을 살균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와, 초고압에 의하여 살균된 난황을 봉투에 담긴 채 냉동장치의 냉동 챔버에 투입하는 난황 냉동 챔버 투입 단계와, 냉동 챔버에 투입된 난황을 초저온(-40℃ ~ -45℃)에서 동결시키는 난황 초저온 동결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개봉한 후 냉동 챔버를 진공 처리하여 난황의 함수율이 2%이내가 될 때까지 난황에 포함된 수분을 승화시켜 난황을 건조시키는 난황 동결 건조 단계와, 동결 건조된 난황을 분쇄기에 의하여 고상 분말상태로 분쇄하는 난황 분쇄 단계와, 분쇄된 난황 분말을 포장하는 난황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EGG YOLK IN SOLID POWDER}
본 발명은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난황의 영양 보존성, 관능 보존성, 무균 저장성 및 가공식품이나 화장품 원료로 사용시의 취급성과 가공성을 개선하여, 난황의 산업상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난"은 계란, 오리알, 메추리알, 타조알 등 조류의 알을 포함한다. 본발명에서 "난황"이란 계란, 오리알, 메추리알, 타조알 등 조류의 알에서 분리한 노른자를 의미한다. 난황은 약 50%가 고형물로 지질을 현저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다. 지질의 대부분은 단백질과 결합하여 리포 단백질로 되어 있다. 난황 단백질은 리포비텔린(지질 함량 약 18%), 리포비텔레닌(지질 함량 약 40%), 리베틴 및 포스비틴의 4 주요 단백질로 이루어지며, 리포비텔린, 리포비텔레닌은 리포 단백질로서 이것에서 에탄올로 지질을 제거하면 인단백질인 비텔린, 비텔레닌이 얻어진다. 그 밖에 약간의 수용성 단백질이 있다. 이들 난황 단백질은 다양한 아미노산으로 구성된다. 난황의 에테르 추출부인 난황유는 지방 62.3, 인지질 32.8, 불비누화물 4.8%로 이루어지며, 난황 색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황금색을 띤다. 인지질은 오보레시틴(70% 이상을 차지한다), 오보케팔린(약 25%), 오보스핑고미엘린(2~3%)으로 이루어지며 불비누화물은 주로 콜레스테롤로 이루어진다. 난황의 뛰어난 유화성은 리포 단백질, 오보레시틴 등의 존재 때문이다. 난황 색소는 주로 β-카로틴, 크산토필(루테인, 제아크산틴, 크립토크산틴)로 이루어지며 수용성의 플라빈도 포함되어 있다.
난황은 이러한 다양한 영양 성분과 효능으로 인하여 식품 원료 또는 화장품 원료 등의 산업적 수요가 증대하고 있지만, 수분을 포함한 유동성이 큰 물질이기 때문에 보존기간, 취급성, 가공성이 떨어져 식품 원료나 화장품 원료 등의 산업적 용도로 이용하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즉, 난황을 자연상태로 유통하여 이용할 경우 여러가지 균에 노출되어 부폐하기 쉽기 때문에 보존기간이 짧아 산업적 이용이 어렵고, 유동성이 있는 상태로 이용할 경우 식품 제조나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 난황의 취급성 및 가공성이 크게 떨어진다.
근래, 농축산물 또는 식용재료의 보존 기간 연장을 위해 이루어지는 초고압 살균 방법이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9807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80610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7872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09493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2025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9564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40558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02159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07105호 등에 의하여 개시되고 있다.
초고압 살균 처리한 농축산물 또는 식용재료가 냉장, 냉동 또는 가열 처리한 농축산물 또는 식용재료보다 보존 기간이 연장된다는 것은 이미 업계에서 공지의 사실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농축산물 또는 식용재료를 초고압 살균 처리하는 경우에도 보존 기간은 냉장, 냉동 또는 가열 처리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2배 정도에 지나지 않는다(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09493호, 등록번호 제10-1352025호 등 참조). 즉, 초고압 살균 처리 방법도 보존 기간을 연장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난황을 초고압 살균 처리만 해서는 식품 재료나 화장품 재료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통기간을 확보하기 어렵다. 더구나, 난황을 초고압 살균 처리만 해서는 식품 제조나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 취급성 및 가공성이 나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79807호(등록일자 : 2010.08.27)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80610호(공개일자 : 2012.07.17)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78723호(공개번호 : 2012.07.10)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09493호(등록일자 : 2013.09.11)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52025호(등록일자 : 2014.01.09)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4-0079564호(공개일자 : 2014.06.27)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5-0040558호(공개일자 : 2015.04.15)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6-0002159호(공개일자 : 2016.01.07)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7-0007105호(공개일자 : 2017.01.18)
본 발명은 상술한 난황의 산업적 이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난황의 보존 기간을 초고압 살균처리나 냉동, 가열 등의 다른 살균처리를 한 경우보다 대폭 늘리면서, 식품 제조나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 난황의 취급성 및 가공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난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는 난황 분리 단계와, 분리된 난황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난황 여과 단계와, 여과된 난황을 가요성 봉투에 충전하는 난황 충전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에서 공기를 제거하고 봉투를 밀봉하는 난황 밀폐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내에 투입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기 투입 단계와,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압력을 초고압(4,000bar ~ 7,000bar)까지 승압한 후 초고압을 일정시간 유지하면서 난황을 살균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와, 초고압에 의하여 살균된 난황을 봉투에 담긴 채 냉동장치의 냉동 챔버에 투입하는 난황 냉동 챔버 투입 단계와, 냉동 챔버에 투입된 난황을 초저온(-40℃ ~ -45℃)에서 동결시키는 난황 초저온 동결 단계와,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개봉한 후 냉동 챔버를 진공 처리하여 난황의 함수율이 2%이내가 될 때까지 난황에 포함된 수분을 승화시켜 난황을 건조시키는 난황 동결 건조 단계와, 동결 건조된 난황을 분쇄기에 의하여 고상 분말상태로 분쇄하는 난황 분쇄 단계와, 분쇄된 난황 분말을 포장하는 난황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에 의하여 해결할 수 있다.
난황을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처리한 후, 초저온(-40℃ ~ -45℃)으로 동결하고, 동결상태에서 함수율 2%이내로 수분을 제거하면, 예상을 뛰어 넘는 저장 기간의 상승적인 연장 효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효과는 일반적인 동결건조 온도인 0℃~-30℃ 조건에서의 동결건조와 초저온 살균을 결합하여서는 얻을 수 없는 효과이다. 즉, 본원 발명과 같이,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 방법과 초저온(-40℃ ~ -45℃) 동결건조 방법을 결합하여 난황을 처리할 경우, 초고압 살균처리만한 경우보다 상온저장 기간을 3배이상 늘릴 수 있고, 일반적인 동결 건조만 시킨 경우보다 4배 이상 늘릴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정도의 보존기간 연장은 난황의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크게 촉진할 수 있는 수치이다. 이는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 과정에서 비활성화된 세균이 초저온(-40℃ ~ -45℃) 동결과정에서 대부분 사멸한 결과일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초고압 살균처리 및 초저온 동결 건조 후 동결 건조된 상태에서 분쇄하므로, 고상 분말화가 매우 용이하고, 분말화된 난황은 식품 가공이나 화장품 가공 등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품 제조나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 난황의 취급성 및 가공성이 크게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난황 난황의 고상 분말의 실물 사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은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과정에서, 난황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 단계(106)와, 난황 초저온(-40℃ ~ -45℃) 동결 단계(108)와, 동결 난황을 진공상태에서 승화 건조시키는 단계(109,110)를 결합한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은 난황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 단계(106) 이전에, 난황 분리 단계(101)와, 난황 여과 단계(102)와, 난황 충전 단계(103)와, 난황 밀폐 단계(104)와, 난황 초고압 살균기 투입 단계(105)를 시행한다.
상기 난황 분리 단계(101)는 난으로부터 난백과 난황을 분리하여 난황을 취합하는 단계이다. 난황은 자동화기기를 이용하여 난으로부터 분리해 낼 수 있다.
상기 난황 여과 단계(102)는 분리된 난황을 여과하여 껍질 등 불순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난황 충전 단계(103)는 여과된 난황을 가요성 봉투에 충전하는 단계이다. 가요성 봉투로는 폴리에틸렌 봉투 등 합성수지 봉투를 사용할 수 있다. 난황을 가요성 봉투에 투입하기 전에 난황을 교반하여 균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황을 가용성 봉투에 투입하는 과정에는 온도를 5℃ ~ 10℃의 냉장 온도로 유지하고, 멸균 조건하에 가요성 봉투에 충전한다.
난황 밀폐 단계(104)는 난황이 충전된 봉투에서 난황에 발생한 기포와 봉투에 유입된 공기를 제거하고 봉투를 밀봉하는 단계이다. 초고압 발생기는 물 등의 액체를 매질로 해서 정수압으로 가압하기 때문에 봉투 내부의 압력과 봉투 외부의 압력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봉투 내부에 기포나 공기가 어느 정도 잔류하더라도 초고압의 압력이 전달되고, 이에 의하여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만, 본원 발명에서와 같이, 기포 및 공기를 완전히 제거할 경우, 공기의 압력이 아닌 매질의 압력이 난황 전체에 직접 전달되어 살균이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진다.
난황 초고압 살균기 투입 단계(105)에서는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초고압 살균기(예를 들어 NC-Hyperblic, Spain)의 실린더 내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실린더 내에는 난황이 충전된 봉투가 배치된 이 후 가압매질인 물을 채운다.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은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106)와, 난황 냉동 챔버 투입 단계(107)와, 난황 초저온 동결 단계(108)와, 난황 동결 건조 단계(109,110)와, 난황 분쇄 단계(111)를 시행한다.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106)는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압력을 10 내지 20 분 내에 초고압(4,000bar ~ 7,000bar)까지 승압한 후 초고압(4,000bar ~ 7,000bar)을 일정시간(2분 내지 7분) 유지하면서 난황을 살균하는 단계이다. 이때 난황의 온도는 5℃ ~ 10℃(냉장온도)로 유지한다. 상기 실린더 압력은 6,000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난황에 가해지는 초고압(4,000bar ~ 7,000bar)은, 병원균 (살모넬라균, 리스테리아 균, 황색포도상구균, 이콜라이, 클로스트리디움, 대장균, 효모, 곰팡이 또는 엔트로 박테리아과)를 비활성화하지만, 난황에 존재하는 단백지질 복합체의 생리활성은 그대로 유지시킨다. 상기 실린더 압력을 5분 미만 동안 초고압으로 유지해도 충분한 살균이 이루어지지만, 보존기간을 비교적 장기간으로 예정할 때는 5분 내지 7분 정도의 초고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저온(5℃ ~ 10℃) 초고압(4,000bar ~ 7,000bar) 살균방법은 살균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살균처린 된 난황의 영양성분 및 외관이 그대로 보존되어 고품질의 가공식품의 제조가 가능하다. 난황은 4,000 기압 이상에서 단단한 겔이 된다. 가압 된 난황은 소화성이 우수하고, 비타민이 보존되고, 선명한 색상과 독특한 물성을 나타내다.
난황 냉동 챔버 투입 단계(107)는 초고압(4,000bar ~ 7,000bar)에 의하여 살균된 난황을 봉투에 담긴 채 냉동장치의 냉동 챔버에 투입하는 단계이다.
난황 초저온 동결 단계(108)는 냉동 챔버에 투입된 난황을 초저온(-40℃ ~ -45℃)에서 동결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은 난황을 초고압 살균 후, 연속적으로 초저온에서 동결시킴으로써, 병원균의 대부분을 사멸시킨다.
난황 동결 건조 단계(109, 110)는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개봉한 후 냉동 챔버를 진공 처리하여 난황의 함수율이 2%이내가 될 때까지 동결 난황에 포함된 얼음을 승화시켜 난황을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즉, 저온에서 초고압 살균된 난황을 동결건조장치의 냉동 챔버에서 탈수화시켜 고형화하는 단계이다. 이때 함수율을 2% 이내가 되게 하는 것은 분쇄 가공의 용이성과, 보존 기간의 연장을 위하여 의미가 있다. 초저온(-40℃ ~ -45℃)에서 동결시킨 후, 냉동 챔버 온도를 10℃가 넘지 않는, 바람직하게는 5℃ 내외의 온도로 조정하여 난황을 언 상태로 유지하면서 냉동 챔버 내부 압력을 진공 상태까지 감압하여 건조시킨다. 냉동 챔버에서 초저온(-40℃ ~ -45℃)으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장치에 옮겨져 위 동결 건조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초고압 살균 난황은 약 -40 ~ -45 ℃에서 작동하는 대형 냉동 건조기에서 성분 분자의 화학적 특성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상당한 수분 제거가 가능한 물리적 및 대기 조건을 반영하여 2 % 이하의 함수율로 탈수된다. 동결 건조는 단백지질 복합체(proteo-lipid complex)의 생체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고품질의 난황을 생성한다. 난황이 이 과정을 거치면 제품의 포장을 위한 분쇄 등을 할 때 가공성이 월등히 좋아져, 제품포장이 용이하고, 2차가공이 용이하다.
난황 분쇄 단계(111)는 동결 건조된 난황을 분쇄기에 의하여 고상 분말상태로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 과정을 통하여 난황의 포장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은, 초고압 살균처리 및 초저온 동결 건조 후 동결 건조된 상태에서 분쇄하므로, 고상 분말화가 매우 용이하고, 분말화된 난황은 식품 가공이나 화장품 가공 등에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식품 제조나 화장품 제조 공정에서 난황의 취급성 및 가공성이 크게 개선된다.
난황 포장 단계(112)는 분쇄된 난황 분말을 통상의 포장기를 사용하여 봉지나 용기에 포장하는 단계이다. 건조된 난황 분말은 적절한 크기로 분쇄되고 폴리 라이닝 된 드럼 또는 상자에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난황의 고상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초고압 살균 방법과 초고압 살균 후에 이루어지는 초저온 동결 및 진공 건조 방법 을 결합하여, 난황의 보존 기간을 획기적으로 연장하고, 고상 분말화할 수 있게 한다. 즉, 난에서 분리한 난황을 냉장 온도(5℃ ~ 10℃) 및 멸균 조건하에서 가요성이 좋은 합성수지 봉지에 충전시키고 공기를 제거한 후 밀봉시킨 상태에서, 고압 챔버 내에 배치한 후 4,000bar-7,000bar의 압력에서 2분 내지 7분간 유지하여 초고압 살균을 시행하고, 초고압 살균 후, 봉지에 담긴 난황을 냉동 챔버에 투입하여 -40℃~-45℃로 동결하고, 냉동 챔버에 진공을 가하여 동결 난황의 얼음을 승화시켜 함수율 2% 이내로 건조시켜, 분쇄가능한 상태로 만든다. 이 과정에서 난황의 영양이나 관능의 변화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실시 예 1>
인증된 사육장에 얻은 유정 계란을 사용하였다. 계란은 자동화기기에 의하여 껍질이 제거되고 난황와 난백으로 자동 분리되었다. 교반에 의해 균질화시킨 300L의 유정난황을 획득하고, 100L의 난황에 대하여 5 ℃로 유지하면서 멸균 조건하에서 폴리에틸렌 봉지에 충전시키고 갇힌 기포를 제거한 후 밀봉하였다. 이러한 폴리에틸렌 봉투는 20L의 부피로 하였다. 봉투를 고압 챔버(NC-Hyperbaric, Spain)의 실린더 내에 배치하였다. 가압 매질로서 물을 사용하고, 압력을 10분에 걸쳐 6000 bar로 증가시켰다. 5 분의 유지 시간 후에 릴리스 밸브를 열어 압력을 해제하였다.
초고압 살균 처리된 난황으로부터 분취액을 획득하여 약 5℃에서 수 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초저온(-40도~ -45도)에서 동결시킨 후, 5 ℃의 온도에서 난황을 언상태로 유지하면서 냉동 챔버의 압력을 진공상태까지 감압하여 건조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은 동결 건조 난황을 분쇄기로 갈아 50~60 mesh 크기의 난황 분말을 얻었다. 도 2는 이렇게 얻은 난황의 사진이다.
대조군1로 사용하기 위하여 다른 100L의 난황에 대하여, 위 초고압 살균 방법에 의하여 살균한 대조군1(초고압살균 액상난황)을 얻었다.
대조군2로 사용하기 위하여 또 다른 100L의 난황에 대하여, 위 일반적인 동결 건조 방법에 따라 -10℃에서 동결 건조한 후 50~60 mesh 크기로 분쇄하여 대조군2(일반동결건조 난황분말)을 얻었다.
세균 오염도 측정은 실시 예와 대조군1 및 대조군2를 상온에서 보관하면서, 완전한 배지상에서 표준 희석 플레이팅과 배양기에서 37 ℃ 온도 조건으로 48 시간 동안 배양된 살모넬라 균의 CFU/g를 카운팅 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었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
1일 후 60일 후 120일 후 240일 후 360일 후
실시 예 3 40 1.0E+1 3.0E+2 1.0E+5
대조군1 50 2.0E+2 2.5E+5 2.1E+7 1.5E+10
대조군2 2.0E+2 1.5E+5 3.3E+8 2.2E+11 2.0E+13
실시 예에 의하면, 난황의 보존 기간을 12개월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대조군1이나 대조군2에 의하면, 난황의 보존 기간을 2개월이상 연장하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고압 살균만 할 경우 연장되는 보존 기간이 그리 길지 않는 반면, 제품의 가공성은 일반동결건조에 비하여 크게 떨어진다. 또한, 일반적인 동결 건조만 할 경우 파우더 형태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어 제품의 가공성이 매우 좋아지지만, 살균이 안 되어 보존 기간이 크게 연장되지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초고압 살균과 동결 건조 방법을 동결시 초저온(-40℃~-45℃)을 채택하여 결합함으로써, 예기치 못했던 보존 기간의 연장 효과를 얻었고, 이를 통해 난황의 식품 산업 활용도 및 화장품 산업 활용도를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에서 얻은 장기간의 보존 기간 연장 효과는 0℃~-30℃의 온도에서 시행한 일반적인 동결 건조 방법을 초고압 살균과 결합해서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3)

  1. 난으로부터 난황을 분리하는 난황 분리 단계;
    분리된 난황을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난황 여과 단계;
    난황의 온도를 5℃ ~ 10℃의 냉장 온도로 유지하여 멸균 조건하에서 여과된 난황을 가요성 봉투에 충전하는 난황 충전 단계 ;
    난황이 충전된 봉투에서 공기를 제거하고 봉투를 밀봉하는 난황 밀폐 단계;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내에 투입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기 투입 단계;
    난황의 온도를 5℃ ~ 10℃의 냉장온도로 유지하면서, 초고압 살균기의 실린더 압력을 4,000bar ~ 7,000bar의 초고압까지 승압한 후 초고압을 일정시간 유지하면서 난황을 살균하는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
    초고압에 의하여 살균된 난황을 봉투에 담긴 채 냉동장치의 냉동 챔버에 투입하는 난황 냉동 챔버 투입 단계;
    냉동 챔버에 투입된 난황을 -40℃ ~ -45℃의 초저온에서 동결시키는 난황 초저온 동결 단계;
    난황이 충전된 봉투를 개봉한 후, 냉동 챔버 온도를 10℃가 넘지 않는 온도로 조정하여 난황을 언 상태로 유지하면서 냉동 챔버 내부 압력을 진공 상태까지 감압하여 냉동 챔버를 진공 처리한 후 난황의 함수율이 2%이내가 될 때까지 동결 난황에 포함된 얼음을 승화시켜 난황을 건조시키는 난황 동결 건조 단계;
    동결 건조된 난황을 분쇄기에 의하여 고상 분말상태로 분쇄하는 난황 분쇄 단계;
    분쇄된 난황 분말을 포장하는 난황 포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난황 초고압 살균 단계에서, 상기 실린더 압력은 6,000b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압력을 초고압으로 유지하는 시간은 2분 내지 7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KR1020170030790A 2017-03-10 2017-03-10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KR101808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90A KR101808211B1 (ko) 2017-03-10 2017-03-10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790A KR101808211B1 (ko) 2017-03-10 2017-03-10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211B1 true KR101808211B1 (ko) 2017-12-15

Family

ID=60954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790A KR101808211B1 (ko) 2017-03-10 2017-03-10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2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95B1 (ko) * 2001-08-01 2003-10-08 주동관 타조알 분말의 제조방법
KR100979807B1 (ko) * 2008-03-05 2010-09-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용재료의 초고압 처리방법
KR101309493B1 (ko) 2011-09-30 2013-09-23 (주)다손 과열수증기조리법과 초고압 비가열살균법을 이용한 고품질의 간편편이식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0695B1 (ko) * 2001-08-01 2003-10-08 주동관 타조알 분말의 제조방법
KR100979807B1 (ko) * 2008-03-05 2010-09-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용재료의 초고압 처리방법
KR101309493B1 (ko) 2011-09-30 2013-09-23 (주)다손 과열수증기조리법과 초고압 비가열살균법을 이용한 고품질의 간편편이식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ang et a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inger essential oil nanoemulsion encapsulated by zein/NaCas and antimicrobial control on chilled chicken
KR20190066970A (ko) 생육의 원형이 보존된 동결건조 고양이 사료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양이 사료
KR101940233B1 (ko) 천연 발효분말을 이용한 육제품의 제조방법
KR101935967B1 (ko) 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JP5656640B2 (ja) 常温保存安定化機能性乾燥物またはその粉砕物とその抽出画分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らの用途
KR101808211B1 (ko) 난황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JPH07147938A (ja) シカの血液から作られた粉末を含む健康食品及びそのための製造方法
KR101864147B1 (ko) 동결 건조를 이용한 스피룰리나 함유 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927208B1 (ko) 녹색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KR101495569B1 (ko) 고농도 알린이 함유된 마늘분말 및 그 제조방법
CS225812B2 (en) The production of the fertilizer from the tree rind
Cui et al. Application of antimicrobial-loaded nano/microcarriers in different food products
KR20150068063A (ko) 닭가슴살 분말 및 이를 함유한 건강식품 또는 다이어트 식품의 제조방법
KR101933534B1 (ko) 인삼의 고상 분말 제조 방법
RU253839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ухого гидрализата из голотурий и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ая добавка к пище, полученная таким способом
KR101336292B1 (ko) 초고압 저온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녹용 또는 녹각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KR101539282B1 (ko) 몰약 오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815560B1 (ko) 단계적 비가열 공정을 통한 식품 분말의 제조 방법
EP1371297A1 (en) Method for producing a health food additive and said health food additive
KR100858107B1 (ko) 동결건조에 의한 자라분말 캡슐 제조방법
KR102622432B1 (ko) 두부 분말의 제조 방법
RU2563932C2 (ru) Способ переработки перги и перговая паста, полученная с помощью способа
AU2007312906B2 (en) Processes for preparing fertilized egg components
KR20030019500A (ko) 동결건조 꽃송이버섯(학명:Sparassis crispa)의제조방법과 그의 보존방법
KR20210000709U (ko) 꽃송이버섯 음용 차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