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009B1 - 원목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원목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8009B1
KR101808009B1 KR1020170129087A KR20170129087A KR101808009B1 KR 101808009 B1 KR101808009 B1 KR 101808009B1 KR 1020170129087 A KR1020170129087 A KR 1020170129087A KR 20170129087 A KR20170129087 A KR 20170129087A KR 101808009 B1 KR101808009 B1 KR 101808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induction
processing
guide
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이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민 filed Critical 이창민
Priority to KR1020170129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8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8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8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2Smoothing, i.e. working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03Mechanical surface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6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burning or charring, e.g. cutting with hot wi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이 원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입되어 이송되는 유도부; 유도부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이 통과하고,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부를 통과한 원목을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유도부의 진입측에 위치되고, 원목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목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진입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의 표면을 균일하면서도 매끈하게 가공하고 원목의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양을 최소화하며,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비산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원목 가공 장치{LOG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원목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목의 표면을 균일하게 가공하는 원목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목재 건축물, 특히 전통 한옥, 사찰 등에 사용되는 원목은 통나무의 표피층을 벗겨 원기둥 형상 또는 사각기둥 형상으로 가공된다. 특히, 원기둥 형상의 원목은 비계목, 주태의 서까래, 지붕재 또는 말뚝으로서 사용되고, 근래에는 가로방향을 배치하여 적층시켜 벽체를 만들고 모서리를 우물방틀모양으로 짠 벽체의 건물인 방틀집(통나무집)을 건축하는 데에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원기둥 형상의 원목은 목수에 의해 수작업으로 가공된다. 이때, 직경이 크고 긴 원목은 가공하기가 상당히 불편하고, 표면이 울퉁불퉁하거나 굽은 경우에는 가공하는 데에 더욱더 큰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원기둥 형상의 원목의 외주면을 가공하는 데에 있어, 재래식 평대패 또는 전통평대패 등을 이용한 수작업이 이루어지기에, 작업에 따른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비용의 상승이 초래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원기둥 형상의 통나무를 가공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개발된 장치는 긴 길이를 갖는 통나무를 가공하고자 할 때 외주면의 연마 정도 및 연마 정확도가 일정하지 않아 통나무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의 표면을 균일하면서도 매끈하게 가공하고 원목의 외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비산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는 원목이 원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입되어 이송되는 유도부; 유도부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이 통과하고,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부를 통과한 원목을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유도부의 진입측에 위치되고, 원목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목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진입 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유도부는,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배열되면서 원목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유도롤들; 유도롤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된 유도롤들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유도롤들을 회전시키는 유도 구동부; 및 이송방향을 따라 유도롤들에 상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되는 원목을 감지하는 유도 감지부를 포함하되, 유도 감지부가 유도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원목을 감지할 때, 유도 구동부는 유도롤을 회전시키면서 원목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유도 구동부는, 유도롤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일단부가 유도롤과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유도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도 링크; 유도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유도 스프라켓; 유도 링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유도 링크를 회전시키는 유도 실린더; 유도롤들의 유도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유도 스프라켓과 맞물리는 유도 체인; 유도 체인에 연결되어, 유도 체인을 이동시켜 유도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유도 모터; 유도 스프라켓과 유도롤을 연결하여, 유도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유도롤을 회전시키는 유도 회전 체인; 및 유도롤들의 유도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간에 맞물리는 연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공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양종단면을 관통하는 유도홀이 형성되는 가공 베이스부; 가공 베이스부의 유도홀 주위를 따라 가공 베이스부의 일종단면에 고정되는 가공 고정부; 가공 고정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공 고정부에 결합되고, 유도홀에 유도되는 원목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한 가공 몸체부; 가공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가공 구동부; 및 가공 베이스부, 가공 고정부 및 가공 몸체부를 수용하도록 유도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되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유도홀에 상응하는 하우징홀이 형성되는 가공 하우징부를 포함하되, 가공 구동부가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킬 때, 가공 몸체부는 가공 베이스부에 의해 회전하고, 접촉된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할 수 있다.
또한, 원목 가공 장치는, 가공 하우징부의 외측면에서 하우징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가공 하우징부의 내부로부터 가공 하우징부의 외부로 유도되는 원목의 파편과 접촉되는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단부는, 가공 하우징부의 외측면에서 하우징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하우징홀을 통과하는 원목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차단 가이드부; 및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차단 가이드부를 향하여 유도되는 원목의 파편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차단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목 가공 장치는, 가공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원목의 파편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흡입부는, 가공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폐쇄된 흡입 공간을 형성하고, 가공 몸체부를 향하도록 복수 개의 흡입홀들이 형성된 흡입 몸체부; 흡입홀들에 대응하도록 흡입 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흡입 가이드부; 흡입 몸체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흡입 저장부; 및 흡입 몸체부와 흡입 저장부를 연결하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하되, 가공 몸체부가 원목을 절삭하여 가공할 때, 원목의 파편은 흡입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어 흡입홀로 유도되고 흡입홀들을 통과하여 흡입 공간에 유입되고 흡입 저장부에 저장되며, 흡입 구동부는 원목의 파편을 흡입 공간으로부터 흡입하여 흡입 저장부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공 고정부는, 가공 고정부의 일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가공 몸체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홈; 및 가공 고정부의 타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가공 고정부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하는 배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는,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배열되면서 원목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배출롤들; 배출롤에 연결되어, 배출롤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배출롤들을 회전시키는 배출 구동부; 및 이송방향을 따라 배출롤들에 상응하도록 위치되어, 배출되는 원목을 감지하는 배출 감지부를 포함하되, 배출 감지부가 배출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원목을 감지할 때, 배출 구동부는 배출롤을 회전시키면서 원목에 접촉되도록 이송시키며, 배출 감지부가 원목의 후단을 감지할 때, 배출 구동부는 상측에 위치된 배출롤들을 원목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가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 구동부는, 배출롤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일단부가 배출롤과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배출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배출 링크; 배출 링크의 타종단부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라켓; 배출 링크의 일종단부에 연결되어 배출 링크를 회전시키는 배출 실린더; 배출롤들의 배출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유도 스프라켓과 맞물리는 배출 체인; 배출 체인에 연결되어, 배출 체인을 이동시켜 배출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배출 모터; 및 배출 스프라켓과 배출롤을 연결하여, 배출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배출롤을 회전시키는 배출 회전 체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입 조정부는, 유도부의 진입측에서 원목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도록 위치되는 진입롤; 및 진입롤의 양종단면에 연결되어 진입롤의 회전축을 제공하고, 진입롤을 상하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조정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가 달성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1) 원목의 표면이 균일하면서도 매끈하게 가공되고, 원목의 외경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2)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양이 최소화된다.
(3) 원목의 가공에 따른 파편의 비산이 감소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의 유도부 및 배출부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의 가공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를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100)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100)의 유도부(101) 및 배출부(103)를 도시하는 배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100)의 가공부(102)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100)는 유도부(101), 가공부(102), 배출부(103) 및 진입 조정부(104)를 포함하여, 원목(L)의 표면을 가공하는 데에 이용된다. 여기서, 원목(L)은 별도로 가공되지 않는 통나무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원목 가공 장치(100)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원목(L)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연마함으로써 원목(L)을 가공한다.
유도부(101)는 진입된 원목(L)을 일방향(A)을 따라 이송한다. 즉, 원목(L)은 원목(L)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도부(101)에 진입되어 이송된다. 또한, 유도부(101)는 유도롤(111)들, 배출 구동부(113) 및 배출 감지부(115)를 포함한다.
유도롤(111)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유도롤(111)들은 한 쌍씩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원목(L)의 이송방향(A)을 따라 배열된다. 원목(L)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유도롤(111)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송된다. 또한, 유도롤(111)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목(L)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유도롤(111)들은 회전하여 원목(L)을 이송방향(A)을 따라 이송한다.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롤(111)들에 연결되어 유도롤(111)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원목(L)은 유도롤(111)들에 의해 이송된다. 특히,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대응되도록 배열된 유도롤(111)들은 유도 구동부(113)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측 유도롤(111)이 하향 이동될 때, 하측 유도롤(111)은 상향 이동되는 반면에, 상측 유도롤(111)이 상향 이동될 때, 하측 유도롤(111)은 하향 이동된다.
또한,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 링크(113a), 유도 스프라켓(113b), 유도 실린더(113c), 유도 체인(113d), 유도 모터(113e), 유도 회전 체인(113f) 및 연동 기어(113g)를 포함한다.
유도 링크(113a)는 유도롤(111)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유도 링크(113a)의 일단부는 유도롤(111)과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유도 링크(113a)가 유도 링크(113a)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유도롤(111)은 유도 링크(113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유도롤(111)들이 상호 간에 근접하도록 이동함으로써, 원목(L)은 유도롤(111)들에 접촉되고 유도롤(111)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유도 스프라켓(113b)은 유도 링크(113a)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유도 스프라켓(113b)은 유도 스프라켓(113b)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유도 실린더(113c)는 유도 링크(113a)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유도 링크(113b)를 회동시킨다. 즉, 유도 실린더(113c)는 유도롤(111)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유도 체인(113d)은 유도 링크(113a)의 각각에 위치된 유도 스프라켓(113b)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유도 스프라켓(113b)과 맞물린다. 이때, 유도롤(111)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유도 스프라켓(113b)들은 유도 체인(113d)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유도 모터(113e)는 유도 체인(113d)에 연결되어, 유도 체인(113d)을 이동시킨다. 이때, 유도 스프라켓(113b)들은 동시에 회전된다.
유도 회전 체인(113f)는 유도 스프라켓(113b)와 유도롤(111)을 연결한다. 유도 스프라켓(113b)이 유도 모터(113e)에 의해 회전될 때, 유도 스프라켓(113b)의 회전력은 유도 회전 체인(113f)을 통해 유도롤(111)에 전달되고, 유도롤(111)은 유도롤(111)의 길이방향을 따른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이때,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대응되도록 배열된 유도롤(111)들에 대응되는 유도 스프라켓(113b)들은 상호 간에 상이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유도롤(111)들은 유도 스프라켓(113b)들에 의해 원목(L)을 일방향(A)을 따라 이송시키도록 회전된다.
유도 모터(113e)로부터 발생된 동력은 유도 체인(113d), 유도 스프라켓(113b)들 및 유도 회전 체인(113f)으로 전달되어 유도롤(111)들을 회전시킨다. 유도롤(111)들이 회전됨으로써, 원목(L)은 유도롤(111)들에 접촉된 상태에 유도롤(111)들에 의해 일방향(A)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연동 기어(113g)는 유도 링크(113a)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유도롤(111)들이 한 쌍씩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경우, 연동 기어(113g)들도 유도롤(111)에 대응하면서 상하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때, 연동 기어(113g)들은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간에 맞물려 치차 결합된다.
유도 링크(113a)의 일단부에 연결된 유도 실린더(113c)가 작동될 때, 유도 링크(113a)는 회동된다, 이때, 유도 링크(113a)들이 연동 기어(113g)에 의해 상호 간에 맞물린다. 이로 인해, 유도 링크(113a)들은 동시에 회동되고 유도롤(111)들을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연동 기어(113g)들이 부채꼴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상태에서 치차 결합되어 맞물린 상태이기에, 유도 링크(113a)들 중 상측에 위치된 유도 링크(113a)만이 유도 실린더(113c)에 의해 회동될 때, 연동 기어(113g)들은 동시에 회전되어, 유도 링크(113a)들 중 하측에 위치된 유도 링크(113a)도 회동된다. 이로 인해, 유도롤(111)들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유도롤(111)들의 간격은 동시에 좁아지거나 넓어진다. 따라서, 유도롤(111)들 사이로 진입되어 유도되는 원목(L)의 외경이 길이방향을 따라 상이하더라도, 유도롤(111)들은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목(L)의 외주면에 접지력을 제공하고, 원목(L)은 유도롤(111)들에 의해 가공부(102)로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유도 감지부(115)는 유도롤(111)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유도되는 원목(L)을 감지한다. 원목(L)이 유도롤(111)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원목(L)은 유도 감지부(115)에 감지된다. 이때,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 감지부(115)에 의해 제어되어, 유도롤(111)들을 원목(L)에 접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원목(L)이 유도롤(111)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목(L)은 유도 감지부(115)에 감지되지 않는다. 이때, 유도 구동부(113)는 유도 감지부(115)에 의해 제어되어, 유도롤(111)들을 원목(L)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유도 감지부(115)는 유도 구동부(113)의 유도 실린더(113c) 및 유도 모터(113e)를 제어한다.
가공부(102)는 유도부(101)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L)을 통과시키고, 원목(L)의 외주면을 가공한다. 이때, 가공부(102)는 원목(L)의 외주면을 절삭하는 형태로 가공하고, 원목(L)의 외주면은 매끈하게 된다. 또한, 가공부(102)는 가공 베이스부(121), 가공 고정부(123), 가공 몸체부(125), 가공 구동부(127) 및 가공 하우징부(129)를 포함한다.
가공 베이스부(121)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가공 베이스부(121)에는 가공 베이스부(121)의 양종단면을 관통하는 유도홀(121a)이 형성되고, 유도홀(121a)에는 원목(L)이 통과가능하다. 가공 베이스부(121)는 유도홀(121a)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가공 베이스부(121)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21b)이 형성된다.
가공 고정부(123)는 유도홀(121a) 주위를 따라 가공 베이스부(121)의 일종단면에 고정된다. 또한, 가공 고정부(123)의 일면에는 고정홈(123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가공 고정부(123)의 타면에는 배출홈(123b)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배출홈(123b)은 가공 고정부(123)의 내주면과 외주면을 연결한다.
가공 몸체부(125)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고, 가공 고정부(123)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가공 고정부(123)에 결합된다. 가공 몸체부(125)는 고정홈(123a)에 삽입되어 가공 고정부(123)에 결합되고, 유도홀(121a) 주위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원목(L)이 유도부(101)에 의해 유도홀(121a)에 삽입되도록 유도될 때, 가공 몸체부(125)는 원목(L)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가공 베이스부(121)의 회전에 의해 원목(L)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어 원목(L)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한다. 이로 인해, 원목(L)의 외주면은 매끈하게 된다. 또한, 원목(L)은 유도홀(121a)을 따라 유도부(101)에 의해 이송되기에 원목(L)의 길이방향을 따라 지속적으로 균일하게 가공 몸체부(125)에 의해 가공된다.
가공 구동부(127)는 가공 베이스부(121)에 연결되어 가공 베이스부(121)를 회전시킨다. 이때, 가공 구동부(127)는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벨트(127a)를 통해 가공 베이스부(121)에 연결된다. 또한, 벨트(127a)는 가공 베이스부(121)의 가이드홈(121b)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공 구동부(127)로부터 발생된 동력을 가공 베이스부(121)에 전달한다.
또한, 원목(L)의 외주면이 절삭되어 원목(L)의 가공이 이루어질 때, 수분 등이 원목(L)으로부터 발생된다. 이러한 수분은 배출홈(123b)으로 유도되어 배출된다. 이로 인해, 가공부(102)는 수분으로 인해 부식되지 않을 수 있다.
가공 하우징부(129)는 가공 베이스부(121), 가공 고정부(123) 및 가공 몸체부(125)를 수용하도록 유도부(101)와 배출부(103) 사이에 위치된다. 가공 하우징부(129)에는 유도홀(121a)에 상응하도록 하우징홀(129a)이 형성된다. 원목(L)은 하우징홀(129a)을 통해 가공 하우징부(129)의 내부에 유입되어 유도홀(121a)에 삽입된다. 원목(L)이 하우징홀(129a)에 삽입된 때, 가공 몸체부(125)는 원목(L)의 외주면에 절삭하여 가공한다. 즉, 원목(L)의 가공은 가공 하우징부(129)의 내부에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원목(L)의 절삭에 따른 파편은 가공 하우징부(129)에 의해 어느 정도 차단되어 비산되지 않을 수 있어, 원목 가공 장치(100)의 주위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배출부(103)는 가공부(102)를 통과한 원목(L)을 일방향(A)을 따라 이송하여 배출한다. 즉, 원목(L)은 배출부(103)에 진입된 상태로 이송된다. 또한, 배출부(103)는 배출롤(131)들, 배출 구동부(133) 및 배출 감지부(135)를 포함한다.
배출롤(131)들은 복수 개로 이루어진다. 배출롤(131)들은 한 쌍씩 대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열되면서 원목(L)의 이송방향(A)을 따라 배열된다. 원목(L)은 상하방향으로 배열된 배출롤(131)들 사이를 통과하면서 이송된다. 또한, 배출롤(131)들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원목(L)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이때, 배출롤(131)들은 회전하여 원목(L)을 이송방향(A)을 따라 이송하여 배출시킨다.
배출 구동부(133)는 배출롤(131)들에 연결되어 배출롤(131)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회전시킨다. 이로 인해, 원목(L)은 배출롤(131)들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배출 구동부(133)는 배출 링크(133a), 배출 스프라켓(133b), 배출 실린더(133c), 배출 체인(133d), 배출 모터(133e) 및 배출 회전 체인(133f)을 포함한다.
배출 링크(133a)는 배출롤(131)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배출 링크(133a)의 일단부는 배출롤(131)과 교차하도록 연결된다. 배출 링크(133a)가 배출 링크(133a)의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할 때, 배출롤(131)은 배출 링크(133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배출 스프라켓(133b)은 배출 링크(133a)의 타단부에 설치된다. 이때, 배출 스프라켓(133b)은 배출 스프라켓(133b)의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배출 실린더(133c)는 배출 링크(133a)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배출 링크(133b)를 회동시킨다. 즉, 배출 실린더(133c)는 배출롤(131)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배출 체인(133d)은 배출 링크(133a)의 각각에 위치된 배출 스프라켓(133b)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배출 스프라켓(133b)과 맞물린다. 이때, 배출롤(131)들의 각각에 대응되는 배출 스프라켓(133b)들은 배출 체인(133d)에 의해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될 수 있다.
배출 모터(133e)는 배출 체인(133d)에 연결되어, 배출 체인(133d)을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배출 스프라켓(133b)들은 동시에 회전된다.
배출 회전 체인(133f)는 배출 스프라켓(133b)와 배출롤(131)을 연결한다. 배출 스프라켓(133b)이 배출 모터(133e)에 의해 회전될 때, 배출 스프라켓(133b)의 회전력은 배출 회전 체인(133f)을 통해 배출롤(131)에 전달되고, 배출롤(131)은 배출롤(131)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된다.
배출 모터(133e)에 의해 발생된 동력은 배출 체인(133d), 배출 스프라켓(133b) 및 배출 회전 체인(133f)으로 전달되어 배출롤(131)들을 회전시킨다. 배출롤(131)들이 회전됨으로써, 가공부(102)에 가공된 이후에 원목(L)은 배출롤(133)들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배출 구동부(133)은 유도 구동부(113)의 연동 기어(113g)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배출롤(131)들은 배출 구동부(133)의 배출 실린더(133c)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대응하도록 배열된 경우 동시에 이동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원목(L)은 위치별로 상이한 외경을 가진 상태로 가공부(102)에 유도되고, 가공부(102)에서 일정한 외경을 갖도록 절삭되어 가공된다. 원목(L)은 가공부(102)를 통해 매끈한 외주면을 가지면서 일정한 외경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원목(L)은 일정한 위치로 위치될 필요가 없어, 배출 구동부(133)는 연동 기어(113g)에 대응하는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다.
배출 감지부(135)는 배출롤(131)들의 상측에 위치되어 가공된 이후에 유도되는 원목(L)을 감지한다. 원목(L)이 배출롤(131)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원목(L)은 배출 감지부(135)에 감지된다. 이때, 배출 구동부(133)는 배출 감지부(135)에 의해 제어되어, 배출롤(131)들을 원목(L)에 접촉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면에, 원목(L)이 배출롤(131)들에 대응하도록 위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원목(L)은 배출 감지부(315)에 의해 감지하지 않는다. 이때, 배출 구동부(133)는 배출 감지부(135)에 의해 제어되어, 배출롤(131)들을 개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배출 감지부(315)가 원목(L)의 후단을 감지하는 경우, 즉, 원목(L)이 배출부(103)의 배출롤(131)들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배출 감지부(315)는 상측에 위치된 배출롤(131)들을 상향 이동시키면서 원목(L)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상측에 위치된 배출롤(131)들은 가공부(102)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원목(L)이 배출부(103)로부터 배출될 때, 낙하에 따른 충격은 원목(L)에 감소되어 전달되어, 원목(L)은 안정적으로 배출부(103)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배출 감지부(135)는 배출 구동부(133)의 배출 실린더(133c) 및 배출 모터(133e)를 제어한다.
진입 조정부(104)는 유도부(101)의 진입측에 위치된다. 원목(L)은 유도부(101)에 진입될 때 진입 조정부(104) 상에 위치된다. 진입 조정부(104)는 원목(L)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목(L)의 진입 위치를 조정한다. 이로 인해, 원목(L)은 적절한 위치에서 수평을 유지하면서 유도부(101)에 진입될 수 있다. 또한, 진입 조정부(104)는 진입롤(141) 및 조정 몸체부(143)를 포함한다.
진입롤(141)은 유도부(101)의 진입측에서 원목(L)의 유도방향(A)과 교차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원목(L)은 진입롤(141)과 교차한다. 원목(L)이 유도부(101)에 진입할 때, 진입롤(141)은 원목(L)과 접촉되어 회전한다.
조정 몸체부(143)는 진입롤(141)의 양종단면에 연결된다. 이때, 조정 몸체부(143)는 진입롤(141)의 회전축을 제공한다. 특히, 조정 몸체부(143)는 진입롤(141)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진입롤(141)은 원목(L)의 외경 크기 및 가공부(102)의 위치를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원목(L)을 적절한 수평 위치에서 유도부(101)에 진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원목 가공 장치(100)는 원목(L)을 유도부(101)를 이용하여 가공부(102)로 이송하고, 가공부(102)에서 원목(L)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한 후에 배출부(103)를 이용하여 원목(L)을 배출한다. 또한, 진입 조정부(104)는 유도부(101)에 진입되는 원목(L)의 수평 위치를 조정한다.
원목(L)이 상당한 길이를 갖고 다양한 외경 크기를 갖더라도, 진입 조정부(104) 및 유도부(101)는 원목(L)의 외경의 변화에 따라 제어되어, 원목(L)을 정확하게 파지하고 지지한 상태로 가공부(102)로 이송시킨다. 이때, 유도부(101)는 원목(L)을 가공부(102), 특히 가공 베이스부(121)의 유도홀(121a)의 중심에 대응하도록 조정한다. 이로 인해, 원목(L)은 가공부(102)에서 편심을 이루지 않으면서 가공부(102)의 가공 몸체부(125)들에 의해 균일하게 절삭되어 가공됨으로써, 매끈한 외주면을 갖게 된다. 또한, 원목(L)은 가공부(102)에서 편심을 이루지 않기에, 원목(L)의 외주면은 불필요하게 절삭되어 가공되지 않고, 원목(L)의 가공으로 인해 발생되는 파편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원목 가공 장치(300)를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목 가공 장치(300)는 유도부(301), 가공부(302), 배출부(303), 진입 조정부(304), 차단부(305) 및 흡입부(306)를 포함하여, 원목(L)의 표면을 가공하는 데에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유도부(301), 가공부(302), 배출부(303) 및 진입 조정부(304)는 제 1 실시예의 유도부(101), 가공부(102), 배출부(103) 및 진입 조정부(104)와 동일한 구성이기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차단부(305) 및 흡입부(306)는 제 1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상이한 구성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차단부(305) 및 흡입부(306)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차단부(305)는 가공부(302)의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측면에서 가공 하우징부(329)의 하우징홀(329a) 주위를 따라 설치된다. 이때, 차단부(305)는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측면으로부터 하우징홀(329a)을 통과하는 원목(L; 도 2 참조)의 외주면에 인접하도록 연장된다. 가공 하우징부(329) 내부에서 원목(L)의 외주면이 가공부(302)의 가공 몸체부(325)에 의해 절삭되어 가공될 때, 발생되는 파편은 차단부(305)를 향하여 차단부(305)에 접촉되어 가공 하우징부(329)의 내부에 위치되기도 하고, 차단부(305)에 수용된다. 또한, 차단부(305)는 차단 가이드부(351) 및 차단 수용부(353)을 포함한다.
차단 가이드부(351)는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측면에서 하우징홀(329a) 주위를 따라 설치된다. 원목(L)이 하우징홀(329a)를 통과할 때, 차단 가이드부(351)는 원목(L)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싼다. 원목(L)의 절삭에 따른 파편은 차단 가이드부(351)를 향하면 차단 가이드부(351)에 접촉된다. 이때, 파편은 차단 가이드부(351)에 의해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차단 수용부(353)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주머니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 가이드부(351)에 설치된다. 이때, 차단 수용부(353)는 차단 가이드부(351)에서 가공 하우징부(329)와 마주하지 않는 일면, 즉 차단 가이드부(351)의 외측면에 설치된다. 원목(L)이 가공 몸체부(325)에 의해 절삭될 때 발생되는 파편은 차단 가이드부(351)를 향하는 경우 차단 수용부(353)의 내부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차단 수용부(353)는 차단 가이드부(351)에 형성된 가이드홀에 연결된다. 즉, 원목(L)의 파편은 가이드홀를 통과하여 차단 수용부(353)에 유입된다. 차단 수용부(353)의 입구측은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가이드홀에 분리가능하도록 체결된다. 또한, 차단 수용부(353)는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차단 수용부(353)에 저장된 파편의 양은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차단 수용부(353)는 개별적으로 차단 가이드부(351)로부터 착탈되어 저장한 파편의 양을 고려하여 폐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부(305)는 유도부(301)에 인접한 하우징홀(329a)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303)에 인접한 하우징홀(329a)에 설치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원목(L)의 절삭에 따라 파편은 가공부(302)의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아, 유도부(301) 및 배출부(303)에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유도부(301) 및 배출부(303)는 파편으로 인한 별도의 청소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흡입부(306)는 가공 하우징부(329)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325) 주위를 따라 설치된다. 원목(L)이 가공 몸체부(325)에 의해 절삭되어 가공될 때 발생되는 파편은 흡입부(306)에 의해 흡입된다. 또한, 흡입부(306)는 흡입 몸체부(361), 흡입 가이드부(363), 흡입 저장부(365) 및 흡입 구동부(367)를 포함한다.
흡입 몸체부(361)는 가공 하우징부(329)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325)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폐쇄된 흡입 공간(361a)을 형성한다. 흡입 몸체부(361)에는 복수 개의 흡입홀(361b)들이 형성되고, 흡입홀(361b)들은 가공 몸체부(325)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원목(L)의 파편은 흡입홀(361b)들을 통해 흡입 공간(361a)에 유입될 수 있다.
흡입 가이드부(363)는 흡입홀(361b)들에 대응하도록 흡입 몸체부(361)의 일면에 설치된다. 이때, 흡입 가이드부(363)는 가공 몸체부(325)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파편의 유도 방향에 상응하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가공 몸체부(325)가 회전되어 원목(L)의 외주면을 절삭할 때, 원목(L)의 파편은 흡입 가이드부(363)에 의해 안정적으로 흡입홀(361b)들에 유도된다. 이로 인해, 원목(L)의 파편은 흡입 공간(361a)에 안정적으로 유입된다.
흡입 저장부(365)는 흡입 몸체부(361)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흡입 몸체부(361)의 흡입 공간(361a)에 유입된 원목(L)의 파편은 흡입 저장부(365)에 유도되어 저장된다. 이때, 흡입 몸체부(361)에서 원목(L)의 파편은 중력의 작용으로 인해 흡입 저장부(365)에 유도된다. 또한, 원목(L)의 파편은 흡입 저장부(365)에 저장되기에, 용이하게 폐기될 수 있다. 흡입 저장부(365)는 가공 하우징부(329)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투명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 저장부(365)에 저장된 원목(L)의 파편의 양은 확인될 수 있고, 어느 정도 수집된 상태에서 폐기될 수 있다.
흡입 구동부(367)는 흡입 몸체부(361)와 흡입 저장부(367)를 연결하고, 원목(L)의 파편을 흡입 몸체부(361)의 흡입 공간(361a)로부터 흡입하여 흡입 저장부(367)로 유도한다. 즉, 흡입 구동부(367)는 원목(L)의 파편을 흡입 저장부(367)로의 유도를 향상시킨다. 이로 인해, 원목(L)의 파편은 흡입 몸체부(361)의 흡입 공간(361a)에 부착되거나 정체되지 않고, 흡입 저장부(367)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흡입 구동부(367)의 흡입력은 흡입 몸체부(361)와 가공 몸체부(325) t사이에도 작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흡입 구동부(367)는 가공 몸체부(325)에 의해 발생된 원목(L)의 파편을 흡입홀(361b)을 통해 흡입 공간(361a)으로 유입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흡입부(306)는 가공부(302)의 가공 하우징부(329) 내부에서 비산되는 원목(L)의 파편을 흡입하여 저장한다. 이때, 가공 몸체부(345)에 의한 원목(L)의 절삭 가공에 의해 발생되는 원목(L)의 파편은 가공 하우징부(329)의 내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원목(L)의 파편은 가공부(302)의 가공 하우징부(329)의 외부로 비산되지 않아 유도부(301) 및 배출부(303)에 유도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목(L)의 파편와 가공 몸체부(345)의 접촉이 최소화되어, 원목(L)의 가공은 원목(L)의 파편에 의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원목 가공 장치(300)에서 차단부(305)는 원목(L)의 파편을 원목(L)의 절삭 가공이 이루어지는 공간으로부터 배출을 방지하고, 흡입부(306)는 원목(L)의 파편을 흡입합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원목 가공 장치(300)는 원목(L)의 파편이 유도부(301) 및 배출부(303)에 유도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유도부(301) 및 배출부(303)를 청소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원목 가공 장치(300)는 흡입부(306)에 의해 원목(L)을 절삭하는 가공하는 가공 몸체부(325) 주위로부터 원목(L)의 파편을 제거하기에, 원목(L)의 절삭 가공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300: 원목 가공 장치
101, 301: 유도부 111: 유도롤
113: 유도 구동부 115: 유도 감지부
102, 302: 가공부 121: 가공 베이스부
123: 가공 고정부 125: 가공 몸체부
127: 가공 구동부 129: 가공 하우징부
103, 303: 배출부 131: 배출롤
133: 배출 구동부 135: 배출 감지부
304: 진입 조정부 141: 진입롤
143: 조정 몸체부 305: 차단부
351: 차단 가이드부 353: 차단 수용부
306: 흡입부 361: 흡입 몸체부
363: 흡입 가이드부 365: 흡입 저장부
367: 흡입 구동부

Claims (5)

  1. 원목이 원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진입되어 이송되는 유도부;
    유도부에 의해 이송되는 원목이 통과하고,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하는 가공부;
    가공부를 통과한 원목을 배출시키는 배출부; 및
    유도부의 진입측에 위치되고, 원목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원목의 진입 위치를 조정하는 진입 조정부를 포함하되,
    가공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양종단면을 관통하는 유도홀이 형성되는 가공 베이스부;
    가공 베이스부의 유도홀 주위를 따라 가공 베이스부의 일종단면에 고정되는 가공 고정부;
    가공 고정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공 고정부에 결합되고, 유도홀에 유도되는 원목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한 가공 몸체부;
    가공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가공 구동부;
    가공 베이스부, 가공 고정부 및 가공 몸체부를 수용하도록 유도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되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유도홀에 상응하는 하우징홀이 형성되는 가공 하우징부; 및
    가공 하우징부의 외측면에서 하우징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가공 하우징부의 내부로부터 가공 하우징부의 외부로 유도되는 원목의 파편과 접촉되는 차단부를 포함하되,
    가공 구동부가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킬 때, 가공 몸체부는 가공 베이스부에 의해 회전하고, 접촉된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하며,
    차단부는,
    가공 하우징부의 외측면에서 하우징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하우징홀을 통과하는 원목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차단 가이드부; 및
    주머니 형태로 이루어지고 차단 가이드부에 설치되어, 차단 가이드부를 향하여 유도되는 원목의 파편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차단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도부는,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배열되면서 원목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유도롤들;
    유도롤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배열된 유도롤들을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유도롤들을 회전시키는 유도 구동부; 및
    이송방향을 따라 유도롤들에 상응하도록 위치되어, 유도되는 원목을 감지하는 유도 감지부를 포함하되,
    유도 감지부가 유도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원목을 감지할 때, 유도 구동부는 유도롤을 회전시키면서 원목에 접촉되도록 이동시키며,
    유도 구동부는,
    유도롤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일단부가 유도롤과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유도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유도 링크;
    유도 링크의 타단부에 설치되는 유도 스프라켓;
    유도 링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유도 링크를 회전시키는 유도 실린더;
    유도롤들의 유도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유도 스프라켓과 맞물리는 유도 체인;
    유도 체인에 연결되어, 유도 체인을 이동시켜 유도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유도 모터;
    유도 스프라켓과 유도롤을 연결하여, 유도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유도롤을 회전시키는 유도 회전 체인; 및
    유도롤들의 유도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상호 간에 맞물리는 연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가공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양종단면을 관통하는 유도홀이 형성되는 가공 베이스부;
    가공 베이스부의 유도홀 주위를 따라 가공 베이스부의 일종단면에 고정되는 가공 고정부;
    가공 고정부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가공 고정부에 결합되고, 유도홀에 유도되는 원목의 외주면에 접촉가능한 가공 몸체부;
    가공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키는 가공 구동부;
    가공 베이스부, 가공 고정부 및 가공 몸체부를 수용하도록 유도부와 배출부 사이에 위치되고,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유도홀에 상응하는 하우징홀이 형성되는 가공 하우징부; 및
    가공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 주위를 따라 설치되고, 원목의 파편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되,
    가공 구동부가 가공 베이스부를 회전시킬 때, 가공 몸체부는 가공 베이스부에 의해 회전하고, 접촉된 원목의 외주면을 절삭하여 가공하며,
    흡입부는,
    가공 하우징부 내부에서 가공 몸체부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폐쇄된 흡입 공간을 형성하고, 가공 몸체부를 향하도록 복수 개의 흡입홀들이 형성된 흡입 몸체부;
    흡입홀들에 대응하도록 흡입 몸체부의 일면에 설치되는 흡입 가이드부;
    흡입 몸체부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흡입 저장부; 및
    흡입 몸체부와 흡입 저장부를 연결하는 흡입 구동부를 포함하되,
    가공 몸체부가 원목을 절삭하여 가공할 때, 원목의 파편은 흡입 가이드부에 의해 유도되어 흡입홀로 유도되고 흡입홀들을 통과하여 흡입 공간에 유입되고 흡입 저장부에 저장되며,
    흡입 구동부는 원목의 파편을 흡입 공간으로부터 흡입하여 흡입 저장부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배출부는,
    원목이 통과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한 쌍씩 배열되면서 원목의 이송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배출롤들;
    배출롤에 연결되어, 배출롤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배출롤들을 회전시키는 배출 구동부; 및
    이송방향을 따라 배출롤들에 상응하도록 위치되어, 배출되는 원목을 감지하는 배출 감지부를 포함하되,
    배출 감지부가 배출롤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원목을 감지할 때, 배출 구동부는 배출롤을 회전시키면서 원목에 접촉되도록 이송시키며,
    배출 감지부가 원목의 후단을 감지할 때, 배출 구동부는 상측에 위치된 배출롤들을 원목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시키면서 가공부로부터 멀어질수록 하측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고,
    배출 구동부는,
    배출롤들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며, 일단부가 배출롤과 교차하도록 연결되고, 타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배출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배출 링크;
    배출 링크의 타종단부에 설치되는 배출 스프라켓;
    배출 링크의 일종단부에 연결되어 배출 링크를 회전시키는 배출 실린더;
    배출롤들의 배출 스프라켓들을 연결하면서 각각의 유도 스프라켓과 맞물리는 배출 체인;
    배출 체인에 연결되어, 배출 체인을 이동시켜 배출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배출 모터; 및
    배출 스프라켓과 배출롤을 연결하여, 배출 스프라켓의 회전에 의해 배출롤을 회전시키는 배출 회전 체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목 가공 장치.
KR1020170129087A 2017-10-10 2017-10-10 원목 가공 장치 KR101808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087A KR101808009B1 (ko) 2017-10-10 2017-10-10 원목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9087A KR101808009B1 (ko) 2017-10-10 2017-10-10 원목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8009B1 true KR101808009B1 (ko) 2017-12-13

Family

ID=60944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9087A KR101808009B1 (ko) 2017-10-10 2017-10-10 원목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80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59B1 (ko) * 2007-07-12 2007-10-04 흥성공업 주식회사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217960B1 (ko) * 2012-09-03 2013-01-02 정태우 원목 외경 절삭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1559B1 (ko) * 2007-07-12 2007-10-04 흥성공업 주식회사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217960B1 (ko) * 2012-09-03 2013-01-02 정태우 원목 외경 절삭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49914A (ko) 밤 외피 절개장치
KR20140114241A (ko) 생선 가공장치
KR101894837B1 (ko) 양단 그라인딩 머신
KR101808009B1 (ko) 원목 가공 장치
KR20180075829A (ko)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KR101835306B1 (ko) 장신구용 와이어 가공 장치
FR2648736A1 (fr) Machine d'usinage par decharge electrique a rouleau de guidage de fil d'electrode
US3832922A (en) Automatic back rip machine
KR101577055B1 (ko) 원목 절단 장치 및 방법
KR101808010B1 (ko) 원목 가공 장치
KR100462320B1 (ko) 자동 목재절단기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217960B1 (ko) 원목 외경 절삭 가공장치
EA037542B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лесопильной линии и лесопильная линия
KR102410434B1 (ko) 냉동육 절단기
JP2009131945A (ja) 表面処理装置
KR200348411Y1 (ko) 자동 목재절단기
AU2010101185A4 (en) Adjustable core saw
KR200274626Y1 (ko) 목공용 선반의 공작물 곡면가공용 가이드장치
KR101803913B1 (ko) 근채류 절단장치
US20210039272A1 (en) Automated food-cutting machine
KR20010017597A (ko) 합판절단장치
JP2665927B2 (ja) 押出機におけるゴムシート状材料の供給装置
US20200269469A1 (en) Sawing Machine
JP2007168022A (ja) シャフト加工装置
KR101909145B1 (ko) 일체형 절단 면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