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1559B1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1559B1
KR100761559B1 KR1020070070062A KR20070070062A KR100761559B1 KR 100761559 B1 KR100761559 B1 KR 100761559B1 KR 1020070070062 A KR1020070070062 A KR 1020070070062A KR 20070070062 A KR20070070062 A KR 20070070062A KR 100761559 B1 KR100761559 B1 KR 10076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yclone
impeller
grain
grain dr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0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흥순
Original Assignee
흥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흥성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흥성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70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4Construction of the underflow ducting; Apex constructions; Discharge arrangements ; discharge through sidewall provided with a few slits or perforations
    • B04C5/185Dust coll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5/00Apparatus in which the axial direction of the vortex is reversed
    • B04C5/12Construction of the overflow ducting, e.g. diffusing or spiral exit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ycl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으로 공기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투입구의 후단으로는 일정한 비틀림각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임펠러를 형성하며, 타측으로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턱을 포함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 하측으로는 상기 집진기 탱크로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집진구로 이루어진 사이클론부와 상기 사이클론부에 형성된 제1 임펠러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의 후단으로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된 비틀림각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림각을 형성한 안내판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공간부를 포함하는 제2 임펠러로 이루어진 보조 사이클론부로 구성된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사이클론부를 이용하여 집진할 때에, 보조 사이클론부의 제2 임펠러에 의해 사이클론부의 중심에서 정체되는 분진이나 먼지들도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집진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으며, 또한,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의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사이클론부를 형성함으로써, 집진 시 마찰에 의해 분진이 정체되지 않으며, 특히, 호스가 결합하는 공기투입구와 제1 임펠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집진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곡물건조기, 집진기, 사이클론

Description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A dust gathering apparatus for grain drier}
본 발명은 곡물건조기에 장착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 중 분진이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도록 사이클론부와 집진부를 구비한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건조기는 곡물을 투입한 후 투입된 곡물을 호퍼자치를 통해 상측으로 이동시킨 후 분산장치를 통해 곡물을 하측으로 떨어뜨리게 되면 건조장치로 곡물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하측으로 떨어지는 곡물에 송풍장치를 통해 바람을 불어 넣어 곡물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나 분진 및 검불과 같은 이물질을 곡물건조기 밖으로 배출게 된다.
또한, 곡물을 정미하는 정미소의 정미기에서도 정미할 때 발생하는 분진과 먼지등을 밖으로 배출할수 있도록 송풍장치로 바람을 불어 넣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작업중에 먼지나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에은 불순물이 생산물에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장치로 불순물을 분리 하였으나, 이는 불순물을 분리만 할 뿐 모아주는 장치가 없어 작업환경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 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공보 제0255204호(2001. 12.01.)에는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상기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 집진본체(110)내 상부에 구비되는 사이클론(120)과 상기 사이클론(120) 내주면에 구비되어 송풍된 공기의 송풍압을 조절하는 풍향조절판(121)과 상기 집진본체(110)의 측면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사이클론(120)을 통과한 공기속의 미분리된 미세분진을 제거하는 직물휠터(140)와 상기 직물휠터(14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분산판(150)과 집진본체(110)의 전면에 형성된 도어(160) 및 상기 도어(160) 일측에 형성된 내부확인구(170)와 도어(160)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는 고무마개(18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는 사이클론을 이용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집진하면서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함으로써, 집진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잔여량의 분진은 공기분산판과 직물휠터를 이용하여 집진하도록 하여 일부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도록 작용을 하며, 작업하는 중간에 작업상태를 관찰할 수 있는 내부확인구 및 밀폐를 위해 고무마개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는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가 수평한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반해, 사이클론은 수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풍향조절판에 의해 와류를 형성시키는 과정에서 일반 먼지의 경우는 하측으로 떨어져 분리가 되지만, 분진의 경우, 풍향조절판과 부딪히는 과정에서 하측으로 이동하지 않고 상측으로 공기와 같이 배출되어 집진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이클론 중앙에 정체된 일부의 분진의 경우도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상측으로 배출되어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곡물건조용 집진장치는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호스를 이용해 공급받아 집진하도록 구성된 사이클론부와 상기 사이클론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분진이나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집진 저장부 및 저장된 분진이나 먼지를 수거할 수 있는 도어로 이루어진 집진기 탱크를 형성한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일측으로 공기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투입구의 후단으로는 일정한 비틀림각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임펠러를 형성하며, 타측으로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턱을 포함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 하측으로는 상기 집진기 탱크로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집진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사이클론부에 형 성된 제1 임펠러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의 후단으로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된 비틀림각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림각을 형성한 제2 임펠러로 이루어진 보조 사이클론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는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사이클론부를 이용하여 집진할 때에, 보조 사이클론부의 제2 임펠러에 의해 사이클론부의 중심에서 정체되는 분진이나 먼지들도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집진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의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방향으로 사이클론부를 형성함으로써, 집진 시 마찰에 의해 분진이 정체되지 않으며, 특히, 호스가 결합하는 공기투입구와 제1 임펠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이 또한 집진의 효과를 증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50)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집진기 탱크(3)와 사이클론부(10), 보조 사이클론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사이클론부(10)는 일측으로 곡물건조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을 호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유입시킬 수 있는 공기투입구(11)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투입구(11) 후단으로는 일정한 비틀림각(α)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임펠러(12)를 형성하며, 상기 공기투입구(11)와 대응 되는 방향에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턱(13a)을 포함하는 배출구(13)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13)의 하단으로는 집진구(14)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임펠러(12)는 공기투입구(11)와 90 ∼ 110mm의 이격(d)을 형성하도록 하여, 공기투입구(1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흡입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1 임펠러(12)의 비틀림각(α)은 42 ∼ 47°로 형성하도록 하여, 원심력에 의해 분진이나 먼지가 집진구(14)까지 원활히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보조 사이클론부(2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부(10)의 제1 임펠러(12) 내측에 결합 형성된 가이드봉(21)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가이드봉(21)의 후단으로는 제1 임펠러(12)의 비틀림각의 역방향으로 비틀려 있는 비틀림각을 형성한 안내판(22b)과 일정한 간격(d1)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공간부(22a)를 형성한 제2 임펠러(22)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한 간격은 원할한 공기의 유입 및 토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집진기 탱크(3)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배출구(13) 하단에 형성된 집진구(14)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사이클론부(10) 및 보조 사이클론(20)에 의해 이동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집진 저장부(1) 및 저장된 분진이나 먼지를 수거할 수 있는 도어(2)를 일측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50)를 곡물건조기 가까이에 설치를 한 후,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유도할 수 있는 호스를 사이클론부(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공기 투입구(11)에 삽입하여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집진할 수 있도록 장착을 한다.
그런 후, 상기 곡물건조기를 이용하여 곡물을 건조시키는 작업을 시작하게 되면,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먼지가 호스에 의해 사이클론부(10)의 공기 투입구(11)로 유도되어 유입된다.
그러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부(10)에 형성되어 있는 42 ∼ 27°의 비틀림각(α)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임펠러(12)에 의해 분진이나 먼지가 일정한 각으로 원심력의 원리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서 사이클론부(10)의 외주면을 타고 이동하게 된다.
이때에, 상기 공기 투입구(11)와 제1 임펠러(12)는 일정한 이격(d)을 두고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가 원활히 사이클론부(10)로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부(10)의 작동과 동시에 보조 사이클론부(20)에서도 호스에 의해 유입한 분진이나 먼지를 흡입하여 가이드봉(21)에 의해 분진이나 먼지를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21)으로 이동한 분진이나 먼지는 가이드봉(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임펠러(22)에 의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클론부(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분진이나 먼지를 회전시키면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사이클론부(10)와 보조 사이클론부(20)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을 하면, 상기 사이클론부(10)로 유입된 분진이나 먼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임펠러(12)의 비틀림각(α)에 의해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보조 사이클론부(20) 에서도 가이드 봉(21)을 통해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하게 되며, 상기 가이드 봉(21)의 후단에 형성되어 있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공간부(22a)를 통해 분진이나 먼지를 사이클론부(10)의 내부로 유입시키되, 제2 임펠러(22)에 포함되어 있는 사이클론부(10)의 제1 임펠러(12)의 비틀림각과 반대방향으로 각을 형성한 안내판(22b)에 의해 공기를 사이클론부(10)의 외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분사하여, 상기 사이클론부(10)에서 분진이나 먼지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분진이나 먼지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클론부(10)의 제1 임펠러(12)에서 회전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와 보조 사이클론부(20)에서 나오는 공기가 서로 충돌하게 되는 과정에서 보조 사이클론(20)에 있던 먼지나 분진이 탈락하게 되면서 사이클론부(10)의 공기에 흡입되어, 상기 사이클론부(10)의 배출부(13)에 형성된 배출턱(13a)에 의해 분진이나 먼지가 외부로 바로 방출되지 않으면서, 집진구(14)를 통해 집진기 탱크(3)의 집진 저장부(2)로 저장되어 진다.
또한, 상기 작용과 동시에 보조 사이클론부(20)의 공기는 사이클론부(10)의 제1 임펠러(12)에서 나오는 공기를 사이클론부(10)의 외주면을 밀어주는 작용도 하기 때문에, 상술한 사이클론부(10)의 중심 부분에서 정체되는 분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시켜 집진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집진기 탱크(3)에 저장된 분진이나 먼지는 집진기 탱크(3)에 형성된 도어(2)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거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곡물건조기 집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곡물건조기 집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곡물건조기 집진장치의 공기분산판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내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A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사이클론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부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사이클론부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클론부와 보조사이클론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집진 저장부 2 : 도어
3 : 집진기 탱크 10 : 사이클론부
11 : 공기 투입구 12 : 제1 임펠러
13 : 배출구 14 : 집진구
20 :보조 사이클론부 21 : 가이드 봉
22 : 제2 임펠러 d : 이격
α : 제1 임펠러 비틀림각 50 :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laims (4)

  1.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호스를 이용해 공급받아 집진하도록 구성된 사이클론부와 상기 사이클론부와 연결되어 있으며, 분진이나 먼지를 저장할 수 있는 집진 저장부 및 저장된 분진이나 먼지를 수거할 수 있는 도어로 이루어진 집진기 탱크를 형성한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는, 일측으로 공기투입구를 형성하고, 상기 공기투입구의 후단으로는 일정한 비틀림각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1 임펠러를 형성하며, 타측으로는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배출턱을 포함하는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배출구 하측으로는 상기 집진기 탱크로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집진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사이클론부에 형성된 제1 임펠러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곡물건조기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를 유입시킬 수 있는 가이드봉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봉의 후단으로는 상기 사이클론부의 제1 가이드부에 형성된 비틀림각과 반대방향으로 비틀림각을 형성한 안내판과 일정한 간격을 형성한 공간부를 포함하는 제2 임펠러로 이루어진 보조 사이클론부에 특징이 있는 곡물건조용 집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임펠러는 상기 공기투입구와 일정한 이격을 두고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곡물건조용 집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펠러와 공기투입구의 이격은 90 ∼ 110mm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곡물건조용 집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임펠러의 비틀림 각은 42 ∼ 47°인 것에 특징이 있는 곡물건조용 집진장치.
KR1020070070062A 2007-07-12 2007-07-12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076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62A KR100761559B1 (ko) 2007-07-12 2007-07-12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0062A KR100761559B1 (ko) 2007-07-12 2007-07-12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559B1 true KR100761559B1 (ko) 2007-10-04

Family

ID=39418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0062A KR100761559B1 (ko) 2007-07-12 2007-07-12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55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69B1 (ko) 2007-10-10 2008-03-20 한국정밀(주)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KR100875966B1 (ko) 2008-03-31 2008-12-26 한국정밀(주)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101175545B1 (ko) * 2010-06-14 2012-08-22 유한회사 호남산업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206938B1 (ko) 2010-06-22 2012-11-30 (주)승영기술공사 고형물 제거장치
KR101808009B1 (ko) * 2017-10-10 2017-12-13 이창민 원목 가공 장치
KR20230115942A (ko) 2023-07-17 2023-08-03 김예성 곡물건조기의 미세분진 습식집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264A (ja) 1998-07-21 2000-02-0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穀物乾燥機の集塵装置
KR200255204Y1 (ko) 2001-08-18 2001-12-01 최광철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
KR20020074994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264A (ja) 1998-07-21 2000-02-08 Kaneko Agricult Mach Co Ltd 穀物乾燥機の集塵装置
KR20020074994A (ko) * 2001-03-23 2002-10-04 엘지전자주식회사 건조기용 이물질 채집장치
KR200255204Y1 (ko) 2001-08-18 2001-12-01 최광철 곡물건조기의 집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5569B1 (ko) 2007-10-10 2008-03-20 한국정밀(주) 곡물건조기용 습식 집진기
KR100875966B1 (ko) 2008-03-31 2008-12-26 한국정밀(주) 곡물 건조용 집진기
KR101175545B1 (ko) * 2010-06-14 2012-08-22 유한회사 호남산업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KR101206938B1 (ko) 2010-06-22 2012-11-30 (주)승영기술공사 고형물 제거장치
KR101808009B1 (ko) * 2017-10-10 2017-12-13 이창민 원목 가공 장치
KR20230115942A (ko) 2023-07-17 2023-08-03 김예성 곡물건조기의 미세분진 습식집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1559B1 (ko)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101404920B (zh) 家用旋风式真空清洁器的分开开口的垃圾容器
KR101170939B1 (ko) 합성수지 원료의 분진제거장치
CN206660852U (zh) 精制棉开棉收尘装置
CN103417163A (zh) 自主真空吸尘器
CN103417162A (zh) 自主真空吸尘器
CA2601615A1 (en) Dust-collecting apparatus of a vacuum cleaner
US10028630B2 (en) Cleaner
KR101253461B1 (ko) 집진 장치
KR10076712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CN209032135U (zh) 回收桶及其清洗机
CN106268131A (zh) 废旧产品回收线的除尘系统
CN103521451B (zh) 一种猪毛自动分拣净化装置
CN209412539U (zh) 一种空气净衣柜
CN103263816A (zh) 一种集高效旋风收尘的气箱式袋式收尘器
CN103157333A (zh) 一种袋式除尘器
CN206483279U (zh) 高压涡流袋式除尘器
KR101963322B1 (ko) 집진 효율성을 증대시킨 곡물건조기용 집진장치
CN209548729U (zh) 一种高胶粉的喷雾干燥器
CN207471918U (zh) 旋转沸腾闪蒸干燥机
CN208583627U (zh) 一种农业用谷物分离装置
CN203235382U (zh) 一种集高效旋风收尘的气箱式袋式收尘器
CN206152513U (zh) 一种圆筒形脉冲布袋除尘器
CN201239594Y (zh) 旋风除尘粗滤器
KR200453178Y1 (ko) 곡물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