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5829A -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5829A
KR20180075829A KR1020160179671A KR20160179671A KR20180075829A KR 20180075829 A KR20180075829 A KR 20180075829A KR 1020160179671 A KR1020160179671 A KR 1020160179671A KR 20160179671 A KR20160179671 A KR 20160179671A KR 20180075829 A KR20180075829 A KR 201800758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cutting
housing
collecting function
s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열
Original Assignee
이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열 filed Critical 이용열
Priority to KR1020160179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75829A/ko
Publication of KR20180075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8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the saw blade being movable on slide 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 B23D4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ith circular saw blades or with friction saw discs with a circular saw blade arranged underneath a stationary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4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4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 B23D47/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circular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frame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 or saw-carrier of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181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rranged underneath a work-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aw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가 구비되고, 함체의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포함되는 지지유닛, 안착면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가공대상물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바가 구비되는 가압유닛 및 함체의 내측에 수평이송 및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착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파트가 구비되는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CUTTING APPARATUS WITH DUST COLL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석재, 목재등의 재단을 위한 절단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단을 동시에 절단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절단 중 발생되는 분진 또는 파편등이 비산되지 않도록 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재 또는 목재로 된 자재를 용도에 맞추어 재단하기 위해서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톱니를 통해 절단을 수행하게 된다.
석재와 같은 경우 큰 절단력이 요구되기에 지상과 같은 견고한 바닥면에 절단수단이 고정되고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절단을 수행하게 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방법은 가공대상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비례하여 늘어나는 하중으로 인해 가공대상물을 일방향으로 곧게 이송시키는 작업이 수월하지 않았다.
또한, 판상의 가공대상물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함에 있어서 회전되는 톱니의 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공대상물을 이송시키며 절단을 수행함과 아울러 적당한 길이만큼 이동시켜 다시 절단을 수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야 했고, 이러한 과정의 반복은 가공에 필요한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파편등으로 인해 작업환경이 열악해 지는 단점이 발생되기도 하며, 절단면이 분진이나 파편등으로 인해 매끄럽게 절단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나타나기도 하였다.
특히 판상의 석재와 같은 가공대상물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함에 있어서, 한 곳에 고정된 회전 톱니를 중심으로 하여 무거운 하중을 지닌 가공대상물을 여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에는 많은 인력이 소모되고, 원하는 정확한 크기로 절단함에 있어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석재 또는 목재와 같은 가공대상물 특히 판상의 가공대상물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할 수 있고, 절단 시 분진 또는 파편등의 비산을 최소화 한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도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가 구비되고, 함체의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포함되는 지지유닛, 안착면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가공대상물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바가 구비되는 가압유닛 및 함체의 내측에 수평이송 및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착면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파트가 구비되는 절단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절단파트는 함체 내측에 길게 형성되는 제2레일, 제2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송되고, 회전되며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회전톱 및 회전톱에 결합되어 회전톱이 승강되도록하는 승강부를 포함한다.
또는, 안착면은 제2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회전톱은 승강부에 의해 상승 시 절개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가압바는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절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에 구비되는 장홈을 포함한다.
또는, 절단유닛은 절단파트로부터 발생되는 가공부산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파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집진파트는 회전톱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 회전톱하우징 및 길이를 지닌 관체로서 회전톱의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배치되고, 개방된 일단은 함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톱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집진관을 포함한다.
또는, 집진관은 상부에 회전톱의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개방되는 인입장공 및 인입장공의 양측에 결합되어 인입장공의 상부에서 서로 맞닿아 인입장공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차단커버를 포함하고, 회전톱하우징의 하부는 차단커버의 사이를 통해 인입장공을 관통하여 집진관의 내부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1레일이 구비되는 베드를 포함하고, 지지유닛, 가압유닛 및 절단유닛은 제1레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제1레일을 따라 상호 간격이 조절되고, 가공대상물의 양측이 각각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무거운 하중을 지닌 석재 또는 목재등과 같은 가공대상물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절단이 수행될 수 있으며 정해진 길이로 재단을 위해 가공대상물을 여러차례에 걸쳐 이송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나 파편등이 주변으로 비산되지 않고 따로 배출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다 우수한 절단면을 얻을 수 있고 작업환경의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파트가 상승하여 가공대상물을 절단중인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파트가절단을 수행한 후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회전톱이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집진파트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집진파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하기 되는 것과 같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한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다양한 재질의 가공대상물의 절단을 위해 실시될 수 있고, 특히 판상의 가공대상물의 양측을 동시에 절단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220)가 구비되고, 함체(220)의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210)이 포함되는 지진유닛(200), 안착면(210)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는 지지프레임(310)과 지지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가공대상물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바(320)가 구비되는 가압유닛(300) 및 함체(220)의 내측에 수평이송 및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안착면(210)에 안착된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파트(410)가 구비되는 절단유닛(400)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그 구성을 크게 지지유닛(200), 가압유닛(300) 및 절단유닛(400)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지지유닛(200), 가압유닛(300) 및 절단유닛(400)은 하나의 가공어레이를 형성하게 된다.
지지유닛(200), 가압유닛(300) 및 절단유닛(400)을 포함하는 가공어레이는 복수 개로 구현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같이 견고한 면에 배치되는 베드(100)가 구비되고, 베드(10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1레일(110)을 따라 각각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가공어레이는 베드(100)의 상부에 한 쌍이 배치되어 각각 또는 하나의 가공어레이가 제1레일(110)을 따라 이송되며 서로간에 간격이 조절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베드(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공어레이는 후술될 회전톱(420)의 수평이송방향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아래에서는 상기된 각각의 가공어레이를 구성하는 지지유닛(200), 가압유닛(300) 및 절단유닛(4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한다.
지지유닛(200)은 상부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210)이 형성되고, 안착면(210)의 하부에는 안착면(210)을 지탱함과 아울러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22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면(210)은 후술될 회전톱(420)이 상부로 일부 돌출 가능하도록 회전톱(420)의 두께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되고, 회전톱(420)의 수평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개방되어 회전톱(420)의 일부가 안착면(2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수평이송되는 과정에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절개부(212)가 구비된다.
가압유닛(300)은 안착면(210)에 놓이는 가공대상물을 고정하여 절단 시 유동이 없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안착면(210)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310) 및 지지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절개부(212)의 연직상부에서 승강하도록 구비되는 가압바(320)가 포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3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면(21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안착면(210)과는 견고하게 결합되는 강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310)은 안착면(210)의 절개부(212)의 길이방향 일측에 결합되고, 절개부(212)를 통해 상부로 노출되는 회전톱(42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공간이 확보되는 회수부(3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회수부(312)는 외부에서 회전톱(320)의 적어도 일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가압바(320)는 절개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지프레임(310)에 종속되어 유압실린더와 같은 승강수단에 의해 절개부(212)의 상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가압바(320)의 하면에는 가압바(320)의 하강 시 절개부(212)와 대응되는 크기로 함몰형성되는 장홈(330)이 구비될 수 있다.
장홈(330)은 회전톱(420)이 안착면(210)의 상부로 노출된 채로 회전하며 가공대상물을 절단 시 회전톱(420)의 상부가 일부 수용될 수 있도록 구비되고, 회전톱(420)의 회전 및 수평이송과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파트가 상승하여 가공대상물을 절단중인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파트가절단을 수행한 후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회전톱이 이동되는 경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절단유닛(400)은 크게 절단파트(410) 및 집진파트(430)로 구분될 수 있고, 함체(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절단파트(410)는 가공대상물의 절단에 관여하는 회전톱(420)과 회전톱(420)이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부여하는 절단모터(416), 회전톱(420)이 함체(220)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도록 작동되는 승강부(418) 및 회전톱(420)이 함체(220)의 내부에서 제2레일(412)을 따라 수평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이송모터(414)가 포함될 수 있다.
회전톱(420)은 원형의 회전톱날을 지닌 절단수단으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둘레에 톱니가 형성되고,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가공대상물을 절단하게 된다.
회전톱(420)은 절단모터(416)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게 되고, 절단모터(416)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톱(420) 및 절단모터(416)는 승강부(418)에 종속되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고, 승강부(4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서 유압실린더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절단모터(416) 및 회전톱(420)이 종속된 승강부(416)는 이송모터(414)에 의해 수평이송이 가능하게 구비된다.
제2레일(412)은 함체(220)의 내측공간에서 절개부(212)의 길이방향과 수평한 길이방향을 지니도록 구비되고, 회전톱(420), 절단모터(416), 승강부(416) 및 이송모터(414)가 제2레일(4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가능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송모터(414)와 제2레일(412)은 치차결합되어 이송모터(414)의 회전에 따라 이송모터(414)와 결합되어 있는 승강부(418), 절단모터(416) 및 회전톱(420)이 제2레일(412)을 따라서 수평 이송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톱(420)은 자체 회전과 함께 함체(220)의 내측에서 상승 또는 하강이 가능함과 아울러 제2레일(412)을 따라 수평이송도 가능하게 된다.
회전톱(420)의 상승 시 회전톱(420)의 일부가 절개부(212)를 통해 안착면(210)의 상부로 노출되어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며 수평으로 이송되고, 절단이 완료되고 회전톱(420)은 회수부(312)에서 하강하여 함체(22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집진파트(430)는 회전톱(420)이 회전하며 가공대상물의 절단 시에 발생되는 분진 또는 파편등과 같은 여러 부산물들이 주변으로 튀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집진파트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집진파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절단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집진파트(430)는 회전톱(420)의 중단 및 하부를 둘러 감싸고 하부로 길게 연통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회전톱하우징(432)과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부와 내측공간이 연통되며 회전톱하우징(432)으로부터 유입된 절단부산물을 함체(22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진관(43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톱하우징(432)은 회전톱(420)의 적어도 일부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회전톱(420)은 상측 일부가 회전톱하우징(432)의 외부로 노출되고, 노출된 회전톱(420)의 일부가 승강부(418)를 통해 상승함에 따라 안착면(210)의 상부로 노출되어 가공대상물과 접하여 절단이 수행된다.
회전톱하우징(432)의 내측공간에 회전톱(420)이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하부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되 내측공간은 회전톱(420)이 수용된 공간으로부터 하부로 연통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진관(434)은 함체(220)의 내측공간에 구비되며, 회전톱(420)의 수평이송방향과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를 지닌 관체로서 일단은 개방되고, 일단은 함체(220)의 내측에서 폐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진관(434)의 개방된 일단은 함체(2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개방된 일단을 통해 음압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흡입이 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집진관(434)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개방된 인입장공(436)이 형성되고, 인입장공은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단 일부가 관통하여 집진관(434)의 내측으로 진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회전톱하우징(432)이 회전톱(420)과 함께 수평이송됨에 따라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단이 집진관(434)의 내측공간으로 삽입된 채로 수평이송이 가능하게 한 것이고, 회전톱(420)의 상승 또는 하강에도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단부가 집진관(43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인입장공(436)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는 탄성재질의 차단커버(438)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차단커버(438)는 인입장공(436)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결합되고, 양측의 차단커버(438)는 인입장공(436)의 상부에서 서로 맞닿아 인입장공(436)이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형성되므로 맞닿은 차단커버(438)의 사이로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단부가 진입하여 인입장공(436)을 거쳐 집진관(434)의 내측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커버(438)는 회전톱하우징(432)이 수평이송됨에 따라 상부로 노출되는 구간이 발생되는 인입장공(436)의 폐쇄를 위한 것으로,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부가 위치한 곳의 차단커버(438)는 자연스럽게 좌우로 사이가 벌어지고, 이외의 차단커버(438)는 서로 맞닿아 인입장공(436)의 상부를 폐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는 가공대상물의 범위를 특정한 형상이나 재질로 한정할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 및 재질의 가공대상물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가공대상물의 양측을 절단하는 예를 들어 작동을 설명한다.
판상의 가공대상물의 양측을 특정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해 베드(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가공어레이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양측 가공어레이에 배치되는 회전톱(420)의 경로간에 형성되는 길이를 결정하고, 양측 가공어레이의 가압바(320)를 상승시켜 가공대상물이 진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양측 가공어레이의 안착면(210)에 가공대상물이 지지되도록 안착시키고, 가압바(320)를 하강시켜 가공대상물의 상면과 접하며 하방으로 가압하여 가공대상물이 안착면(2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절단모터(416)를 회전시켜 회전톱(420)이 회전되도록 하고, 승강부(418)를 통해 회전톱이 상승하게 되고, 절개부(212)를 관통하여 안착면(210)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톱(420)이 가공대상물과 간섭되며 가공대상물의 절단이 수행된다.
이때, 가공대상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회전톱(420)은 가압바(320)에 구비되는 장홈(330)에 수용되고, 장홈(330)을 따라 수평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가공대상물이 회전톱(420)과 간섭되어 절단되는 절단부위는 가압바(320) 및 장홈(330)에 의해 외부와 단절되어 절단을 통해 발생되는 절단부산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회전톱(42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작업자의 안전 또한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톱(420)은 절개부(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이송되며 가공대상물의 절단을 수행하고 절단을 마친 회전톱(420)은 회수부(312)에 이르게 되며, 회수부(312)를 통해 외부에서 육안으로 회전톱(312)의 회전여부 또는 파손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회수부(312)에 위치한 회전톱(420)은 하강하여 함체(220)의 내측공간으로 수용되고, 다시 수평이송됨으로 절단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절단과정에서 함체(220)의 내측공간에서는 가공대상물이 절단되어 발생되는 부산물이 절개부(212)를 통해 진입하는 것을 회전톱하우징(432)를 통해 집진하게 되고, 회전톱하우징(432)을 통해 진집된 부산물은 회전톱하우징(432)의 하부를 거쳐 연통되어 있는 집진관(434)을 경유하여 함체(22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드 110: 제1레일
200: 지지유닛 210: 안착면
220: 함체
300: 가압유닛 310: 지지프레임
312: 회수부 320: 가압바
330: 장홈
400: 절단유닛 410: 절단파트
412: 제2레일 414: 이송모터
416: 절단모터 418: 승강부
420: 회전톱 430: 집진파트
432: 회전톱하우징 434: 집진관
436: 인입장공 438: 차단커버

Claims (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함체가 구비되고, 상기 함체의 상면에 가공대상물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포함되는 지지유닛;
    상기 안착면의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결합되어 승강되며 상기 가공대상물의 상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바가 구비되는 가압유닛; 및
    상기 함체의 내측에 수평이송 및 승강이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안착면에 안착된 상기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파트가 구비되는 절단유닛;
    을 포함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파트는,
    상기 함체 내측에 길게 형성되는 제2레일;
    상기 제2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수평이송되고, 회전되며 상기 가공대상물을 절단하는 회전톱; 및
    상기 회전톱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톱이 승강되도록하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은,
    상기 제2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는 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톱은 상기 승강부에 의해 상승 시 상기 절개부를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바는 상기 절개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안착면의 상부로 돌출되는 상기 회전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면에 구비되는 장홈;
    을 포함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절단파트로부터 발생되는 가공부산물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파트;
    를 포함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파트는,
    상기 회전톱의 적어도 일부를 감쌀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 회전톱하우징; 및
    길이를 지닌 관체로서 상기 회전톱의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배치되고, 개방된 일단은 상기 함체의 외부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톱하우징의 내부와 연통되는 집진관;
    을 포함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관은,
    상부에 상기 회전톱의 수평이송경로를 따라 길게 개방되는 인입장공; 및
    상기 인입장공의 양측에 결합되어 상기 인입장공의 상부에서 서로 맞닿아 상기 인입장공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되며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차단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톱하우징의 하부는 상기 차단커버의 사이를 통해 상기 인입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집진관의 내부와 연통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레일이 구비되는 베드;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제1레일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레일을 따라 상호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가공대상물의 양측이 각각 절단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KR1020160179671A 2016-12-27 2016-12-27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KR201800758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71A KR20180075829A (ko) 2016-12-27 2016-12-27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671A KR20180075829A (ko) 2016-12-27 2016-12-27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829A true KR20180075829A (ko) 2018-07-05

Family

ID=62920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671A KR20180075829A (ko) 2016-12-27 2016-12-27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7582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863A (ko) * 2018-07-20 2018-10-19 강호석 합성수지파이프 절단장치
CN109227763A (zh) * 2018-11-15 2019-01-18 吴燕红 一种多功能林业用木材切割装置
KR102260844B1 (ko) * 2020-12-28 2021-06-07 (주)좋은세상 석재 표면 가공 및 후처리장치
CN113560667A (zh) * 2021-08-16 2021-10-29 瑞金市源东建材有限公司 一种数控机械高精度调节角度的切割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4863A (ko) * 2018-07-20 2018-10-19 강호석 합성수지파이프 절단장치
CN109227763A (zh) * 2018-11-15 2019-01-18 吴燕红 一种多功能林业用木材切割装置
CN109227763B (zh) * 2018-11-15 2020-12-01 安徽月娇家具有限公司 一种多功能林业用木材切割装置
KR102260844B1 (ko) * 2020-12-28 2021-06-07 (주)좋은세상 석재 표면 가공 및 후처리장치
CN113560667A (zh) * 2021-08-16 2021-10-29 瑞金市源东建材有限公司 一种数控机械高精度调节角度的切割台
CN113560667B (zh) * 2021-08-16 2022-06-28 江西源东科技有限公司 一种数控机械高精度调节角度的切割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5829A (ko) 집진기능이 구비된 절단장치
KR101875207B1 (ko) 합판절단장치
US7775143B2 (en) Work table having adjustable hose support
KR100984117B1 (ko) 목재 절단기
KR101894234B1 (ko) 칩 제거용 툴이 구비된 밀링 머신
KR101221841B1 (ko) 판재 절단장치
EP2990147B1 (en) Machine for cutting wood panels or the like
CN107206614A (zh) 用于分割板状工件的板材分割设备及其运行方法
KR101742758B1 (ko) 목재 가공 장치
KR102173931B1 (ko) 목재 자동 재단 장치
JP6975127B2 (ja) 集塵バリ取り作業用装置
EP2801430B1 (en) Machine for cutting wood panels or the like
KR101779067B1 (ko) 툴이동형 브로칭머신
KR20170100701A (ko) 자동 톱 기계장치
CN215968965U (zh) 一种垂直切纸机
CN211306572U (zh) 推台锯物料固定装置
JP2008188715A (ja) 直条部材の切断装置
KR101142523B1 (ko) 목재 가공장치
KR101362931B1 (ko) 절단기
KR101804871B1 (ko) 금속 판재용 삼면 면취 가공장치
KR100462320B1 (ko) 자동 목재절단기 및 이의 구동방법
CN213563114U (zh) 一种木材优选横截锯
KR101994774B1 (ko) 와이어링 덕트 고속 절단장치
CN108202365B (zh) 用于工件的棱边加工的机床
JP3185311U (ja) アルミスラブ加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