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753B1 - 휴대식 작업기 - Google Patents

휴대식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753B1
KR101804753B1 KR1020160013334A KR20160013334A KR101804753B1 KR 101804753 B1 KR101804753 B1 KR 101804753B1 KR 1020160013334 A KR1020160013334 A KR 1020160013334A KR 20160013334 A KR20160013334 A KR 20160013334A KR 101804753 B1 KR101804753 B1 KR 101804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lever
operating
rib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3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0235A (ko
Inventor
노조무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마루야마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마루야마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마루야마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20160100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0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4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e.g. cutting-cylinders
    • A01D34/62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41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 A01D34/6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01D34/67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 A01D34/68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otating cutters having cutter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hand-guided by a walking operator with motor driven cutters or wheels

Landscapes

  • Harvester Eleme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휴대식 작업기(1)는, 후부 조작관(7)의 선단부와 전부 조작관(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1)과,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조작관(8)의 기단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되는 돌기부(28d)를 갖는 레버(28)와,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입설되고, 레버(28)를 둘러싸도록 레버(28) 주위로 연신되는 리브(30)를 구비하고, 리브(30)는 돌기부(28d)가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로, 리브(30) 상단의 형상이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휴대식 작업기{PORTABLE WORKING MACHINE}
본 발명은 2개의 조작관이 연결 장치에 의해 연결된 휴대식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3에 기재된 작업기가 알려져 있다. 이들 작업기에서는 엔진측의 제 1 파이프와 컷터측의 제 2 파이프가 연결 파이프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 1 파이프와 제 2 파이프의 내부에는 엔진의 동력을 컷터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 샤프트가 설치된다. 동력 전달 샤프트는 제 1 파이프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제 2 파이프 내에 배치되는 샤프트로 분할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연결 파이프에 슬릿이 형성되고, 위치 결정 수단인 라체트가 이 슬릿 내에 설치된다. 축지(軸支)된 라체트의 일단에는 고정 갈고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스프링이 접속되어 있다. 연결 파이프에 제 2 파이프가 삽입되면, 제 2 파이프에 천설(穿設)된 구멍에 라체트의 고정 갈고리가 계합(係合)되고, 이것에 의해 제 2 파이프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라체트를 축지하는 축에는 제 2 파이프를 조임 고정시키기 위한 조임 노브가 접속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장치에 있어서도 같은 연결 장치가 채용되고 있으며, 연결 파이프에 설치된 요동형 로크체의 로크 부재가 제 2 파이프에 형성된 로크 구멍에 들어감으로써, 제 2 파이프가 로크된다. 로크체는 로크 부재가 설치된 한쪽 아암과 다른 아암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아암은 로크체를 유지하는 요동용 돔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연결 파이프의 내벽면에 위치 결정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제 2 파이프에 위치 결정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고, 제 2 파이프가 연결 파이프에 삽입되면, 위치 결정 부재가 제 2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연결 파이프의 위치 결정 구멍에 계합된다.
일본 특허공보 제366076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0-191748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254760호
종래의 작업기에서는 라체트나 로크체가 제 2 파이프에 계합되어 있는지 여부, 즉, 연결 장치의 로크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어려웠다. 또한, 라체트나 로크체 등의 가동 부재가 연결 파이프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부재로의 비산물의 충돌이나 가지와 잎(枝葉)의 휘감김이 발생하기 쉬워, 연결 장치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로크 기구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연결 장치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식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동원(2)이 기단(基端)측에 설치된 제 1 조작관(7)과 작업부(3)가 선단측에 설치된 제 2 조작관(8)을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휴대식 작업기(1)로서,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와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1)과,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 또는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되는 계합부(28d)를 갖는 레버(28)와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입설(立設)되고, 레버(28)를 둘러싸도록 레버(28)의 주위로 연신되는 리브(30)를 구비하고, 리브(30)는 계합부(28d)가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된 상태에서 리브(30) 상단의 형상이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휴대식 작업기(1)에 의하면,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된 레버(28)가 조작관의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됨으로써, 조작관의 이동이 규제되어, 조작관이 로크된다. 연결관(21)에 입설된 리브(30)의 상단은, 계합부(28d)가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된 상태 즉 로크 기구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단과 일치하고 있는지를 예를 들면 육안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로크 기구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단에 일치하고 있음으로써, 레버(28)로의 비산물의 충돌이나 가지와 잎 등의 휘감김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연결 장치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이 방지된다.
레버(28)는 상면의 일부를 이루고 연결관(21)측으로 가압되는 조작부(28a)를 가지며, 리브(30)는 조작부(28a)의 측방에 있어서 상단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개방부(35)를 가진다. 이 경우,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부(28a)를 가압할 때에, 높이가 낮은 개방부(35)에 손가락을 통과시킬 수 있어, 조작부(28a)를 누르기 쉽다. 또한, 레버(28)의 하부에 가지와 잎 등이 퇴적된 경우에도, 개방부(35)를 통해 가지와 잎 등을 제거하기 쉽다.
레버(28)의 조작부(28a)와 계합부(28d) 사이에는 레버(28)를 리브(30)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34)가 설치되어 있고, 레버(28)는 축부(34)로부터 계합부(28d)를 향함에 따라 연결관(21)의 축선(L1)에 근접하도록 상면(28h)이 경사지는 경사부(28e)를 가지며, 리브(30)는 조작부(28a) 주위에 형성되어 개방부(35)에 인접하는 제 1 벽부(31)와, 경사부(28e) 주위에 형성되어 경사부(28e)의 상면(28h)을 따라 경사지는 제 2 벽부(32)를 가진다. 이 경우, 제 1 벽부(31)가 레버(28)의 조작부(28a)를 둘러싸고, 제 2 벽부(32)가 레버(28)의 경사부(28e)를 둘러싸고 있다. 레버(28)의 조작이나 계합과 같은 기능적인 형상을 따라 리브(30)가 형성되어 있다.
휴대식 작업기(1)는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된 볼트 삽통공(21b)에 삽통되어 연결관(21)을 조이는 노브 볼트를 구비하고, 노브 볼트(24)는 보틀 삽통공(21b)에 삽통되는 볼트부(24a)와, 볼트부(24a)의 기단부 주위에 형성된 보스부(24b)와, 보스부(24b)에 일체화되어 볼트부(24a)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립부(24c)와, 보스부(24b)와 그립부(24b) 사이에 설치된 원반상부(24d)를 가진다. 이 경우, 작업자가 그립부(24c)를 쥐었을 때에, 작업자의 손가락은 원반상부(24d)에 닿게 되어, 볼트부(24a)나 보스부(24b)까지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조임 작업시에 있어서의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어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어 있다.
연결관(21)의 외주부에는 볼트 삽통공(21b) 주위에서 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원반상부(24d)의 주연부를 따라 연신되는 원호상의 노브 볼트용 리브(21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원호상의 노브 볼트용 리브(21d)에 의해, 노브 볼트와 연결관(21) 사이에 비산물이나 가지와 잎 등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로크 기구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레버로의 비산물의 충돌이나 가지와 잎 등의 휘감김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연결 장치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이 방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는 휴대식 작업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중의 연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연결 장치 및 조작관의 위치 결정 구멍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레버 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장치를 노브 볼트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레버의 계합부가 조작관의 외주에 얹혀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레버의 계합부가 조작관의 위치 결정 구멍에 계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식 작업기(1)의 전체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휴대식 작업기(1)는 어깨걸이 벨트를 사용하여 작업자가 어깨에 메고, 양손으로 조종하면서 풀이나 작은 나무를 베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식 작업기(1)는 후단부(도시 우측)에 배치된 구동원인 엔진(2)과, 전단부(도시 좌측)에 배치된 작업부(3)를 구비한다.
엔진(2)으로서는 예를 들면 2사이클 엔진이 채용될 수 있다. 작업부(3)는, 예를 들면, 회전날인 원반상의 칼날(4)과, 칼날(4)의 후방측에 설치된 커버(5)를 가진다. 칼날(4)은 전부(前部) 조작관(8)의 선단부에 회전 자유 자재로 장착되어 있고, 회전하여 풀이나 작은 나무를 베어 버린다. 커버(5)는 칼날(4)에 의해 베어진 풀이나 작은 나무가 작업자를 향하여 비산되지 않도록 칼날(4)을 덮는다. 커버(5)는 휴대식 작업기(1)를 지면 등에 재치했을 때의 재치용 다리가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하는 휴대식 작업기(1)에서는, 작업부(3)는 회전날인 칼날(4)을 구비하고 있는데, 휴대식 작업기(1)의 작업부(3)는 이러한 상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식 작업기(1)는, 작업부(3)로서, 헤지트리머 유니트를 구비해도 좋고, 프루너 유니트를 구비해도 좋다. 휴대식 작업기(1)는 작업부(3)로서 블로어 유니트를 구비해도 좋다. 작업부(3)는 엔진(2)에서 발생시킨 구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운동 또는 왕복 운동을 행하는 작업 기구이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좋다. 휴대식 작업기(1)에 있어서, 복수 종류의 작업부(3)를 작업 내용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휴대식 작업기(1)는 봉상의 조작관(6)을 구비하고 있다. 조작관(6)의 내부에는 엔진(2)의 구동력을 작업부(3)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축(16)(도 7 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관(6)은 중앙부에 있어서 2개로 분할 가능하며, 후부 조작관(제 1 조작관)(7)과 전부 조작관(제 2 조작관)(8)을 가진다. 후부 조작관(7)의 기단측에는 엔진(2)이 장착되어 있다. 전부 조작관(8)의 선단측에는 작업부(3)가 장착되어 있다. 이들 후부 조작관(7) 및 전부 조작관(8)은 연결 장치(20)에 의해 연결되어, 축선(L1)을 따라 일직선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의 전동축(16)은 후부 조작관(7) 내에 배치된 상부 전동축(17)과, 전부 조작관(8) 내에 배치된 하부 전동축(18)을 가지고 있다. 상부 전동축(17) 및 하부 전동축(18)은 베어링(17b) 및 베어링(18b)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있으며, 연결 장치(20)가 설치된 후부 조작관(7)과 전부 조작관(8)의 연결 개소에 있어서 결합되어 있다. 결합부(17a)와 결합부(18a)는 축선(L1)을 따른 상대 이동을 허용하면서 축선(L1) 주위의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도록, 스플라인 결합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후부 조작관(7)의 도중에는 핸들(9)이 좌우 방향에 장착되어 있다. 핸들(9)의 한쪽 단부(예를 들면 우측의 단부)에는 스로틀 레버(10)가 설치되어 있다. 스로틀 레버(10)와 엔진(2)은 배선(11) 중의 와이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스로틀 레버(10)에 있어서의 조작량은 와이어를 개재하여 엔진(2)에 전달된다. 작업자가 스로틀 레버(10)를 쥐고 조작함으로써, 엔진(2)의 회전수를 조정하거나, 엔진(2)을 정지시키거나 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연결 장치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장치(20)는 후부 조작관(7)의 선단부와 전부 조작관(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을 구비한다. 원통상의 연결관 본체(21a)의 내부 직경은 후부 조작관(7) 및 전부 조작관(8)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으며, 연결관 본체(21a)의 양단부에 후부 조작관(7) 및 전부 조작관(8)이 각각 삽입되어 있다. 연결관 본체(21a)의 후단부의 하면측에는 조임용 슬롯(slot)(21c)(도 7 참조)이 형성되고, 조임 볼트(22)에 의해, 후부 조작관(7)에 대해 연결관 본체(21a)가 죄어져 있다. 연결관 본체(21a)의 측면에는 후부 조작관(7)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 방지 볼트(23)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 장치(20)는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 설치된 볼트 삽통공(21b)에 삽통되어 연결관(21)을 조이는 노브 볼트(24)를 구비한다. 볼트 삽통공(21b)은 연결관 본체(21a)의 전단부의 하면측에 있어서, 축선(L2)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은 조작관(6)의 축선(L1)에 직교하고 있다. 연결관 본체(21a)의 전단부의 하면측에는 조임용 슬롯(21c)(도 7 참조)이 형성되고, 노브 볼트(24)와 너트(26)와 워셔(27)에 의해, 전부 조작관(8)에 대해 연결관 본체(21a)가 조여져 있다.
노브 볼트(24)는 볼트 삽통공(21b)에 삽통되는 볼트부(24a)와, 볼트부(24a)의 기단부 주위에 형성된 보스부(24b)와, 보스부(24b)에 일체화되어 볼트부(24a)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립부(24c)를 가지고 있다. 볼트부(24a)는 볼트 삽통공(21b)의 반대측(좌측)에 배치되는 너트(26)에 나사 고정된다. 볼트 삽통공(21b)의 우단부측에 있어서는, 연결관(21)에 좌면(座面)이 형성되어 있고, 이 좌면에 워셔(27)를 개재하여 보스부(24b)가 체결된다. 작업자에 의해 쥐어지는 그립부(24c)는 축선(L2)의 직경 방향으로 연신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노브 볼트(24)는 보스부(24b)와 그립부(24c) 사이에 설치된 원반상부(24d)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도 2 및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반상부(24d)는, 축선(L2)을 중심으로 하여, 보스부(24b)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그립부(24c)를 쥐는 작업자의 손가락은 원반상부(24d)에 닿게 되어, 원반상부(24d)보다도 내측 즉 볼트부(24a)측으로 진입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연결관 본체(21a), 볼트 삽통공(21b) 및 리브(21d)는 예를 들면 일체 성형되어 있다.
한편,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는 볼트 삽통공(21b) 주위에 원호상의 리브(노브 볼트용 리브)(21d)가 설치되어 있다(도 5 참조). 리브(21d)는 볼트 삽통공(21b)의 우단부(볼트부(24a)가 삽입되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 축선(L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의 일부를 이루도록(예를 들면 반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21d)는 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노브 볼트(24)의 원반상부(24d)의 주연부를 따라 연신되어 있다. 노브 볼트(24)가 끼워 넣어진 상태로, 원반상부(24d)와 리브(21d) 사이에는 반원호상으로 연신되는 일정 간격(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간격(d)은 예를 들면 손가락을 삽입할 수 없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손가락이란 어른의 일반적인 손가락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장치(20)는 전부 조작관(8)의 탈락 방지와 위치 결정을 위한 로크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기구(40)는, 노브 볼트(24)에 의한 조임력을 초월하는 회전력이나 이탈력이 전부 조작관(8)에 가해졌을 때에, 전부 조작관(8)의 회전 방향 및 탈락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로크 기구(40)는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 설치된 레버(28)와,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 입설되어, 레버(28)를 둘러싸도록 레버(28) 주위로 연신되는 리브(30)를 가진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28)는 작업자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평탄한 조작부(28a)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에 진입함으로써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되는 돌기부(계합부)(28d)를 가진다. 조작부(28a)는 레버(28)의 전단에 형성된 L자상을 이루는 판상부이다. 조작부(28a)는 직사각형의 상단무(28b)와, 상면부(28b)의 우단에 연결된 측면부(28c)를 포함한다. 상면부(28b)는 전부 조작관(8)의 축선(L1) 및 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상면부(28b)와 측면부(28c) 사이에는 축선(L1)에 평행한 절곡(折曲)부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8d)는 레버(28)의 후단에 형성되고, 하방(즉 축선(L1)을 향하여)으로 돌출되어 있다. 돌기부(28d)는 연결관 본체(21a)에 형성된 관통공(21e)으로 진입 가능하며, 연결관 본체(21a)에 삽입된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으로 또한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28)는 전부 조작관(8)의 기단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위치 결정부)(8a)에 계합 가능하다. 또한, 위치 결정 구멍(8a)은 관통공으로서 형성되어도 좋고, 유저(有底)의 오목부로서 전부 조작관(8)의 둘레벽에 형성되어도 좋다.
조작부(28a)의 측면부(28c)와 돌기부(28d) 사이에는 판상의 경사부(28e)가 형성되어 있다. 측면부(28c), 경사부(28e) 및 돌기부(28d)는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좌우 방향(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 방향)에 직교하고 있다. 이와 같이, 레버(28)는 조작부(28a)(즉 상면부(28b))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폭이 넓으며, 경사부(28e) 및 돌기부(28d)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폭이 좁다(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폭만을 가진다). 바꿔 말하면, 상면부(28b)와, 측면부(28c), 경사부(28e) 및 돌기부(28d)에서, 평탄한 방향이 90도 다르다.
경사부(28e)의 전단측에는 경사부(28e)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삽통공(28f)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 핀 삽통공(28f)에는 레버(28)를 리브(30)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프링 핀(축부)(34)이 설치된다. 경사부(28e)는 스프링 핀(34)의 위치에서부터 후단의 돌기부(28d)를 향함에 따라 전부 조작관(8)의 축선(L1)에 근접하도록, 그 상면의 능부(稜部)(28h)가 경사져 있다. 한편, 돌기부(28d)의 전면측에는 축선(L1)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부(28g)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레버(28)의 상면은 레버(28)가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로, 축선(L1) 및 축선(L2)에 평행한 전부(상면부(28b)에 상당하는 부분)와, 축선(L1)에 대해 경사져 있는 후부(능부(28h)에 상당하는 부분)로 이루어지고 있다.
계속해서, 리브(30)의 구조와, 리브(30)와 레버(28)의 배치 관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브(30)는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연결관 본체(21a)와 리브(30)는 예를 들면 일체 성형된다. 리브(30)는 전체적으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리브(30)는 전부 조작관(8)측에 형성된 벽부(제 1 벽부)(31)와, 벽부(31)에 연결되어 후부 조작관(7)측에 형성된 벽부(제 2 벽부)(32)를 가진다. 벽부(31)는 조작부(28a)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조작부(28a)를 전방 및 우방으로부터 덮도록 L자상을 이루고 있다. 벽부(32)는 경사부(28e) 주위에 형성되어 있고, 경사부(28e)를 좌우 측방 및 후방으로부터 덮도록 가늘고 긴 U자상을 이루고 있다. 벽부(32)의 전단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한쌍의 핀 삽통공(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브(30)는 레버(28)의 외형에 대응하여, 조작부(28a)를 둘러싸는 폭이 넓은 벽부(31)와, 경사부(28e)를 둘러싸는 폭이 좁은 벽부(32)를 가지고 있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휴대식 작업기(1)의 연결 장치(20)에서는, 리브(30)는 레버(28)의 돌기부(28d)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로, 리브(30) 상단의 형상이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벽부(31)의 상단은 전부 조작관(8)의 축선(L1)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축선(L1) 및 축선(L2)에 평행한 평면을 기준으로 하여, 벽부(31)의 높이는 일정하다. 벽부(32)의 상단은 레버(28)의 능부(28h)를 따르도록, 축선(L1)에 대해 경사져 있다.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28)의 돌기부(28d)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로, 벽부(31) 상단의 형상은 조작부(28a)의 상면부(28b)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벽부(31)의 상단은 상면부(28b)의 표면과 면일(面一)하게 되어 있다. 또한, 레버(28)의 돌기부(28d)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로, 벽부(32) 상단의 형상은 경사부(28e)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벽부(32)의 상단은 경사부(28e)의 능부(28h)와 면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브(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레버(28)가 들어가 있고, 레버(28)는 리브(30)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레버(28)의 조작시와 전부 조작관(8)의 삽입시에만, 레버(28)의 일부가 리브(30)로부터 돌출된다.
리브(30)는 조작부(28a)의 좌측방에 있어서, 벽부(31) 상단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개방부(35)를 가지고 있다. 개방부(35)는 벽부(31)에 인접하고 있다. 개방부(35)에 있어서의 벽부의 높이는 예를 들면 벽부(31) 상단의 절반 미만이라도 좋고, 제로라도 좋다. 즉, 개방부(35)에 있어서의 벽부의 높이가 제로이며, 벽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개방부(35)의 바닥부는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면에 일치한다. 이와 같이, 리브(30)는 개방부(35)를 제외한 영역에 있어서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리브(30)의 전체 주위 중, 개방부(35)의 1개소만이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리브(30)는 레버(28)의 전면과 한쪽 측면(도 2에 도시되는 예에서는 우측면)을 방호하고 있다.
레버(28)는 핀 삽통공(28f)이 리브(30)의 핀 삽통공(33)에 중첩되도록 설치된다. 스프링 핀(34)은 레버(28)의 핀 삽통공(28f)에 삽통되는 동시에, 리브(30)의 핀 삽통공(33)에 압입된다. 스프링 핀(34)에는 벽부(32) 내(즉 한쌍의 핀 삽통공(33) 사이)에 있어서, 돌기부(28d)를 위치 결정 구멍(8a)을 향하여 가압하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이 설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은 스프링 핀(34)에 감겨지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일단이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에 당접하고 있으며, 그 타단이 상면부(28b)의 이면에 당접하고 있다. 조작부(28a)는, 조작이 행해지지 않는 통상시에 있어서,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연결관 본체(21a)의 외주부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조작부(28a)는 연결관 본체(21a)를 향하여 가압 조작된다.
레버(28)의 조작부(28a) 아래는 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의 측방에는, 개방부(3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벽부가 없거나, 또는 벽부(31)보다도 낮은 벽부가 존재한다.
이상 설명한 휴대식 작업기(1)에 있어서, 연결 장치(20)를 사용하여 후부 조작관(7) 및 전부 조작관(8)을 연결하는 수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조임 볼트(22) 및 탈락 방지 볼트(23)를 사용하여, 연결관 본체(21a)의 후단부에 후부 조작관(7)을 장착한다. 다음에, 연결관 본체(21a)의 전단부에 전부 조작관(8)의 후단부를 끼워 넣는다. 이 때,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전부 조작관(8)의 단면(端面)이 레버(28)의 경사부(28g)에 당접하고, 끼워 넣는 힘에 의해 레버(28)의 돌기부(28d)는 들어 올려진다. 이 상태에서는, 경사부(28g)의 능부(28h)가 벽부(32)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 육안 또는 촉각에 의해, 로크 기구(4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부 조작관(8)이 더 삽입되면, 돌기부(28d)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이 합치하고,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의 가압력에 의해 돌기부(28d)가 강하하여 위치 결정 구멍(8a)으로 진입한다. 이것에 의해, 로크 기구(40)가 작동한다. 돌기부(28d)가 위치 결정 구멍(8a)으로 들어감으로써, 전부 조작관(8)은 회전 방향 및 탈락 방향으로 규제된다. 또한, 이 때, 후부 조작관(7) 내에 배치된 상부 전동축(17)의 결합부(17a)에 대해, 전부 조작관(8) 내에 배치된 하부 전동축(18)의 결합부(18a)를 끼워 넣어, 스플라인 결합을 형성시킨다. 그 후, 작업자가 오른손으로 노브 볼트(24)를 조임으로써, 전부 조작관(8)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면과 일치하고 있어, 로크 기구(40)가 작동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전부 조작관(8)을 분리하는 수순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노브 볼트(24)를 푼 후, 작업자가 왼손으로 레버(28)의 조작부(28a)를 누름으로써, 돌기부(28d)가 상승하여 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작업자의 손가락(예를 들면 왼손의 엄지)은 개방부(35)를 통과하기 때문에, 조작부(28a)를 누르기 쉽게 되어 있다. 로크 해제 조작에 의해, 전부 조작관(8)을 빼낼 수 있고(도 7 참조), 전부 조작관(8)을 완전히 빼냄으로써, 분할은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휴대식 작업기(1)에 의하면,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된 레버(28)가 전부 조작관(8)의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됨으로써, 전부 조작관(8)의 이동이 규제되고, 전부 조작관(8)이 로크된다. 연결관(21)에 입설된 리브(30)의 상단은, 돌기부(28d)가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 즉 로크 기구(40)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로,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고 있다. 따라서,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단에 일치하고 있는지를 예를 들면 육안 등으로 확인함으로써, 로크 기구(40)의 작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단에 일치하고 있음으로써, 레버(28)로의 비산물의 충돌이나 가지와 잎 등의 휘감김이 발생하기 어렵게 되어 있어, 연결 장치(20)의 파손이나 동작 불량이 방지되고 있다. 게다가, 리브(30)가 레버(28)를 방호하고 있기 때문에, 레버(28)의 하부에 가지와 잎 등이 퇴적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종래의 연결 장치에서는, 연결 장치의 레버가 연결 장치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경우가 있어, 비산물이 충돌하는 것 등에 의해 연결 장치의 로크 기구가 손상될 우려가 있었다. 휴대식 작업기(1)의 연결 장치(20) 및 로크 기구(40)에서는, 레버(28)는 리브(30)로 방호된 구조로 되어 있어, 비산물이 레버(28)에 직접 충돌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로크 기구(40)의 손상이 일어나기 어렵게 되어 있다. 가동부인 레버(28)에 가지와 잎의 끼임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돌기부(28d)가 위치 결정 구멍(8a)에 계합된 상태에서는 레버(28)의 상면이 리브(30)의 상단과 면일해지기 때문에, 로크 기구(40)의 작동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부 조작관(8)을 조립한 후에 돌기부(28d)와 위치 결정 구멍(8a)이 위치 어긋나 있는 것 등에 의해 로크 기구(40)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돌기부(28d)는 전부 조작관(8)의 외주에 얹혀져 있는 상태이며, 레버(28)의 능부(28h)가 리브(30)의 벽부(32)로부터 돌출된 상태에 있다(도 6 참조). 또한, 상면부(28b)는 리브(30)의 벽부(31) 내로 깊이 내려가 있다. 따라서, 계합 불량을 육안 등에 의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리브(30)는 조작부(28a)의 측방에 있어서 벽부(31) 상단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개방부(35)를 갖기 때문에,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부(28a)를 가압할 때에, 높이가 낮은 개방부(35)에 손가락을 통과시킬 수 있어, 조작부(28a)를 누르기 쉽다. 또한, 레버(28)의 하부에 가지와 잎 등이 퇴적된 경우라도, 개방부(35)를 통해 가지와 잎 등을 제거하기 쉽다.
또한, 벽부(31)가 레버(28)의 조작부(28a)를 둘러싸고, 벽부(32)가 레버(28)의 경사부(28e)를 둘러싸고 있기 때문에, 레버(28)의 조작이나 계합과 같은 기능적인 형상에 따라 리브(3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한 레버(28)의 위치 확인이 한층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외관의 미관성이 우수하다.
또한, 원반상부(24d)를 갖는 노브 볼트(24)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자가 그립부(24c)를 쥐었을 때에, 작업자의 손가락은 원반상부(24d)에 닿게 되어, 볼트부(24a)나 보스부(24b)까지 들어가지 않는다. 즉, 노브 볼트(24)는 중심부에 가까운 개소를 손가락으로 잡을 수 없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 작업시에 있어서의 손가락 끼임이 방지되고 있어, 안전성이 높아져 있다.
또한, 연결관 본체(21a)에 형성된 노브 볼트(24)용의 원호상의 리브(21d)에 의해, 노브 볼트(24)와 연결관(21) 사이에 비산물이나 가지와 잎 등이 들어가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특히, 작업부(3)로서 헤지트리머 유니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작업시에 있어서의 가지와 잎의 끼임 등이 방지된다.
스프링 핀(34)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36)이 설치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연결관 본체(21a)와 상면부(28b) 이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소정의 가압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면부(28b)의 이면을 축선(L1)에 평행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시소식의 레버(28)를 사용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레버는 조작관의 직경 방향으로 진퇴(進退)하는 플랜저식의 레버라도 좋다. 레버의 형상은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레버(28)의 계합부가 오목부 또는 구멍부이고, 전부 조작관(8)에 위치 결정용의 돌기가 형성되어도 좋다.
레버를 가압하기 위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해도 좋다. 개방부(35)는 생략되어도 좋다. 즉, 리브(30)는 레버(28)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어도 좋다. 리브(30)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 레버(28)가 들어가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레버(28)가 리브(30)로부터 약간 돌출되어도 좋다. 노브 볼트(24)의 원반상부(24d)는 원반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다각 형상이라도 좋다. 노브 볼트(24)에 있어서, 원반상부(24d)는 생략되어도 좋다. 연결관(21)에 있어서, 노브 볼트(24)용의 리브(21d)가 생략되어도 좋다.
연결 장치(20)나 로크 기구(40)는 전부 조작관(8)을 연결·로크하기 위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후부 조작관(7)을 연결·로크하기 위한 연결 장치나 로크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후부 조작관(7) 및 전부 조작관(8) 양자를 연결·로크하기 위한 연결 장치나 로크 기구를 설치해도 좋다.
1…휴대식 작업기, 2…엔진(구동원), 3…작업부, 7…후부 조작관(제 1 조작관), 8…전부 조작관(제 2 조작관), 8a…위치 결정 구멍(위치 결정부), 20…연결 장치, 21…연결관, 21b…볼트 삽통공, 21d…리브(노브 볼트용 리브), 24…노브 볼트, 24a…볼트부, 24b…보스부, 24c…그립부, 24d…원반상부, 28…레버, 28a…조작부, 28d…돌기부(계합부), 28e…경사부, 28h…능부(상면), 30…리브, 31…벽부(제 1 벽부), 32…벽부(제 2 벽부), 34…스프링 핀(축부), 35…개방부, 40…로크 기구, L1…조작관(6)의 축선, L2…볼트 삽통공(21b)의 축선.

Claims (5)

  1. 구동원(2)이 기단측에 설치된 제 1 조작관(7)과, 작업부(3)가 선단측에 설치된 제 2 조작관(8)을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휴대식 작업기(1)로서,
    상기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와 상기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되는 계합부(28d)를 갖는 레버(28)와,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입설되고, 상기 레버(28)를 둘러싸도록 상기 레버(28)의 주위로 연신되는 리브(30)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30)는, 상기 계합부(28d)가 상기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된 상태로, 상기 리브(30) 상단의 형상이 상기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레버(28)는 상기 상면의 일부를 이루고 상기 연결관(21)측으로 가압되는 조작부(28a)를 가지며,
    상기 리브(30)는 상기 조작부(28a)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상단의 높이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개방부(35)를 갖는, 휴대식 작업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8)의 상기 조작부(28a)와 상기 계합부(28d) 사이에는 상기 레버(28)를 상기 리브(30)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부(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레버(28)는 상기 축부(34)로부터 상기 계합부(28d)를 향함에 따라 상기 연결관(21)의 축선(L1)에 근접하도록 상면(28h)이 경사지는 경사부(28e)를 가지며,
    상기 리브(30)는 상기 조작부(28a)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35)에 인접하는 제 1 벽부(31)와, 상기 경사부(28e)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28e)의 상면(28h)을 따라 경사지는 제 2 벽부(32)를 갖는, 휴대식 작업기.
  3. 구동원(2)이 기단측에 설치된 제 1 조작관(7)과, 작업부(3)가 선단측에 설치된 제 2 조작관(8)을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휴대식 작업기(1)로서,
    상기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와 상기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를 연결하는 연결관(21)과,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조작관(7)의 선단부 또는 상기 제 2 조작관(8)의 기단부에 형성된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되는 계합부(28d)를 갖는 레버(28)와,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 입설되고, 상기 레버(28)를 둘러싸도록 상기 레버(28)의 주위로 연신되는 리브(30)를 구비하고,
    상기 리브(30)는, 상기 계합부(28d)가 상기 위치 결정부(8a)에 계합된 상태로, 상기 리브(30) 상단의 형상이 상기 레버(28) 상면의 형상을 따르도록 설치되고,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 형성된 볼트 삽통공(21b)에 삽통되어 상기 연결관(21)을 조이는 노브 볼트(24)를 구비하고,
    상기 노브 볼트(24)는 상기 볼트 삽통공(21b)에 삽통되는 볼트부(24a)와, 상기 볼트부(24a)의 기단부 주위에 형성된 보스부(24b)와, 상기 보스부(24b)에 일체화되어 상기 볼트부(24a)를 회전시키기 위한 그립부(24c)와, 상기 보스부(24b)와 상기 그립부(24c) 사이에 설치된 원반상부(24d)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작업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21)의 외주부에는 상기 볼트 삽통공(21b) 주위에서 상기 볼트 삽통공(21b)의 축선(L2)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시에 상기 원반상부(24d)의 주연부를 따라 연신되는 원호상의 노브 볼트용 리브(21d)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식 작업기.
  5. 삭제
KR1020160013334A 2015-02-13 2016-02-03 휴대식 작업기 KR101804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26091A JP6225131B2 (ja) 2015-02-13 2015-02-13 携帯式作業機
JPJP-P-2015-026091 2015-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0235A KR20160100235A (ko) 2016-08-23
KR101804753B1 true KR101804753B1 (ko) 2017-12-06

Family

ID=56690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3334A KR101804753B1 (ko) 2015-02-13 2016-02-03 휴대식 작업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25131B2 (ko)
KR (1) KR101804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669B1 (ko) * 2017-02-23 2018-05-31 김규석 연결장대가 절반으로 접혀지는 고지가위
CN210352236U (zh) * 2019-07-16 2020-04-21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一种限位机构及割草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066A1 (ja) * 2010-09-29 2012-04-05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デバイス
JP2014147307A (ja) * 2013-01-31 2014-08-21 Makita Corp 操作棹を有する作業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60764B2 (ja) * 1996-10-30 2005-06-15 新ダイワ工業株式会社 分割把持杆の連結装置
DE19654348C1 (de) 1996-12-24 1998-11-19 Stihl Maschf Andreas Freischneidegerät mit einem teilbaren Führungsrohr
JP3745886B2 (ja) * 1997-09-16 2006-02-15 新ダイワ工業株式会社 刈払機の回転刃駆動軸の連結構造
US5996232A (en) * 1998-12-31 1999-12-07 Lin; Thomas Tree pruner
JP4366715B2 (ja) * 2004-09-02 2009-11-18 五十嵐刃物工業株式会社 高枝切り鋏
JP5235005B2 (ja) * 2009-08-31 2013-07-10 株式会社クボタ グリップ
JP5525338B2 (ja) 2010-06-10 2014-06-18 株式会社マキタ メインポールを有する作業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43066A1 (ja) * 2010-09-29 2012-04-05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デバイス
JP2014147307A (ja) * 2013-01-31 2014-08-21 Makita Corp 操作棹を有する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25131B2 (ja) 2017-11-01
JP2016146790A (ja) 2016-08-18
KR20160100235A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809B2 (en) Starting brake for a hedge clipper
US7237620B2 (en) Electric garden tiller
JP3432406B2 (ja) 携帯用刈払機
US4157616A (en) Hand tools
US7543430B2 (en) Button type blade brake clutch control
KR101804753B1 (ko) 휴대식 작업기
RU2494856C2 (ru) Электроинструмент
US20140000544A1 (en) Work apparatus having a braking arrangement
CN109688799A (zh) 改良式修枝机
US6478346B1 (en) Snap closure
JP7154673B1 (ja) 刈払機に取り付け可能なコードカッター及びそれを備える刈払機
US8747281B2 (en) Brake assembly for power-driven hand-held cutting device
US20190030746A1 (en) Chainsaw
JP4278102B2 (ja) 作業機の制動装置
JP4724819B2 (ja) 動力作業機
JP6794331B2 (ja) 手持式作業機
JP6247243B2 (ja) 刈払機の刃物取付構造
JPH0346194Y2 (ko)
JPH1175469A (ja) 刈払機の回転刃駆動軸の連結構造
WO2013081509A1 (en) Throttle operating device
JPH0214344Y2 (ko)
JP2018198561A (ja) 刈払機
US10525611B2 (en) Handheld work apparatus
KR200360192Y1 (ko) 예초기용 안전커버
JP6398518B2 (ja) 携帯作業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