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638B1 -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638B1
KR101800638B1 KR1020167000645A KR20167000645A KR101800638B1 KR 101800638 B1 KR101800638 B1 KR 101800638B1 KR 1020167000645 A KR1020167000645 A KR 1020167000645A KR 20167000645 A KR20167000645 A KR 20167000645A KR 101800638 B1 KR101800638 B1 KR 101800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
microreactor
sodium
carboxylic acid
butano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6982A (ko
Inventor
유정복
육덕수
장국진
주소경
김완주
장진영
황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ublication of KR2016002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41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7C51/412Preparation of salts of carboxylic acids by conversion of the acids, their salts, esters or anhydrides with the same carboxylic acid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004Details
    • H01G9/022Electrolytes; Absorbents
    • H01G9/035Liquid electrolytes, e.g. impregna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5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0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 C07C209/6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groups bound to a carbon skeleton from amin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amino groups, e.g. reduction of unsaturated amines, aromatisation, or substitution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one pyridine ring
    • C07D213/18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nitrogen atom containing only one pyridine ring
    • C07D213/20Quaternary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5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3/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01G11/62Liqu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solute, e.g. salts, anions or cations there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소듐옥타노에이트를 양이온인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 테트라메틸암모늄에 치환반응하여 그림 1과 같은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를 고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온성 액체는 잔류 할라이드를 10ppm미만으로 함유하는 고순도로, 전기 전도성이 높아 전해질 및 콘덴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IONIC LIQUID HAVING CARBOXYLIC ACID ANION USING MICROREAC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가지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소듐옥타노에이트를 양이온인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 테트라메틸암모늄에 치환반응하여 그림 1과 같은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를 고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1
그림 1. 다양한 종류의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
상기 식에서 R1은 탄소 수 1 내지 12개인 알킬기임.
이온성 액체는 내열 온도가 높고, 불연성이며 일반적인 이온을 갖는 물질과 다르게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편이며, 유기 용제에 대한 용해도가 높은 편이다. 그리고 전자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전도성이 매우 우수한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은 물성으로 인해 이온성 액체는 유기합성, 전기화학, 생물공학, 화학공학 및 분리공정을 포함하는 여러 분야에서 청정 용매와 리튬 이차전지, 유기 태양전지, 콘덴서용 전해질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때 불순물과 순도는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불순물로는 잔류 할라이드, 반응 후 남아있는 출발물질, 분해 산물, 그리고 수분 등이 있는데 이들은 전기화학반응 경과 중 일반적으로 저항의 증가를 초래한다. Electrochemical Society Proceeding, Volumes, 99-41에 보고된 바 있듯이 잔류 할라이드가 액체상 수소와 반응해서 사용되는 경우 또는 스즈키 반응이 진행될 경우에 반응을 방해하기 때문에 특히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의 중요성이 드러나고 있다.
종래의 이온성 액체의 합성방법 중 할로겐화 알킬을 이용하여 반응을 시키는 방법은 비용이 많이 들고 대량 생산 시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효과적이며 경제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산(HA)을 이용하여 할로겐화 수소로 휘발시키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부식과 유해한 가스를 배출하므로 이용하기 어렵다. 그 외에 할라이드의 제거방법으로는 초산은을 이용하여 할로겐 이온을 불용성 할로겐화 은으로 제거하는 방법과 납 염을 이용하여 불용성 할로겐화 납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지만, 금속 염이 고가이고 유해한 금속을 함유하는 폐기물을 발생시키므로 효율적인 방법이라 할 수 없다.
특히 이온성 액체의 대량생산을 위해, 종래 제조방법에서는 브로모에탄, 클로로부탄 등을 사용하였는데 할로겐화합물을 포함한 중간체의 경우 반응 시 발열성과 압력 발생이 있으며, 화합물이 대기 중에서 쉽게 용해되어 분해되는 흡습 용해성이 있어 대기 중에서 대단히 불안정하며, 24시간 이상의 긴 반응 시간이 요구되며, 생성된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이 할로겐족이 함유되어 있어 잔류 할라이드를 500ppm 이하로 하기 어렵고, 음이온이 메틸설페이트, 에틸설페이트인 이온성 액체는 pH가 중성화 되기 어렵고 부식성이 있으므로, 카르복실산 음이온의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대해 고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양이온인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 테트라메틸암모늄에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소듐 옥타노에이트를 이용하여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고효율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이용한 이온성 액체의 제조는,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의 할로겐 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여기에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소듐옥타노에이트를 반응시켜 출발물질의 음이온이 부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또는 옥타노에이트로 치환시켜 합성하였다. 상기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의 알킬기는 탄소수 1내지 12개이고, 할로겐은 플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상기 치환 반응은 벤치(bench) 반응 또는 마이크로리엑터(microreactor)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에서 고안된 새로운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가진 이온성 액체 제조를 통해 합성 수율 개선, 화학적 순도 개선 및 생산단가를 절감했으며, 높은 열적 안정성과 전기전도도를 가진 이온성 액체를 선별하여 전해질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제공할 수 있었다.
상기 화합물의 제조에 따른 기술개발의 평가항목으로 합성수율, 할라이드 함유량, 전기전도도 및 열적안정성(TGA)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의 제조 방법은 카르복실산 음이온인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소듐옥타노에이트를 사용함에 의해, 음이온 치환 반응에 용매를 물로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치환 반응시간도 1시간 이하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서 잔류 할라이드가 20ppm 미만의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 제조 방법은 제거해야 할 잔류 할라이드가 극히 적기 때문에 효율성과 경제성을 최대화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및 옥타노에이트를 포함한 화합물은 안정한 물성을 보유하며, 종래의 중간체 제조방법에(24시간 이상) 비해 음이온 치환반응 반응시간이 짧아(1시간 이내)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이온성 액체는 잔류 할라이드를 10ppm미만으로 함유하는 고순도로, 전기 전도성이 높아 전해질 및 콘덴서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마이크로리엑터 합성장치의 전체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마이크로리엑터로 시약 A와 B를 실린더 펌프를 통해 흘려 보냈을 시, 마이크로 믹서를 통과하여 목적화합물이 되는 과정을 합성 회로도로 나타낸다.
도 3은 마이크로 믹서의 종류인 Y 타입, Helix 타입과 Static 타입을 나타낸다.
도 4는 할라이드 측정장치인 716 DMS Titrino 이온분석기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고순도의 이온성 액체를 제조한다. 제조방법은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의 할로겐 염을 출발물질로 하여 여기에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소듐옥타노에이트를 반응시켜 출발물질의 음이온이 부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또는 옥타노에이트로 치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1-알킬-3-메틸이미다졸리움, 1,1-알킬메틸피롤리디늄, 1,2-디메틸-3-알킬이미다졸리움, 1-알킬-3-메틸피리디늄의 알킬기는 탄소수 1내지 12개이고, 할로겐은 플루오르,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며, 치환 반응은 벤치(bench) 반응 또는 마이크로리엑터(microreactor)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 기기>
마이크로리엑터는 일본 YMC사 Keychem L을 사용하였고, 실린더 펌프는 MRSY04-40을, 마이크로 믹서는 우수한 열교환력과, 유기합성에 적합한 구조인 Helix 타입을 사용하였다.
<잔류 할라이드의 측정>
Metrohm사 716 DMS Titrino 이온분석기를 사용하였고, 표준측정법에 의한 분석방법으로 잔류 할라이드을 측정하였다.
<전기전도도 측정>
Metrohm사 856 Conductivity Module 을 사용하였고, 표준측정법에 의한 분석방법으로 잔류 할라이드를 측정하였다.
<TGA 분석>
사용기기 모델은 PERKIN ELMER TGA7 을 사용하였으며, 분석조건으로는 질소기류 하에서 30℃(5min) → 10℃/min → 800℃ 으로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실시예 1 :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부타노에이트의 합성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5.0g(0.028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300μl/min으로, 소듐 부타노에이트 3.78g(0.034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281μl/min으로 하여 4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옅은 흰색 고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부타노에이트를 6.15g(97%)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DMSO, 400MHz) δ: 7.32 (d, 1H), 7.28 (d, 1H), 4.03 (t, 2H), 3.74 (s, 3H), 1.99 (t, 2H), 1.68 (q, 2H), 1.14 (t, 3H ), 0.73 (t, 3H), 잔류 할라이드 : 5ppm, 전기전도도(25℃) : 1.187 mS/cm, 열적안정성(TGA) : 247℃.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2
실시예 2 : 1,2-디메틸-3-부틸이미다졸리움 부타노에이트의 합성
1,2-디메틸-3-부틸이미다졸리움 아이오다이드 5.0g(0.018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300μl/min으로, 소듐 부타노에이트 2.13g(0.021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288μl/min으로 하여 4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1,2-디메틸-3-부틸이미다졸리움 부타노에이트를 4.09g(94%)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DMSO, 400MHz) δ : 7.61 (d, 1H), 7.59 (d, 1H), 4.07 (m, 2H), 3.71 (s, 3H), 2.60 (s, 3H), 2.35 (s, 2H), 1.66 (t, 2H), 1.64 (t, 2H), 1.23 (q, 2H), 1.21 (q, 2H), 1.21,0.84 (t,32H), 0.77 (t, 3H), 잔류 할라이드 : 3ppm, 전기전도도(25℃) : 2.032 mS/cm, 열적안정성(TGA) : 287℃.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3
실시예 3 :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부타노에이트의 합성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 2.0g(0.009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300μl/min으로, 소듐 부타노에이트 1.14g(0.010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297μl/min으로 하여 4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부타노에이트를 1.78g(97%)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DMSO, 400MHz) δ: 4.63 (s, 2H), 3.37 (m, 2H), 3.18 (m, 2H), 2.91 (s, 2H), 2.08 (t, 2H), 2.00 (t, 2H), 1.42 (m, 3H), 1.30 (s, 2H), 1.24 (s, 2H), 0.81 (t, 3H), 0.75 (t, 3H), 잔류 할라이드 : 1ppm, 전기전도도(25℃) : 1.156 mS/cm, 열적안정성(TGA) : 243℃.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4
실시예 4 : 1-부틸-3-메틸피리디늄 부타노에이트의 합성
1-부틸-3-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5.0g(0.027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300μl/min으로, 소듐 부타노에이트 3.10g(0.028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293μl/min으로 하여 4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1-부틸-3-메틸피리디늄 부타노에이트를 5.84g(91%)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DMSO, 400MHz) δ : 8.51 (s, 1H), 8.50 (d, 1H), 8.21 (d, 1H), 7.74 (m, 1H), 4.60 (t, 2H), 4.40 (s, 3H), 1.92 (t, 2H), 1.80 (q, 2H), 1.38 (q, 2H), 1.16 (m, 2H), 0.78 (t, 3H), 0.73 (t, 3H), 잔류 할라이드 : 7ppm, 전기전도도(25℃) : 1.159 mS/cm, 열적안정성(TGA) : 257℃.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5
실시예 5 : 테트라메틸암모늄 부타노에이트의 합성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5.0g(0.046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300μl/min으로, 소듐 부타노에이트 6.03g(0.055 몰)을 20g의 물에 녹여서 296μl/min으로 하여 4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테트라메틸암모늄 부타노에이트를 8.52g(96%)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DMSO, 400MHz) δ: 3.08 (s, 12H), 1.78 (q, 2H), 1.64 (t, 2H), 1.37 (q, 2H), 0.75 (t, 3H), 잔류 할라이드 : 8ppm, 전기전도도(25℃) : 0.829 mS/cm, 열적안정성(TGA) : 262℃.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6
실시예 6 :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2-에틸헥사노에이트의 합성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브로마이드 0.2g(0.0009 몰)을 15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0.15g(0.0011 몰)을 15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7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옅은 노랑색 고체인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2-에틸헥사노에이트를 0.215g(93%)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acetone-d 6 , 400MHz) δ: 3.81 (m, 4H), 3.68 (m, 2H), 3.28 (s, 3H), 2.26 (m, 4H), 1.99 (m, 1H), 1.85 (m, 2H), 1.54 (m, 2H), 1.42 (m, 2H), 1.26 (m, 6H), 0.98 (t, 3H), 0.84 (t, 6H), 잔류 할라이드 : 8ppm, 전기전도도(25℃) : 4.561 mS/cm, 열적안정성(TGA) : 246℃.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7
실시예 7 : 테트라메틸암모늄 2-에틸헥사노에이트의 합성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g(0.002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0.30g(0.002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7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테트라메틸암모늄 2-에틸헥사노에이트를 0.335g(98%)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acetone-d 6 , 400MHz) δ: 3.28 (s, 12H), 2.01 (m, 1H), 1.56 (m, 2H), 1.29 (m, 6H), 0.85 (m, 6H), 잔류 할라이드 : 6ppm, 전기전도도(25℃) : 0.388 mS/cm, 열적안정성(TGA) : 460℃.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8
실시예 8 :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의 합성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클로라이드 0.2g(0.001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옥타노에이트 0.17g(0.001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7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옅은 흰색 고체인 1-부틸-3-메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를 0.31g(91%)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methanol-d 4 , 400MHz) δ: 7.54 (d, 1H), 7.47 (d, 1H), 4.11 (t, 2H), 3.89 (s, 3H), 2.05 (t, 2H), 1.77 (m, 2H), 1.49 (m, 2H), 1.31 (m, 2H), 1.21 (m, 8H), 0.89 (t, 3H ), 0.79 (t, 3H), 잔류 할라이드 : 4ppm, 전기전도도(25℃) : 4.080 mS/cm, 열적안정성(TGA) : 236℃.
Figure 112016002638123-pct00009
실시예 9 : 1,2-디메틸-3-에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의 합성
1,2-디메틸-3-에틸이미다졸리움 브로마이드 0.2g(0.001 몰)을 12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옥타노에이트 0.17g(0.001 몰)을 12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8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2-디메틸-3-에틸이미다졸리움 옥타노에이트를 0.25g(93%)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methanol-d 4 , 400MHz) δ: 7.51 (d, 1H), 7.45 (d, 1H), 4.18 (m, 2H), 3.79 (s, 3H), 2.60 (s, 3H), 2.12 (t, 2H), 1.57 (m, 2H), 1.43 (t, 3H), 1.29 (m, 8H), 0.87 (t, 3H), 잔류 할라이드 : 2ppm, 전기전도도(25℃) : 4.422 mS/cm, 열적안정성(TGA) : 269℃.
Figure 112016002638123-pct00010
실시예 10 :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옥타노에이트의 합성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클로라이드 0.2g(0.001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2-옥타노에이트 0.17g(0.001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7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옥타노에이트를 0.265g(94%)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methanol-d 4 , 400MHz) δ: 3.52 (m, 4H), 3.36 (m, 2H), 3.05 (s, 3H), 2.24 (m, 4H), 2.14 (t, 2H), 1.78 (m, 2H), 1.58 (m, 2H), 1.43 (m, 2H), 1.31 (m, 8H), 1.02 (t, 3H), 0.89 (t, 3H), 잔류 할라이드 : 8ppm, 전기전도도(25℃) : 2.496 mS/cm, 열적안정성(TGA) : 208℃.
Figure 112016002638123-pct00011
실시예 11 : 1-부틸-3-메틸피리디늄 옥타노에이트의 합성
1-부틸-3-메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0.2g(0.001 몰)을 10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옥타노에이트 0.17g(0.001 몰)을 10g에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8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옅은 갈색 고체인 1-부틸-3-메틸피리디늄 옥타노에이트를 0.279g(96%)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methanol-d 4 , 400MHz) δ: 8.89 (s, 1H), 8.82 (d, 1H), 8.43 (d, 1H), 8.00 (m, 1H), 4.60 (t, 2H), 2.58 (s, 3H), 2.16 (t, 2H), 2.01 (m, 2H), 1.62 (m, 2H), 1.57 (m, 2H), 1.44 (m, 8H), 1.02 (t, 3H), 0.91 (t, 3H), 잔류 할라이드 : 9ppm, 전기전도도(25℃) : 2.762 mS/cm, 열적안정성(TGA) : 209℃.
Figure 112016002638123-pct00012
실시예 12 : 테트라메틸암모늄 옥타노에이트의 합성
테트라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0.2g(0.001 몰)을 15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소듐 옥타노에이트 0.17g(0.001 몰)을 15g의 물에 녹여서 150μl/min으로 하여 70℃로 조절된 마이크로리엑터에 실런더 펌프를 통해 흘려보냈다. 마이크로리엑터를 통과한 용액을 수집하고, 이것을 감압농축 시켜서, 흰색 고체인 테트라메틸암모늄 옥타노에이트를 0.214g(96%)을 얻었다. 얻어진 이온성 액체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methanol-d 4 , 400MHz) δ: 3.19 (s, 12H), 2.16 (t, 2H), 1.62 (m, 2H), 1.31 (m, 8H), 0.91 (t, 3H), 잔류 할라이드 : 8ppm, 전기전도도(25℃) : 0.794 mS/cm, 열적안정성(TGA) : 233℃.
Figure 112016002638123-pct00013

Claims (5)

  1.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으로,
    출발 물질로서, 1,1-부틸메틸피롤리디늄, 1-부틸-3-메틸피리디늄, 또는 테트라메틸암모늄의 할로겐 염을 물에 용해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 물에 용해시킨 소듐부타노에이트, 소듐 2-에틸헥사노에이트 또는 소듐옥타노에이트를 반응시켜 출발물질의 음이온이 부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또는 옥타노에이트로 치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할로겐은 염소 또는 브롬인 마이크로리액터를 사용하여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치환 반응이 1시간 내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67000645A 2013-07-11 2013-07-11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KR101800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6213 WO2015005513A1 (ko) 2013-07-11 2013-07-11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6982A KR20160026982A (ko) 2016-03-09
KR101800638B1 true KR101800638B1 (ko) 2017-11-23

Family

ID=52280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645A KR101800638B1 (ko) 2013-07-11 2013-07-11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60254098A1 (ko)
KR (1) KR101800638B1 (ko)
WO (1) WO20150055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76390B (zh) * 2018-07-06 2021-01-26 北京理工大学 一种高透明耐黄变环氧树脂固化促进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07B1 (ko) * 2010-11-11 2013-06-27 주식회사 씨트리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메탈프리의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19631B2 (en) * 2007-02-14 2011-04-05 Eastman Chemical Company Production of ionic liquids
US9493882B2 (en) * 2010-07-21 2016-11-15 Ceramatec, Inc. Custom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electrolytic decarboxyl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607B1 (ko) * 2010-11-11 2013-06-27 주식회사 씨트리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메탈프리의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513A1 (ko) 2015-01-15
US20160254098A1 (en) 2016-09-01
KR20160026982A (ko) 2016-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271B1 (ko)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염 및 플루오로설포닐이미드염의 제조방법
CN109824726B (zh) 一种二氟双草酸磷酸锂的制备方法、非水电解液和电池
US10926190B2 (en) Purified lithium bis(fluorosulfonyl)imide (LiFSI) products, methods of purifying crude LiFSI, and uses of purified LiFSI products
JP5402634B2 (ja) 精製された含フッ素ビススルホニルイミドのアンモニウム塩の製造方法
CN107244663A (zh) 一种二氟磷酸锂的制备方法
WO2007083843A1 (ja) パーフルオロアルキル基を有する芳香族化合物ゲル化剤
JP2016204218A (ja) フルオロスルホニルイミド化合物の製造方法
JP5061635B2 (ja) 4−フルオロ−1,3−ジオキソラン−2−オンの製造法
CN113912028B (zh) 一种双氟磺酰亚胺的纯化方法
WO2016072158A1 (ja) 電解質溶液の精製方法及び電解質溶液の製造方法
CN105732645A (zh) 一种螺环季铵盐的制备方法
KR101800638B1 (ko)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
JP2017095416A (ja) ケイ素含有スルホン酸塩
JP2011236161A (ja) イオン液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同イオン液体を用いた蓄電装置
CN105924465A (zh) Poss基耐高温的室温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
JP6051757B2 (ja) イオン液体
JP5796128B2 (ja) 2つの中心を有するビピリジルカチオン系イオン液体、その調製方法及び使用
EP3415662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n ionic liquid
JP5089904B2 (ja) テトラフルオロホウ酸塩の製造方法
JP5544892B2 (ja) 2−シアノ−1,3−ジケトネート塩の製造法及びイオン液体
KR101162713B1 (ko) 고순도 이온성액체의 제조방법
KR101279607B1 (ko) 마이크로리엑터를 사용한 메탈프리의 카르복실산 음이온을 갖는 이온성 액체의 합성
JP2005126339A (ja) エーテル錯塩
CN116854723A (zh) 一种含1,3,5,2,4,6-三氧硅二硼结构的化合物的合成方法
JP2016509996A (ja) イオン液体を製造す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