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310B1 -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310B1
KR101799310B1 KR1020160005066A KR20160005066A KR101799310B1 KR 101799310 B1 KR101799310 B1 KR 101799310B1 KR 1020160005066 A KR1020160005066 A KR 1020160005066A KR 20160005066 A KR20160005066 A KR 20160005066A KR 101799310 B1 KR101799310 B1 KR 101799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kimbu
angle
unit
cutting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5671A (ko
Inventor
김기문
Original Assignee
김기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문 filed Critical 김기문
Priority to KR1020160005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310B1/ko
Publication of KR20170085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5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20Auxiliary treatments, e.g. aerating, heating, humidifying, deaerating, cooling, de-watering or drying, during loading or unloading; Loading or unloading in a fluid medium other than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277Common features for chain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김부각 건조부를 갖는 김부각 이송부, 김부각 이송부의 어느 일단부와 인접위치에서 상,하 작동되게 설치되어 김부각 건조부를 경유하면서 이송된 건조된 김부각을 절단하는 김부각 절단부,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김부각을 받아서 김부각 절단부의 하부에 위치된 절단 톱날부에 정확하게 위치되게 하여 김부각 절단부로 하여금 절단 작업이 실행될 수 있게 하는 김부각 절단 이동부,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의 김부각 감지 여부 신호에 의한 상기 김부각 이송부, 김부각 절단부,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를 제어하는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를 포함하여, 김부각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불량율 제거와 아울러 절단 작업성의 효율성을 높인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Automatic Cutting Device For Laver-Boogak}
본 발명은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김부각의 절단 작업을 자동화하여 김부각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불량율 제거와 아울러 절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전통식품 중 하나로 김부각(Laver-Booga 혹은 Kimbugak)이 있는데, 김부각은 간식이나 밥반찬, 술안주 등의 다양한 용도로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이때문에 김부각은 한류 문화 전파와 더불어 외국인들에게 까지도 기호식품으로 그 수요가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김부각은 한장 혹은 한장의 김에 풀칠을 한 후, 다른 한장의 김을 덧붙인 다음, 그 위에 다시 풀칠을 하고, 고명을 뿌린 후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일예로 하기 특허문헌 표시와 같은 김부각 제조장치들이 있다.
먼저, 특허문헌1은 김부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쇄된 한약재 및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 혼합부와,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 롤러부와,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이 적층되면,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압착 롤러부와, 김부각을 오븐을 이용하여 구음공정하는 구음공정부로 이루어지고, 그리고 성형된 김부각을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바삭한 식감 및 본래의 구수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고,
또한, 특허문헌2의 김부각 제조방법은 곡물가루와 물을 혼합하여 반죽물을 제조하는 반죽혼합단계, 제조된 반죽물을 압착하여 곡물피를 제조하는 제1 압착단계, 제조된 곡물피 상부에 김을 적층하는 적층단계, 적층된 곡물피 및 김을 압착하여 김부각을 성형하는 제2 압착단계, 성형된 김부각을 1차건조하는 1차건조단계, 1차건조된 김부각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는 절단단계, 절단된 김부각을 2차건조하는 2차건조단계 및, 기름을 이용하여 2차건조된 김부각을 튀김공정하는 튀김공정단계를 포함하여, 바삭한 식감 및 본래의 구수한 맛을 유지시킬 수 있고, 찹쌀풀 제조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고,
또, 특허문헌3은 세미 슬리팅부를 가지는 김부각을 제조하기 위한 김부각 건조장치로서, 건조를 위한 패널과, 패널과 부각의 건조시 수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널과 이격된 상태로 패널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매쉬 또는 다수개의 개공이 형성된 펀칭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커버부재와, 상기 패널을 하부에서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을 포함하여, 김 부각의 건조시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건조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김부각 제조에 있어서 김부각 절단은, 각 특허 문헌들에 표시된 바와 같이, 모터를 구동하여 커터를 회전시킴으로써 김부각을 절단 혹은 슬리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문에 김부각의 절단작업에서 회전 칼날에 의한 김부각의 부스러짐과 같은 손상 등으로 김부각의 불량율이 많게 되는 문제가 있고, 김부각의 불량율 발생은 이를 골라내는 작업인원의 필요로 되는 인력 배치가 더 필요로되어 종국적으로는 김 부각 생산성의 저하로 직결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김부각의 제조에서 김부각의 절단 작업을 개선하여 김부각의 절단 작업시 발생되는 불량율을 최소화하는 절단기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KR 특허등록 제10-1466001호 KR 공개번호 10-2015-0056136호 KR 실용신안등록 제20-034077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다양한 추가 장점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특히 김부각 절단 작업을 자동화하여 절단작업시 발생되는 불량율 최소화와 아울러 절단 작업을 편리하게 하고, 또한 절단 작업 공정에 투입되는 작업 인력도 감축시킬 수 있는 효율성을 높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라 제공되는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는, 건조김을 풀칠하여 고명을 산포(散布)하여 만든 김부각을 이송할 수 있게하는 김부각 이송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김부각을 건조하는 김부각 건조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의 어느 일단에 인접하여 상,하 작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건조부를 경유하여 이송된 건조된 김부각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된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피 절단물인 김부각이 위치되게 하는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이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대면하는 상방위치에서 상기 지지대로부터 입설된 다수개의 안내축들을 따라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접하거나 혹은 이격 위치로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에 위치하는 김부각들을 절단하는 가동 칼날부와 이 가동 칼날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하이동되게 제어되는 실린더로 구성된 김부각 절단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와 대향 위치인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김부각을 한장씩만 받아서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에 정확히 위치되게 하여 상기 김부각 절단부에 의한 절단 작업이 실행될수 있게 하는 김부각 절단 이동부; 및
상기 김부각 절단이동부의 센서로부터 상기 김부각 절단이동부의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김부각 감지 여부 신호에 따라 상기 김부각 이송부, 김부각 절단부,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김부각 절단부로 하여금 김부각을 절단할 수 있게 한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를 포함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절단 이동부는,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김부각 이송부와 대향 설치된 지지 케이싱과, 이 케이싱으로부터 출몰되게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김부각을 받아서 절단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절단 개시가 시작되면 상기 지지 케이싱 내부로 수용되게 이동되는 삼지(三枝)형의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과,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김부각이 위치됨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일단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센서의 김부각 여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을 구동하는 신호를 받게 되는, 상기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그네틱바와 이 마그네틱바의 외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과 결합된 왕복 이동링으로 구성된 마그네틱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이송부는, 바닥으로 소정 높이를 이루며 설치된 지지각들에 의해 지지된 기틀과 이 기틀에 무단 회전 이동되게 설치되 김부각을 건조부를 경유하여 김부각 절단부 쪽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이송대와 상기 이송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김부각 절단 작업의 자동화로 절단 작업시 발생하게 되는 김부각의 불량율을 없게 하여 생산성을 향상 시키는 효과를 부여하고,또한 절단 작업을 편리하게 하면서도 효율성을 높인 효과도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의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고,
도 7은 도6의 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자동 절단장치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100)의 구성을 대별하면, 김부각 이송부(110), 김부각 건조부(120), 김부각 절단부(130),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 및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15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는, 사전에 건조김 1장에 풀칠을 하여 고명을 산포(散布)한 김부각이나 혹은 2장 이상의 건조김 각각에 풀칠을 하여 접착 한후 일체로 접착된 건조김들의 표면으로 고명을 산포(散布)하여 만든 김부각을 순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한다.
또한, 김부각 이송부(110)의 이송 라인 중간에는 상기 김부각 건조부(120)가 설치되어 김부각 이송부(110)에 의하여 순차로 이송되는 김부각을 바삭 거리는 식감을 갖도록 건조시키고 있다.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의 어느 일단부의 인접 위치에는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가 상,하로 작동되게 배치되어 상기 김부각 건조부(120)를 통하여 건조된 후 계속하여 김부각 이송부(110)에 의해서 이송되게 되는 건조된 김부각을 소비자들이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하는 작용을한다.
또한,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의 일측으로는 상기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가 배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되는 김부각을 하나씩 받아서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에 있는 절단 톱날부에 정확하게 위치되게 하여 김부각 절단부(130)에 의한 김부각 절단 작업시 불량율이 없이 자동으로 신속하게 실행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밝힌 모든 구성부들 즉, 김부각 이송부(110), 김부각 절단부(130),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의 작동 제어는, 상기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로부터 제어부(150)로 입력되는 김부각 감지여부 신호에 따라 제어부(150)에 의하여 각각 제어되게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하기 도면 들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의 정면도로 도 2를 우측에서 보아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2의 B부분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의 C부분에 대한 확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6의 I-I선 방향에 따른 절단면도 이다. 이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절단작업에 대한 작용도 같이 설명한다.
도면들 표시와 같이, 김부각 이송부(110)는, 바닥으로 소정 높이를 이루며 설치된 지지각들(112)에 의해 지지된 장방형의 기틀(114)과, 이 기틀(114)에 무단 상으로 회전 이동되게 설치되어 김부각을 기틀(114)위에 터널 형태로 설치된 김부각 건조부(120)를 경유하여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의 일단부에 인접 설치된 김부각 절단부(130)쪽으로 김부각을 이송할 수 있게 하는 김부각 이송캐리어(116), 및 이송캐리어(116)를 구동하는 이송부 구동수단(118)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송부 구동수단(118)은 기틀(114)의 양단에 설치되어 이송캐리어(116)를 회전 이송하는 무단상(無斷狀)체인(118-2)을 회전하는 구동기어들(118-1)과, 그리고 기틀(114)의 하부에 장착되어 구동기어들(118-1)을 구동하는 동력을 발생하여 전달하는 이송부 구동모터(118-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송부 이송부 구동수단(118)의 이송부 구동모터(118-3)는 김부각 절단부(130)의 하부에 배치된 콘트롤러 즉, 제어부(150)로부터 받게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이송부 구동수단(118)을 제어하여 이송부 구동수단(118)으로 하여금 김부각 이송부(110)를 단계적으로 구동되게 함으로서, 김부각 이송부(110)를 타고 이송되는 김부각이 터널형 김부각 건조부(120)를 통과 하는 동안 바삭되는 식감을 갖도록 충분히 건조되게 하고, 아울러 김부각 건조부(120)를 통과하면서 건조된 김부각은 김부각 절단부(130)쪽으로 하나씩 이송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김부각 건조부(120)는 내부에 김부각이 타지 않을 정도의 고온의 열이 발생되는 히터들이 설치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통상적이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된 지지대(131)에 고정 설치된 피 절단물인 김부각이 위치되게 하는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와 이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와 대면하는 상방 위치에서 상기 지지대(131)로부터 입설된 봉형상의 다수개의 안내축들(133)을 따라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와 접하거나 혹은 이격 위치로 이동되면서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에 위치하는 김부각들을 소비자들이 먹기 좋은 크기로 절단하는 가동 칼날부(134)와 이 가동 칼날부(134)에 수직으로 위치되게 결합되어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150)에 의해 가동 칼날부(134)를 상,하로 이동되도록 제어되는 실린더(1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36)는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상에 피 절단물인 김부각이 존재 할 때만 하강 이동되어 김부각을 절단한 후 상승 이동되는 작용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김부각을 지속적으로 절단하는 작업을 한다. 이러한 실린더(136)의 구동 역시 제어부(150)에 의하여 실시된다. 제어부(150)의 제어는 후술하는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의 감지부로부터 발생되는 감지신호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는,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와 대향 위치인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의 일측에 장착되어 김부각 이송부(110)로부터 이송되는 김부각을 받아서 김부각 절단부(130)의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와 가동 칼날부(134)의 사이에 위치되게 이동시키는 작용을 실시하여, 김부각 절단부(130)로 하여금 김부각을 불량율이 없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는 김부각 절단부(130)의 지지대(131)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내부로는 소정 넓이의 공간을 제공하는 장방형체의 케이싱(141)으로부터 김부각 이송부(110)를 향하여 나왔다가 들어가는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도 6참조)이 설치되어 있다. 이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은 보통시에는 케이싱(141)내부로 몰입된 상태로 있으나, 김부각의 절단 작업이 개시되면 도 4의 표시와 같이,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를 받게되는 마그네틱 구동수단(144)의 전진 구동으로 케이싱(141)내부로부터 빠져나와 김부각 절단부(130)의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의 상부와 인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김부각 이송부(110)의 일단과 거의 맞닿는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110)로부터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위로 김부각을 받는다.
김부각이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위로 놓여지게 되는 순간 삼지(三枝)형의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의 소정 위치에 기 설치되어 있던 감지부 즉, 센서(146)가 이를 감지하게 되고, 센서(146)로부터 감지신호를 받게 되는 제어부(150)는 다시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의 마그네틱 구동수단(144)을 제어 하여 후진 작동을 실행되게 함으로써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이 케이싱(141)을 향하여 이동되게 하면서,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에 있던 김부각이 톱니형의 고정 칼날부(132)에 위치되게 한다.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은, 도 6 및 도 7의 표시와 같이, 삼지형으로 슬릿(Slit)부(142-1)를 이루고 있어, 슬릿(Slit)부(142-1)의 내부로는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가 약간 돌출되는 상태로 위치하게 되어,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의 상부에 얹혀져 있던 김부각은 삼지(三枝)형의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이 케이싱(141)의 내부로 후진 이동하여 몰입되더라도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상에 그대로 얹혀져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삼지(三枝)형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이 마그네틱 구동수단(144)에 의하여 케이싱(141)내부로 몰입 작동이 완료되는 순간, 제어부(150)는 실린더(136)를 구동되게 제어하여 가동칼날부(134)가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132)와 맞닿게 하여 가동칼날부(134)상에 위치하여 있던 김부각을 소망하는 형태로 절단한후,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여 제어되는 김부각 받침이동편(142)의 마그네틱 구동수단(144)은,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15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류 흐름의 온/오프가 실행되게 하면서 전,후진 작동을 실행되게 하는 것으로, 마그네틱바(144-1)와 마그네틱바(144-1)의 외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삼지(三枝)형 김부각 받침이동편(142)과 결합된 이동링(144-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에서 김부각 절단부(130)가 칼날부들(132,134)에 의하여 김부각 절단 작업을 하는 동안에는, 제어부(150)는 김부각 이송부(110)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의 구동수단(118, 144)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제어한다.
상기 김부각 절단부(130)에 의한 절단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50)는 김부각 절단부(130)는 대기 상태로 제어하는 반면, 김부각 이송부(110)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140)의 구동수단들(118, 144)을 제어하여 김부각의 절단 작업이 상기와 같이 진행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구동한다. 이러한 제어부(150)에 의한 구동제어는 통상의 제어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110 : 김부각 이송부
120 : 김부각 건조부
130 : 김부각 절단부
132 : 톱니형 고정 칼날부
134 : 가동 칼날부
136 : 실린더
140 : 김부각 절단 이동부
141 : 케이싱
142 : 삼지(三枝)형 김부각 받침이동편
144 : 마그네틱 구동수단
146 : 센서
150 :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

Claims (6)

  1. 건조김을 풀칠하여 고명을 산포(散布)하여 만든 김부각을 이송할 수 있게하는 김부각 이송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의 중간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김부각을 건조하는 김부각 건조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의 어느 일단에 인접하여 상,하 작동되게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건조부를 경유하여 이송된 건조된 김부각을 소정 크기로 절단하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입설된 지지대에 고정 설치된 피 절단물인 김부각이 위치되게 하는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이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대면하는 상방위치에서 상기 지지대로부터 입설된 다수개의 안내축들을 따라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와 접하거나 혹은 이격 위치로 이동되게 하면서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에 위치하는 김부각들을 절단하는 가동 칼날부와 이 가동 칼날부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하이동되게 제어되는 실린더로 구성된 김부각 절단부;
    상기 김부각 이송부와 대향 위치인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김부각을 한장씩만 받아서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상기 톱니형 고정 칼날부에 정확히 위치되게 하여 상기 김부각 절단부에 의한 절단 작업이 실행될수 있게 하는 김부각 절단 이동부; 및
    상기 김부각 절단이동부의 센서로부터 상기 김부각 절단이동부의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김부각 감지 여부 신호에 따라 상기 김부각 이송부, 김부각 절단부, 및 김부각 절단 이동부를 각각 제어하여 상기 김부각 절단부로 하여금 김부각을 절단할 수 있게 한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를 포함하는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절단 이동부는,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김부각 이송부와 대향 설치된 지지 케이싱과, 이 케이싱으로부터 출몰되게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김부각을 받아서 절단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김부각 절단부의 절단 개시가 시작되면 상기 지지 케이싱 내부로 수용되게 이동되는 삼지(三枝)형의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과,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이송부로부터 김부각이 위치됨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와,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의 일단과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센서의 김부각 여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을 구동하는 신호를 받게 되는, 상기 김부각 절단용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게 전기적으로 연결된 마그네틱바와 이 마그네틱바의 외부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김부각 받침이동편과 결합된 왕복 이동링으로 구성된 마그네틱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김부각 이송부는, 바닥으로 소정 높이를 이루며 설치된 지지각들에 의해 지지된 기틀과 이 기틀에 무단 회전 이동되게 설치되어 김부각을 건조부를 경유하여 김부각 절단부 쪽으로 이송할 수 있게 하는 이송대, 및 이송대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KR1020160005066A 2016-01-15 2016-01-15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KR101799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66A KR101799310B1 (ko) 2016-01-15 2016-01-15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66A KR101799310B1 (ko) 2016-01-15 2016-01-15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671A KR20170085671A (ko) 2017-07-25
KR101799310B1 true KR101799310B1 (ko) 2017-11-20

Family

ID=5942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066A KR101799310B1 (ko) 2016-01-15 2016-01-15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45A (ko)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20230128761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커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6753B (zh) * 2021-10-29 2022-07-19 皖江工学院 一种全自动油炸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369B1 (ko) * 1998-05-22 2000-07-01 김병복 김절단장치
KR101262040B1 (ko) * 2012-06-01 2013-05-08 주식회사 정철 김 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369B1 (ko) * 1998-05-22 2000-07-01 김병복 김절단장치
KR101262040B1 (ko) * 2012-06-01 2013-05-08 주식회사 정철 김 절단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745A (ko)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20230128761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커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5671A (ko) 201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310B1 (ko) 김부각용 자동 절단장치
KR200472759Y1 (ko)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JP5112803B2 (ja) おにぎりの製造方法及びおにぎり製造機
JP5510604B2 (ja) スライス肉片のトレー盛付装置
CN204157600U (zh) 一种小型制面条机
KR101795861B1 (ko) 생면 쌀국수 제면기 및 제면방법
CN205614740U (zh) 设置有双进料口的多功能切丝切片装置
KR101799279B1 (ko) 식용피 제조 장치
JP5301843B2 (ja) 昆布裁断装置
CN208624539U (zh) 一种可以切条、切张、制圆形、自动折叠的凉皮机
JP5338949B2 (ja) スライス肉片の搬出装置
KR20160019866A (ko) 쌀밥 성형 장치 및 쌀밥 성형 롤러
KR200484321Y1 (ko) 도정효율이 향상되도록 구성된 가정용 현미 도정기의 도정축
CN213663638U (zh) 全自动的自助式肠粉机
JP6192464B2 (ja) パン等の食品カット装置における搬送ベルト
CN109262682B (zh) 一种单模式玉米自动切段装置
JP5339358B2 (ja) 食品生地切断装置
JP6802564B2 (ja) 麺線切出し装置および方法
CN219445223U (zh) 一种旋转式硬木切药机
JP5020266B2 (ja) フードスライサー
JP2016154490A (ja) 食材供給装置および食材供給方法
JP5923550B2 (ja) 小型クラゲのカット方法
CN104179315B (zh) 一种用于墙面贴片制造的贴片生产线
JP2009257635A (ja) 加熱処理装置および穀物飼料製造装置
JP2871782B2 (ja) 麺線の切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