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8692B1 - 개선된 파단 신도를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개선된 파단 신도를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8692B1 KR101798692B1 KR1020137007262A KR20137007262A KR101798692B1 KR 101798692 B1 KR101798692 B1 KR 101798692B1 KR 1020137007262 A KR1020137007262 A KR 1020137007262A KR 20137007262 A KR20137007262 A KR 20137007262A KR 101798692 B1 KR101798692 B1 KR 1017986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parts
- component
- sum
- compositio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08K5/523—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with hydroxyaryl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41 내지 8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부의, 특정 함량의 이소프탈산 성분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C)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D)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0 내지 25 중량부의 난연제, E)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F)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50 중량부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여기서 모든 중량부 값은 본 출원에서 조성물 내의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이 100이 되도록 표준화된, 개선된 파단 신도, 탁월한 다축인성 및 낮은 가공수축률을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이 난연성을 갖게 되면, 상기 조성물은 공지된 조성물에 비해 동일하거나 개선된 방연성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선된 파단 신도과 함께 탁월한 다축인성 및 낮은 성형수축률을 나타내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이 난연성을 갖게 되면, 이것은 공지된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다.
JP 06228425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와 두 상이한 폴리에스테르의 블렌드가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폴리에스테르들은 둘 다 테레프탈산 외에도 기타 디카르복실산을 함유할 수 있다. 그러나 알콜 성분으로서의 에틸렌 글리콜과 산 성분의 소량의 이소프탈산의 조합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JP 08012864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에스테르와 난연제로서의 올리고포스페이트의 내충격성-개질된 블렌드가 기술되어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특히 이소프탈산을 함유할 수 있지만, 조성물 내에서의 프탈산 단량체의 정확한 비율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JP 05032800에는 50 내지 90%의 코폴리에스테르와 50 내지 10%의 폴리카르보네이트로부터 제조된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식품 포장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코폴리에스테르는 다양한 디카르복실산 및 또는 디올을 함유할 수 있는 한편, 내충격성개질제-함유 조성물은 기술되어 있지 않다.
EP 594021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난연제로서의 올리고포스페이트의 내충격성-개질된 블렌드가 기술되어 있다. 성형 화합물은 우수한 내응력균열성, 내노치충격성 및 내열성과 함께 우수한 표면 마감성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WO 2002008329에는 낮은 IPP(이소프로페닐페닐 포스페이트) 함량을 갖고, 비닐 공중합체 외에도,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도 함유할 수 있는, 올리고포스페이트를 갖는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개선된 기계적 특성, 개선된 난연성, 개선된 내열성과 함께 개선된 장기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파단 신도, 높은 다축인성 및 낮은 성형수축률과, 임의로 우수한 난연 거동의 이상적인 조합을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높은 폴리에스테르 함량(20 중량부 이상)에서도 여전히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이르러, A) 폴리카르보네이트, B) 특정 함량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C)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및 D) 임의로 난연제 및 추가로 E) 임의의 비닐 (공)중합체 및 F) 추가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성형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 원하는 특성 프로필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A)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41 내지 8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7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73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부,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30 중량부의, 특정 함량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C)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1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4 내지 9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D)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0 내지 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8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4 중량부의 난연제,
E)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F)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중량부의 첨가제
를 함유하고, 여기서 본 출원에서 언급된 모든 중량부는 조성물 내의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이 100이 되도록 표준화된 조성물이 상기에서 언급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한다.
성분 B)의 함량이 (성분 A 내지 D를 기준으로) 40 중량부 이하일 때에도, 조성물의 탁월한 난연성이 여전히 달성된다.
<성분 A>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성분 A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DE-AS 1 495 626, DE-A 2 232 877, DE-A 2 703 376, DE-A 2 714 544, DE-A 3 000 610, DE-A 3 832 396을 참고하고;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DE-A 3 007 934를 참고).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예를 들어, 디페놀을, 탄산 할로겐화물, 바람직하게는 포스겐, 및/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할로겐화물, 바람직하게는 벤젠디카르복실산 이할로겐화물과, 상 계면 방법을 통해, 임의로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모노페놀을 사용하고 임의로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분지화제, 예를 들어 트리페놀 또는 테트라페놀을 사용하여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용융중합 방법을 통해, 디페놀을 예를 들어 디페닐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디페놀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는, 단일결합, C1 내지 C5 알킬렌, C2 내지 C5 알킬리덴, C5 내지 C6 시클로알킬리덴, -O-, -SO-, -CO-, -S-, -SO2-, 임의로 헤테로원자를 함유하는 추가의 방향족 고리가 융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 아릴렌, 또는 화학식 II 또는 III의 잔기이고,
<화학식 II>
<화학식 III>
B는 각 경우에 C1 내지 C12 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및/또는 브로민이고,
x는 각 경우에 서로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p는 1 또는 0이고,
R5 및 R6은, 각각의 X1에 대해 개별적으로 선택적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 내지 C6 알킬, 바람직하게는 수소, 메틸 또는 에틸을 의미하고,
X1은 탄소를 의미하고,
m은 4 내지 7, 바람직하게는 4 또는 5의 정수를 의미하고, 단 하나 이상의 원자 상에서 X1, R5 및 R6은 동시에 알킬이다.
바람직한 디페놀은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놀, 비스-(히드록시페닐)-C1-C5-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C5-C6-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및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및 그의 고리-브로민화 및/또는 고리-염소화 유도체이다.
특히 바람직한 디페놀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파이드,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 및 그의 이(2)- 및 사(4)브로민화 또는 염소화 유도체, 예컨대 예를 들어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이다.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이 특히 바람직하다.
디페놀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디페놀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을 통해 수득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사슬 종결제는 예를 들어 페놀, p-클로로페놀, p-tert.-부틸페놀 또는 2,4,6-트리브로모페놀 뿐만 아니라 장쇄 알킬페놀, 예컨대 4-[2-(2,4,4-트리메틸펜틸)]-페놀, DE-A 2 842 005에 따른 4-(1,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또는 알킬 치환기 내에 총 8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모노알킬페놀 또는 디알킬페놀, 예컨대 3,5-디-tert.-부틸페놀, p-이소-옥틸페놀, p-tert.-옥틸페놀, p-도데실페놀 및 2-(3,5-디메틸헵틸)-페놀 및 4-(3,5-디메틸헵틸)-페놀이다. 사용되는 사슬 종결제의 양은 각 경우에 사용되는 디페놀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5 몰% 내지 10 몰%이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2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80,000 g/mol, 특히 바람직하게는 24,000 내지 36,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GPC(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Mw)을 갖는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를, 공지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사용된 총 디페놀을 기준으로, 0.05 내지 2.0 몰%의 삼관능성 또는 삼관능성 초과의 화합물, 예를 들어 셋 이상의 페놀성 기를 갖는 화합물을 도입시킴으로써, 분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보다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것을 사용한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와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둘 다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성분 A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용된 디페놀의 총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25 중량%의, 히드록시아릴옥시 말단기를 갖는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후자는 공지되어 있고(US 3 419 634), 문헌으로부터 공지된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적합하고;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을 함유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DE-A 3 334 782에 기술되어 있다.
비스페놀 A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 외에도, 바람직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의 총 몰수를 기준으로, 15 몰% 이하의, 바람직하거나 특히 바람직하다고 언급된 디페놀 외의 디페놀, 특히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갖는, 비스페놀 A의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를 위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이할로겐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디페닐 에테르 4,4'-디카르복실산 및 나프탈렌 2,6-디카르복실산의 이산 이염화물이다.
1:20 내지 20:1의 비의, 이소프탈산의 이산 이염화물과 테레프탈산의 이산 이염화물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할 때, 탄산 할로겐화물, 바람직하게는 포스겐을 추가로 이관능성 산 유도체로서 사용한다.
이미 언급된 모노페놀 외에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사슬 종결제는 상기 모노페놀의 클로로포름산 에스테르 뿐만 아니라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의 산 염화물이고, 이것은 임의로 C1 내지 C22 알킬 기 또는 할로겐 원자, 및 지방족 C2 내지 C22 모노카르복실산 염화물에 의해 치환될 수 있다.
사슬 종결제의 양은, 각 경우에, 페놀성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및 모노카르복실산 염화물 사슬 종결제의 경우에는 디카르복실산 이염화물의 몰을 기준으로, 0.1 내지 10 몰%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서는 하나 이상의 방향족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선형일 수 있고 공지된 방식으로 분지화될 수 있고(이에 대해서는 DE-A 2 940 024 및 DE-A 3 007 934를 참고), 여기서 선형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분지화제는, 예를 들어, (사용된 디카르복실산 이염화물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몰%의 양의, 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카르복실산 염화물, 예컨대 트리메스산 삼염화물, 시아누르산 삼염화물, 3,3',4,4'-벤조페논테트라카르복실산 사염화물, 1,4,5,8-나프탈렌테트라카르복실산 사염화물 또는 피로멜리트산 사염화물, 또는 사용된 디페놀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몰%의 양의, 삼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페놀, 예컨대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 2,6-비스(2-히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히드록시페닐)-2-(2,4-디히드록시페닐)프로판, 테트라-(4-[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1,4-비스[4,4'-디히드록시트리페닐)메틸]벤젠일 수 있다. 페놀성 분지화제는 디페놀과 함께 초기에 도입될 수 있고; 산 염화물 분지화제는 산 이염화물과 함께 도입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내의 카르보네이트 구조단위의 비율은 원하는대로 변할 수 있다. 카르보네이트 기의 비율은 에스테르 기와 카르보네이트 기의 총 개수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몰% 이하, 특히 80 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몰% 이하이다.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의 에스테르 잔기와 카르보네이트 잔기 둘 다는 블록의 형태로 중축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거나 불규칙하게 분포될 수 있다.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성분 B>
본 발명에 따르면, 조성물은 성분 B)로서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고, 여기서 특정 비율의 단량체는 이소프탈산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또는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이소프탈산과 테레프탈산의 혼합물이 디카르복실산 단량체로서 추가로 바람직하고, 여기서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올이 디올 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테레프탈산(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부탄디올을 기재로 하는 알칸디올로부터 유도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알칸디올은 에틸렌 글리콜 및 부탄디올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에틸렌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각 경우에 성분 B를 기준으로, 0.5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 및 10.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하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함유하고, 여기서 상한 및 하한은 각 경우에 서로 조합될 수 있다. 그래서 기타 디카르복실산 단량체는 테레프탈산이다.
이후부터는, 폴리에스테르 및 특히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달리 명백하게 기술되지 않은 한,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특정 함량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또는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성분 B)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상응하는 비율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를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 및 2 내지 10개의 C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디올로부터 공지된 방법에 따라(문헌 [Kunststoff-Handbuch, vol. VIII, p. 695 et seq., Karl-Hanser-Verlag, Munich 1973]) 제조할 수 있다.
에틸렌 또는 1,3-프로판디올 또는 1,4-부탄디올 글리콜 잔기 외에도, 바람직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20 몰% 이하의, 3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갖는 기타 지방족 디올 또는 6 내지 21개의 C 원자를 갖는 시클로지방족 디올, 예를 들어 1,3-프로판디올, 2-에틸-1,3-프로판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3-메틸-2,4-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및 1,6,2-에틸-1,3-헥산디올, 2,2-디에틸-1,3-프로판디올, 2,5-헥산디올, 1,4-디-(β-히드록시에틸)벤젠, 2,2-비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 2,4-디히드록시-1,1,3,3-테트라메틸시클로부탄, 2,2-비스-(3-β-히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 및 2,2-비스-(4-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프로판(DE-A 24 07 674, 24 07 776, 27 15 932)의 잔기를 함유할 수 있다. 에틸렌 글리콜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예를 들어 DE-A 19 00 270 및 US-A 3 692 744에 따라, 비교적 소량의 3가 또는 4가 알콜 또는 3염기성 또는 4염기성 카르복실산의 도입에 의해 분지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분지화제의 예는 트리메스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및 펜타에리트리톨이다.
산 성분을 기준으로 1 몰% 이하의 분지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는 일반적으로, 각 경우에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1:1 중량부)에서 측정된, 약 0.4 내지 1.5 ㎗/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3 ㎗/g, 특히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1 ㎗/g의 고유점도를 갖는다.
대체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에스테르는 기타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추가의 중합체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기타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특정 비율의 성분 B)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비율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재생 폴리에스테르이고, 여기서 성분 B)는 바람직하게는 재생 물질로만 이루어진다. 재생 물질은 또한 성분 A) 및 C)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고, 여기서 이것들은 블렌드, 임의로 난연성 블렌드 (성분 D))로부터 유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재생 물질은 폴리에스테르이고, 이것은 예를 들어 병을 제조하는데 사용되고, 사용 후에, 재생을 위해 원료로서 보내진다. 여기서 병이 수집되고, 세정되고 분쇄된다. 추가의 임의적인 재가공 단계는, 건조, 및 과립이 되도록 압출하는 단계이다. 폴리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그의 분자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축합 반응에 적용된다.
<성분 C>
성분 C는
C.1 5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0 중량%의 하나 이상의 비닐 단량체가
C.2 95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 중량%의, 디엔 고무, EP(D)M 고무(즉 에틸렌/프로필렌 및 임의로 디엔을 기재로 하는 것), 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실리콘, 실리콘-아크릴레이트, 클로로프렌 및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그라프팅 주쇄 상에
있는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중합체를 포함한다.
그라프팅 주쇄 C.2는 일반적으로 0.05 내지 10 ㎛,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4 ㎛의 평균 입자 크기(d50 값)를 갖는다.
단량체 C.1은 바람직하게는
C.1.1 50 내지 99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및/또는 고리-치환된 비닐 방향족 (예컨대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C1-C8)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
C.1.2 1 내지 50 중량부의 비닐 시아나이드(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C1-C8)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
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단량체 C.1.1은 단량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선택되고, 바람직한 단량체 C.1.2는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선택된다. 특히 바람직한 단량체는 C.1.1 스티렌 및 C.1.2 아크릴로니트릴이다.
바람직한 그라프팅 주쇄 C.2는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 (예를 들어 부타디엔 및 이소프렌을 기재로 하는) 디엔 고무 또는 디엔 고무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디엔 고무는 디엔 고무의 공중합체 또는 이것과 (예를 들어 C.1.1 및 C.1.2에 따른) 추가의 공중합성 단량체의 혼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라프팅 주쇄 C.2는 일반적으로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미만의 유리 전이 온도를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 C는, 예를 들어 DE-OS 2 035 390(= US 특허 제3 644 574) 또는 DE-OS 2 248 242(= GB 특허 1 409 275) 또는 문헌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19(1980), p.280 et seq.]에 기술된 바와 같은, 예를 들어 ABS 중합체(유화, 괴상 및 현탁 ABS)이다.
그라프팅 주쇄 C.2의 겔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그라프팅 주쇄 C.2의 경우에, 2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이상(톨루엔에서 측정됨)이다.
성분 C.1 및 C.2로부터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코어-쉘 구조를 갖고, 여기서 성분 C.1은 쉘을 형성하고 성분 C.2는 코어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VCH-Verlag, Vol.A21, 1992, page 635 and page 656]을 참고).
그라프트 공중합체 C는 자유-라디칼 중합, 예를 들어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 바람직하게는 유화 중합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추가의 특히 적합한 그라프트 고무는, US 특허 4 937 285에 따라 유기 히드로퍼옥시드 및 아스코르브산의 개시제 시스템을 사용하는 레독스 개시를 사용하는 유화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 ABS 중합체이다.
그라프팅 반응에서, 그라프팅 단량체는 반드시 모두 그라프팅 주쇄 상에 그라프팅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라프트 중합체 C는 본 발명에 따라 그라프팅 주쇄의 존재 하에서 그라프팅 단량체의 (공)중합에 의해 수득된 생성물과 후처리 동안에 생성된 생성물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중합체 C의 C.2에 따른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임의로 C.2를 기준으로 40 중량% 이하의 기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이다. 바람직한 중합성 아크릴산 에스테르는 C1 내지 C8 알킬 에스테르, 예를 들어 메틸, 에틸, 부틸, n-옥틸 및 2-에틸헥실 에스테르; 할로알킬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할로-C1-C8-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클로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러한 단량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가교를 위해, 하나 초과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단량체를 공중합시킬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의 바람직한 예는 3 내지 8개의 C 원자를 갖는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과 3 내지 12개의 C 원자를 갖는 불포화 일가 알콜, 또는 2 내지 4개의 OH 기 및 2 내지 20개의 C 원자를 갖는 포화 폴리올의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다중불포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예컨대 트리비닐 및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다관능성 비닐 화합물, 예컨대 디- 및 트리비닐벤젠; 및 또한 트리알릴 포스페이트 및 디알릴 프탈레이트이다. 바람직한 가교성 단량체는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알릴 프탈레이트 및 셋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릭 화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가교 단량체는 시클릭 단량체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아크릴로일헥사히드로-s-트리아진, 트리알릴 벤젠이다. 가교된 단량체의 양은, 그라프팅 주쇄 C.2를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5 중량%, 특히 0.05 내지 2 중량%이다. 셋 이상의 에틸렌성 불포화 기를 갖는 시클릭 가교 단량체의 경우에, 그 양을 그라프팅 주쇄 C.2의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하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외에도, 임의로 그라프팅 주쇄 C.2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기타" 중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아크릴아미드, 비닐 C1-C6 알킬 에테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이다. 그라프팅 주쇄 C.2로서 바람직한 아크릴레이트 고무는 60 중량% 이상의 겔 함량을 나타내는 유화 중합체이다.
C.2에 따른 적합한 실리콘 고무는, 예를 들어 US 2 891 920 및 US 3 294 72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C.2에 따른 추가의 적합한 그라프팅 주쇄는, DE-OS 3 704 657, DE-OS 3 704 655, DE-OS 3 631 540 및 DE-OS 3 631 539에 기술된 것과 같은, 활성 그라프팅 부위를 갖는 실리콘 고무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도 그라프팅 주쇄 C.2로서 적합하다. 이러한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는 10 내지 90 중량%의 특정 비율의 실리콘 고무 및 90 내지 10 중량%의 특정 비율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를 함유하는 활성 그라프팅 부위를 갖는 복합 고무이고, 여기서 언급된 두 고무 성분들은 복합 고무 내에서 서로 침투하므로, 이것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없다. 복합 고무 내에서의 실리콘 고무 성분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완성된 수지 조성물은 불리한 표면 특성 및 손상된 착색성을 갖는다. 한편, 복합 고무 내에서의 폴리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고무 성분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완성된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가 손상된다. 실리콘-아크릴레이트 고무는, 예를 들어, US 5,807,914, EP 430134 및 US 4888388에 공지되고 기술되어 있다. C.1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C.2 실리콘-아크릴레이트 복합 고무를 사용한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그라프트 중합체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라프팅 주쇄 C.2의 겔 함량은 25℃에서 적합한 용매에서 결정된다(문헌 [M. Hoffmann, H. Kroemer, R. Kuehn, Polymeranalytik I & II, Georg Thieme-Verlag, Stuttgart 1977]).
평균 입자 크기 d50은 각 경우에 입자의 50 중량%가 이 직경의 위와 아래에 있는 직경이다. 이는 초원심분리 측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문헌 [W. Scholtan, H. Lange, Kolloid, Z. und Z. Polymere 250(1972), 782-796]).
유리 전이 온도는 표준 DIN EN 61006에 따른 동적시차열분석 (DSC)에 의해 10 K/min의 가열 속도에서 중간점 온도로서 정의된 Tg를 사용하여 (탄젠트 방법) 결정된다.
<성분 D>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추가로 난연제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서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인-함유 난연제 및 할로겐화 난연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인-함유 난연제가 특히 바람직하고, 여기서 이러한 인-함유 난연제는 단량체성 및 올리고머성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아민, 포스파젠 및 포스핀산 염의 군 중에서 선택되고, 여기서 이러한 군들 중 하나 이상 중에서 선택된 여러 성분의 혼합물도 난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기타 할로겐-비함유 인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기타 할로겐-비함유 인 화합물과의 임의의 원하는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단량체성 및 올리고머성 인산 또는 포스폰산 에스테르는 화학식 V의 인 화합물이다.
<화학식 V>
여기서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각 경우에 임의로 할로겐화된 C1 내지 C8 알킬; 각 경우에 임의로 알킬,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 알킬 및/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로민에 의해 치환된, C5 내지 C6 시클로알킬, C6 내지 C20 아릴 또는 C7 내지 C12 아르알킬을 의미하고,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을 의미하고,
q는 0 내지 30을 의미하고,
X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잔기, 또는 2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 잔기를 의미하고, 이것은 OH-치환될 수 있고 8 개 이하의 에테르 결합을 함유한다.
바람직하게는 R1, R2, R3 및 R4는 서로 독립적으로 C1 내지 C4 알킬, 페닐, 나프틸 또는 페닐-C1-C4-알킬을 나타낸다. 방향족 기 R1, R2, R3 및 R4는 또한 할로겐 및/또는 알킬 기, 바람직하게는 염소, 브로민 및/또는 C1 내지 C4 알킬로써 치환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아릴 잔기는 크레실, 페닐, 크실레닐, 프로필페닐 또는 부틸페닐 및 그의 상응하는 브로민화 및 염소화 유도체이다.
화학식 V에서 X는 바람직하게는 6 내지 30개의 C 원자를 갖는 일핵 또는 다핵 방향족 잔기를 의미한다. 후자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의 디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식 V에서 n은 서로 독립적으로 0 또는 1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n은 1이다.
q는 0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내고, 혼합물의 경우에, 이것은 0.8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2.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8 내지 1.60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X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 또는 그의 염소화 또는 브로민화 유도체를 나타내고, 특히 X는 레조르시놀, 히드로퀴논, 비스페놀 A 또는 디페닐페놀로부터 유도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X는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다.
화학식 V의 인 화합물은 특히 트리부틸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크레실 포스페이트, 디페닐옥틸 포스페이트, 디페닐-2-에틸크레실 포스페이트, 트리-(이소프로필페닐) 포스페이트, 레조르시놀-가교된 올리고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가교된 올리고포스페이트이다. 비스페놀 A로부터 유도된, 화학식 V의 올리고머성 인산 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D는 매우 아주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Va에 따른 비스페놀 A-기재의 올리고포스페이트이다.
<화학식 Va>
바람직한 대체 실시양태에서, 성분 D는 화학식 Vb에 따른 레조르시놀-기재의 올리고포스페이트이다.
<화학식 Vb>
성분 D 인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예를 들어, EP-A 0 363 608, EP-A 0 640 655를 참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유사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 [Ullmanns Enzyklopaedie der technischen Chemie, vol.18, p.301 et seq. 1979];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vol. 12/1, p.43]; [Beilstein vol.6, p.177]).
상이한 화학구조 및/또는 동일한 화학구조 및 상이한 분자량을 갖는 인산염의 혼합물도 본 발명에 따른 성분 D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동일한 구조 및 상이한 사슬 길이를 갖는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되고, 여기서 언급된 q 값은 평균 q 값이다. 인 화합물의 조성 (분자량 분포)은 적합한 방법(기체 크로마토그래피 (GC),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LC),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q에 대한 평균값은 이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WO 00/00541 및 WO 01/18105에 기술된 바와 같은 포스포네이트 아민 및 포스파젠이 난연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난연제는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원하는 혼합물로서 또는 기타 난연제와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한 추가의 바람직한 난연제는 임의의 원하는 금속 양이온을 갖는 포스핀산의 염이다. 상이한 금속 양이온을 갖는 염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금속 양이온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주족 금속(알칼리 금속, 바람직하게는 Li+, Na+, K+), 제2 주족 금속(알칼리 토금속; 바람직하게는 Mg2 +, Ca2 +, Sr2 +, Ba2 +, 특히 바람직하게는 Ca2 +) 또는 제3 주족 금속 (붕소족 원소; 바람직하게는 Al3+) 및/또는 제2, 제7 또는 제8 부족의 금속 (바람직하게는 Zn2 +, Mn2 +, Fe2 +, Fe3 +)의 양이온이다.
화학식 IV의 포스핀산의 염 또는 염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화학식 IV>
상기 식에서, Mm +은 원소주기율표의 제1 주족 (알칼리 금속; m = 1), 제2 주족 (알칼리 토금속; m = 2) 또는 제3 주족 (m = 3) 또는 제2, 제7 또는 제8 부족 (여기서 m은 1 내지 6,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특히 바람직하게는 2 또는 3의 정수를 의미함)의 금속 양이온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IV에서
m이 1일 때, 금속 양이온 M+는 Li+, Na+, K+이고,
m이 2일 때, 금속 양이온 M2 +는 Mg2 +, Ca2 +, Sr2 +, Ba2 +이고,
m이 3일 때, 금속 양이온 M3+는 Al3+이고,
Ca2+(m = 2) 및 Al3+(m = 3)이 매우 아주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포스핀산 염(성분 D)의 평균 입자 크기 d50은 80 ㎛ 미만, 바람직하게는 60 ㎛ 미만이고; d50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55 ㎛이다. 평균 입자 크기 d50은 각 경우에 입자의 50 중량%가 이 직경의 위와 아래에 있는 직경이다. 상이한 평균 입자 크기 d50를 갖는 염의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입자크기를 위한 이러한 요건은 각 경우에 포스핀산 염의 난연 효과가 증가된다는 기술적 효과와 연관되어 있다.
포스핀산 염은 단독으로 또는 기타 인-함유 난연제와의 조합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난연성이 되려면, 적하방지제, 바람직하게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PTFE)가 바람직하게 추가로 존재한다. 총 조성물 내의 PTFE의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중량부 내지 0.6 중량부이다.
<성분 E>
성분 E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비닐 (공)중합체 E.1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닐 (공)단량체 E.1은 비닐 방향족, 비닐 시아나이드 (불포화 니트릴), (메트)아크릴산 (C1-C8) 알킬 에스테르,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및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단량체의 중합체이다.
E.1.1 50 내지 99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및/또는 고리-치환된 비닐 방향족 (예컨대 예를 들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클로로스티렌) 및/또는 메타크릴산 (C1-C8)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E.1.2 1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의 비닐 시아나이드(불포화 니트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및 메타크릴로니트릴 및/또는 (메트)아크릴산 (C1-C8)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 예컨대 말레산, 및/또는 불포화 카르복실산의 유도체, 예컨대 무수물 및 이미드, 예를 들어 말레산 무수물 및 N-페닐말레이미드
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가 특히 적합하다.
비닐 (공)중합체 E.1은 수지성 및 열가소성이고 고무를 함유하지 않는다. E.1.1 스티렌 및 D.1.2 아크릴로니트릴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가 특히 바람직하다.
E.1에 따른 (공)중합체는 공지되어 있고 특히 유화 중합, 현탁 중합, 용액 중합 또는 괴상 중합에 의해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공)중합체는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2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 Mw(중량평균, 광산란 또는 침강에 의해 결정됨)를 갖는다.
<성분 F>
조성물은 성분 F)에 따른 추가의 통상적인 상업적 첨가제, 예컨대 난연상승작용제, 적하방지제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 실리콘 및 아라미드 섬유의 물질류의 화합물), 슬립 및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 유기 대전방지제, 예컨대 폴리알킬렌 에테르, 알킬 술포네이트 또는 폴리아미드-함유 중합체), 산, 충전제 및 보강재 (예를 들어 유리 또는 탄소 섬유, 운모, 카올린, 활석, CaCO3 및 유리 플레이크), 및 전도성 카본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를 제외한 염료 및 안료를 함유할 수 있다.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은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의 유화액과 비닐 (공)중합체 E.1의 유화액, 특히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을 기재로 하는 공중합체의 유화액의 응집된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된다.
에스테르교환반응 안정화제가 바람직하게 조성물에 첨가된다. 아인산염-기재의 안정화제가 특히 이러한 목적에 사용되고, 여기서 올리고머성 아인산염이 추가로 바람직하다. WO 2004/007607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인산염 안정화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성형 화합물 및 성형물의 제조>
각각의 구성성분들을 공지된 방식으로 혼합하고 이것들을 240℃ 내지 300℃의 온도에서 통상적인 장치, 예컨대 내부 혼합기, 압출기 및 이축 압출기에서 용융-컴파운딩 및 용융-압출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성형 화합물을 제조한다.
개별적인 구성성분들의 혼합을 공지된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및 실제로는 약 20℃ (실온) 또는 보다 높은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성형 화합물의 제조 방법 및 성형물의 제조에 있어서의 성형 화합물의 용도 뿐만 아니라 성형물 자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을 사용하여 모든 종류의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후자를 사출성형, 압출 및 취입성형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 다른 유형의 공정은 미리 제조된 시트 또는 필름으로부터 열성형을 통해 성형물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러한 성형물의 예는 필름, 프로필, 모든 종류의 하우징 부품, 예를 들어 가전제품, 예컨대 텔레비젼, 즙 추출기, 커피 머신, 혼합기; 사무기기, 예컨대 모니터, 평판 스크린, 노트북 컴퓨터, 프린터, 복사기를 위한 하우징 부품; 시트, 튜브, 전기 설비용 덕트, 창, 문 및 추가로 건축분야의 프로필(내장 비품 및 옥외 응용분야), 전기 및 전자 부품, 예컨대 스위치, 플러그 및 소켓, 상업적 차량의, 특히 자동차 분야의 차체 및 내장 부품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성형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성형물 또는 성형 부품의 제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철도 차량, 선박, 항공기, 버스 및 기타 자동차의 내장 비품, 소형 변압기를 함유하는 전기제품의 케이스, 정보 처리 및 전송 설비의 케이스, 의료용 설비를 위한 케이스 및 트림, 마사지기 및 이를 위한 케이스, 어린이용 장난감 자동차, 대형 벽 요소, 안전 장치 및 텔레비젼을 위한 케이스, 단열된 운송 컨테이너, 위생 및 욕실 비품을 위한 성형물, 팬 개구를 위한 커버 그레이팅 및 정원용품을 위한 케이스.
하기 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설명한다.
<실시예>
성분 A:
(DCM 중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을 사용한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측정된) 약 30,000의 중량평균분자량(Mw)에 상응하는, 용매로서의 CH2Cl2에서 25℃에서 0.5 g/100 ㎖의 농도에서 측정된, 1.306 ± 0.05의 상대용액점도 ηrel를 갖는, 비스페놀 A를 기재로 하는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성분 B1: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1:1 중량부)에서 측정된 0.95의 고유점도 및 2 중량%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 함량을 갖는 선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 B2:
25℃에서 페놀/o-디클로로벤젠(1:1 중량부)에서 측정된 0.95의 고유점도 및 0%의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 함량을 갖는 선형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성분 C:
(ABS 중합체를 기준으로) 57 중량%의 입자상의 가교된 폴리부타디엔 고무(평균입경 d50 = 0.35 ㎛)의 존재 하에서, (ABS 중합체를 기준으로) 43 중량%의, 27 중량%의 아크릴로니트릴과 73 중량%의 스티렌의 혼합물의 유화 중합에 의해 제조된 ABS 중합체.
성분 D:
비스페놀 A-기재의 올리고포스페이트
성분 F1:
이르가녹스(Irganox)® B900:
80 중량%의 이르가포스(Irgafos)® 168(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와 20 중량%의 이르가녹스® 1076(옥타데실 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혼합물(독일의 바스프(BASF)).
성분 F2: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에서 1150 g/mol의 중량평균 Mw를 갖는, 하기 구조단위를 갖는 올리고머성 아인산염 안정화제(15 중량% 안정화제):
성분 F3:
이형제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성분 F4: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분말인, 듀폰(Du Pont)으로부터의 CFP 6000 N.
<성형 화합물의 제조 및 시험>
표 1에 열거된 성분들을 이축 압출기(ZSK-25)(베르너 운트 플라이더러(Werner & Pfleiderer))에서 240℃의 기기 온도에서 225 rpm의 회전 속도에서 15 ㎏/h의 처리량에서 컴파운딩하고 과립화한다.
완성된 과립을 사출성형기(용융 온도 270℃, 성형틀 온도 70℃, 용융-전단부 속도 40 ㎜/s)에서 적당한 시험편으로 만든다.
파단 신도를 ISO 527-1,-2에 따른 인장시험에서 50 ㎜/s의 연신 속도에서 측정한다.
성형수축률을 150×105×3 ㎜의 치수를 갖는 시트 상에서 ISO 2577에 근거하여 결정한다.
다축 침투 시험에서의 거동은 현실 조건과 관련된 충격/충돌 시험에서 저온 연성의 척도로서 사용된다. 침투 시험을 60㎜×60㎜×2㎜의 치수의 시험편 상에서 -30℃의 온도에서 ISO 6603-2에 근거하여 수행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최대 에너지 흡수량을 결정함을 포함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어느 정도의 비율이 부서졌는지, 즉 파쇄?榮쩝熾? 대해, 10개의 시험편의 파괴 패턴을 평가한다.
난연성을 127×12.7×1.5 ㎜의 치수의 바(bar) 상에서 UL 94V에 따라 측정한다.
표 1로부터, 폴리카르보네이트와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을 갖는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와 내충격성개질제와 임의로 난연제의 조합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3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만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함, 즉 이것은 높은 파단 신도과 낮은 성형수축률과 우수한 다축인성과 임의로 UL 94V 시험에서의 우수한 성능의 조합을 제공함이 분명하다.
Claims (14)
- A)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41 내지 80 중량부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B)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5 내지 4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C)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부의 고무-개질된 그라프트 중합체,
D)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0 내지 25 중량부의 난연제,
E)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20 중량부의 비닐 (공)중합체, 및
F)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 = 100을 기준으로 0 내지 50 중량부의 첨가제
를 함유하며, 여기서 성분 B는 에틸렌 글리콜 빌딩 블록, 및 성분 B를 기준으로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 함량이 2.0 중량% 내지 4.0 중량%인 테레프탈산 빌딩 블록과 이소프탈산 빌딩 블록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고, 언급된 모든 중량부 데이터는 조성물 내의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이 100이 되도록 표준화된 것인 조성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43 내지 75 중량부의 성분 A)에 따른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각 경우에 성분 A+B+C+D의 중량부의 합을 기준으로) 21 내지 30 중량부의 성분 B)에 따른 폴리에스테르를 함유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성분 B)가 재생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성분 D)의 난연제가 단량체성 및 올리고머성 인산 및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 아민, 포스파젠 및 포스핀산 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인-함유 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올리고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난연제가 포스핀산의 염 또는 염 혼합물이고, 여기서 금속 양이온이 Li+, Na+, K+, Mg2+, Ca2+, Sr2+, Ba2+, Al3+, Zn2+, Mn2+, Fe2+ 및/또는 Fe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F)에 따른 첨가제가 난연상승작용제, 적하방지제, 슬립 및 이형제, 핵제, 안정화제, 대전방지제, 산, 충전제, 강화 물질, 염료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조성물.
- 삭제
-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성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0039712A DE102010039712A1 (de) | 2010-08-24 | 2010-08-24 | Schlagzähmodifizierte Polyester/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Reißdehnung |
DE102010039712.1 | 2010-08-24 | ||
PCT/EP2011/064367 WO2012025481A1 (de) | 2010-08-24 | 2011-08-22 | SCHLAGZÄHMODIFIZIERTE POLYESTER/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REIßDEHN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100299A KR20130100299A (ko) | 2013-09-10 |
KR101798692B1 true KR101798692B1 (ko) | 2017-11-16 |
Family
ID=4458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7262A KR101798692B1 (ko) | 2010-08-24 | 2011-08-22 | 개선된 파단 신도를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Country Status (11)
Country | Link |
---|---|
US (1) | US8901216B2 (ko) |
EP (1) | EP2609153B1 (ko) |
KR (1) | KR101798692B1 (ko) |
CN (1) | CN103189448B (ko) |
BR (1) | BR112013004230A2 (ko) |
CA (1) | CA2809083A1 (ko) |
DE (1) | DE102010039712A1 (ko) |
ES (1) | ES2571733T3 (ko) |
MX (1) | MX2013002166A (ko) |
TW (1) | TWI519597B (ko) |
WO (1) | WO201202548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2791234B1 (de) * | 2011-12-13 | 2016-04-06 | Covestro Deutschland AG | Flammgeschützte polyalkylenterephthalat/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
TWI500677B (zh) * | 2012-12-22 | 2015-09-21 | Chi Mei Corp | 聚碳酸酯組成物及其應用 |
CN105637020B (zh) | 2013-10-18 | 2018-12-11 |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 对聚氨酯层具有改善粘合性的聚碳酸酯组合物 |
CN105658398A (zh) * | 2013-10-18 | 2016-06-08 |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 对聚氨酯层具有改善粘合性的聚碳酸酯组合物 |
CN114599736A (zh) * | 2019-08-28 | 2022-06-07 | 科思创知识产权两合公司 | 阻燃聚碳酸酯组合物和由其制成的模塑部件以及制品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64556A (en) | 1986-05-21 | 1988-08-16 | Basf Aktiengesellschaft |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of polyester and polycarbonate |
WO2007087346A2 (en) * | 2006-01-27 | 2007-08-02 | General Electric Company |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random copolymers deriv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KR100878571B1 (ko) | 2007-12-31 | 2009-01-15 | 제일모직주식회사 |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91920A (en) | 1955-01-26 | 1959-06-23 | Dow Corning | Polymerization of organopolysiloxanes in aqueous emulsion |
DE1495626B1 (de) | 1960-03-30 | 1971-06-09 | Bayer Ag |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estern |
GB1024024A (en) | 1963-04-08 | 1966-03-30 | Dow Corning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olymerising or co-polymerising organosilicon compounds |
US3419634A (en) | 1966-01-03 | 1968-12-31 | Gen Electric | Organopolysiloxane polycarbonate block copolymers |
FR1580834A (ko) | 1968-01-04 | 1969-09-12 | ||
US3644574A (en) | 1969-07-17 | 1972-02-22 | Eastman Kodak Co | Shaped articles of blends of polyesters and polyvinyls |
US4013613A (en) | 1971-10-01 | 1977-03-22 | General Electric Company | Reinforced intercrystalline thermoplastic polyester compositions |
DE2232877B2 (de) | 1972-07-05 | 1980-04-10 |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
JPS5039599B2 (ko) | 1973-03-30 | 1975-12-18 | ||
DE2407776A1 (de) | 1974-02-19 | 1975-09-04 | Licentia Gmbh | Schaltung zur regelung der betriebsspannung fuer die transistor-zeilenendstufe eines fernsehempfaengers |
JPS5292295A (en) | 1976-01-29 | 1977-08-03 | Sumitomo Chem Co Ltd |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
IT1116721B (it) | 1976-04-02 | 1986-02-10 | Allied Chem | Copolimero bisfenolo a tereftalato carbonato lavorabili in massa fusa |
DE2715932A1 (de) | 1977-04-09 | 1978-10-19 | Bayer Ag | Schnellkristallisierende poly(aethylen/alkylen)-terephthalate |
DE2842005A1 (de) | 1978-09-27 | 1980-04-10 | Bayer Ag | Polycarbonate mit alkylphenyl-endgruppen,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
JPS5594930A (en) | 1979-01-10 | 1980-07-18 | Sumitomo Chem Co Ltd |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by improved bulk polymerization process |
DE2940024A1 (de) | 1979-10-03 | 1981-04-16 | Bayer Ag, 5090 Leverkusen | Aromatische polyester,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
DE3007934A1 (de) | 1980-03-01 | 1981-09-17 | Bayer Ag, 5090 Leverkusen | Aromatische polyestercarbon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spritzgussartikeln, folien und ueberzuegen |
JPS5848198A (ja) | 1981-09-16 | 1983-03-22 | 株式会社東芝 | 2線式伝送装置 |
DE3334782A1 (de) | 1983-04-19 | 1984-10-25 | Bayer Ag, 5090 Leverkusen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diorganosiloxanen mit hydroxyaryloxy-endgruppen |
DE3631539A1 (de) | 1986-09-17 | 1988-03-24 | Bayer Ag | Alterungsbestaendige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guter zaehigkeit |
DE3631540A1 (de) | 1986-09-17 | 1988-03-24 | Bayer Ag | Thermoplastische formmassen mit hoher alterungsbestaendigkeit und guter tieftemperaturzaehigkeit |
DE3704655A1 (de) | 1987-02-14 | 1988-08-25 | Bayer Ag |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
DE3704657A1 (de) | 1987-02-14 | 1988-08-25 | Bayer Ag | Teilchenfoermige mehrphasenpolymerisate |
US4888388A (en) | 1987-09-21 | 1989-12-19 | Mitsubishi Rayon Company Limited |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DE3738143A1 (de) | 1987-11-10 | 1989-05-18 | Bayer Ag | Verwendung von redoxpfropfpolymerisaten zur verbesserung der benzinbestaendigkeit von thermoplastischen, aromatischen polycarbonat- und/oder polyestercarbonat-formmassen |
DE3832396A1 (de) | 1988-08-12 | 1990-02-15 | Bayer Ag |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
NL8802346A (nl) | 1988-09-22 | 1990-04-17 | Gen Electric | Polymeermengsel met aromatisch polycarbonaat, styreen bevattend copolymeer en/of entpolymeer en een vlamvertragend middel, daaruit gevormde voorwerpen. |
JPH0812864B2 (ja) | 1989-01-23 | 1996-02-07 | ローム株式会社 | 半導体装置 |
EP0430134B1 (en) | 1989-11-27 | 1996-07-31 | Mitsubishi Rayon Co., Ltd. | High impact graft copolymers and resin compositions |
JP3048264B2 (ja) | 1990-09-06 | 2000-06-05 |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 ポリエステ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ヒートシール性を有するフィルム |
DE4235642A1 (de) | 1992-10-22 | 1994-04-28 | Bayer Ag | Flammwidrige Formmassen |
JPH06228425A (ja) | 1993-02-05 | 1994-08-16 | Toyobo Co Ltd |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 |
DE4328656A1 (de) | 1993-08-26 | 1995-03-02 | Bayer Ag | Flammwidrige, spannungsrißbeständ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
JP3376753B2 (ja) | 1994-04-28 | 2003-02-10 | 東レ株式会社 | 熱可塑性樹脂組成物 |
US5807914A (en) | 1995-07-05 | 1998-09-15 | Mitsubishi Engineering-Plastics Corporation | Glass fiber-reinforce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WO1998017725A1 (en) * | 1996-10-21 | 1998-04-30 | Eastman Chemical Company | 1,4-cyclohexanedimethanol based polyester blends |
DE19713509A1 (de) * | 1997-04-01 | 1998-10-08 | Bayer Ag | Pfropfpolymerisat-Formmassen mit reduzierter Belagsbildung |
DE19828536A1 (de) | 1998-06-26 | 1999-12-30 | Bayer Ag | Flammwidrige Polycarbonat/ABS-Formmassen |
DE19941821A1 (de) | 1999-09-02 | 2001-03-08 | Bayer Ag | Flammwidrige Polycarbonat-ABS-Blends |
DE10036057A1 (de) | 2000-07-25 | 2002-02-07 | Bayer Ag | Flammwidrig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
DE10231334A1 (de) | 2002-07-11 | 2004-01-22 | Bayer Ag | Mit polymeren Phosphorigsäureestern stabilisierte Thermoplaste |
JP5032800B2 (ja) | 2005-07-14 | 2012-09-26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
2010
- 2010-08-24 DE DE102010039712A patent/DE102010039712A1/de not_active Withdrawn
-
2011
- 2011-08-22 BR BR112013004230A patent/BR112013004230A2/pt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8-22 KR KR1020137007262A patent/KR10179869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8-22 WO PCT/EP2011/064367 patent/WO2012025481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8-22 US US13/215,083 patent/US8901216B2/en active Active
- 2011-08-22 EP EP11752159.1A patent/EP2609153B1/de active Active
- 2011-08-22 ES ES11752159T patent/ES2571733T3/es active Active
- 2011-08-22 CN CN201180050852.6A patent/CN103189448B/zh active Active
- 2011-08-22 CA CA2809083A patent/CA280908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11-08-22 MX MX2013002166A patent/MX2013002166A/es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1-08-23 TW TW100130064A patent/TWI519597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764556A (en) | 1986-05-21 | 1988-08-16 | Basf Aktiengesellschaft | Thermoplastic molding materials of polyester and polycarbonate |
WO2007087346A2 (en) * | 2006-01-27 | 2007-08-02 | General Electric Company | Mold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carbonate and modified polybutylene terephthalate(pbt) random copolymers derived fro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KR100878571B1 (ko) | 2007-12-31 | 2009-01-15 | 제일모직주식회사 | 투명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189448B (zh) | 2015-09-09 |
WO2012025481A1 (de) | 2012-03-01 |
BR112013004230A2 (pt) | 2016-07-05 |
EP2609153A1 (de) | 2013-07-03 |
EP2609153B1 (de) | 2016-03-02 |
US20120053271A1 (en) | 2012-03-01 |
TWI519597B (zh) | 2016-02-01 |
CA2809083A1 (en) | 2012-03-01 |
CN103189448A (zh) | 2013-07-03 |
DE102010039712A1 (de) | 2012-03-01 |
MX2013002166A (es) | 2013-04-29 |
US8901216B2 (en) | 2014-12-02 |
ES2571733T3 (es) | 2016-05-26 |
KR20130100299A (ko) | 2013-09-10 |
TW201213435A (en) | 2012-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6455B1 (ko) | 방염 충격 강도 개질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
KR101530404B1 (ko) |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 |
JP5705433B2 (ja) | 耐衝撃性改良充填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 |
KR101530405B1 (ko) |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알킬렌 테레프탈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 |
KR20010053165A (ko) | 내화성 폴리카르보네이트 abs 성형 재료 | |
KR20090097941A (ko) | 내충격성 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 |
CA2894430A1 (en) | Flame-retardant polycarbonate molding materials ii | |
KR20150093752A (ko) |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v | |
TWI642720B (zh) | 阻燃性聚碳酸酯模塑組成物iv | |
KR101798692B1 (ko) | 개선된 파단 신도를 갖는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에스테르/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
KR20130040807A (ko) | 방염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
US10501624B2 (en) | Flame-retardant polycarbonate-polyester compositions | |
KR102135992B1 (ko) | 난연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물질 iii | |
KR20010105397A (ko) | 그라프트 중합체로 개질된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성형조성물 | |
EP2225316B1 (de) | Flammgeschützte schlagzähmodifizierte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 |
JP2016501298A (ja) | 難燃性ポリカーボネート成形組成物i | |
TWI572668B (zh) | 阻燃性聚對苯二甲酸伸烷酯/聚碳酸酯組成物 | |
KR20100094522A (ko) | 방염 내충격성-개질된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